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277A -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277A
KR20110025277A KR1020090083267A KR20090083267A KR20110025277A KR 20110025277 A KR20110025277 A KR 20110025277A KR 1020090083267 A KR1020090083267 A KR 1020090083267A KR 20090083267 A KR20090083267 A KR 20090083267A KR 20110025277 A KR20110025277 A KR 2011002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output
illuminato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준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다인 filed Critical (주)아이티다인
Priority to KR102009008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5277A/ko
Publication of KR2011002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내지 해상에 설치되는 조명기와 등명기를 특수한 목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그에 적합한 조명기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등대용 브라켓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항구 양측에 설치된 홍등 및 녹등의 등대가 동시에 점멸하여 그 점멸을 통해 양측 등대의 중앙이 항구의 입구임을 선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시각동기와 타이머를 통하여 항로유도용 부표가 좌우 동시 동기 및 일렬 순차 동기로서 점멸하는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등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일정장소 조명기 설치위치에 불구하고 기둥을 조명하는 조명기의 조도를 균일하게 하면서 수직면으로도 구분된 경관 조명 연출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그에 적합한 브라켓과, 슬립/웨이크 모드를 통한 전력의 절감 및 원격제어를 통한 관리의 효율도 제공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야간에 경관적 아름다움을 제공하고 항해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수직 높이마다 별개의 색깔로 변화를 주어 다양한 수직면내 경관연출이 가능하여 등대를 최대한의 경관조형물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를 위한 조명기 설치구조에서 또한 간단하고 규격화 되는 새로운 조명기 브라켓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대의 기둥 수직면상에서의 밝기도 균일하여 경관적인 부조화를 방지하고 광력을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그만큼 전력도 절감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의하면, 앞으로 해상에 무수하게 설치될 등대 내지 부표용 조명기 및/또는 등명기가 일체화 동기되어 작동되고, 나아가 각 등대를 야간 조형물로서 활용토록 최대한의 조명연출, 전력절감 및 설치부재의 규격화도 아울러 기하는 조화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9503431032-PAT00001
R/G/B 삼색 LED, 조명제어용 컨트롤러, 연속점등, 색깔변화, 수직면 조도균일, 수직면 색상변화, 원격제어, 개별/일괄ID, 24시간타이머, 마이크로프로세서, 동기clock 연동, 슬립/웨이크, 브라켓, 시켄스 제어, 통신 프로토콜, 듀티비, PWM

Description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Lighting device controller,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installation bracket }
본 발명은 해안 내지 해상 등 수면에 설치되는 조명기와 등명기를 특수한 목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그에 적합한 조명기와 그 조명기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기술이다.
선박의 안전운항을 지원하는 등대, 입표, 부표 등은 오랜 기간 선박의 항해자에게 이용되어 온 대표적 항로표지이다. 최근에는 해상에 홍등 및 녹등의 색깔로서 두 줄로 설치하여 육상의 차선과 같이 해상 선박의 항로를 나타내는 항로유도용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반도대운하 건설 등과 같은 육상의 내만에 있어서도 이러한 부표가 항로정보 제공 기능으로 발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재래식 등명기만으로는 야간에 등대의 형상구조를 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등대 전체를 비추는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추세이며, 그 조명장치는 전력의 절감 내지는 경관의 연출을 함께 기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점멸하거나 색깔을 변화시키게 되는데, 그 유익성에도 불구하고 구현결과 다음의 문제점과 이를 개량할 연구과제가 발견되었다.
첫째, 방파제 끝단 양측에 주로 홍등 및 녹등의 색깔로서 설치되는 방파제용 등대에 있어서, 홍등과 녹등의 등대 점등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면 항구의 입구가 정확히 시인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색깔변화 기능까지 더해진다면 서로의 변화시간이 다름은 부자연스런 경관으로까지 될 것은 추고하기에 어렵지 않으며, 실제로 설치 운용해 본 결과 점멸주기 불일치의 문제점만으로도 다수 이용자가 부자연스럽다는 지적이 있었다. 바람직한 개량방향은 항구 양측에 설치된 홍등 및 녹등의 등대가 동시에 점멸하여 그 점멸을 통해 양측 등대의 중앙이 항구의 입구임을 선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각 등대에 있어서 등명기와 조명기의 점멸이 일치하지 않으면 이용자의 시인성에서 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종래 등명기만의 불빛으로 인식된 습관에 조명기가 더해짐으로 해서 등명기가 주된 것인지 조명기가 주된 것인지 사용자에 따라 관점이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서로 다른 관점에서 조명기와 등명기의 점등개시 내지 소등개시 시점과 기간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그 만큼 이용자에게 혼란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개량방향은 조명기 점등 중에 등명기도 점등되고 조명기 소등 중에 등명기도 소등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항로표지 규정에 따른 등명기의 점등/소등과 항로표지 규정에 따르지 않아도 되고 여기에 더하여 경관연출까지 원하는 조명기의 점등/소등과의 동기 및 조화 일치가 필요하게 된다. 나아가 앞으로 항구 주위에 무수한 등대용 조명기가 설치될 것을 감안한다면 육안으로 보이는 해상의 조명기 전체가 조화로운 동기로 점등 및 소등을 할 필요가 있음을 짐작하기에 어렵지 않을 것이다.
셋째, 앞으로 항로를 유도하기 위한 부표의 등명기 제어기술 발전도 감안하면 단순한 개별적 등대용 조명장치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미해결과제가 많으며, 이는 이하 기술하는 발명의 목적과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에서 언급하는 내용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여하튼 조명기를 등대 또는 부표에 적용토록 하는 것에서는 이제까지의 단순한 LED조명기의 적용 수준을 넘어 보다 고도의 응용구상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구상이 이루어진 것이다.
