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829B1 -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829B1
KR101266829B1 KR1020110046695A KR20110046695A KR101266829B1 KR 101266829 B1 KR101266829 B1 KR 101266829B1 KR 1020110046695 A KR1020110046695 A KR 1020110046695A KR 20110046695 A KR20110046695 A KR 20110046695A KR 101266829 B1 KR101266829 B1 KR 10126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anchor
connecting member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8816A (ko
Inventor
심규택
박운식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심규택
박상욱
박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택, 박상욱, 박운식 filed Critical 심규택
Priority to KR102011004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82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2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for bolts or shafts without holes, grooves, or notches for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조립체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블럭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럭과; 상기 블럭에 구비되어 앙카볼트가 상기 블럭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여 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박스와; 상기 앙카박스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블럭의 연결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이웃한 사면블록의 연결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블럭을 횡방향으로 연결시키는 횡방향 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블럭의 상하면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열 혹은 하부열에 배치된 블럭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블럭들을 종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종방향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BLOCK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 SAME}
본 발명은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의 구조를 개선하여 다수개의 블럭을 적층하는 경우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하, 시공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시공면을 일정량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시공면을 조성하게 된다.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도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시공면으로 조성하게 된다.
또는,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시공면이 조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토사를 깍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시공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원인으로 인하여 시공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공면에는 블럭 조립체과 같은 보강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시공면의 표면붕괴를 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보강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공법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즉, 시공면상에 다수 개의 구멍을 천공시킨 다음 그 천공된 구멍으로 철봉이나 강봉을 압입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천공구멍으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강제 주입시켜 시공면을 지지토록 한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이나,
천공된 구멍에 강봉(Steel bar)을 압입시킨 다음 시공면을 따라 숏크리트(Shotcrete)를 타설하는 소일네일링(Soil-nail ing) 공법이나 락볼트(Rock bolt) 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혹은, 사각형상의 불럭을 시공면에 배열하고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공법이 알려져 있다.
특히, 사각형상의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면을 보강하는 공법에 있어서는, 블럭이 사각형상임으로 모서리 부분에 취성이 발생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블럭을 앙카볼트에 의하여만 시공면에 고정시킴으로써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블럭을 앙카에 의하여 시공면에 고정시키게 되므로 각 블럭은 시공면에 고정될 수 있어도, 이웃한 블럭과의 별다른 연결관계가 없음으로 효율적인 강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상의 블럭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웃한 블럭과 횡방향 혹은 종방향으로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럭과; 상기 블럭에 구비되어 앙카볼트가 상기 블럭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여 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박스와; 상기 앙카박스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와; 그리고 상기 블럭의 연결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횡방향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블럭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럭과; 상기 블럭에 구비되어 앙카볼트가 상기 블럭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여 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박스와; 상기 앙카박스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블럭의 연결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이웃한 사면블록의 연결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블럭을 횡방향으로 연결시키는 횡방향 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블럭의 상하면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열 혹은 하부열에 배치된 블럭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블럭들을 종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종방향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블럭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면에 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블럭을 시공면에 일 열로 배치하는 단계와;
일 열로 배치된 상기 블럭의 연결부에 한 쌍의 횡방향 연결부재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블럭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횡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블럭에 앙카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시공면에 고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블럭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종방향 연결부재를 삽입하고, 이 종방향 연결부재에 상부열에 배치된 다른 블럭을 결합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럭 조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럭 조립체는 각 블럭에 연결부를 장착하고, 이 연결부를 연결바와 같은 횡방향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연결함으로써 블럭들이 횡방향으로도 서로 연결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블럭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핀과 같은 종방향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블럭들이 종방향으로도 서로 연결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 조립체가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블럭 조립체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럭 조립체에 장착된 앙카박스 및 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럭 조립체의 구조 및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블럭 조립체(1)는 블럭(Block;2)과; 상기 블럭(2)에 구비되어 앙카볼트(Anchor Bolt)가 상기 블럭(2)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여 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박스(Anchor Box;3)와; 상기 앙카박스(3)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5)와; 그리고 상기 블럭(2)의 연결부(5)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횡방향 연결부재(8,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블럭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블럭(2)은 사각형상을 갖으나, 바람직하게는 십자형상을 포함한다.
