KR101268673B1 - 군도(群島)모형물세트 - Google Patents

군도(群島)모형물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673B1
KR101268673B1 KR1020120101527A KR20120101527A KR101268673B1 KR 101268673 B1 KR101268673 B1 KR 101268673B1 KR 1020120101527 A KR1020120101527 A KR 1020120101527A KR 20120101527 A KR20120101527 A KR 20120101527A KR 101268673 B1 KR101268673 B1 KR 10126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base panel
island
attache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찬
Original Assignee
최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찬 filed Critical 최종찬
Priority to KR102012010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6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surveying; for geography, e.g. relief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1Geograph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8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scenic effects, e.g. trees, rocks, water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대인들의 여가활동 증대로 인해 활발히 증가하고 있는 여행 수요에 부응하여 여행지인 군도(群島)의 현장감 있는 여행의 추억을 온전히 간직할 수 있고 조경용, 관상용 또는 학습교재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여행지인 군도(群島)의 실제 형상을 실측 축소 제작한 군도(群島)모형물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M)는, 일정량의 물(110)을 담수하되, 바닥면 중앙부에는 견인고리(120)가 결합고정되고, 개구부 정북방향의 내면상부 일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130)이 부착되고 개구부 정남방향의 내면상부 타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130')이 부착된 수조(100)와; 모형체조형틀(211)에 우레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응고재를 주입하고 응고시킨 후 해체하여 제작되는 모형체(210), 상면에는 상기 모형체(210)가 밀착접합되고 하면에는 일정간격 격자형태의 교차지점에 홈(221)이 형성되고 하면의 중앙부에는 견인고리(223)가 결합고정되며 상기 수조(100) 내벽에 부착된 영구자석(130)(130') 부착위치에 대응하여 정북방향 측부 일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224)이 부착되고 정남방향 측부 타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224')이 부착되는 원판형상의 베이스판넬(Base-Panel)(220)로 구성되는 모형물(200)과; 물보다 밀도가 작은 중공체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가벼운 재질로 된 직육면체, 정육면체, 구체(球體) 또는 유니크한 형상의 균일한 단위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끼움부(310)를 돌출 형성하고 하면 중앙부에는 끼움홈(320)이 형성된 다수개의 부력체(300)와; 상기 수조(100)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된 견인고리(120)와 상기 모형물(200)의 베이스판넬(220) 하면 중앙부에 결합고정된 견인고리(223)를 걸어 견인할 수 있도록 양단에 후크(410)(410')를 결합고정한 견인선(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에 의하면, 실제 군도(群島)의 생생한 현장감을 구현할 수 있고, 모형물을 수면위로 부상 또는 수면 아래로 잠수의 조절이 용이하고, 모형물을 수면 위에서 수평의 유지가 용이하며, 모형물의 방향이 군도(群島)의 실제 위치하고 있는 방향과 동일하게 항상 일정방향을 유지할 수 있고, 제작지로부터 전시장소로의 운반이 매우 용이하여 조경용, 관상용 또는 유용한 학습교재로서 기능 할 수 있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군도(群島)모형물세트{Modeling set of Archipelago }
본 발명은 현대인들의 여가활동 증대로 인해 활발히 증가하고 있는 여행 수요에 부응하여 여행지인 군도(群島)의 현장감 있는 여행의 추억을 온전히 간직할 수 있고 조경용, 관상용 또는 학습교재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여행지인 군도(群島)의 실제 형상을 실측 축소 제작한 군도(群島)모형물세트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필요에 따라 어떤 모형물을 만들어 왔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모형물의 가치는 더욱 크게 인정되어 광범위한 분야에서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다. 특히 건축분야에서 활발하여, 건축가들이 건축물을 건축하기 전에 작가(건축가)의 내면적인 계획과 스케일, 조경, 색상이나 디자인 등의 복잡한 구성을 3차원의 공간에 재구성하여 실제와 같은 모형을 축소 제작함으로써 건축구상을 정리하고 실제 건축물의 건축시 비롯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모형물을 제작하기도 하고, 유실되어가는 문화재를 모형물로 제작하여 보존 내지 전시하는 등 이제 건축물 모형물의 제작은 건축설계자에게는 필연의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나아가, 오늘날 비약적인 교통, 통신의 발달은 현대인들에게는 여가활동을 부추기게 되어 고적지, 관광지, 도서벽지, 군도(群島) 등의 여행 수요를 촉발하게 되었으며, 여행자는 여행지의 추억을 온전히 간직할 수 있을 만한 여행지의 축소 모형물에 대한 수요를 낳게 되어, 관광상품으로서의 고적지, 관광지, 도서벽지, 군도(群島)의 모형물 제작이 활발하다. 