넷째, 조명기를 등대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조명기 설치용 브라켓이 필요한데, 종래 일체형으로서 단일 지향방향으로 만들어지는 프레임 형태의 설치 구조물은 등대 상단부 직경(둘레)이 등대마다 상이하여 규격화 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은 여러 개의 단위 프레임을 횡으로 결속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 된 구조물을 이루는 구조이어서 일어나는 문제이나, 종래 일정한 각도 조명을 위한 바(bar) 형태 조명기를 설치할 때는 그와 같은 문제를 피할 수 없었다. 특히 이러한 프레임을 사용하는 구조에서는 모든 조명기소자(각각의 LED)가 동일한 지향방향을 가지므로 조명기와 가까운 등대 기둥의 조사면은 광력의 낭비가 일어나고, 조명기와 먼 등대 기둥의 조사면은 광력의 부족이 일어나는 불균형의 문제점도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전력의 비효율과 경관이 부자연스런 결점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에 없던 새로운 착상, 즉 복수의 등대 간 동기를 확보 및 등대의 경관 불빛이 수직면으로도 균일 하고 색깔도 수직면에서 변화되도록 하는 일괄된 제반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며, 그 불빛의 변화 범위가 홍등과 녹등의 본래 색상 주위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사용자가 임의 설정할 수 있는 구성도 제공한다. 나아가 이러한 기능은 백색에서 약간의 녹색을 가미하는 색상 내지 백색에서 약간의 청색을 가미하는 수준으로 스위프(sweep)시키는 듀티비 제어형 집어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항구의 입구에 선박의 출입항을 유도하기 위하여 복수로 설치되는 방파제용 등대에 있어서, 동시에 조명이 점등 및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항해자의 혼돈예방과 시각적 경관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여기에서 방파제용이라 함은 파도를 막기 위하여 설치된 제반 해상시설을 포함하는 용어이며, 일반적으로 그 양측 등대의 상단에 홍등과 녹등으로서 쌍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단일 등대용 조명기 및 등명기의 점등/소등에 있어서도 가능한 한 서로 동기되어 점등 및 소등됨으로써 일체적인 연동으로 시각적 혼돈을 방지하고 나아가 조명기 상단에 위치한 등명기가 전체 조명에 조화를 이루어 경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과 제2목적이 합쳐져 구현되면 항구 입구에 설치된 등대의 조명기와 등명기 불빛이 동시에 점등 및 소등되는 동기 작동이 된다. 여기에서 조명기와 등명기가 동기된다 함은 등명기의 소등기간과 조명기의 소등기간 중 어느 하나가 일치되는 동기로 점등 내지 조명기는 긴 기간으로 점등되고 그 조명기 점등기간동안 등명기가 점등/소등되는 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등대를 경관 목적으로 활용토록 함에 있어서 수직면 전체의 색상을 시간적으로 동일하게 변화시킴은 물론, 시간에 따라 수직면의 높이에 따른 색상도 변화시키고, 나아가 동일한 방출점에서 위아래를 더불어 비추는 조명기만으로도 그 등대 수직면 상에서 조도가 균일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범위 내의 주어진 색상으로 혼합비가 가변되는 색상으로 조명이 이루어짐으로써 조형물의 색상정보를 중요시하는 등대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정부분 경관연출이 가능토록 하며, 특히 선박용 집어등에도 본 발명이 확장 활용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해상의 항로를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부표에 있어서 육상의 차선처럼 두 줄로 늘어선 복수의 부표상 등명기가 좌우 동시 동기 및 일렬 순차 동기로서 점등 및 소등됨으로써 두 줄의 등명기 빛으로 나아갈 방향, 즉 항해용 수로를 나타내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여기에서 일렬 순차 동기는 육지방향으로, 해상방향으로 또는 육지방향과 해상방향을 번갈아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등명기를 점등하는 수단은 조명기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시각동기를 최소화 하고 이에 연동되는 각종 자체 타이머로서 점등/소등 작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이 부족하고 와이어링으로 동기 신호 제공이 불가능한 상황을 극복하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 다.
