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359A - 부유식 해양 전시관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 전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359A
KR20110055359A KR1020100076186A KR20100076186A KR20110055359A KR 20110055359 A KR20110055359 A KR 20110055359A KR 1020100076186 A KR1020100076186 A KR 1020100076186A KR 20100076186 A KR20100076186 A KR 20100076186A KR 20110055359 A KR20110055359 A KR 20110055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oating
marine
cage
exhibition h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명정구
강돈혁
오승용
박용주
김정협
김종관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5359A/ko
Publication of KR20110055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wimming p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1/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producing fresh water, e.g. by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sea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2Floating swimming p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 B63B2231/48Synthetic rubber, e.g. silicone rubber, Neoprene, 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 전시관에 관한 것으로, 관람자가 관람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식물을 조성하는 식물 조성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본체가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유장치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대상 생물를 가둬 기르는 가두리 설비와, 상기 본체의 외곽에 연결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해양 동식물을 전시하는 전시관, 해양 동식물을 체험하는 체험관, 숙박시설 또는 식당으로 사용되는 부스로 구성되어, 바다 위에 직접 부유식으로 전시관을 설치하고 해양 산업과 생산활동을 전시관에 그대로 재현하여 관람자에게 해양이나 수산의 개념을 쉽게 이해시키기 쉽고 관람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해양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 전시관{FLOATING SEA PAVILION}
본 발명은 바다에 띄워 놓고 해상공원, 해상 야외 공연장, 해양생물 전시, 해양목장, 다양한 해양체험 등을 할 수 있는 다목적 부유식 해양 전시관에 관한 것이다.
해양 전시관은 대개의 경우 육지에 건축물을 지은 후 건축물 내부에 각종 해양 생물 및 수중 문화재 등을 전시하여 관람자가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수족관을 만들어 수중 생물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양 전시관은 육지에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눈으로 보거나 해양생물을 만져보는 수준에 그쳐 해양에 대한 관람자의 호기심이 떨어지고 흥미를 잃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와 관광활동의 다양화로 바다를 찾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시관 관람이나 어촌체험활동을 즐기려는 관광수요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를 수용할 만한 다양한 볼거리 제공을 갖추지 못한 실정에 이르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많은 국민들이 바다를 최대의 휴양지로 생각하고 있지만, 이름난 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낙후되어 있어,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해안가 마을들이 바다를 이용해서 수익을 얻는 것은 양식 혹은 어로활동을 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해상 부유물을 이용한 휴양시설은 해안가 어촌에 새로운 수익원으로 작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상부유물을 이용한 휴양 등의 기술은 해양(바다)를 관광자원화로 삼고 있는 다른 국가들에게 기술력 판매를 통한 국가 수익원도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해안가 어촌에 해상 부유식 해양 전시관을 제공할 경우 종합 해상공원으로 수산생산 활동, 기후변화, 해양레포츠, 공연장, 위락시설 등 다양한 휴식공간을 제공함으로 국민들에게는 해양(바다)에 관한 친근함을 지자체들에게는 새로운 수익원으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해양관련 사업을 일반인들에게 홍보하고자 할 때 육지에 있는 해양 전시관을 이용할 경우 단순히 수족관에서 바다생물을 보는 정도에 그쳐 바다에 대한 이해나 홍보의 효과가 떨어진다. 하지만 본 해상부유시설을 이용한 전시활동은 직접 해양(바다) 위에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으므로, 육상에서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다 위에 직접 부유식으로 전시관을 설치하고 해양 산업활동을 전시관에 그대로 재현하여 관람자에게 바다의 개념을 이해시키기 쉽고 관람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해양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부유식 해양 전시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람자가 바다 위에서 직접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어 현장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부유식 해양 전시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관람자가 관람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식물을 조성하는 식물 조성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본체가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유장치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대상 생물을 가둬 기르는 가두리 설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해수 수영장과, 상기 본체의 외곽에 연결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해양 