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830B1 -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830B1
KR101266830B1 KR1020120045383A KR20120045383A KR101266830B1 KR 101266830 B1 KR101266830 B1 KR 101266830B1 KR 1020120045383 A KR1020120045383 A KR 1020120045383A KR 20120045383 A KR20120045383 A KR 20120045383A KR 101266830 B1 KR101266830 B1 KR 10126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lighting system
energy
light sources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준
Original Assignee
장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준 filed Critical 장민준
Priority to KR102012004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830B1/ko
Priority to PCT/KR2013/003606 priority patent/WO2013165126A1/en
Priority to TW102115332A priority patent/TW20140193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광원의 점멸을 동기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apparent brightness)를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은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의 점멸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신호발생장치와, 상기 동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광원을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제어하여 각각의 광원의 점멸을 동기시키는 복수의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은, 다른 조명시스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을 소비하면서도, 다른 조명시스템과 동일한 수준의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항상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Energy saving illuminating system}
본 발명은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광원의 점멸을 동기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apparent brightness)를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조명이란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빛에너지의 양은 입력된 전기에너지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변환되는 비율을 광변환 효율이라고 한다.
광변환 효율의 개선은 전기에너지 절감으로 이어지므로, 고효율 조명을 구현하기 위해 소자의 광변환 효율 개선, 전원공급장치 역률 개선, 배광분포 최적화와 같은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지현상과 자극의 물리적인 성질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정신물리학(psychophysics)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펄스 파에 의해서 구동하는 조명 장치의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mitting diode, LED)의 경우,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정전류 제어 방식 또는 펄스 전압을 이용하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제어 방식으로 제어된다.
펄스 폭 변조 제어는 펄스의 주파수와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조절하여, 전력을 조절하는 제어방식이다. 인간의 눈은 점멸 융합 주파수(flicker fusion frequency) 이상으로 점멸되는 광원의 경우에는 단속적 점멸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느낀다. 따라서 점멸 융합 주파수 이상의 펄스 전압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면 인간의 눈에는 광원이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느껴진다. 대부분의 인간의 눈은 75헤르츠 이상으로 점멸되는 광원은 연속적인 것으로 느낀다.
단속적으로 점멸하는 광원의 밝기를 인간의 눈이 어떻게 인식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1900년대부터 발표되고 있다.
탤보트 플래튜(Talbot-Plateau)의 법칙에 따르면, 단속적으로 점멸하는 광원을 관찰하는 인간은 그 광원이 평균적인 밝기(brightness)로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느낀다고 한다.
또한, 브로커 슐처(Broca-Sulzer)의 법칙에 따르면, 카메라 플레쉬와 같은 강한 빛에 노출되면, 인간의 눈은 실제 빛의 밝기에 비해서 몇 배 밝게 느낀다고 한다.
최근 일본의 에히메 대학의 연구1 )에 따르면, 펄스 전압을 사용할 경우에는 브로커 슐처 효과가 탤보트 플래튜 효과에 비해서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인간의 눈은 광원을 평균적인 밝기보다 더 밝게 인식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중국의 천진 대학의 연구2 )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 강도(average intensity)가 동일할 경우, PWM 제어 방식으로 구동되는 LED가 정전류 방식으로 구동되는 LED에 비해서 더 밝게 느껴진다고 한다. 또한, 도 1을 살펴보면, PWM 제어 방식의 경우에는 듀티 사이클이 짧은 펄스 전압을 사용할수록 정전류 방식과의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apparent brightness) 차이가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란 빛의 물리량인 휘도(brightness)에 대응하는 명암감의 심리량을 의미한다. 즉, 실제 밝기가 아닌 인간이 느끼는 밝기를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주파수가 100Hz인 경우, 듀티 사이클이 50%이면, 정전류 방식에 비해서 약 40% 더 밝게 느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듀티 사이클이 80%이면, 약 25% 더 밝게 느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듀티 사이클이 100%이면, 정전류 방식과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본의 에히메 대학의 연구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에히메 대학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듀티 사이클이 5%이며, 60Hz인 펄스 전압으로 LED를 구동할 경우, 정전류 구동방식에 비해 최대 120% 더 밝게 느껴진다고 한다.
