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069B1 -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 Google Patents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2069B1 KR101342069B1 KR1020120080158A KR20120080158A KR101342069B1 KR 101342069 B1 KR101342069 B1 KR 101342069B1 KR 1020120080158 A KR1020120080158 A KR 1020120080158A KR 20120080158 A KR20120080158 A KR 20120080158A KR 101342069 B1 KR101342069 B1 KR 101342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kdo
- seabed
- land
- topography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6—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surveying; for geography, e.g. relief mode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1—Geograph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은,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독도 육상지형의 항공라이다 고도 자료 및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한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얻어진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의 영상자료와, 독도의 육상 지질과 암상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자료를 토대로 독도의 육상 지형들을 각각 성형하는 단계; b) 독도 육상지형의 항공라이다 고도 자료 및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한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얻어진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의 영상자료와, 독도 주변 해저지질의 사진을 포함한 자료를 토대로 독도의 해저지형을 성형하되, 상기 육상 지형들이 안착될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해저지형을 성형하는 단계; c) 완성된 육상 지형들과 해저지형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기초 성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기초 성형틀에 합성수지를 바르고 유리섬유를 붙여 경화시킨 후 성형틀을 제거하여 육상 지형들의 모형물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들을 얻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육상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들을 채색하고 장식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토대로 채색하고 장식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완성된 해저지형의 상면에 해수면을 표현하기 위한 투명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f) 상기 투명판의 상면에 육상 모형물들을 설치하되, 해저지질이 표현되지 않은 각각의 위치에 육상 모형물들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특성조사와 같은 과학적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독도와 독도 주변 해저지형에 대한 환경을 입체적,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도 환경특성조사와 같은 과학적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독도와 독도 주변 해역에 대한 환경을 입체적,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독도의 육상 지형과 지질, 해저 지형을 통합한 입체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에 관한 것이다.
독도는 대한민국 최동단에 위치한 섬으로 육지로부터 최단거리가 약 216.8km(울진 죽변-독도) 떨어진 동해의 중심에 있다. 독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2005년 독도의 입도 절차가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뀜에 따라 독도를 방문하는 방문객이 2008년 13만여 명에 달할 정도로 급증하였다. 그러나 독도의 지리적인 위치와 기상 등의 영향으로 독도를 실제 방문하여 체험하는 것이 상당히 제약적인 것이 현실이다. 또한, 최근에는 독도 영유권 문제가 국제적인 관심사로 대두 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독도 영토수호 강화를 위해 독도에 대한 각종 연구결과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시화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독도 관련 연구기관들은 더욱 사실과 가까운 독도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하여 사진을 통한 전시회나 동영상 등을 제작하여 대내외에 홍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 예로서, 독도의 모형물을 축소 제작하여 독도에 직접 가지 않아도 독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독도의 모형물 제조하는 기술이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45261호(공고일자 : 2006.11.15)에 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의한 독도 모형물 제조방법은 독도의 축소모형을 제작한 후 이 모형에 실리콘을 바르고 경화시키고, 거즈를 부착하여 기초성형틀을 제작하고, 합성수지를 제조한 후 기초성형틀에 합성수지를 바르고, 유리매트를 부착하여 성형틀을 완성한다. 그리고, 성형틀에서 모형을 분리한 후, 성형틀 내부에 합성수지를 바르고 경화시킨다. 다시 합성수지를 바르고 유리매트를 부착하고 합성수지를 바른 후, 합성수지와 유리매트 사이의 기포를 제거한 후 유리매트를 부착하고 합성수지를 바른 후 경화시켜 모형물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단순히 모형을 만드는 것에 불과하였고, 특히 해수면 위에 드러나 보이는 동도와 서도, 즉 독도 육상에 대한 지리 및 지명에 대한 모형물을 제작하는데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선행기술에 의한 독도 모형물 제조방법은 단순히 육상에 대한 지형만을 간략하게 표현하는데 그쳤기 때문에, 이러한 모형물로는 해양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독도 주변 해양에 대한 홍보 및 학습을 위한 충분한 콘텐츠의 제공이 미흡하였으며, 해양환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매체로써 미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도의 환경특성조사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과학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한 독도의 육상지형 및 해저 공간을 모형화 함으로써 독도 육상지형을 한눈에 파악하고 일반인이 현실적으로 볼 수 없는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을 시각적으로 체험하도록 함으로써 해양연구를 통한 독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해양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은 물론 해저지형, 해양에 대한 홍보 및 학습을 위한 충분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독도 주변의 해양환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독도 육상지형의 항공라이다 고도 