동식물을 전시하는 전시관, 해양 동식물을 체험하는 체험관, 공연장, 레져 시설이나 숙박시설 또는 식당으로 사용되는 형태는 구형, 각형,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사용되는 부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유식 해양 전시관은 바다 위에 떠 있는 상태의 해양 부유시설물 형태이므로 도시에서 찾기 힘든 어촌문화와 수상 경관 등은 도시민에게 새로운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바다 위에서 직접 각종 해양 체험 및 관람을 할 수 있어 그 지역(내륙의 호소, 강 등이 포함된 지역)의 해양관광, 휴양시설, 해양산업에 있어 관광자원의 부가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양 전시관에 가두리 설비를 설치하여 관람자에게 해양목장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지식에 관한 개념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해양생물을 관람하거나 대상생물에게 먹이주기 등을 통한 가족형 체험 관광을 통해 해양에 대한 일반인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해양 전시관은 바다에 떠 있는 형태이므로 다양한 휴식공간을 구비하여 바다 위에서 휴양을 취할 수 있는 휴양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지역의 자연적 문화적 장점을 살리고 이 시설을 지역별 발전계획과 연계하여 해양(바다) 및 강, 호소 등을 이용한 선잔국형 해양친수문화공간 조성으로 그 지역경제에 새로운 수익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심미적 효과와 주변 경관을 가꾸는 부유시설 기술, 해양생태계의 다양성 보전 및 전시공간으로 인간과 조화롭게 공존하는 해양공간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해양전시 기술력 및 시설 판매를 통한 새로운 국익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세계적으로 해양(바다)을 관광자원으로 이용하는 국가에 친환경적인 관광자원화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세계적으로도 먼저 이런 기술을 선점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전시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전시관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전시관의 부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두리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수영장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전시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전시관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전시관은 전체 전시관의 베이스가 되는 본체(10)와, 본체(10)가 바다에 뜰 수 있도록 본체(10)에 설치되는 부유장치(30)와, 본체(10)에 설치되어 관람자들에게 해양목장의 개념을 이해시키는 가두리 설비(50)과, 본체(10)에 연결되어 각종 해양생물을 전시하는 전시시설, 식당 또는 숙박시설로 사용될 수 있는 부스(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바다 위에 떠 있는 상태로 배치되고, 그 중앙에는 가두리 설비(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개구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면에는 관람자가 관람하기 위해 지나다니는 통로(14,16)가 형성되고, 통로(14,16)의 양쪽에는 관람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난간대(18)가 설치된다.
본체(10)는 중앙이 개구된 원형, 타원형, 트랙형, 다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통로(14,16)는 본체(10)의 가장자리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순환통로(14)와, 순환통로(14)에 연결되고 가두리 설비(50)을 통과하여 가두리 설비(50)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가두리 산책로(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에는 식물을 조성하여 육지에서 보면 대형 인공섬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조성부(20)가 구비된다. 이 식물 조성부(20)는 순환통로(14) 외곽에 설치되어 관람자가 순환통로(14)를 따라 이동하면서 식물 조성부(20)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식물 조성부(20)에는 갈대숲을 조성할 수 있고, 섬 등에 주로 서식하는 다양한 식물을 조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 조성부(20)의 일측에는 갯벌 생물 및 갯벌 식물이 서식하도록 인공 갯벌을 조성하여 관람자가 갯벌 동식물을 관찰함과 아울러 갯벌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갯벌 조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식물 조성부(20)에 식물을 조성할 경우에는 담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본체(10)에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담수화 장치(92)를 구비하여 식물 조성부(20)에 사용하고, 식수 등 전시관에 필요한 담수를 충당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0)에는 전시관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 발생장치(90)가 구비된다. 친환경 에너지 발생장치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 전지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고, 해양에서 부는 바람을 이용할 수 있는 풍력 발전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고, 해저에 설치하여 조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조류 발전 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발생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부유장치(30)는 일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는 내부가 비여 있는 파이프(32)와, 파이프 내부에 충진되는 우레탄 폼(3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부유장치(30)는 파이프의 내부에 우체탄 폼을 충진하므로 부유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 중 파이프가 손상되더라도 부유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파이프는 PE(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어 가볍고 성형이 쉬우며, 강도가 강하다.