도 1의 결과를 통해서, 평균 강도가 동일할 경우, 강도가 크며, 듀티 사이클이 짧은 펄스 전압으로 구동되는 LED가, 강도가 작으며, 듀티 사이클이 긴 펄스 전압으로 구동되는 LED에 비해서 더 밝게 인식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1) Masafumi JINNO, Keiji MORITA, Yudai TOMITA, Yukinobu TODA, Hideki MOTOMURA(2008), "Effective illuminance improvement of light source by using pwm", J. Light & Vis. Env. Vol. 32, No. 2, 2008. 2) Zhang Yinxin, Zhang Zhen, Huang Zhanhua, Cai Huaiyu, Xia Lin, Zhao Jie(2008), "Apparent Brightness of LEDs under Different dimming Methods" Proc. of SPIE Vol. 6841 684109.
여러 개의 LED 조명이 동일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 각각의 LED 조명을 PWM제어 방식으로 구동하여도, LED 조명들의 점멸을 서로 동기화하지 않으면, PWM제어 방식으로 구동하였음에도, 정전류 방식으로 구동한 것과 큰 차이가 없다.
도 2는 PWM제어 방식으로 구동되는 두 개의 LED 조명의 위상차에 따른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apparent brightness)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a)는 동기화된 경우, (b)는 위상차가 180°인 경우, (c)는 위상차가 90°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PWM제어에 사용되는 펄스 전압의 강도는 100이며, 듀티 사이클은 50%이다.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LED 조명이 동기화된 경우에는, 강도가 200이며, 듀티 사이클이 50%인 펄스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며, 위상 차가 180°인 경우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가 100이며, 듀티 사이클이 100%인 정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며, 위상 차가 90°인 경우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 강도가 400/3이며, 듀티 사이클이 75%인 펄스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티 사이클이 50%인 펄스 전압에 의해서 구동될 경우, 듀티 사이클이 75%인 펄스 전압이나 정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경우에 비해서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apparent brightness)가 밝다. 도 1을 참고하면, 듀티 사이클이 50%인 펄스 전압에 의해서 구동될 경우에 정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비해서 약 40%정도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향상된다.
PWM 방식으로 구동되는 여러 개의 조명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조명 시스템은 여러 개의 조명을 서로 동기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경우와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에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각각의 조명을 구동하는 펄스 전압들의 위상 차이에 의해서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사용자가 느끼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는 동일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일정한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은 동일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의 점멸 시점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동기신호발생장치와, 각각의 광원들에 설치되어 상기 동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에 의한 빛이 함께 조사되는 영역의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향상되도록,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광원을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제어하여 복수의 광원들의 점멸 시점을 동기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장치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과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교류 전원의 위상 변화를 감지하여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기신호발생장치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의 순시값이 0이 되는 순간을 검출하여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로크로스 검출기일 수 있다.
펄스 폭 변조의 스위칭 주파수는 100Hz 내지 1kHz이며, 듀티 사이클은 10 내지 85%인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 폭 변조의 스위칭 주파수는 이중 주파수이며, 펄스 폭 변조의 듀티 사이클은 10 내지 85%이며, 제1스위칭 주파수는 100Hz 내지 1kHz이며, 제2스위칭 주파수는 제1스위칭 주파수에 비해서 낮은 주파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은, 다른 조명시스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을 소비하면서도, 다른 조명시스템과 동일한 수준의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항상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듀티 사이클에 따른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apparent brightness)와 평균강도의 비의 변화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2는 PWM제어 방식으로 구동되는 두 개의 LED 조명의 위상차에 따른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펄스 폭 변조의 스위칭 주파수가 이중 주파수인 경우의 펄스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펄스 폭 변조의 스위칭 주파수가 이중 주파수인 경우의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의 향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광원(10), 복수의 광원의 점멸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동기신호발생장치(20) 및 복수의 광원(10)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기(30)를 포함한다.