즉, 상기 블럭(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제 1돌출부(25)와, 하부로 돌출된 제 2돌출부(26)와, 우측으로 돌출된 제 3돌출부(27)와, 좌측으로 돌출된 제 4돌출부(28)로 구성된다.
따라서, 4개의 돌출부에 의하여 십자형상을 갖는 블럭(2)들이 이웃한 사면블록(2a,2b,2c,2d)과 서로 암수결합을 함으로써 서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블럭(2)의 상부 및 하부면에는 삽입홈(h)이 각각 형성된다. 즉, 블럭(2)의 제 1돌출부(25)의 상부면과 제 2돌출부(26)의 하부면에는 2개의 삽입홈(h)이 각각 형성되고, 제 3돌출부(27)와 제 4돌출부(28)의 상면 및 하면에도 각각 삽입홈(도시안됨)이 형성됨으로써 모두 8개의 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8개의 삽입홈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가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는 원형단면 혹은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강체 재질의 연결핀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각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가 블럭(2)의 삽입홈(h)에 삽입된 상태에서, 블럭(2)을 이웃한 블럭(2a,2b,2c,2d)과 조립하는 경우, 제 1돌출부(25)의 상면에 삽입된 2개의 종방향 연결부재(21,21a)중 하나의 종방향 연결부재(21a)는 상부 일측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블럭(2a)의 돌출부(29)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종방향 연결부재(21)는 상부 타측 대각 방향으로 이웃한 블럭(2b)의 돌출부(30)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3돌출부(27)의 상면에 삽입된 종방향 연결부재(21b)는 상부 일측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블럭(2a)의 돌출부(29)의 하면에 삽입되고, 제 4돌출부(28)의 상면에 삽입된 종방향 연결부재(21c)는 상부 타측 대각방향으로 이웃한 블럭(2b)의 돌출부(30)의 하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블럭(2)은 하부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다른 블럭(2c,2d)과도 상기한 방식과 동일하게 연결핀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럭(2)에 삽입된 8개의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를 이용하여 이웃한 블럭(2,2a,2b,2c)들과 조립함으로써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앙카박스(3)는 블럭(2)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매설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플레이트(First and second plate;6,12)와; 일측은 상기 제 1플레이트(6)의 후면 네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플레이트(12)에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지 프레임(18)과; 제 1 및 제 2플레이트(6,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앙카슈즈(Anchor Shoes;19)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앙카박스(3)는 블럭(2)을 제조할 때, 블럭(2)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결국은 블럭(2)의 내부에 장착된다.
물론, 이 앙카박스(3)가 블럭(2)의 내부에 완전히 매설되거나, 혹은 일측이 블럭(2)의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으며, 이는 블럭(2)의 설계사양 혹은 시공방식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플레이트(12)에 구비된 상기 연결부(5)는 블럭(2)의 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횡방향 연결부재(8,10)에 의하여 이웃한 블럭(2e;도1)들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5)는 제 2플레이트(12)의 상부에 돌출되어 횡방향 연결부재(8)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상부 브래킷(Upper Bracket;7)과; 제 2플레이트(12)의 하부에 돌출되어 횡방향 연결부재(10)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하부 브래킷(Lower Bracket;11)과;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에 의하여 고정된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핀(15,17)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결부재(8,10)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강체이며, 각 블럭(2)을 횡방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횡방향 연결부재(8,10)는 강체 재질을 갖는 한 쌍의 연결바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연결바(8)와 하부 연결바(10)를 의미한다.