그리고, 부유장치의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부력재(40)를 사용할 수 있다. 콘트리트 부력재(40)는 콘크리트 구조물(42) 내부에 우레탄 폼(44)을 채운 거푸집 형태로 형성되어 수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부상되고,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각종 설비 및 시설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부유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에 전시관을 조성할 수 있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형태도 적용이 가능하다.
가두리 설비(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중앙 개구부(12)에 배치되어 본체(10)의 개구부(12)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52)와, 이 지지대(52)의 하측에 연결되어 본체(10)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되어 대상 생물들을 가둬두는 가두리 망(54)과, 부유체로서 물 위에 떠 있고 지지대에 연결되어 선박이 정박하거나 파도에 의해 가두리 설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하는 완충부재(56)와, 이 완충부재(56)에 와이어(58)로 연결되고 해저에 가라앉아 가두리 설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중량체(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두리 설비(50)는 본체(10)에 연결되고 본체(10)의 개구부(12)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가두리 설비(50)의 형태는 대상 생물들의 행동이나 생리조건을 고려하여 제작되고, 가두리 망은 가볍고도 강하면서 부식과 기후변화에 강한 재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중앙 개구부(12)에 가두리 설비(50)이 설치되므로 관람자가 가두리 산책로(16)에서 대상 생물을 관람할 수 있고, 대상 생물에 먹이를 주는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대상 생물을 낚시로 낚거나 뜰채를 이용하여 잡는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다.
전시관에 가두리 설비(50)가 구비되므로 관람자가 바다목장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고, 해양에 대한 관심을 깊게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어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가두리 설비(50)의 일측에는 관람자가 수영을 즐길 수 있는 해수 수영장(80)이 마련된다.
해수 수영장(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수영장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프레임(82)과, 상기 프레임(82)의 측면에 고정되는 안전망(84)과, 상기 프레임(82)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영장 내부를 일정 수심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8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프레임(82)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82a)과,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82b)과, 상기 프레임(82a)과 하부 프레임(82b)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8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82a)에는 해수 수영장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8)가 구비된다. 고정부재(88)는 고리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에 해수 수영장을 구비하여 바다 한가운데에서 수영을 즐길 수 있어 휴양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부스(70)는 본체(10)의 외곽을 따라 다수 개로 배치되며, 본체(10)와 연결통로(72)로 연결된다. 그리고, 부스는 돔 형태의 구조물로서 지붕이 있는 형태이고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여 다양한 해양생물을 전시하는 전시시설, 숙박시설 또는 식당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부스(70)는 자체 부유 장치가 구비되어 물 위에 뜬 상태로 배치된다. 부스(70)의 부유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부유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전시관은 바다 위에 떠 있는 상태의 해양 부유시설물 형태이므로 관람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바다 위에서 직접 각종 해양 체험 및 관람을 할 수 있어 해양산업의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해양 전시관에 가두리 설비을 설치하여 관람자에게 해양목장의 개념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고, 대상 생물에 먹이주는 체험이나 대상 생물를 낚시로 낚는 체험을 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해양 전시관이 바다에 떠 있는 형태이고, 다양한 휴식공간을 구비하여 바다 위에서 휴양을 취할 수 있는 휴양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개구부
14: 순환통로 16: 가두리 산책로
18: 안전 난간대 20: 식물 조성부
30: 부유장치 32: 파이프
34: 우레탄 폼 40: 콘크리트 부력재
42: 콘크리트 구조물 44: 우레탄 폼
50: 가두리 설비 52: 지지대
54: 가두리 망 56: 완충부재
60: 중량체 70: 부스
80: 해수 수영장 82: 프레임
84: 안전망 86: 지지대
88: 고정부재
90: 친환경 에너지 발생장치 92: 담수화 장치

Claims (9)

  1. 관람자가 관람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식물을 조성하는 식물 조성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본체가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유장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대상 생물를 가둬 기르는 가두리 설비;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해수라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해수 수영장; 및