복수의 광원(10)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동일한 영역에 빛을 조사한다. 복수의 광원(10)은, 예를 들어, 거실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차량의 한 쌍의 헤드라이트,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복수의 광원(10)의 점멸을 동기화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사용자가 느끼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apparent brightness)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각의 광원(10)은 하나의 LED 또는 복수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 LED 어레이일 수 있다. 복수의 LED 소자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LED 어레이는 복수의 LED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스트링을 병렬로 연결한 것일 수 있다. 각각의 광원(10)은 동일한 교류 전원(1)에 연결되어 있다.
교류 전원(1)과 광원(10)의 사이에는 교류 전원(1)을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40)가 설치된다. 정류회로(40)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1)의 전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변압기와 교류 전원을 반사인파 형태로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회로와 반사인파를 평활하게 하는 캐패시터와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신호발생장치(20)는 복수의 광원(10)들이 동시에 점멸할 수 있도록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신호발생장치(20)는 교류 전원(1)과 각각의 제어기(30) 사이에 설치되어, 교류 전원(1)의 위상 변화에 따른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제로크로스 검출기일 수 있다.
제로크로스 검출기는 교류 전원(1)의 전압의 순시값이 0이 되는 순간을 검출하여 동기화 신호를 발생한다. 복수의 광원(10)들은 모두 동일한 교류 전원(1)에 의해서 동작하므로, 교류 전원(1)의 전압의 순시값이 0이 되는 순간이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의 광원(10)들의 전원입력단에 설치된 제로크로스 검출기를 동기신호발생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제로크로스 검출기는 전압 레벨 비교기, 트라이액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전압 레벨 비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류회로(40)의 변압기의 1차 또는 2차 측의 교류를 수신한 후, 전압 레벨 비교기(Votage level comparator)를 이용해서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논리 신호를 출력한 후, 논리 신호를 미분하여 제로 크로스가 발생하는 지점에서 소정의 주기를 갖는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트라이액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트라이액(Triac)을 통해서 변압기의 1차 또는 2차 측의 교류의 극성의 변화를 확인하고, 펄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기(30)는 동기신호처리부(31), 제어부(32) 및 스위치(33)를 포함한다. 동기신호처리부(31)는 동기신호발생장치(20)에서 발생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제어부(32)에 전달한다. 제어부(32)는 동기신호를 반영하여, 동기화된 PWM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 후 스위치(33)에 전달한다. 스위치(33)는 정류회로(40)와 광원(10) 사이에 배치되며, 동기화된 PWM 제어 신호에 따라서 광원(10)을 점멸시킨다. 스위치(33)에는 트라이액(Triac), MOSFETs(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 또는 IGBTs(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PWM 스위칭 주파수는 100Hz 내지 1kHz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Hz 미만에서는 깜박임이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듀티 사이클은 10 내지 85%인 것이 바람직하다. 85%초과인 경우에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단, 위의 주파수 범위는 인간을 위한 조명을 기준으로 제시한 것이며, 적용분야에 따라서 주파수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어등의 경우에는 수초 간격으로 점멸하는 광원을 사용하여야 어류를 마취하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제어기(30)는 피드백부(34)를 더 포함한다. 피드백부(34)는 광원(10)과 연결되며, 광원(10)의 부하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32)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동기신호를 발생시켜, 제어회로에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신호발생장치(21)는 클록 펄스 발진기(clock pulse generator)를 사용한다. 클록 펄스 발진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클록 펄스라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클록 펄스 발진기는 결정 진동자(crystal oscillator)와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라는 회로를 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클록 펄스 발진기에서 발생한 클록 펄스는 복수의 시그럴 라인을 통해서 각각의 제어기의 동기신호처리부(31)에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신호발생장치(22)에서 발생한 동기 신호는 동기신호합성부(23)에 전달된다. 동기신호합성부(23)에서는 전원선에 동기신호를 싣는다. 