이는 자라나는 학생들에게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 영토를 학습할 수 있는 유용한 학습교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형물들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 상자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상자 속의 가대(架臺 전시대)에 안치되어 주로 관상용으로 제작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바다 위에 솟아 있는 군도(群島)의 형상을 실측 축소 제작한 모형물의 경우에는 바다의 표현이 난해하여 군도(群島)의 모형체를 부착한 바닥판위에 색채를 컬러링하여 바다를 표현하거나 바닥판위에 베이스칼라를 한 후 아크릴판이나 투명필름을 붙여 바다를 표현하거나 또는 이에 안료를 섞은 투명본드류를 도포하여 바다를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다의 표현방법들은, 항상 유동하고 있는 바다를 정지된 상태로 표현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항상 유동하고 있는 바다를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어서 모형물을 감상하는 감상자들이 느끼는 현장감은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상기와 같이 제작된 군도(群島)모형물세트는 조경용, 관상용 또는 학습교재로서의 제 기능을 다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는 바닥판위에 군도(群島)의 모형체를 부착한 모형물을 제작하고 이를 물이 담수된 수조에 직접 부상시켜 군도(群島)의 현장감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제작한 군도(群島)모형물세트 역시, 바닥판 자체의 무게와 바닥판위에 부착된 군도(群島)의 모형체의 무게로 인해 모형물이 수면 아래로 잠수하게 되고, 바닥판 위에 부착되는 각각의 군도(群島)의 모형체의 부착 위치와 크기의 차이로 인해 수면 위에서 모형물의 수평을 유지하기가 어려웠고, 모형물이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되면 수면 위를 임의로 부유하게 되어 실제 위치하고 있는 군도(群島)의 방향과 달라져 군도(群島)에 대한 교육목적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고, 제작지로부터 전시장소로의 운반과 설치에 있어 매우 불편한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실제 군도(群島)의 생생한 현장감을 구현할 수 있고, 수면 위로의 부상 또는 수면 아래로의 잠수의 인위적인 조절이 용이하고, 수면 위에서의 수평의 유지가 용이하며, 모형물의 방향이 군도(群島)가 실제 위치하고 있는 방향과 동일하게 항상 일정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높고, 제작지로부터 전시장소로의 운반과 설치가 매우 용이한, 조경용, 관상용 또는 유용한 학습교재로서 기능 할 수 있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M)는,
일정량의 물(110)을 담수하되, 바닥면 중앙부에는 견인고리(120)가 결합고정되고, 개구부 정북방향의 내면상부 일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130)이 부착되고 개구부 정남방향의 내면상부 타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130')이 부착된 수조(100)와;
모형체조형틀(211)에 우레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응고재를 주입하고 응고시킨 후 해체하여 제작되는 모형체(210), 상면에는 상기 모형체(210)가 밀착접합되고 하면에는 일정간격 격자형태의 교차지점에 홈(221)이 형성되고 하면의 중앙부에는 견인고리(223)가 결합고정되며 상기 수조(100) 내벽에 부착된 영구자석(130)(130') 부착위치에 대응하여 정북방향 측부 일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224)이 부착되고 정남방향 측부 타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224')이 부착되는 원판형상의 베이스판넬(Base-Panel)(220)로 구성되는 모형물(200)과;
물보다 밀도가 작은 중공체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가벼운 재질로 된 직육면체, 정육면체, 구체(球體) 또는 유니크한 형상의 균일한 단위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끼움부(310)를 돌출 형성하고 하면 중앙부에는 끼움홈(320)이 형성된 다수개의 부력체(300)와;
상기 수조(100)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된 견인고리(120)와 상기 모형물(200)의 베이스판넬(220) 하면 중앙부에 결합고정된 견인고리(223)를 걸어 견인할 수 있도록 양단에 후크(410)(410')를 결합고정한 견인선(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에 의하면, 실제 군도(群島)의 생생한 현장감을 구현할 수 있고, 모형물을 수면위로 부상 또는 수면 아래로 잠수의 조절이 용이하고, 모형물을 수면 위에서 수평의 유지가 용이하며, 모형물의 방향이 군도(群島)의 실제 위치하고 있는 방향과 동일하게 항상 일정방향을 유지할 수 있고, 제작지로부터 전시장소로의 운반이 매우 용이하여 조경용, 관상용 또는 유용한 학습교재로서 기능 할 수 있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제공되는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가 우리 국민은 물론 우리나라를 찾는 세계 각국의 관광객들에게 독도군도(獨島群島) 등 우리 영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학습교재로서 기능 하기를 기대한다.