본 발명의 제7목적은 필요에 따라서는 저전력 수신기만으로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나아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는 슬립모드와 웨이크모드로서 주어진 시간에만 전력을 활성화시키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8목적은 기존 연구된 종래의 기능을 확장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토록 함도 목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목적은 상기 목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도록 그 컨트롤러에 연동되는 조명기 구성수단과 그 조명기 설치에 적합한 브라켓 수단을 일괄적으로 제공코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복수로 설치되는 방파제용 등대에 있어서 시각동기와 타이머를 통하여 등대마다 각각 설치되는 컨트롤러가 서로 동기되어 조명기를 동시에 점등하면서, 나아가 등명기도 컨트롤러에서 일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컨트롤러의 식별기호와 듀티비 제어를 통하여 등대의 조명이 전체적으로 색깔 변화됨과 아울러 수직면에서도 서로 다른 색깔로 변화되도록 하면서 등대 조사면과 가까운 거리의 조명빛과 먼거리의 조명빛 농도가 유사하게 유지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듀티비 제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범위 내의 주어진 색상으로 혼합비가 제어되어 조명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상의 항로유도를 위한 복수의 부표 상 등명기가 좌우 동시 및 일렬 순차 동기되어 육상의 차선처럼 항해용 수로를 나타내는 수단을 제공하면서, 그 동기 유지 수단을 극히 저전력의 수신기 작동 및 마이크로컴퓨터의 슬립모드와 웨이크모드로서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컨트롤러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연구된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공하며, 이를 조명기에도 확장 적용하여 컨트롤러와 연동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기구적 설치에서도 적합한 브라켓 수단을 턴키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구의 입구에 건설된 등대가 동시에 점등함으로써 항구의 입구를 야간에도 시각적으로 분명히 알리는 효과를 얻으며, 나아가 등명기와 동기 점등됨으로써 야간에 경관적 아름다움을 제공하고 항해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수직 높이마다 시간적으로 별개의 색깔 변화를 주게 되므로, 하나의 발광점에 조명기를 설치한 구조에서도 등대의 높이에 따른 다양한 수직면내 경관연출이 가능하여 등대를 최대한의 경관조형물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를 위한 조명기 설치구조에서 또한 간단하고 규격화 되는 새로운 조명기 브라켓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등대 상부 동일한 위치의 발광점에서 수직면에 길게 늘어진 등대의 기둥을 조명하는 구조에서는 조사면의 거리가 당연히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 에 의하면 그 수직면상에서의 밝기가 균일하여 경관적인 부조화를 방지하고 광력을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그만큼 전력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하는 범위만큼의 변화로 색깔이 변화되므로, 고유색상을 유지해야 하는 등대는 물론 한정된 색상 범위 내에서 변화를 요하는 선박용 집어등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극히 저전력의 간단한 동기 연동구성으로 해상의 항로를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부표를 동기제어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통신, 타이머 및 듀티비제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므로 기존 연구된 종래의 기능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확장성 효과가 있으며, 조명기가 그 컨트롤러에 연동되어 특수한 목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의하면, 앞으로 해상에 무수하게 설치될 등대 내지 부표용 조명기 및/또는 등명기가 일체화 동기되어 작동되고, 나아가 각 등대를 야간 조형물로서 활용토록 최대한의 조명연출, 전력절감 및 설치부재의 규격화도 아울러 기하는 조화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일례를 통하여 기본적인 사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컨트롤러의 회로구성을 묘사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마이 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주요 소스 프로그램 내지 사용자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 버튼(3-1)과 조그다이얼(3-2),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과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원격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에 입·출력 및/또는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타이머의 동기를 위한 GPS 등의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7)은 통상적인 전원공급부이다.
여기에서, 중앙처리장치(1)와 메모리(2)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해할 수 있는 기술상식을 가졌다면 그 구성을 충분히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중앙처리장치(1) 위주로 구성된 도 1은 종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외에 다음 도 2와 같은 각 프로그램을 내재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각각의 수단을 개별적으로 또는 취사선택 복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본 발명의 중앙처리장치(1)는 조명기 제어를 위한 '듀티비 제어명령을 통한 연속점등 온/오프 및 색상설정 지령 수단(10-1)을 포함한다. 이는 조명기가 R(Red), G(Green), B(Blue)로 구성된 것에서 그 혼합비를 제어토록 하되, 전체 소모전력이 10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단 필요에 따라서는 광력증대를 위하여 초과할 수도 있다) 내에서 조명기 내에 내재된 PWM(펄스폭변조기) 제어기를 직접 지령하여 지령된 듀티비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R100이면 R색상이 100%임 을 의미하고 이때 G색상과 B색상은 0%로 된다. 만약 백색을 출력하고 싶다면 R33, G33, B33로 각각 33%씩 PWM을 지령하는 신호를 보내어 전체 점등시간 동안 할당된 %만큼의 시간만 조명램프에 전류를 공급토록 작동한다. 여기에서 PWM에 의해 순간적으로 단속되는 듀티비로서 조명램프에 전류가 공급되더라도 눈으로 느끼는 조도는 잔상에 의하여 밝기만 그 평균치로 달라질 뿐이다. 요컨대 이러한 외부 컨트롤러 지령에 의한 조명기 내의 PWM제어수단은 개별적인 색상을 듀티비로 지정함으로써 조명기 외부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작동시키도록 하는 특징에 해당한다. 물론 이때 지령을 위한 설정조작은 키 버튼(3-1)과 표시창(4)으로 수행한다. 한편 듀티비 0-100%는 예를 들어 8진수를 기준으로 하여 0-255의 값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때 33%는 8진수로 81에 해당한다. 연동 시켄스 및 프로토콜의 한 예를 도 3에 도시하였으므로 이를 구체적인 상세한 설명에 갈음한다.
