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492B1 -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492B1
KR101375492B1 KR1020130118837A KR20130118837A KR101375492B1 KR 101375492 B1 KR101375492 B1 KR 101375492B1 KR 1020130118837 A KR1020130118837 A KR 1020130118837A KR 20130118837 A KR20130118837 A KR 20130118837A KR 101375492 B1 KR101375492 B1 KR 101375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eabed
dokdo
filler
topograph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성
Original Assignee
(주)강남디자인모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남디자인모형 filed Critical (주)강남디자인모형
Priority to KR102013011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4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6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surveying; for geography, e.g. relief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1Geograph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도에 대한 지형과 해저속 생태계를 쉽게 관찰 이해할 수 있도록 한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은, 독도 지형도에 따라 고도별 등고선의 윤곽을 갖도록 몰드 소재를 레이져 컷팅 장비를 사용해 절단하여 지상측 및 해저측 지형콘타를 제작한 후 사각 고정틀에 등고의 역방향으로 적층 접착하여 지형 몰드를 제작하되, 지상과 해저의 경계면에 해수면 투시창을 설치한 후 지상부분과 해저부분의 빈 공간에 이형제를 바르고 지상측 충진제와 해저측 충진제를 각기 충진 경화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사각 고정틀, 지상측 지형콘타 및 해저측 지형콘타를 분리한 후 경화된 지상측 충진제와 해저측 충진제의 표면에 표면 충진제를 메우고 경화시킨 후 조각하고 유성페인트로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Dokdo model manufacturing method for submarine topology observation}
본 발명은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도에 대한 지형과 해저속 생태계를 쉽게 관찰 이해할 수 있도록 한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도(獨島)는 동해의 남서부, 울릉도와 오키 제도 사이에 있는 섬으로 동도와 서도를 포함한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독도의 동도는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에 자리잡고 있고, 서도는 동경 131도 51분 54.6초, 북위 37도 14분 30.6초에 위치해 있다. 이 섬은 현재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이 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영토 분쟁 지역으로 남아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52년 당시 이승만 전 대통령이 평화선을 선포하여 일본에 대해 강경하게 맞선 경우를 제외하고는 독도 문제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조용한 외교'정책을 취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 섬을 대한민국이 불법으로 점거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이 이 섬을 일본에 반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독도는 최근에 메탄 하이드레이트라는 매장 자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있으며,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해양 환경으로 동식물 플랑크톤이 다양 풍부하여 중요한 어장으로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독도에는 실효지배를 위해 선착장, 헬기장, 통신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경비초소를 두어 외세의 침입에 대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독도를 수호하기 위하여 특별한 희생을 한 독도의용수비대의 대원과 유족 등에 대하여 국가가 응분의 예우와 지원을 함으로써 그 명예를 선양하고 국민의 애국정신 함양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독도의용수비대 지원법이 시행되고 있다.
한편, 일본은 1905년 2월 22일 독도를 영토권 조기 확립의 목표로 일본 제국 시마네 현으로 편입 고시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 이 날을 '다케시마의 날'로 선포하여 필요한 시책들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국민은 독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독도 모형을 통해 그 지형과 해저속 생태계를 쉽게 관찰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44964호로서, 인공 독도 구조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강(江)이나 저수지(貯水池) 또는 유수지(遊水池) 등의 하천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형성되는 기초 구조물과, 상기 기초 구조물의 상부에 뼈대를 형성하며 내부에 독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시공간이 확보되게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FRP 또는 현무암 등의 다양한 장식재를 이용하여 독도의 외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유수지나 저수지 또는 강 등과 같은 하천에 설치되는 것으로 독도 지형을 정밀한 모형으로 제작하기가 어렵고, 해저속 생태계를 쉽게 구현하기가 어렵다.
한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393601호(독도 화분)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45261호(독도 모형물 제조방법)
본 발명은 독도에 대한 지형과 해저속 생태계를 쉽게 관찰 이해할 수 있도록 한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은,
독도 지형도에 따라 고도별 등고선의 윤곽을 갖도록 몰드 소재를 레이져 컷팅 장비를 사용해 절단하여 지상측 및 해저측 지형콘타를 제작한 후 사각 고정틀에 등고의 역방향으로 적층 접착하여 지형 몰드를 제작하되, 지상과 해저의 경계면에 해수면 투시창을 설치한 후 지상부분과 해저부분의 빈 공간에 이형제를 바르고 지상측 충진제와 해저측 충진제를 각기 충진 경화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사각 고정틀, 지상측 지형콘타 및 해저측 지형콘타를 분리한 후 경화된 지상측 충진제와 해저측 충진제의 표면에 표면 충진제를 메우고 경화시킨 후 조각하고 유성페인트로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차로 독도의 지상부분까지만 적층한 후 완성된 지형 몰드에 탈착형 이형제를 도포 후 지상측 충진제를 충진하고;
2차로 파란색을 갖는 투명한 해수면 투시창을 지상측 충진제에 밀착 접합시키고;
3차로 해저부분의 해저측 지형콘타를 역콘타로 적층, 접착하고 이형제를 바른 후 해저측 충진제를 완성된 몰드에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수면 투시창의 측면에 독도 바다속 해저 지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저관찰용 측면 투시창을 더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상측 및 해저측 지형콘타의 몰드 소재는 발포 스티로폼, 폼보드, 아이소핑크, 우드락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에 따르면, 독도의 실제 지형을 축소시켜 재현한 실사에 가까운 정밀모형으로서 독도의 영유권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으며 독도지역에 대한 지형과 해저 자연, 생태계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교육적으로 유익한 발명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독도 모형의 제작 단계 중 지상측 및 해저측 지형콘타와 사각 고정틀을 분리하지 직전의 완성된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작된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제작 공정도.