도1은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원판형상으로 제작된 베이스판넬이 일정방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3은 임의형상으로 제작된 베이스판넬이 일정방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4는 모형물 제작의 흐름도이다.
도5는 모형물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6은 베이스판넬의 하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7은 베이스판넬 하면에 결합되는 부력체끼움공 및 돌출끼움부 설명도이다.
도8은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9의 a,b는 베이스판넬의 하면에 부력체를 결합하여 모형물의 부상과 수평 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다.
도10은 견인선 일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M)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9의 a,b는 베이스판넬의 하면에 부력체를 결합하여 모형물의 부상과 수평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다.
첨부한 도1 및 도9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M)는,
일정량의 물(110)을 담수하되, 바닥면 중앙부에는 견인고리(120)가 결합고정되고, 개구부 정북방향의 내면상부 일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130)이 부착되고 개구부 정남방향의 내면상부 타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130')이 부착된 수조(100)와;
모형체조형틀(211)에 우레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응고재를 채우고 응고시킨 후 해체하여 제작되는 모형체(210), 상면에는 상기 모형체(210)가 밀착접합되고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된 격자무늬의 교차지점에 홈(221)을 형성하고 하면의 중앙부에는 견인고리(223)가 결합고정되며 상기 수조(100) 내벽에 부착된 영구자석(130)(130') 부착위치에 대응하여 정북방향 측부 일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224)이 부착되고 정남방향 측부 타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224')이 부착되는 원판형상의 베이스판넬(Base-Panel)(220)로 구성되는 모형물(200)과;
물보다 밀도가 작은 중공체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가벼운 재질로 된 직육면체, 정육면체, 구체(球體) 또는 유니크한 형상의 균일한 단위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끼움부(310)를 돌출 형성하고 하면 중앙부에는 끼움홈(320)이 형성된 다수개의 부력체(300)와;
상기 수조(100)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된 견인고리(120)와 상기 모형물(200)의 베이스판넬(220) 하면 중앙부에 결합고정된 견인고리(223)를 걸어 견인할 수 있도록 양단에 후크(410)(410')를 결합고정한 견인선(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수조(100)는, 물을 담수 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된 임의 형상이면 족하고 그 형상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며, 상기 수조(100)내에는 물고기들이 서식할 수도 있다.
상기 수조(100)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판넬(220) 하부의 견인고리(223)와 견인선(400)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견인고리(120)가 시멘트 또는 본드 중 어느 하나로 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견인고리(120)는 상면에 견인고리를 매설한 중량체의 베이스(미도시)를 수조(100) 바닥면에 침하시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2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하기하는 베이스판넬(220)이 원판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조(100) 내면상부의 정북위치와 정남위치에 각각 N극과 S극의 영구자석(130)(130')이 각각 부착된다.
그러나 하기하는 베이스판넬(220)이 일정 길이를 갖는 임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형물(200)을 상기 수조(100)내에서 실제 위치하고 있는 군도(群島)의 방향과 일치시킨 후,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가장 긴 양단부가 위치되는 수조(100) 내면상부에 각각 영구자석(130)(130')을 부착한다.
상기 영구자석(130)(130')의 각각의 자력의 세기는 수조(100)의 중심점을 넘지 않는 세기이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의 영구자석(130)(130')과 하기하는 베이스판넬(220)에 부착되는 영구자석(224)(224')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조(100)내 수면 중앙영역에서 모형물(200)은 실제 위치하고 있는 군도(群島)의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므로, 수조(100)내의 물고기들의 활동공간 확보 등 필요에 따라서는 하기하는 견인선(400)의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형물(200)은, 모형체(210)와 베이스판넬(Base-Panel)(220)로 구성된다.