    상기 본체의 외곽에 연결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해양 동식물을 전시하는 전시관, 해양 동식물을 체험하는 체험관, 공연장, 레져 시설이나 숙박시설 또는 식당으로 사용되는 형태는 구형, 각형,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사용되는 부스를 포함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배가 정박할 수 있는 정박시설이나, 육지와 연결되는 부장교가 설치되고, 원형, 타원형, 트랙형,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가두리 설비가 설치되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통로는 본체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순환통로와, 상기 가두리 설비 위를 통과하여 순환통로에 연결되는 가두리 산책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조성부는 상기 본체의 순환통로 외곽에 형성되어 갈대숲이나 육생 및 해양식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순환통로 외곽에 구비되어 갯벌 동식물이 서식하도록 인공 갯벌을 조성하는 갯벌 조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담수를 만들기 위한 담수화 장치와, 상기 전시관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친환경 에너지 발생장치와, 친환경 폐기물/오수 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내부가 비여 있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내부에 충진되는 우레탄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장치는 콘크리트 내부에 우레탄폼을 채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 설비은 상기 본체의 중앙 개구부에 배치되어 본체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어 본체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되어 대상 생물들을 가둬두는 가두리 망과,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물 위에 떠 있도록 부유체로 형성되어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에 와이어나 로프로 연결되고 물속에 가라앉아 가두리 설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수영장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수영장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안전망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영장 내부를 일정 수심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부유형 해양 전시관.
KR1020100076186A 2010-08-09 2010-08-09 부유식 해양 전시관 KR20110055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86A KR20110055359A (ko) 2010-08-09 2010-08-09 부유식 해양 전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86A KR20110055359A (ko) 2010-08-09 2010-08-09 부유식 해양 전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359A true KR20110055359A (ko) 2011-05-25

Family

ID=4436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186A KR20110055359A (ko) 2010-08-09 2010-08-09 부유식 해양 전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53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5673A (zh) * 2020-05-22 2020-09-01 招商局海洋装备研究院有限公司 大型海上浮岛
CN113120183A (zh) * 2021-04-28 2021-07-16 成都方大远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屋水上平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5673A (zh) * 2020-05-22 2020-09-01 招商局海洋装备研究院有限公司 大型海上浮岛
CN113120183A (zh) * 2021-04-28 2021-07-16 成都方大远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屋水上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449B2 (en) Man-made island resort complex with surface and underwater entertainment, educational and lodging facilities
KR102347116B1 (ko) 해상풍력 발전 단지를 활용한 모듈식 생태통합 양식 시스템
Martins et al. Promoting tourism businesses for “Salgado de Aveiro” rehabilitation
Sakellariadou The concept of marine ecotourism: Case study in a Mediterranean Island
KR101208489B1 (ko) 수상 산책로
KR20110055359A (ko) 부유식 해양 전시관
JP2022538887A (ja) モジュール式浮遊領域
WO2007027170A1 (en) Man-made island resort complex with surface and underwater entertainment, educational and lodging facilities
Effendi et al. Identification of marine ecotourism objects on Pulau Jemur, Riau Province, Indonesia
CN106516028A (zh) 一种多功能海上浮岛
KR102217739B1 (ko) 풍력 발전 지원 시설 및 해상 풍력 복합 단지
KR20220166495A (ko) 해양 도시
Mohamad et al.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for self-sustainable offshore mariculture: The conceptual design
Zhong Floating Archipelago: Marine Park of Auckland
CN220301251U (zh) 沙滩生态装置
Mohd Zamani et al. Liveability Elements On Current Concepts Of Megafloat–A Review
CN202645059U (zh) 一种游泳馆
Beatley City seascapes: The prospect of Ocean Cities
RU69091U1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островной комплекс "остров федерация"
Asmal IMPROVING THE LAE-LAE ISLAND ENVIRONMENT AND SETTLEMENT QUALITY AS A MARINE TOURISM DESTINATION IN MAKASSAR CITY
SIMOVIC et al. Activation of a Waterfront through Implementation of Floating Architecture
KR200381967Y1 (ko) 레저용 선박형 인공어초
Frith Breaking the horizon
JPH04129895A (ja) フロート装置
Martinsa et al. Journal of Outdoor Recreation and Tour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