도 3은 및 도 4는 도 1의 제작 과정 후의 순차적인 제작 공정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등고선 지형 몰드 제작 및 충진제 충진
먼저, 국토지리원에서 제공되는 1/700 지형도 또는 1/1000 지형도를 편집하여 해발고도별 등고선을 갖도록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지상측 및 해저측 지형콘타(2,5)를 제작한다. 이는 레이져 컷팅 장비로 몰드 소재를 정확하게 컷팅, 절단하여 제작된다. 지상측 및 해저측 지형콘타(2,5)의 몰드 소재는 본 실시 예에서 우드락을 사용하였으나 발포 스티로폼, 폼보드, 아이소핑크(압축발포 폴리스틸렌)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사각 고정틀(1)에 절단된 지상측 지형콘타(2)를 등고별로 역콘타(거꾸로 쌓는 형태)로 적층, 접착하여 등고선을 갖는 지형 몰드를 제작한다.
그 제작 순서를 살펴보면 독도의 지상부분까지만 적층한 후 완성된 지상측 지형콘타(2)의 몰드에 탈착형 이형제를 도포 후 지상측 충진제(3)를 충진한다. 그 다음, 도 2(나)와 같이 파란색을 갖는 투명한 5mm 두께의 해수면 투시창(4)을 지상측 충진제(3)에 밀착,접합 적층하여 투과성이 있는 해수면을 형성시킨다. 해수면 투시창(4)은 유리나 아크릴판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손의 염려가 적은 아크릴판이 좋다.
이어서, 도 2(다)와 같이 해저부분의 해저측 지형콘타(5)를 역콘타(거꾸로 쌓는 형태)로 적층, 접착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형제를 바른 후 도 2(라)와 같이 해저측 충진제(6)를 완성된 해저부분의 몰드측 빈 공간에 충진하여 완전히 경화시킨다.
여기서, 지상측 충진제(3)와 해저측 충진제(6)는 레진 또는 석고가 될 수 있다.
몰드에서 충진제 분리 및 도색
다음, 도 1 b와 같이 완전히 경화된 모형물에서 상기 모형틀 즉, 사각 고정틀(1), 지상측 지형콘타(2) 및 해저측 지형콘타(5)를 분리해 낸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독도 지형을 이루는 지상측 충진제(3)와 해저측 충진제(6) 그리고 해수면 투시창(4)이 얻어진다.
그 다음, 지상측 충진제(3)와 해저측 충진제(6)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성형된 독도의 콘타선(등고선)을 따라 지형 그대로 표면 충진제(7)(레진 또는 석고)를 메워 채우고 완전히 경화시킨 후 조각하고 에나멜 락카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색하여 완성한다.
해저관찰용 측면 투시창 설치
끝으로 도 4와 같이 파란색으로 투명한 5mm 두께의 해저관찰용 투시창(9)을 설치한다. 이는 해수면 투시창(4)을 따라 모형의 옆면에 접착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모형의 옆면에서도 마치 바다속 해저지형을 관찰하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해저관찰용 투시창(9)은 바람직하게 아크릴판으로 제작된다.