자료 및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한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얻어진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의 영상자료와, 독도의 육상 지질과 암상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자료를 토대로 독도의 육상 지형들을 각각 성형하는 단계; b) 독도 육상지형의 항공라이다 고도 자료 및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한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얻어진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의 영상자료와, 독도 주변 해저지질의 사진을 포함한 자료를 토대로 독도의 해저지형을 성형하되, 상기 육상 지형들이 안착될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해저지형을 성형하는 단계; c) 완성된 육상 지형들과 해저지형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기초 성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기초 성형틀에 합성수지를 바르고 유리섬유를 붙여 경화시킨 후 성형틀을 제거하여 육상 지형들의 모형물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들을 얻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육상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들을 채색하고 장식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토대로 채색하고 장식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완성된 해저지형의 상면에 해수면을 표현하기 위한 투명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f) 상기 투명판의 상면에 육상 모형물들을 설치하되, 해저지질이 표현되지 않은 각각의 위치에 육상 모형물들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b) 단계는,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하여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각각 분할하여 블럭화하고, 각각의 해저지형 블럭에 해저지형을 성형한 후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육상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들에 관측용 해상구조물 모형, 육상의 시설물 모형, 선박, 독도 주변 생물 모형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단계는,
상기 모형물의 전체 면적에서 40 - 60%에만 상기 투명판을 설치하여, 상기 투명판이 해수면 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투명판을 경계로 해저와 해상을 구분하여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는,
완성된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전시대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f) 단계는,
상기 전시대의 주변에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는,
스탠드형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내부로 이루어져,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조작신호 입력시 독도에 관련된 해당 자료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독도에 대한 항공 라이다 자료와 수심자료, 지질자료, 해저 생물자료, 환경특성조사와 같은 과학적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독도와 독도 주변 해역에 대한 환경을 입체적,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해저지형 모형물과 육상 모형물 사이에 해수면 역할을 하는 투명판이 설치됨으로써 독도의 육상과 해저가 명확하게 구분되고, 이를 통하여 독도 주변의 해상과 해저를 사실에 가깝게 표현할 수 있으며, 관람객이 독도의 해양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독도에 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을 위한 자료로서 독도의 항공자료이다.
도 2는 독도 주변의 수심자료이다.
도 3a,3b,3c는 독도에 대한 항공라이다 고도자료와 독도주변의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만들어진 정밀해저 지형도이다.
도 4a,4b,4c는 독도의 암상 및 지질자료이다.
도 5a,5b,5c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을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6a,6b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을 장식하는 사진이다.
도 7a,7b,7c,7d, 7e는 완성된 독도의 육상 모형물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8a,8b,8c,8d,8e,8f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장치의 자료로서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자료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독도 주변의 수심자료이다.
도 3a,3b,3c는 독도에 대한 항공라이다 고도자료와 독도주변의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만들어진 정밀해저 지형도이다.
도 4a,4b,4c는 독도의 암상 및 지질자료이다.
도 5a,5b,5c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을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6a,6b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을 장식하는 사진이다.
도 7a,7b,7c,7d, 7e는 완성된 독도의 육상 모형물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8a,8b,8c,8d,8e,8f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장치의 자료로서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자료를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7을 토대로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단계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독도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과학적 자료를 수집한다.
즉, 독도 육상 및 해저지형을 모형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형자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고도 자료로서, 2007년 국토지리정보원의 독도 육상 지역 측량자료를 사용한다.
그리고, 수심자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4년, 2007년 한국해양연구원의 독도 주변 해역의 멀티빔 수심자료와, 1999년 한국해양연구원의 독도 연안의 싱글빔 수심자료를 사용한다.
이러한 육상 지역 측량 자료와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독도에 대한 육상지형과 해저지형을 얻는다. 즉, 한국해양연구원에서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연구’를 통하여 독도의 육상지형과 해저지형을 통합한 지형자료를 제작하였는데, 이 통합 지형자료를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을 모형화하는데 기반자료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a,3b,3c에는 육상지형과 해저지형의 통합된 지형자료가 도시되어 있다.