상기 모형물(200)은, 도4 및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형체조형틀(211)에 응고재(212)를 주입하고 응고시켜 모형체(210)를 형성한 후 탈거하여 섬세한 부가표현을 가미한 후 베이스판넬(220) 상면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모형물(200)의 제작을 완성한다.
즉 도5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모형체(210)는, 군도(群島)를 실측 축소형성한 하부조형틀(211a)과 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상부조형틀(211b)을 결합하여 모형체조형틀(211)을 제작하고 상기 모형체조형틀(211) 내부에 Sol상태의 우레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응고재를 주입하고 응고시킨 후 상기 상,하 모형체조형틀(211a)(211b)을 해체하여 모형체(210)를 형성한다.
이때 모형체(2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조형틀(211b)의 천정면은 평활면을 유지하고, 상기 하부조형틀(211a)의 군도(群島)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조형틀(211b)의 대응위치에는 탈거가 용이하도록 단지 삼각대 형상, 삼각뿔 형상 또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로써 재료의 절약을 기할 수 있고 또한 동일 모형체(210)의 반복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해 진다.
탈거된 상기 모형체(210) 외부에 질감표현 등 섬세한 부가표현을 가미해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모형체(210)를 베이스판넬(Base-Panel)(220) 상부에 밀착접합시켜 모형물(200)의 형성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모형체(210)를 원판형상의 베이스판넬(220) 상면에 밀착접합하여 모형물(200)의 형성을 완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밀착접합 된 모형물(200)의 베이스판넬(220)을 상기 모형체(210)의 하면 테두리 형상에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상기 모형물(200)을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임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모형체(210) 하면의 평활면과 상기 베이스판넬(Base-Panel)(220) 상면의 평활면은 서로 밀착하며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접합면의 한두 군데만 약간의 접착제로 접착하면 접합면의 박리 및 유동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해체후의 운반과 보관의 편의를 위해 상기 모형체(210)가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상면에 완전접착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형체(210)는, 우레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탄성력 있는 재질로 제작되므로 수축, 신장이 가능하여 운반, 보관에 있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기 모형체(210)는, 돌, 나무, 석고 또는 합성수지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상면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넬(220)은, 장방형, 정방형, 원판형상 또는 필요에 따른 임의형상으로 형성가능하며 상면은 평활면을 형성하여 상면에는 상기 모형체(210)가 밀착접합된다.
상기 베이스판넬(220)은, 나무판, MDF판, 플라스틱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MDF판(medium density fibreboard)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DF판은 합판보다 연질이므로 톱으로 쉽게 자를 수 있는 등 가공하기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때 수조(100)내에 담수 된 물(110) 위에 군도(群島)의 모형체(210)의 표현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일정두께의 투명한 아크릴판(미도시)을 이용하여 아크릴판 상면에 모형체(210)를 직접 형성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물에 잠긴 투명 아크릴판은 물에 수용되면 시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수조(100) 내에서 군도(群島)의 모형체(210)만을 부각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하면은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정간격으로 된 격자무늬의 교차지점에 홈(221)을 형성한다.
상기 홈(221)은, 모형물(200)에 부력을 받게 하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형물(200)의 각 부분에 작용 되는 하중에 대응되는 갯수만큼의 부력체(300)를 끼움결합 하기 위함이다.
다만 베이스판넬(220)의 재질이 지나치게 연질이어서 상기 부력체(300)를 직접 결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도7의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홈(221)에 플라스틱 재질로 된 부력체끼움공(222)을 삽입한 후 본드를 이용하여 접착고정하고 상기 부력체끼움공(222)에, 모형물(200)의 각 부분에 작용되는 하중에 대응되는 갯수만큼의 부력체(300)를, 부력체(300) 상면 중앙부의 끼움부(310)를 연이어 끼움결합 함으로써 상기 모형물(200)에 부력을 받게 하고 수평을 유지한다.