둘째로, 본 발명의 중앙처리장치(1)는 색상변화를 위한 개별색상 듀티비 변경 출력 수단(10-2)으로서 시간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 내에서 색상을 자동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컨대, 처음 1초간은 'R100, G000, B000'으로, 다음 1초간씩은 'R080, G020, B000'→ 'R060, G040, B000'→ 'R080, G020, B000'→ 'R100, G000, B000'→ 'R080, G000, B020'→ 'R060, G000, B040'→ 'R080, G000, B020'→ 'R100, G000, B000'→......... 'R100, G000, B000'으로서, 차례로 R의 최대값을 중심으로 좌우 설정된 부분만큼만 스위프(sweep)하도록 작동하며, 그 시켄스 및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 도 4이다. 여기에서 스위프를 통해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최대 범위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즉 도 4는 최대로 벗어나는 범위를 30%로 설정했을 때의 시켄스 및 명령프로토콜이다), 그 목적은 예를 들어 홍색 등대의 경우 홍등의 고유색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약간씩의 보라색과 황색 계통으로 색깔 변화를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원리는 백색을 중심으로 약간씩의 녹색 및 청색 변화를 주는 집어등에도 그대로 이용 내지 이 수단만 취사선택 발췌하여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집어등 역시 선내에 설치된 모든 조명기를 같은 원리로 PWM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 변화되는 세부적 단계 역시 사용자의 설정으로 또는 자동으로 예컨대 10단계 또는 30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실험결과 육안상으로는 각 단계의 변화가 5% 미만이 되도록 하면 자연스럽게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중앙처리장치(2)는 수직면 내의 밝기를 제어하는 개별/일괄ID 듀티비 제어 출력수단(10-3)을 포함한다. 즉 도 5와 같은 등대 상부 위치에서 단일 지향방향을 가진 조명기를 설치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진 복수의 조명기(104-1, 104-2, 104-3, 104-4)를 설치한다하더라도, 그 설치위치로부터 등대의 기둥(103)과의 거리가 위 아래로 서로 다름에 따라 같은 위쪽(d)은 밝고 아래쪽(a)은 어두운 현상, 또는 지향방의 중심에 해당하는 주 빔(main beam) 부분은 밝고 부 빔(sub beam) 부분은 어두운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조도를 위 아래로 균일하게 하는 목적이 (10-3)수단이다. 이를 통하여 종래 불필요한 광력(전력)의 낭비뿐만 아니라 경관적으로도 특정한 높이만 조명이 강조되는 흉한 모습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10-3)수단은 도 5에서 (d)면을 비추는 조명기(104-4)는 적은 듀티비로, (c)면을 비추는 조명기(104-3)는 그보다 큰 듀티비로, (b)면을 비추는 조명기(104-2)는 다시금 그보다 큰 듀티비로, 그리고 (a)면을 비추는 조명기(104-1)는 가장 최대의 듀티비로 설정한 후 중앙처리장치(1)로부터 전송되는 헤더 ID에 따라 각각의 조명기에 설정된 듀티비가 전달되어서 명령이 지령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명령은 조명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 후부터는 온/오프 명령으로 연속점등 때마다 그 설정된 듀티비로 점등을 개시토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도 2의 (10-3) 수단은 그와 같이 설정된 모든 조명기의 듀티비를 일괄적으로 80% 또는 50%로 다단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전체적인 조명이 지나치게 밝거나 어두울 때 수동 또는 센서를 이용한 자동제어를 통해 이를 조화시키기 위하여 일괄적으로 밝기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도 5에서 각 a, b, c, d면을 비추는 조명기는 도 3 및 도 4의 R, G, B 듀티비가 일괄적으로 %로 낮아짐을 의미한다. 이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이후 도 9, 10에서 다시금 도시 설명하기로 한다.
넷째로, 본 발명의 중앙처리장치(1)는 수직면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개별/일괄ID 듀티비 제어 출력 수단(10-4)을 포함한다. 즉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색상변화 되는 듀티비를 수직면 조도를 위하여 각각 지향방향이 다르게 분산된 조명기(104-1, 104-2, 104-3, 104-4)에 ID번지 지정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전달하면 색상은 아래에서 위로 등대 기둥을 타고 색상이 변화하는 모습으로 작용하여 등대가 마치 특별한 조형물처럼 보이도록 경관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도면이 도 7로서, 도 7에 의하면 각 a, b, c,...면을 비추는 각각의 조명기(104-1, 104-2, 104-3, ....)를 그룹으로 묶어서 각각 다른 색상으로 명령을 전달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룹으로 전달되는 명령은 개별ID로도 전달 지령될 수 있다. 역시 이에 관한 또 다른 구성은 이후 도 9, 10에서 다시금 도시 설명하기로 한다.
다섯째로, 본 발명의 중앙처리장치(1)는 작동개시 및 작동중지 기간을 설정하는 복수의 타이머 수단(10-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00:00-00:15, 00:15-00:30,........ 23:45-24:00까지 1일 중 15분씩 96개의 간격을 지정하여 각각 온/오프를 설정하는 24시간타이머도 포함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면 특정한 야간의 시간에라도 임의로 조명기를 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즉 이러한 24시간타이머와 주간의 햇빛을 감지하는 광센서가 결합되면 타이머작동 시간에 달했더라도 주간에는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광센서 감지가 없는 야간에라도 특정한 시간동안에는 조명기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타이머 수단은 조명기를 연속점등하거나 색깔 변화시키는 시간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음은 물론, 등명기도 조명기와 동기시켜 하나의 컨트롤러에서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중앙처리장치(1)는 이러한 타이머를 통하여 조명기 및 등명기를 한꺼번에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명기가 연속점등 하는 기간 내에 등명기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조명기의 오프와 등명기의 오프를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각각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복수기능의 타이머를 내재하기에 가능하게 된다. 그 각각의 사례는 도 8에 도시하였다.