전원선에 실린 동기 신호는 동기신호추출부(24)에서 전원선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어기(30)의 동기신호처리부(31)에 전달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신호발생장치(25)에서 발생한 동기 신호는 동기신호발생장치(25)와 제어기(30)에 각각 설치된 유·무선 통신모듈을 통해서 동기신호처리부(31)에 전달된다. 동기신호발생장치(25)에서는 캐리어 신호에 동기화 신호를 실어서 송신하고, 제어기(30)에서는 필터를 이용해서 캐리어 신호에서 동기화 신호를 분리한 후 동기화 신호를 동기신호처리부(31)에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펄스 폭 변조의 스위칭 주파수가 이중 주파수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위칭 주파수가 이중 주파수라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파수가 큰 제1스위칭 주파수에 의해서 On-Off가 반복되는 동시에, 주파수가 작은 제2스위칭 주파수에 의해서도 On-Off가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칭 주파수는 120 내지 150㎐일 수 있으며, 제2스위칭 주파수는 5 내지 17㎐일 수 있다. 제2스위칭의 경우에는 On 시간이 길고, Off 시간이 짧다. 결과적으로, 펄스 파 중간의 일부가 사라진 것과 같은 형태가 된다.
스위칭 주파수가 이중 주파수인 경우에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더욱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스위칭 주파수가 이중 주파수인 경우에는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더욱 향상되는 이론적인 근거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마하 밴드(Mach band)효과에 의하면,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는 단순한 강도의 함수가 아니다. 휘도가 다른 두 영역의 경계를 바라볼 때 인간은 휘도가 낮은 쪽은 더 어둡게 느끼고, 휘도가 높은 쪽은 더 밝게 느낀다. 이러한 마하 밴드 효과를 이용하면 인간이 느끼는 어래펀트 브라이트니스는 증가시키면서, 광원의 점멸을 느낄 수 없는 영역에서의 광원 구동이 가능하다.
도 8은 펄스 폭 변조의 스위칭 주파수가 이중 주파수인 경우의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의 향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상단의 이미지는 직류 구동의 예이고, 중간의 이미지는 단일 주파수 PWM 구동의 예이고, 하단의 이미지는 이중 주파수 PWM 구동의 예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상단의 이미지보다는 중간의 이미지가 밝게 느껴지며, 중간의 이미지보다는 하단의 이미지가 더 밝게 느껴짐을 알 수 있다.
시감에 있어서 공간적인 영역과 시간적인 영역의 경향이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스위칭 주파수가 이중 주파수인 경우에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광원 20, 21, 22, 25: 동기신호발생장치
23: 동기신호합성부 24: 동기신호추출부
30: 제어기 31: 동기신호처리부
32: 제어부 33: 스위치
34: 피드백부 40: 정류회로

Claims (9)

  1. 동일한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의 점멸 시점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동기신호발생장치와,
    각각의 광원들에 설치되어 상기 동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에 의한 빛이 함께 조사되는 영역의 어패런트 브라이트니스가 향상되도록,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광원을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제어하여 복수의 광원들을 100Hz 내지 1kHz의 주파수로 동시에 점멸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어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장치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과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교류 전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교류 전원의 위상 변화를 감지하여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장치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의 순시값이 0이 되는 순간을 검출하여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로크로스 검출기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는 상기 동기신호발생장치와 상기 제어기에 설치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제어기에 전달되는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는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력선에 합성되어 전송된 후 상기 전력선에 추출되어 각각의 상기 제어기에 전달되는 전력선 전송 방식으로 전달되는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는 상기 동기신호발생장치와 상기 제어기 사이에 설치된 별도의 시그널 라인을 통해서 상기 제어기에 전달되는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펄스 폭 변조의 듀티 사이클은 10 내지 85%인 것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펄스 폭 변조의 스위칭 주파수는 이중 주파수이며, 펄스 폭 변조의 듀티 사이클은 10 내지 85%이며, 제1스위칭 주파수는 100Hz 내지 1kHz이며, 제2스위칭 주파수는 제1스위칭 주파수에 비해서 낮은 주파수인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제2스위칭의 On 시간이 Off 시간에 비해서 긴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KR1020120045383A 2012-04-30 2012-04-30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KR10126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383A KR101266830B1 (ko) 2012-04-30 2012-04-30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PCT/KR2013/003606 WO2013165126A1 (en) 2012-04-30 2013-04-26 Energy saving lighting system