또는,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된 격자무늬의 교차지점에, 도7의b,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된 돌출끼움부(225)를 접착 또는 결합 고정하고 상기 돌출끼움부(225)에, 모형물(200)의 각 부분에 작용되는 하중에 대응되는 갯수만큼의 부력체(300)를, 부력체(300) 하면 중앙부의 끼움홈(320)을 연이어 끼움결합 함으로써 상기 모형물(200)에 부력을 받게 하고 수평을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하면 중앙부에는 너트체의 결합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체의 결합공에는 일단부에 볼트체를 형성한 견인고리(223)가 볼트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판넬(220)이 원판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의 정북위치와 정남위치의 측부에는, 상기 수조(100) 내면상부의 정북위치와 정남위치에 각각 부착된 N극과 S극의 영구자석(130)(130') 부착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S극과 N극의 영구자석(224)(224')이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판넬(220)이 일정 길이를 갖는 임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가장 긴 양단부가 위치되는 상기 수조(100)의 내면상부에 각각 부착된 영구자석(130)(130')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가장 긴 양단부의 측부에 각각 S극과 N극의 영구자석(224)(224')이 부착된다.
부착된 각각의 영구자석(224)(224')의 자력의 세기는 수조(100) 내벽까지 미치는 세기이면 족하다.
상기 베이스판넬(220) 측부에 부착된 영구자석(224)(224')과 상기 수조(100) 내면상부에 부착된 영구자석(130)(130')의 상호작용에 의해 모형물(200)은 군도(群島)의 실제 위치하고 있는 일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군도(群島)의 실제 위치를 학습할 수 있는 유용한 학습교재로서 기능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넬(220)은 운반, 보관이 용이하도록 일정방향으로 2~3개로 수직분할하여 경첩(미도시)에 의해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체(300)는, 모형체(210)를 상기 베이스판넬(220) 상면에 일체가 되도록 부착한 모형물(200)에 부력을 받게 하기 위한 부상체이다.
상기 부력체(300)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가벼운 재질로 형성하되 물의 밀도보다 작은 중공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체(300)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구체(球體)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력체(300)마다 일정한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균일한 단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부력체(300)는 유니크한 디자인의 균일한 단위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력체(300) 가로 단면의 가로, 세로 최대폭 또는 구체(球體)인 경우의 직경은 도6의 참고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에 형성된 격자무늬 폭의 1/2크기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부력체(300)의 중앙상부에는 끼움부(310)를 형성하고, 중앙하부에는 끼움홈(320)을 형성한다.
상기 부력체(300)는, 모형물(200)의 하중이 작용 되는 위치마다 그에 대응되는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중이 작용 되는 각 부분의 하면에서 그 하중에 대응되게 상기 부력체(300)를 하나 또는 다수개를 끼움결합 함으로써, 모형물(200)을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수면 위로 부상시키거나 수면 아래로 잠수시킬 수 있고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적인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형물(200)은 자체 중력을 가지게 되므로 필연코 일정부분이 수면 아래로 잠수 되게 된다. 따라서 군도(群島)의 형상만을 물 위로 부상시키기를 원하는 경우나 또는 군도(群島)의 형상과 더불어 군도(群島)주변지역의 형상까지 물 위로 부상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300)의 결합갯수를 조절함으로써 모형물(200)의 부상의 정도를 인위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력체(300)는, 다수개의 균일한 단위체로 제작되므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운반 및 보관에 있어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 부력체는, 물보다 밀도가 작은 스틸로폼 재질의 판재(板材)로 된 부력체(미도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판재(板材)로 된 부력체(미도시)는 임의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형상에 대응되게 축소형성한 크고 작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판재(板材)로 된 부력체(미도시)는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에 적층 부착하여 모형물(200)에 부력을 받게 하며 수평을 유지하되 하부로 내려갈수록 작아 지도록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적층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견인선(400)은, 수조(100) 바닥면에 고정된 견인고리(120)와 상기 베이스판넬(300) 하면에 고정된 견인고리(223)의 수직거리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되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단부에는 후크(410)(410')를 결합한다.
상기 견인선(500)은, 상기 수조(100)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된 견인고리(120)와 상기 베이스판넬(300) 하면 중앙부에 볼트결합된 견인고리(223)를 수직거리로 견인함으로써 모형물(200)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 수조(100)내의 수면위를 임의로 부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견인선(400)은, 양단부에 후크(410)(410')를 결합한 섬유재, 합성수지재 또는 마(麻)재의 로프로 형성된다.