이 지형자료를 통하여 육상지형은 물론, 해저지형을 사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독도 육상의 지질 및 암상을 모형물에 표현하기 위하여 도 4a,4b,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독도 균열발생에 따른 지반안정성 조사 연구’ 보고서와 ‘독도 서도 지반안정성 정밀조사’ 보고서 및 암상이나 지질의 사진을 자료로서 수집한다.
또한, 해저지질의 표현을 위해서 한국해양연구원의 2004년과 2007년, 2008년 ‘독도 해양생태계조사 연구’와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연구’를 통해 수집한 암반생태계 사진 자료 및 해저퇴적물 채집 자료를 수심별 해저지질상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자료로서 수집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독도의 육상 지형들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성형한다. 성형(조각)을 위한 주재료는 도자기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가소성 원료(점토질 원료)인 와목점토를 사용한다.
이때, 독도 육상지형을 모형 성형(조각)하기 위해서는 독도 사진자료를 참고하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고려하여 성형한다. 즉, 독도는 크게 화산성쇄설암, 화산암류, 암맥,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산성쇄설암은 평행층리 또는 경사층리가 표현되어야 하며, 화산탄이 표현되어야 한다. 화산암류는 담색을 띄며 화산성쇄설암과 뚜렷이 경계되어야 한다. 화산암류는 특히 식생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일부 화산암류에서는 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암맥은 단층과 달리 흰색 또는 검은색으로 화산성쇄설암에 관입되어 있다. 동도와 서도는 지질 특성이 뚜렷이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동도의 화산성 쇄설암층은 대부분 평행층리가 우세하다. 그리고 색상은 적색 또는 담색이 우세하다. 특히 화산성 쇄설암층에 암맥이 뚜렷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그리고, 서도는 화산성 쇄설암층의 경사층리가 우세하며, 색상은 담색(흰색과 노란색)이 우세하다. 서도 동측에서는 화산성 쇄설암층과 화산암류 사이에 세립질 화산재층이 두껍게 발달되어 있고, 화산암류에서는 절리가 우세하다(남측). 특히 화산성 쇄설암층과 접촉하는 하부에 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서도의 북측의 화산암류에서는 식생이 잘 발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특성을 적용하여 성형 제작한 육상지형 모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도 남측의 암맥과 독립문바위 주변에 평행절리가 잘 표현되어 있으며, 서도는 화산성 쇄설암층과 화산암류의 경계가 뚜렷하고 절리가 잘 나타나 있다.
b) 단계
전술한 단계에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독도의 해저지형을 성형하되, 도 5b,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상 지형들이 안착될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해저지형을 성형한다.
이때, 독도 주변 해저지형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도와 서도 주변 수심 약 20m까지는 육지부터 연안까지 경사면이 급하며, 수심 약 20m 부터 수심 약 80m 까지는 경사가 점차 낮아지다가 수심 약 80 m 이하로 완만한 경사를 보이며 깊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동도를 중심으로 북동-남서 방향의 배열을 보이는 해저지형이 나타나는데 독도 주변에 발달한 북동-남서 방향의 단층 또는 균열을 따라 용암이 많이 분출하여 만들어진 지형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동도와 서도 주변 근접 지역의 복잡한 해저지형은 수면 아래 약 20m 까지의 급경사면에서 흘러내린 테일러스 등이 잘 관찰된다. 그리고 동도와 서도 사이 해저는 약 10m 이내로 매우 얕은 수심을 보이며, 수중 돌출암 등이 불규칙하게 산재되어 분포하고 있다. 또한, 독도 주변 해저지형 단면도를 보면, 암반돌출부와 계단형의 경사면들이 나타나는데 이 경사면들을 해안단구라 하고, 대체적으로 약 25 ~ 38m, 약 62 ~ 72m, 약 83 ~ 94m, 약 99 ~ 112m, 약 130m의 수심대에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저지형 자료를 토대로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을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저지형을 성형할 때에는, 독도 주변의 해저 지형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 작업성 및 정확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하여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각각 분할하여 블럭화하고, 각각의 해저지형 블럭에 해저지형을 성형한 후 서로 결합하여 성형한다.