여섯째로, 본 발명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상기 타이머를 쌍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등대용 중앙처리장치(1) 타이머와 시켄스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clock 연동 수단(10-6)을 포함한다. 즉 복수의 중앙처리장치(1)마다 GPS로부터의 시각동기를 받아 복수의 등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의 중앙처리장치(1)를 일괄적으로 동기시키는 것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시각동기는 상기 복수의 타이머에 관한 기본적인 시각동기를 갖추도록 교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기로부터 조명의 최초 점등 시작개시는 물론, 시간간격 자동 계수를 통하여 연속점등과 등명기의 점등/소등 동기까지 연동 타이머로서 일치시킬 수 있고 그 시각적 설정 내지 작동간격의 설정에 시차를 둠으로써 항로를 나타내는 부표의 등명기가 일렬 순차 동기로도 점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기수신을 위하여는 항상 GPS수신기가 작동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는 그에 관한 보조적 수단도 겸하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주간의 시간에는 슬립(저전력) 모드로 들어갔다가 야간에만 일정시간동안 활성화 되거나, 1일 중 일정시간만 잠시 시각동기 교정을 위한 웨이크(정상전력 소모) 모드로 작동하도록 설정시간에 의한 슬립모드/웨이크모드 수단(10-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중앙처리장치(1) 그 자체를 슬립모드(sleep mode) 혹은 웨이크모드(wake mode)로 전환 작동시킬 수 있는 바탕 위에서 가장 기본적인 카운터만 저전력으로 작동시키는 수단에 의해 달성되며, 그 카운터를 통한 소비전력 및 작동원리는 휴대용 손목시계의 전력소비에 갈음할 수 있어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슬립모드와 웨이크모드는 태양전지와 축전지로 작동하는 부표에서 전력절감을 위하여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에서 GPS수신기는 일반적인 VHF수신기로 대체한 후 육상에서 일괄적인 시각동기를 1일 1회 정도로 송출토록 할 수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운용자가 표준시각 무선송출장치를 휴대하고 컨트롤러에 근접하여 송신토록 하거나 컨트롤러의 단자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시각동기를 교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수단으로는 컨트롤러 프로그램에 기준시각 동기용 조작수단을 내재하여 사용자 개인 손목시계와 일치되는 시각으로 교정 조작토록 할 수도 있으며, 즉 이러한 하나의 손목시계로 모든 동기를 일치시킨다면 그와 같은 시각동기 수단도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GPS의 경우는 수신되는 시각을 그대로 교정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다양한 시각동기 수단은 컨트롤러에 내재된 각각의 타이머, 즉 연속점등, 색깔변화점등, 휴지기간, 순간점등 등의 타이머가 임의의 클럭으로 작동되는 것보다는 입력되는 시각동기를 기점으로 하여 각각 분주시킴으로써, 결국 각각의 사용자 설정이 동기되는 클럭에 종속되는 원리로 달성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동기 일치의 기점은 매일 00:00을 기준으로 하거나 매시각 또는 매분을 기점으로 각종 타이머의 기점을 재시작토록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의 출력은 조명기의 경우 프로토콜로서 전송되고 등명기의 경우는 단순히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릴레이 접점 등으로만 처리될 수 있다.
도 5, 6으로 되돌아가, 도 5는 서로 다른 각도로 조명기를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서는 바닥면(100)으로부터 일정 높이, 예컨대 12m 높이로 설치된 등대의 기둥(103) 상단(102) 수평부에 조명기를 서로 다른 지향방향으로 비추도록 설치한 후 그 조명기 불빛에 의하여 등대의 기둥(103)이 조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에서 각각 지향방향이 다르도록 설치되는 조명기(104-1, 104-2, 104-3, 104-4)는 모두 하나의 브라켓에서 연장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암(105-4)의 끝에 고착되지만 각각의 ID는 서로 다르게 고유의 ID로 가지거나 같은 지향방향을 그룹으로 묶은 그룹ID를 가지게 된다. 암(105-4)은 다시금 브라켓(105-1, 105-2)에 의해 지지되고, 브라켓(105-1)은 다시금 등대의 지붕에 세트 앙카 볼트(105-3)로 고착된다. 여기에서 브라켓은 등대 상부에서 하중을 견디는 상단부 브라켓 부재(105-1)와 등대의 하부에서 상부로 들려 올려지는 압력을 견디도록 등대의 하부에 밀착되는 하단부 브라켓 부재(105-2)으로서, 전체형상이 'ㄷ'자 형태로 등대 상단부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는 구성을 이루며, 이러한 'ㄷ'자 형태의 개별 브라켓은 각각의 지향방향으로 배치된 하나의 조명기군(104-1, 104-2, 104-3, 104-4)을 독립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브라켓을 등대 상부에 설치할 때는 등대 상부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서 등간격으로 배치하면 되므로 각각의 브라켓간 횡으로 결속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것이며, 그에 따라 당연히 규격화 된 브라켓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러한 구성으로서 도 6과 같은 본 발명의 개별조명기 각도 설치수단(200-1)과 단위 그룹각도 조명기별 브라켓 고정수단(200-2)이라는 요약된 문언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조명기는 바(bar) 형태 뿐만 아니라 다각형 내지 원형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는 복수 조명기 간 길이 축소를 위하여 오히려 다각형이나 원형을 권고하고자 한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도 3은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임시켄스 및 외부 조명기에 전달되는 프로토콜을 함께 설명한 것이다. 즉, 조명기의 on은 중앙처리장치(1)에서 조명기에 내장된 제어부로, 예를 들면 칼라설정 패킷데이터"$COL,GID111,ID000,R010,G030,B015"라는 데이터를 전송하여 칼라를 세팅한 후 "$LON,GID111,ID000,L1"라는 on 명령 패킷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명령에 의하여 조명기는 주어진 색상으로 점등을 개시한다. 그 후 중앙처리장치(1)는 필요할 경우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색깔에 따라 순차적으로 R, G, B별로 듀티비를 달리하는 칼라정보를 보내 조명기의 메모리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색상을 변화시키게 된다. 연속점등 기간에 해당하는 조명기 on 기간이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는 "$LON,GID111,ID000,L0"라는 점등 off 명령을 내리고 그 명령에 따라 조명기는 소등상태를 지속한다. 여기에서 조명기의 on과 등명기의 on(등명기의 on은 상기 프로토콜 대신 등명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직접 on-off 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은 중앙처리장치(1)에서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등명기와의 점등동기 및 조명기의 점등개시점과 소등개시점 및 그 간격을 설정해 놓은 후 최초 개시점의 시각만 앞서와 같이 동기시키면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의 모든 등대 조명기 내지 등명기가 동기되어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각동기 타이머의 클럭을 예를 들어 1일 1회 내지 수일 1회로 일치(즉 기준시각을 일치)시키면 그 동기(시각과 간격)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GID111은 모든 조명기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이를 만약 GID000으로 변경하고 개별ID를 ID001...ID004로 변화시키면 상기 조명기(104-1...104-4)가 차례차례 그 설정된 칼라로 변경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로 각 개별ID마다 하나씩 색깔을 지정하여 변화시키면 결과적으로 수직면에 분포된 조명기가 서로 다른 색깔로 변화되는 것이다. 물론 같은 각도로 설치된 것을 모아서 GID001...GID00n로 그룹을 지정하고 이에 대응한 명령을 송출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가 도 7이다.