상기 견인선(400)은, 일단부에 후크를 형성한 스테인레스강 또는 녹방지 처리된 철재의 봉체나 파이프체의 타단부를 수조 바닥면 중앙부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우리나라 독도군도(獨島群島)를 축소 형상화한 모형물세트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M)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독도(獨島)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한 섬으로 울릉도에서 동남쪽 92km 부근에 동도와 서도를 포함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는 천연기념물 336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이상 네이버백과사전 풀이에서 인용함).
먼저, 투명재질로 된 적정 크기의 수조(100)를 준비하여 지구의 N극과 S극의 자기장의 방향에 일치되는 내면상부의 정북위치와 정남위치에 각각 수조(100)의 중심점을 넘지 않는 자력 세기를 가지는 N극과 S극의 영구자석(130)(130')을 부착하고, 바닥면 중앙부에는 견인고리(120)를 결합고정한 후 일정량의 물을 담수 한다.
다음, 독도(獨島)의 동도와 서도 등을 포함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대표섬들을 실측 축소형성 하기 위한 하부조형틀(211a)과 이에 대응되는 상부조형틀(211b)을 제작하고 이를 결합하여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모형체조형틀(211)을 제작하여 상기 모형체조형틀(211) 내부에 Sol상태의 우레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응고재를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 상기 상,하 모형체조형틀(211a)(211b)을 해체하여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모형체(210)를 형성한다.
다음, 원판형상의 판넬로 형성되되 상면은 평활면을 형성하고,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된 격자무늬의 교차지점에 홈(221)을 형성하고, 하면의 중앙부에는 견인고리(223)를 결합고정하고, 상기 수조(100)의 내벽에 부착된 영구자석(130)(130') 부착위치에 대응하여 정북방향 측부 일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224)을 부착하고 정남방향 측부 타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224')을 부착하여 베이스판넬(Base-Panel)(220)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재질이 연질인 경우에는 부력체(300)의 결합이 필요한 상기 각각의 홈(221)에 플라스틱 재질로 된 부력체끼움공(222)을 삽입하고 본드로 접착고정한다.
다음, 상기 모형체(210)를 바닥면 한두 군데에 약간의 접착제를 바른 후 상기 베이스판넬(Base-Panel)(220) 상부에 밀착접합시켜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모형물(200)의 형성을 완성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형성된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모형물(200)을 물이 담수된 상기 수조(100)에 띄우고 각 부분에 작용 되는 하중에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에 형성된 홈(221) 또는 상기 부력체끼움공(222)에 부력체(300)를 적절히 가감 끼움결합 하여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모형물(200)의 부상의 정도를 조절하며 수평을 유지한다.
다음, 상기 수조 바닥면의 견인고리(120)와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 중앙부의 견인고리(222)에 견인선(400) 양단의 후크(410)(410')를 걸어 견인함으로써 독도군도(獨島群島)의 군도(獨島群島)모형물세트(M)의 구성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넬(220)이 일정 길이를 갖는 임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모형물(200)을 상기 수조(100)내에서 독도군도(獨島群島)가 실제 위치하고 있는 방향과 일치시킨 후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가장 긴 양단부가 위치되는 내면상부에 각각 영구자석(130)(130')을 부착하고,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가장 긴 양단부의 측부에 각각 S극과 N극의 영구자석(224)(224')을 부착한다.