즉, 독도의 해저지형 자료에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분할선을 표시하여 각각의 지역을 일정한 크기로 블럭화한다. 그리고, 각각 블럭화된 지역에 해당되는 지형을 성형하는 것이다. 예들 들면,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분할되어 블럭과 같은 크기의 나무판에 해당 블럭의 해지지형을 와목점토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넓은 면적의 해저지형을 각각 분할하여 성형한 후 다시 결합함으로써, 해저지형을 보다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여 성형할 수 있고,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육상지형과 해저지형을 각각 분리하여 성형하는 것은, 추후 육상지형과 해저지형 사이에 해수면 역할을 하는 투명판(50)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c)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해저지형과 육상지형이 완성되면, 완성된 육상 지형들과 해저지형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기초 성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기초 성형틀에 합성수지(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를 바르고 유리섬유를 붙여 경화시킨 후 성형틀을 제거하여 육상 지형들의 모형물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10,20)들을 제작한다.
이때, c) 단계는 통상의 합성수지(FRP)를 이용하여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d)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제작된 육상지형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10,20)들을 채색하고 장식하되, a) 단계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토대로 채색하고 장식한다.
즉,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 모형물(10)에 식생과 시설물 모형, 해저지형의 모형물(20)들에 관측용 해상구조물 모형, 선박, 독도 주변 생물 모형을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독도의 육상과 해저지형은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된다.
e)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완성된 해저지형 모형물(20)의 상면에 해수면을 표현하기 위한 투명판(50)을 설치한다.
이 투명판(50)은 해저지형 모형물(20)과 육상지형 모형물(10) 사이에서 해수면 역할을 하게 되므로, 투명판(50)을 경계로 해저와 해상을 구분하여 볼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형물(10,20)의 전체 면적에서 40 - 60%에만 투명판(50)을 설치하여, 투명판(50)의 단면을 기준으로 해저 공간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즉, 투명판(50)과 해저지형 모형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투명판(50)의 절단된 단면을 기준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관람자에게 독도의 해상과 해저를 입체적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투명판(50)은 일부분만 절개되어 설치될 수 있고,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만 절개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f)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해저지형 모형물(20)에 투명판(50)이 설치되면, 이 투명판(50)의 상면에 육상 모형물(10)들을 설치하되, 해저지질이 표현되지 않은 각각의 위치에 육상 모형물(10)들을 설치한다. 즉, 각각 별도로 제작된 해저지형 모형물(20)과 육상지형 모형물(10)들을 투명판(50)을 사이에 두고 결합시켜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10,20)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전시대(30)의 상면에 배치한다.
이때, 전시대(30)의 높이는 초등학생이 충분히 관람할 수 있도록 대략 130cm로 한다.
한편, 전시대(30)의 주변에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40)(키오스크)를 설치한다.
이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40)는 스탠드형 본체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과,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PC)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내부로 이루어진다.