상기 구성 및 설명은 위에서 열거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 상이 구체화 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나아가 더욱 더 구체화 되고 다양한 혼합수단으로서 발명이 보완, 성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복수의 지향방향으로 배치된 개별 조명기(104-1, 104-2, 104-3, 104-4)는 각 조명기마다 서로 다른 지향각도(발광각도)로서 예를 들어 각각 5°, 15°, 25°, 45°를 가지는 각각의 LED를 단일방향으로 비추도록 하면 5°는 먼 거리 아래쪽으로(즉 a면으로), 15°는 그보다 높은 중간거리(즉 b면으로), 25°는 또 그보다 높은 중간 거리(즉 c면으로), 그리고 45°는 가장 위쪽의 거리(즉 d면)로 주 빔(main beam)과 부 빔(sub beam)이 합쳐져 등대의 기둥을 비추게 되며, 이때에도 도 7을 통한 각각의 듀티비에 따라 서로 다른 광력으로 비추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수직면상의 색깔변화도 일정부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어느 것이나 개별ID를 통한 듀티비와 색상변화로서 달성하는 원리는 같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각 개별ID마다 서로 다른 듀티비로 색깔을 전송하여 조명기의 메모리에 저장한다면 수직면에 배치된 조명기마다 서로 다른 밝기로 설정할 수 있음도 이상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표상에 부착된 복수의 등명기를 좌우 동시 동기 및 일렬 순차 동기로서 항로유도에 사용토록 하는 것은 등명기 뿐만 아니라 소형의 조명기로서 등명기 역할과 조명기 역할을 동시에 수행토록 하거나 아예 조명기만을 항로유도용 동기 점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등대 상부를 천공하여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앙카볼트(105-3)는 이를 배제하고 복수의 상단부 브라켓 부재(105-1) 간을 일체화 결속하여 등대 상부 면의 중심부로 끌어당기는 와이어 등 밴딩(banding)으로 대체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하단부 브라켓 부재(105-2)와 상단부 브라켓 부재(105-1)가 'ㄷ'자 형태의 턱을 형성하여 등대의 상단부를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끌어 당기도록 하기에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색깔변화수단, 연속점등수단, 휴지기간은 순차적으로 또는 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복수로 배열하고 그 사이에 시각적 경관을 향상시키는 점멸신호를 넣을 수도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0.5초 간격으로 20회(즉 10초간) 색깔변화 점등을 둔 후, 연속점등으로 10초, 그리고 말미에 1회 이상 깜박이는 순각점등 조명을 넣을 수 있고, 이러한 점등을 항구 입구 좌우에 설치된 등대에서 홍색과 녹색 위주로 색깔만 달리하여 쌍으로 동시에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당연히 색깔변화를 연속 2회 이상, 또는 연속점등을 길게 혹은 짧게 하여서 전체적으로 경관효과를 달리할 수 있음도 물론이므로, 그와 같은 다양한 시켄스 구성을 도 8에 도시하며, 이러한 시켄스는 앞서 설명한 기준시각 동기를 각각의 분주비로 조정 설정하는 복수의 타이머에 의하여 달성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1)에 연동되는 표시장치(4)를 통해 조명기와 컨트롤러 간 데이터 전송상태 모니터링, 중앙처리장치(1) 내부 각종 작동의 자체진단 및 전원전압/전류 등을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키 버튼(3-1)과 조그다이얼(3-2)로서 각종 타이머 설정 및 작동조건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반 기능을 공통된 직렬통신포트(5) 내지 별도의 부가적인 직렬통신포트를 통해 원격지 컴퓨터 에뮬레이터에서 그대로 연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원격지 에뮬레이터는 컴퓨터에 내장하여 인터넷이나 전용의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동되는 것으로, 위에서 열거한 모든 수단을 컴퓨터화면에서 조작하고 감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윈도우로서 관할지역의 모든 조명기 및 등명기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조명기 내부의 회로는 상기 컨트롤러와 같은 중앙처리 및 메모리를 내장하여 서로 패킷통신 내지 기타 비동기통신으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므로 이를 도식한 것이 도 9이다. 즉 도 9는 상기 컨트롤러의 중앙처리장치(1)로부터의 명령신호를 컨트롤러 신호 입력용 I/O port(500)를 통해 받은 후 중앙처리장치(100)이 데이터를 해석 후 온/오프를 결정하면서 PWM제어부(300-1)를 통해 제어하면 그때의 PWM듀티비로서 전원(300-2)을 시차적으로 공급하여 해당되는 듀티비만큼 R(300-3), G(300-4), B(300-5)로 된 LED소자에 전류를 흘려 발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조명기는 당연히 앞서와 같은 프로토콜에 추종되어 색깔변화와 듀티비변화와 온/오프를 수행하는 것이지만, 듀티비는 한 번의 지령으로도 이를 메모리(200)에 저장해 두어 그 후부터는 단순한 온/오프 지령만으로 기능을 달성토록 할 수도 있고, 미리 공장에서 각 조명기(104-1, 104-2, 104-3, 104-4) 마다 별도로 적합한 듀티비로 저장해 둔 후 단순한 온/오프 제어만 하는 등으로서, 각 수직면에서의 조도가 균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색깔의 변화에 있어서도 도 7과 같은 각 조명기별 색상을 미리 메모리(200)에 저장해 둔 후 프로토콜로서 그 번지만 0F0X 등으로 되는 헥사코드로 단순히 지령토록 할 수도 있다. 조명기 내에서는 그룹ID 내지 개별ID를 설정하고 조작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 웨어 수단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상기 도 9의 중앙처리장치(100)에 내재된 각 수단은 도 10과 같이 '단일색상 및 혼합 PWM 수단(100-1)', '지향각도 개별 설정 수단(100-2)', '설정된 듀티비 저장 수단(100-3)', '설정된 색상 저장 수단(100-4)', '프로토콜에 추종하는 해석으로 온/오프 및 색깔을 변화하는 수단(100-5)', 그리고 'ID 설정 수단(100-6)'으로 각각 축약된다. 여기에서 '지향각도 개별 설정 수단(100-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구적으로 단일 용기 내에서 복수의 지향방향 내지 지향각도로 각 LED소자를 수용토록 하거나, 각 지향방향 내지 지향각도별로 복수의 용기를 구비하여 그 용기가 일괄하여 브라켓에 설치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등대는 물론, 항로유도용으로 수로에 설치된 입체적 형상을 조명기로 비추고 제어토록 하는 산업적 이용성을 제공하며, 나아가 선박의 집어용 조명기에도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산업적 이용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컨트롤러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일례
도 2는 본 발명 컨트롤러의 소프트웨어적 개념을 요약하여 나타낸 구성도 일례
도 3은 도 1의 블록다이어그램을 통하여 컨트롤러가 조명기에 온/오프 및 색상설정 지령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개념도 일례