상기 베이스판넬(220)에 부착된 영구자석(224)(224')과 상기 수조(100) 내벽에 부착된 영구자석(130)(130')의 상호작용에 의해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모형물(200)은 독도군도(獨島群島)의 실제 위치하고 있는 일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우리나라 영토인 독도군도(獨島群島)에 대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선(500)에 의해 상기 수조(100)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된 견인고리(120)와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 중앙부에 볼트결합된 견인고리(223)를 수직거리로 견인함으로써 독도군도(獨島群島)의 모형물(200)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 수조(100)내의 수면위를 임의로 부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상기 수조(100), 모형물(200)인 모형체(210)와 베이스판넬(220), 부력체(300), 견인선(400)이 각각 분리 가능하고, 상기 모형체(210)는 우레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탄성력 있는 재질로 제작되므로 수축, 신장이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판넬(220)은 2~3개의 다수개로 일정방향으로 수직분할되어 경첩(226)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부력체(300)는 다수개의 균일한 단위체로 제작되어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므로 상기 군도(群島)모형물세트(M)는 운반, 설치 및 보관에 있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에서 예를 든 독도군도(獨島群島)모형물세트의 구성과 작용에 대한 예는 일반적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M)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인 군도(群島)모형물세트(M)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첨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크기의 대소 및 실외의 연못, 호소, 호수 등 수면위에 설치되는 군도(群島)의 모형물, 육지와 연접하여 구축되는 건축물의 모형물의 경우에 있어서도 본 특허청구범위와 상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되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M 군도(群島)모형물세트
100 수조 110 물 120 견인고리 130,130' 영구자석
200 모형물
210 모형체 211 모형체조형틀 211a 하부조형틀 211b 상부조형틀 212 응고재
220 베이스판넬(Base-Panel) 221 홈 222 부력체끼움공 223 견인고리
224,224' 영구자석 225,225' 돌출끼움부
300 부력체 310 끼움부 320 끼움홈
400 견인선 410,410' 후크

Claims (11)

  1. 일정량의 물(110)을 담수하되, 바닥면 중앙부에는 견인고리(120)가 결합고정되고, 개구부 정북방향의 내면상부 일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130)이 부착되고 개구부 정남방향의 내면상부 타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130')이 부착된 수조(100)와;
    모형체조형틀(211)에 우레탄, 에폭시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응고재를 주입하고 응고시킨 후 해체하여 제작되는 모형체(210), 상면에는 상기 모형체(210)가 밀착접합되고 하면에는 일정간격 격자형태의 교차지점에 홈(221)을 형성하고 하면의 중앙부에는 견인고리(223)가 결합고정되며 상기 수조(100) 내벽에 부착된 영구자석(130)(130') 부착위치에 대응하여 정북방향 측부 일지점에 S극의 영구자석(224)이 부착되고 정남방향 측부 타지점에 N극의 영구자석(224')이 부착되는 원판형상의 베이스판넬(Base-Panel)(220)로 구성되는 모형물(200)과;
    물보다 밀도가 작은 중공체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가벼운 재질로 된 직육면체, 정육면체, 구체(球體) 또는 유니크한 형상의 균일한 단위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 중앙부에는 끼움부(310)를 돌출 형성하고 하면 중앙부에는 끼움홈(320)이 형성된 다수개의 부력체(300)와;
    상기 수조(100)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된 견인고리(120)와 상기 모형물(200)의 베이스판넬(220) 하면 중앙부에 결합고정된 견인고리(223)를 걸어 견인할 수 있도록 양단에 후크(410)(410')를 결합고정한 견인선(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물(200)의 베이스판넬(220)이 일정 길이를 갖는 임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130)(130'),(224)(224')은, 상기 모형물(200)을 상기 수조(100)내에서 군도(群島)의 실제 위치하고 있는 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가장 긴 양단부가 위치되는 상기 수조(100) 내면상부에 각각 N극, S극의 영구자석(130)(130')이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가장 긴 양단부의 측부에 각각 S극과 N극의 영구자석(224)(224')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에 부착되는 영구자석(130)(130')의 자력의 세기는 상기 수조(100)의 중심점을 넘지 않는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홈(221)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부력체끼움공(222)이 삽입되어 접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된 격자무늬의 교차지점에 플라스틱 재질로 된 돌출끼움부(225)(225')를 접착 또는 결합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넬(220)은, 운반, 보관이 용이하도록 어느 일 방향으로 2~3개로 직선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300) 가로 단면의 가로, 세로 최대폭 또는 구체(球體)인 경우의 직경은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에 형성된 격자무늬 폭의 