즉, 독도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의 이해를 높이는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독도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과 연동하여 사실적인 독도의 홍보 및 교육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모형의 좌우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능동적으로 터치모니터를 조작하여 독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독도의 육상 시설물, 독도 주변의 유명 바위들, 해저의 주요한 지형, 해양조사 시설물, 생태계 등 연구결과를 사진, 동영상, 텍스트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어 모형에서의 공간적인 위치 인식과 함께 독도의 육상해저에 대한 과학적인 학습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독도에 관련된 해당 자료는 독도 연구 관련 기관의 소개자료, 독도에 대한 소개자료, 상기 해저지형의 모형물에 설치된 독도 주변 생물 모형들에 대한 설명자료 및 독도 주변 생물에 대한 설명자료, 독도 지명에 대한 설명자료, 독도의 육상 구조물에 대한 설명자료, 관측용 해상구조물 모형, 선박모형, 탐사선 모형들에 대한 설명자료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료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조작에 의해 안내부가 필요한 자료를 터치스크린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40)의 터치스크린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도를 학술적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기관인 동해연구소에 대한 소개, 독도에 대한 소개, 독도의 생물에 대한 소개, 독도의 지명에 대한 소개, 독도의 해저와 육상 시설물들에 대한 소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도에 대한 소개를 통하여 독도에 대하여 구체적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도의 주변에 서식하는 생물들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소개될 수 있다. 이때, 육상이나 해저모형에 설치된 생물 모형물들과 연동되어 설명됨으로써 독도 생물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그리고, 도 8d,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도의 육상에 대한 자료로서, 각 지명들에 대한 위치나 사진을 출력하여 각 지명에 대한 이해를 돕고, 모형물과 연동시켜 모형을 통하여 각 지명, 예를 들면, 가제바위, 탕건봉과 같은 지명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도의 육상 시설물에 대한 자료를 사진과 영상 및 글로서 출력함으로써 육상 시설물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40)를 통하여 독도에 대한 정보를 모형물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독도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육상지형 모형물 20 : 해저지형 모형물
30 : 전시대 40 : 안내장치
50 : 투명판
30 : 전시대 40 : 안내장치
50 : 투명판
Claims (9)
- 삭제
-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독도 육상지형의 항공라이다 고도 자료 및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한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얻어진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의 영상자료와, 독도의 육상 지질과 암상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자료를 토대로 독도의 육상 지형들을 각각 성형하는 단계;
b) 독도 육상지형의 항공라이다 고도 자료 및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한 수심자료를 통합하여 얻어진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의 영상자료와, 독도 주변 해저지질의 사진을 포함한 자료를 토대로 독도의 해저지형을 성형하되, 상기 육상 지형들이 안착될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해저지형을 성형하는 단계;
c) 완성된 육상 지형들과 해저지형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기초 성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기초 성형틀에 합성수지를 바르고 유리섬유를 붙여 경화시킨 후 성형틀을 제거하여 육상 지형들의 모형물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들을 얻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육상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들을 채색하고 장식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토대로 채색하고 장식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완성된 해저지형의 상면에 해수면을 표현하기 위한 투명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f) 상기 투명판의 상면에 육상 모형물들을 설치하되, 해저지질이 표현되지 않은 각각의 위치에 육상 모형물들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독도 주변의 해저지형에 대하여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각각 분할하여 블럭화하고, 각각의 해저지형 블럭에 해저지형을 성형한 후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육상 및 해저지형의 모형물들에 관측용 해상구조물 모형, 육상의 시설물 모형, 선박, 독도 주변 생물 모형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모형물의 전체 면적에서 40 - 60%에만 상기 투명판을 설치하여, 상기 투명판이 해수면 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투명판을 경계로 해저와 해상을 구분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완성된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전시대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전시대의 주변에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안내장치는,
스탠드형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내부로 이루어져,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조작신호 입력시 독도에 관련된 해당 자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독도에 관련된 해당 자료는,
독도 연구 관련 기관의 소개자료, 독도에 대한 소개자료, 상기 해저지형의 모형물에 설치된 독도 주변 생물 모형들에 대한 설명자료 및 독도 주변 생물에 대한 설명자료, 독도 지명에 대한 설명자료, 독도의 육상 구조물에 대한 설명자료, 관측용 해상구조물 모형, 선박모형, 탐사선 모형들에 대한 설명자료들로 이루어져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0158A KR101342069B1 (ko) | 2012-07-23 | 2012-07-23 |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0158A KR101342069B1 (ko) | 2012-07-23 | 2012-07-23 |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2069B1 true KR101342069B1 (ko) | 2013-12-18 |
Family