이같이 완성된 모형은 해저관찰용 투시창(9)을 통해 해저지형(8)을 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초, 동식물을 해저지형(8)에 삽입하면 바다속 자연생태계를 관찰 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사각 고정틀
2: 지상측 지형콘타
3: 지상층 충진제
5: 해저측 지형콘타
6: 해저측 충진제
7: 표면 충진제
9: 해저관찰용 측면 투시창

Claims (5)

  1. 독도 지형도에 따라 고도별 등고선의 윤곽을 갖도록 몰드 소재를 레이져 컷팅 장비를 사용해 절단하여 지상측 및 해저측 지형콘타(2,5)를 제작한 후 사각 고정틀(1)에 등고의 역방향으로 적층 접착하여 지형 몰드를 제작하되, 지상과 해저의 경계면에 해수면 투시창(4)을 설치한 후 지상부분과 해저부분의 빈 공간에 이형제를 바르고 지상측 충진제(3)와 해저측 충진제(6)를 각기 충진 경화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사각 고정틀(1), 지상측 지형콘타(2) 및 해저측 지형콘타(5)를 분리한 후 경화된 지상측 충진제(3)와 해저측 충진제(6)의 표면에 표면 충진제(7)를 메우고 경화시킨 후 조각하고 유성페인트로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1차로 독도의 지상부분까지만 적층한 후 완성된 지형 몰드에 탈착형 이형제를 도포 후 지상측 충진제(3)를 충진하고;
    2차로 파란색을 갖는 투명한 해수면 투시창(4)을 지상측 충진제(3)에 밀착 접합시키고;
    3차로 해저부분의 해저측 지형콘타(5)를 역콘타(거꾸로 쌓는 형태)로 적층, 접착하고 이형제를 바른 후 해저측 충진제(6)를 완성된 몰드에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면 투시창(4)의 측면에 독도 바다속 해저 지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저관찰용 측면 투시창(9)을 더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지상측 및 해저측 지형콘타(2,5)의 몰드 소재는 발포 스티로폼, 폼보드, 아이소핑크(압축발포 폴리스틸렌), 우드락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5. 삭제
KR1020130118837A 2013-10-04 2013-10-04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Active KR101375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37A KR101375492B1 (ko) 2013-10-04 2013-10-04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37A KR101375492B1 (ko) 2013-10-04 2013-10-04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492B1 true KR101375492B1 (ko) 2014-03-17

Family

ID=5064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837A Active KR101375492B1 (ko) 2013-10-04 2013-10-04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4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466B1 (ko) * 2014-08-11 2015-04-07 (주)강남디자인모형 물의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
CN106935127A (zh) * 2017-05-04 2017-07-07 马洪星 九曲黄河之水来去模型
CN107067948A (zh) * 2017-05-04 2017-08-18 马洪星 万里长江之水来去模型
JP7062831B1 (ja) * 2021-12-16 2022-05-06 誠三 杉本 地形模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17A (ko) * 2006-10-24 2008-04-29 (주)한국해양과학기술 해저 지형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1268673B1 (ko) * 2012-09-13 2013-05-29 최종찬 군도(群島)모형물세트
KR101304671B1 (ko) * 2012-06-13 2013-09-06 (주)씨테크알엔디 수리 실험용 수조의 해저지형 재현장치
KR101342069B1 (ko) * 2012-07-23 2013-12-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17A (ko) * 2006-10-24 2008-04-29 (주)한국해양과학기술 해저 지형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1304671B1 (ko) * 2012-06-13 2013-09-06 (주)씨테크알엔디 수리 실험용 수조의 해저지형 재현장치
KR101342069B1 (ko) * 2012-07-23 2013-12-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KR101268673B1 (ko) * 2012-09-13 2013-05-29 최종찬 군도(群島)모형물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466B1 (ko) * 2014-08-11 2015-04-07 (주)강남디자인모형 물의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
CN106935127A (zh) * 2017-05-04 2017-07-07 马洪星 九曲黄河之水来去模型
CN107067948A (zh) * 2017-05-04 2017-08-18 马洪星 万里长江之水来去模型
JP7062831B1 (ja) * 2021-12-16 2022-05-06 誠三 杉本 地形模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492B1 (ko)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RU2592956C2 (ru) Подводное пла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42069B1 (ko)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KR101268673B1 (ko) 군도(群島)모형물세트
DE60106642D1 (de) Nahtloses model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ahtlosen modells
JP5361829B2 (ja) 立体剥ぎ取り標本の作製方法
KR101707621B1 (ko) 완성도가 높고 비용이 절감되는 콘크리트 조형물의 제조방법
TWM647902U (zh) 預鑄式面盆
CN100581843C (zh) 一种大型假山岩石的制造技术
GB2176399A (en) Foam filled plant po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508466B1 (ko) 물의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
KR101229767B1 (ko) 완전방수 납골탑
TWI867612B (zh) 預鑄式面盆及其製造方法
CN210634193U (zh) 一种板件
CN103758007A (zh) 钱眼橡胶护树砖
CN204199314U (zh) 一种用于海工建筑的装配式沉箱
RU100758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накрывной элемент
JP2021058371A (ja) 墓石型置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40288A (zh) 适用于景观水体的漂浮湿地建造方法
TWM463261U (zh) 生態環保透水鋪面導盲磚構造
CN208372478U (zh) 一种玩具积木基座
CN200939792Y (zh) 动物模型画的工艺品
CN205444778U (zh) 一种软瓷砖模块
KR20040007848A (ko) 입체지도 제작방법
JP2005087119A (ja) 藻場造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