도 4는 도 1의 블록다이어그램을 통하여 컨트롤러가 조명기에 색상변화 지령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개념도 일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조명기 설치 구조 및 본 발명이 수직면으로 조도 균일 및 색상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5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달성되는 기술적 원리를 요약한 개념
도 7은 그룹으로 지어진 ID를 통하여 수직면 내의 각 조명기가 색상이 변화하도록 하는 원리를 프로토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각종 타이머에 의한 등명기 및/또는 조명기 작동을 시간경과 시켄스 타임 도면으로 설명한 도면.
도 9는 조명기 내부회로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10은 도 10 내부의 소프트웨어적 개념을 요약하여 나타낸 구성도 일례

Claims (10)

  1.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 연동되어 각종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버튼(3-1),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 및 필요시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이머의 동기를 위한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을 조명기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으로서 조명기를 점등/소등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시켄스 제어 타이머 및 듀티비 제어 통신프로토콜로서 이루어지는 연속점등 온/오프 및 색상설정 지령 수단(1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컨트롤러.
  2.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 연동되어 각종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버튼(3-1),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 및 필요시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 이머의 동기를 위한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을 조명기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으로서 조명기를 점등/소등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시켄스 제어 타이머 및 듀티비 제어 출력 통신프로토콜로서 이루어지는 색상변화를 위한 개별색상 듀티비 변경 출력수단(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컨트롤러.
  3.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 연동되어 각종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버튼(3-1),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 및 필요시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이머의 동기를 위한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을 조명기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으로서 조명기를 점등/소등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시켄스 제어 타이머 및 듀티비 제어 출력 통신프로토콜로서 수직면 내의 밝기를 제어하는 개별/일괄ID 듀티비 제어 및 출력 수단(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컨트롤러.
  4.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 연동되어 각종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버튼(3-1),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 및 필요시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이머의 동기를 위한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을 조명기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으로서 조명기를 점등/소등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시켄스 제어 타이머 및 듀티비 제어 출력 통신프로토콜로서 수직면 내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개별/일괄ID 듀티비 제어 출력 수단(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컨트롤러.
  5.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 연동되어 각종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버튼(3-1),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 및 필요시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이머의 동기를 위한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을 조명기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으로서 조명기를 점등/소등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조명기와 등명기의 작동개시 및 작동중지의 시간을 설정하는 24시간타이머 수단(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컨트롤러.
  6.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 연동되어 각종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버튼(3-1),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 및 필요시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이머의 동기를 위한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을 조명기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으로서 조명기를 점등/소등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쌍으로 설치된 복수의 등대 조명기 내지 등명기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clock연동수단(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컨트롤러.
  7.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 연동되어 각종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 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버튼(3-1),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 및 필요시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이머의 동기를 위한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을 조명기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으로서 조명기를 점등/소등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설정된 시간에만 작동이 활성화 되고 설정된 시간 이외에는 소모전력 최소화를 기하는 슬립모드/웨이크모드 수단(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컨트롤러.