TW102115332A TW201401933A (zh) 2012-04-30 2013-04-30 節能型照明系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383A KR101266830B1 (ko) 2012-04-30 2012-04-30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830B1 true KR101266830B1 (ko) 2013-05-24

Family

ID=4866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383A KR101266830B1 (ko) 2012-04-30 2012-04-30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66830B1 (ko)
TW (1) TW201401933A (ko)
WO (1) WO20131651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189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시선 유도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2903B (zh) * 2014-06-23 2017-10-03 矽诚科技股份有限公司 改进型发光二极管驱动系统及发光二极管驱动装置
CN107333352B (zh) * 2016-04-29 2019-04-02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发光元件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TWI584692B (zh) * 2016-04-29 2017-05-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的控制系統及控制方法
JP7031481B2 (ja) * 2018-05-10 2022-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外報知装置
CN111954341B (zh) * 2020-09-03 2022-12-09 广州彩熠灯光股份有限公司 双频控制装置及方法、led舞台灯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018B1 (ko) * 2008-12-03 2009-05-27 청우전자(주)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75353B1 (ko) * 2010-03-22 2010-08-11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099U (ja) * 1992-06-04 1993-12-27 横河電機株式会社 調光付き蛍光管照明装置
KR20110025277A (ko) * 2009-09-04 2011-03-10 (주)아이티다인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018B1 (ko) * 2008-12-03 2009-05-27 청우전자(주)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75353B1 (ko) * 2010-03-22 2010-08-11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189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시선 유도등 시스템
KR102145483B1 (ko) * 2018-08-29 2020-08-18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시선 유도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5126A1 (en) 2013-11-07
TW201401933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830B1 (ko) 에너지 절감형 조명시스템
CN106538055B (zh) 具有随机相位的同步pwm调光
KR100735943B1 (ko) Led 발광 모듈용 공급 어셈블리
US20130334980A1 (en) Led light dimming
KR101302182B1 (ko)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전원공급회로
EP27504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avoiding flicker for SSL devices
US9190901B2 (en) Bridgeless boost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for constant current input
KR20120050280A (ko) 디밍 기능 또는 감성 조명 조절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절약형 led 램프
KR20140138054A (ko)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
RU2012143559A (ru) Интерфейс по питанию для схемы питания
KR20120031120A (ko)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CN105530740A (zh) 调光控制单元、照明系统和设施设备
US9214855B2 (en) 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for a constant current power converter
CN104780643A (zh) 具功率因数校正优化的发光二极管电路系统
CN205961512U (zh) Led调光器及led驱动装置
RU2014139144A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прибор с улучшенным сетевым модулем
JP5552022B2 (ja) 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106102245B (zh) Led调光器、led调光方法及led驱动装置
US8810147B2 (en)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LEDs with a pulsed current
JP5023000B2 (ja) 照明システム
CN206024160U (zh) Led调光器、led调光面板和led调光系统
CN106061041B (zh) Led调光系统和led调光方法
US20140103828A1 (en) Methods and circuits for supplying a pulsed current to leds
JP2013149495A (ja) 調光装置
Kudryashov et al. Experimental PWM controll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