ID=4998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0158A KR101342069B1 (ko) | 2012-07-23 | 2012-07-23 |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206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5492B1 (ko) * | 2013-10-04 | 2014-03-17 | (주)강남디자인모형 |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
CN112652064A (zh) * | 2020-12-07 | 2021-04-13 | 中国自然资源航空物探遥感中心 | 海陆一体三维模型构建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
US20210292985A1 (en) * | 2018-12-07 | 2021-09-23 | Republic Of Korea(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 | Physical catchment model for rainfall runoff experiment |
CN114663640A (zh) * | 2022-05-20 | 2022-06-24 |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 基于地形地貌和构造特征的海底地理实体划定与分类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3151Y1 (ko) * | 1999-10-15 | 2000-03-15 | 유상호 | 관광안내 모형 |
JP3070787U (ja) | 1999-12-21 | 2000-08-15 | 有限会社藤原製作所 | 地理学習立体模型 |
KR100645261B1 (ko) * | 2006-08-07 | 2006-11-15 | 주식회사 다솔코리아 | 독도 모형물 제조방법 |
-
2012
- 2012-07-23 KR KR1020120080158A patent/KR1013420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3151Y1 (ko) * | 1999-10-15 | 2000-03-15 | 유상호 | 관광안내 모형 |
JP3070787U (ja) | 1999-12-21 | 2000-08-15 | 有限会社藤原製作所 | 地理学習立体模型 |
KR100645261B1 (ko) * | 2006-08-07 | 2006-11-15 | 주식회사 다솔코리아 | 독도 모형물 제조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5492B1 (ko) * | 2013-10-04 | 2014-03-17 | (주)강남디자인모형 | 해저지형 관찰이 가능한 독도모형의 제작 방법 |
US20210292985A1 (en) * | 2018-12-07 | 2021-09-23 | Republic Of Korea(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 | Physical catchment model for rainfall runoff experiment |
CN112652064A (zh) * | 2020-12-07 | 2021-04-13 | 中国自然资源航空物探遥感中心 | 海陆一体三维模型构建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
CN112652064B (zh) * | 2020-12-07 | 2024-02-23 | 中国自然资源航空物探遥感中心 | 海陆一体三维模型构建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
CN114663640A (zh) * | 2022-05-20 | 2022-06-24 |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 基于地形地貌和构造特征的海底地理实体划定与分类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itty | Introduction to geomorphology | |
Mostafavi | Cartographic grounds: Projecting the landscape imaginary | |
Jones et al. | An animate landscape: rock art and the prehistory of Kilmartin, Argyll, Scotland | |
KR100798413B1 (ko) | 해양에서 측량되는 자료를 3차원적 형태로 가시화하는시스템 및 이의 방법 | |
Prampolini et al. | Geomorphological mapping of terrestrial and marine areas, northern Malta and Comino (central Mediterranean Sea) | |
Asrat et al. | Geoheritage conservation in Ethiopia: the case of the Simien Mountains | |
KR101342069B1 (ko) | 독도의 육상 및 해저지형 모형물 제작방법 및 그 모형물 | |
Aucelli et al. | Coastal landscape evolution of Naples (Southern Italy) since the Roman period from archa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data at Palazzo degli Spiriti site | |
Nordenson et al. | Structures of coastal resilience | |
KR100890962B1 (ko) | 해저 지형을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 및 이의 방법 | |
Koshim et al. | Landscape of the Mangystau region in Kazakhstan as a geomorphotourism destination: a geographical review | |
McCarroll | Trimline trauma: the wider implications of a paradigm shift in recognising and interpreting glacial limits | |
Hambrey et al. | Colour atlas of glacial phenomena | |
Fort et al. | Landscapes and landforms of France | |
Kumar et al. | Tsunami damage assessment: a case study in Car Nicobar Island, India | |
Finkl et al. | Geomorphological mapping along the upper southeast Florida Atlantic continental platform; I: Mapping units, symboliz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esentation of interpreted seafloor topography | |
Konagai et al. | Ground deformation built up along seismic fault activated in the 2016 Kumamoto earthquake | |
Taboroši et al. | Field observations of coastal discharge from an uplifted carbonate island aquifer, northern Guam, Mariana Islands: a descriptive geomorphic and hydrogeologic perspective | |
Bourman et al. | Mount augustus geology and geomorphology | |
Yazdi | Potentials of Iran’s geotourism and structure of mud volcanoes | |
Behrmann et al. | High resolution bathymetric survey on the NW slope of Walvis Ridge, offshore Namibia | |
Ezra | Topology and Formation Settings of Deep Water Carbonates at the Boundaries of the Palmachim Disturbance, Off-Shore Israel | |
Phelps et al. | Preliminary surficial geologic map of the Newberry Springs 30'x 60'quadrangle, California | |
Breemen | Salt intrusion in the Selangor: model study with Delft3D estuary in Malaysia | |
Callieri et al. | The Dynamics of Human Settlement in Historical Times in South-Central Fars, from Firuzabad to the Persian Gul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