  8.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에 연동되어 각종 프로그램 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 사용자 설정을 중앙처리장치 내지 메모리로 저장토록 하는 키버튼(3-1),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선택 조작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그램작동과 타이머설정과 데이터출력 모니터링 등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장치(4), 원격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에 입·출력 및/또는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조명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통신포트(5),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되는 타이머의 동기를 위한 동기클럭수신장치(6)으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을 조명기로 연결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으로서 조명기를 점등/소등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에는 원격데 이터 처리를 위한 통신망을 연동하여서, 시켄스 제어 타이머 및 듀티비 제어 통신프로토콜로서 이루어지는 연속점등 온/오프 및 색상혼합수단(10-1), 색상변화를 위한 개별색상 듀티비 변경 출력수단(10-2), 수직면 내의 밝기를 제어하는 개별/일괄ID 듀티비 제어 및 출력 수단(10-3), 수직면 내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개별/일괄ID 듀티비 제어 출력 수단(10-4), 조명기와 등명기의 작동개시 및 작동중지의 시간을 설정하는 24시간타이머 수단(10-5),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쌍으로 설치된 복수의 등대 조명기 내지 등명기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clock연동수단(10-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원격으로 제어 및 확인토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컨트롤러.
  9.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게시된 컨트롤러의 중앙처리장치(1)와 프로토콜로서 연동되어 명령신호를 해석하고 상응하여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0)와, 상기 컨트롤러의 조명제어용 I/O port(5)와 신호 송수신계통을 연동하여 중앙처리장치(1)의 출력 명령을 신호적으로 전달 받는 컨트롤러 신호 입력용 I/O port(500)와, 중앙처리장치(100)로부터의 해석결과 또는 공장 출하 당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00)와, 중앙처리장치(10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공급전원을 시간적 듀티비로 할당하는 PWM제어부(300-1)와, PWM제어부(300-1)의 결과에 따라 전류를 공급받아 조명을 발광하는 LED그룹(300-3, 4, 5)로서 구성된 조명기;
    상기 조명기는 회로적인 하드웨어및 소프트웨어 수단으로서 '단일색상 및 혼합 PWM 수단(100-1)', '설정된 듀티비 저장 수단(100-3)', '설정된 색상 저장 수단 (100-4)' 및 '프로토콜에 추종하는 해석으로 온/오프 및 색깔을 변화하는 수단(100-5)'을 구비하는 한편, 기구적으로 '지향방향 또는 지향각도 개별 설정 수단(100-2)'을 구비하며, 또한 회로적이거나 기구적인 수단으로서 'ID 설정 수단(10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게시된 조명 컨트롤러'에 적합한 조명기.
  10. 상기 제9항에 게시된 조명기가 기구적으로 복수의 조명기(104-1, 104-2, 104-3, 104-4)로서 외형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 구조 내지 단일 외형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하여 그 설치에 적합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9항에 게시된 '지향방향 또는 지향각도 개별 설정 수단(100-2)'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상기 제9항에 게시된 조명기' 설치에 적합한 조명기 설치용 브라켓.
KR1020090083267A 2009-09-04 2009-09-04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KR20110025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67A KR20110025277A (ko) 2009-09-04 2009-09-04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67A KR20110025277A (ko) 2009-09-04 2009-09-04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277A true KR20110025277A (ko) 2011-03-10

Family

ID=4393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267A KR20110025277A (ko) 2009-09-04 2009-09-04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52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126A1 (en) * 2012-04-30 2013-11-07 Min Jun Jang Energy saving lighting system
JP2019160891A (ja) * 2018-03-09 2019-09-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126A1 (en) * 2012-04-30 2013-11-07 Min Jun Jang Energy saving lighting system
JP2019160891A (ja) * 2018-03-09 2019-09-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12588B2 (en) 2018-03-09 2022-08-09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Control apparatus of light emitting diod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7610B2 (en) Programmable LED lighting device and method
US11019692B2 (en) Variable multi-color LED light string and controller for an artificial tree
US8432062B2 (en) RF powered specialty lighting, motion, sound
US20060072317A1 (en) Automatic illuminating device
KR20130017298A (ko) Led 조명의 전원 제어 장치 및 조명 시스템
CN109348568B (zh) 一种多用途景观亮化led照明设备及其定制系统和方法
US20170064795A1 (en) Luminaire for illuminating an area of a building, in particular an office
KR20080101259A (ko) 조명 제어장치
JP4695970B2 (ja) 時計機構を備えた照明器具
KR20110025277A (ko) 조명 컨트롤러, 그에 적합한 조명기 및 그 설치용 브라켓
EP2797390A1 (en) Control method for electrical instrument, electrical instrument system, and timer device
US20110210817A1 (en) Light for at least one led and transmitter for generating a radio signal for such a light
US20190268981A1 (en) Color-changing outdoor light with reduced-level white mode
KR100910775B1 (ko) 유무선 복합용 알지비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제어시스템
JP4467269B2 (ja) 信号表示灯および信号表示灯制御システム
KR100922767B1 (ko) 수족관용 조명 제어방법
CN202674873U (zh) 遥控调光调色led筒灯
KR10154641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led 가로등 mtf 제어장치
JP7185344B2 (ja) 照明システム、照明器具およびリモコン
KR101334776B1 (ko) 조명 제어방법
CN202815445U (zh) 大型室外钟表
CN211267203U (zh) 一种灯具自动调光系统
JP7308487B2 (ja) 照明器具、照明制御方法及び照明制御プログラム
US202203415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ecorative lighting
JP6595271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