1/2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300)는, 물보다 밀도가 작은 스틸로폼 재질의 판재(板材)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크기의 임의형상으로 축소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에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적층 부착함으로써 상기 모형물(200)이 부력을 받으며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선(400)은, 수조(100) 바닥면에 고정된 견인고리(120)와 상기 베이스판넬(220) 하면에 고정된 견인고리(223)의 수직거리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선(400)은, 일단부에 후크를 형성한 철재의 봉체나 파이프체의 타단부를 수조 바닥면 중앙부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체(210)는, 돌, 나무, 석고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넬(220)의 상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도(群島)모형물세트

KR1020120101527A 2012-09-13 2012-09-13 군도(群島)모형물세트 KR10126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527A KR101268673B1 (ko) 2012-09-13 2012-09-13 군도(群島)모형물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527A KR101268673B1 (ko) 2012-09-13 2012-09-13 군도(群島)모형물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673B1 true KR101268673B1 (ko) 2013-05-29

Family

ID=4866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527A KR101268673B1 (ko) 2012-09-13 2012-09-13 군도(群島)모형물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6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492B1 (ko) * 2013-10-04 2014-03-17 (주)강남디자인모형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KR101508466B1 (ko) 2014-08-11 2015-04-07 (주)강남디자인모형 물의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
CN113247317A (zh) * 2021-04-20 2021-08-13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地球环境下模拟火星表面形态的方法
CN117419943A (zh) * 2023-12-19 2024-01-19 武汉理工大学三亚科教创新园 一种海洋地下空间模型试验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281Y1 (ko) 2000-10-21 2001-04-02 지경섭 화산 폭발 재현 모형물
JP2011102954A (ja) 2009-11-11 2011-05-26 Meiou Co Ltd 山岳地形などのペーパーモデルの形成方法
KR101176558B1 (ko) 2010-05-24 2012-08-23 (주)모래알디자인 지도정보 투명입체필름을 겸비한 정밀 지형축소모형 세트와 그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281Y1 (ko) 2000-10-21 2001-04-02 지경섭 화산 폭발 재현 모형물
JP2011102954A (ja) 2009-11-11 2011-05-26 Meiou Co Ltd 山岳地形などのペーパーモデルの形成方法
KR101176558B1 (ko) 2010-05-24 2012-08-23 (주)모래알디자인 지도정보 투명입체필름을 겸비한 정밀 지형축소모형 세트와 그의 제작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492B1 (ko) * 2013-10-04 2014-03-17 (주)강남디자인모형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KR101508466B1 (ko) 2014-08-11 2015-04-07 (주)강남디자인모형 물의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
CN113247317A (zh) * 2021-04-20 2021-08-13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地球环境下模拟火星表面形态的方法
CN117419943A (zh) * 2023-12-19 2024-01-19 武汉理工大学三亚科教创新园 一种海洋地下空间模型试验装置及方法
CN117419943B (zh) * 2023-12-19 2024-04-05 武汉理工大学三亚科教创新园 一种海洋地下空间模型试验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673B1 (ko) 군도(群島)모형물세트
CN101992841B (zh) 海上浮岛及其可分拆使用的附属设施吊桥、板房
WO2020042456A1 (zh) 一种生态友好型人工拟态珊瑚礁体
CN203294295U (zh) 一种水上漂浮平台
CN201869614U (zh) 一种水生植物悬浮种植装置
CN106577432A (zh) 一种海洋森林牧场
KR101817205B1 (ko) 해중림 조성용 부유식 인공어초 시스템
CN206284122U (zh) 一种海洋森林牧场
KR101375492B1 (ko)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KR101342069B1 (ko)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CN203976483U (zh) 一种以epe为制作材料的新型生态浮床
CN201411709Y (zh) 海洋景观球状观察舱
CN207302472U (zh) 一种乡村多塘湿地系统模型
CN102071819A (zh) 深水悬浮安全游泳场
CN207608398U (zh) 一种人工生态浮岛
JPH0255011B2 (ko)
CN209686326U (zh) 一种人工景观河道
JPH08112048A (ja) 珊瑚礁及びその造成法
CN201981808U (zh) 深水悬浮安全游泳场
Nagel Building on Water: Studying the Effects of Buoyancy on Architectural Forms
CN209386104U (zh) 冰下彩灯
MM Naguib et al. Exploring the applications of bio-eco architecture for sustainabl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KR20110055359A (ko) 부유식 해양 전시관
CN218308864U (zh) 一种漂浮式喷泉结构
CN208617488U (zh) 一种水生景观植物的景观生态浮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