상기 상부 브래킷(7)은 제 2플레이트(12)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브래킷(9,9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브래킷(9,9a)은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횡방향 연결부재(8)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브래킷(11)도 제 2플레이트(12)의 후면방향으로 돌출되며, 한 쌍의 브래킷(13,13a)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한 쌍의 브래킷(13,13a)도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10)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각각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의 한 쌍의 브래킷(9,9a,13,13a)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블럭(2)과 이웃한 블럭(2e)에도 이와 동일한 연결부(5)가 장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각각의 블럭(2,2e)에 구비된 연결부(5)의 상부 및 하부브래킷(7,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각각의 블럭(2,2e)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에는 각각 한 쌍의 관통홀(h1)이 형성되며, 이 한 쌍의 관통홀(h1)에는 상기 걸림핀(15,17)이 각각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핀(15,17)은 "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걸림핀(15,17)을 상부 브래킷(7,9)의 관통홀(h1)을 통하여 삽입한 후, 하부 브래킷(11,13)의 관통홀(h1)을 관통함으로써 걸림핀(15,17)이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에 장착될 수 있다.
결국,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을 관통하는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는 이 걸림핀(15,17)에 의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걸림핀(15,17)에 의하여 걸림으로써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정위치에서 각각의 블럭(2)을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수개의 블럭(2,2a,2b,2c,2d)이 일체와 같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시공면에 시공할 때, 토압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횡방향 연결부재(8,10)의 양단부는 블럭(2,2e)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양측의 시공면에 콘크리트 타설 방식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상하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블럭(2,2e)을 상부 및 하부의 2부분을 관통하여 연결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연결바에 의하여 각 블럭의 연결부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럭 조립체의 시공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조립체(1)를 이용하여 시공면에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이 다음의 순서로 진행된다.
즉, 본 발명이 제안하는 블럭 조립체(1)의 시공방법은 후면에 연결부(5)가 돌출 형성된 블럭(2)을 시공면에 일 열로 배치하는 제 1단계(S100)와; 일 열로 배치된 상기 블럭(2)의 연결부(5)에 한 쌍의 횡방향 연결부재(8,1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블럭(2)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단계(S200)와; 횡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블럭(2)에 앙카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시공면에 고정하는 제 3단계(S300)와; 그리고 상기 블럭(2)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h)에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를 삽입하고, 이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에 상부열에 배치된 다른 블럭(2a,2b)을 결합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4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럭조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S100)에서는 하나의 블럭(2)을 시공면에 설치하고, 그 측방에 이웃한 블럭(2e)을 또 하나 설치한다.
이때, 각각의 블럭(2)의 후방에는 앙카박스(3)에 연결된 연결부(5)의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이 돌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블럭(2)의 연결부(5)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단계(S200)가 진행된다.
상기 제 2단계(S200)에서는 상부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블럭(2)의 상부 브래킷(7)을 관통하고, 계속하여 이웃한 블럭(2e)의 상부 브래킷(7)을 관통한다.
그리고,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10)가 블럭(2)의 하부 브래킷(11)을 관통한 후, 이웃한 블럭(2e)의 하부 브래킷(11)을 관통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블럭(2)의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을 각각 관통한 후, 걸림핀(15,17)을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의 관통홀(h1)에 각각 삽입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브래킷(7,11)을 관통한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는 이 걸림핀(15,17)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블럭(2)을 관통한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는 이웃한 블럭(2e)의 연결부(5)도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럭(2)과 이웃한 블럭(2e)을 횡방향 연결부재(8,10)에 의하여 서로 연결한 후, 다른 블럭(2)도 설치하고, 횡방향 연결부재(8,10)에 의하여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동일열에 배치된 다수의 블럭(2,2e)은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에 의하여 일체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블럭(2,2e)을 일체로 연결한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는 그 양단이 시공면에 콘크리트 등으로 매설되어 마무리될 수도 있고, 혹은 양단의 블럭(2)에 고정되어 마무리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단계(S200)가 완료되면, 제 3단계(S300)가 진행된다. 즉, 블럭(2,2e)이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에 의하여 일 열로 배치되면, 각 블럭(2)의 앙카슈즈(19)를 통하여 앙카볼트를 삽입하여 시공면에 고정시킨다.
제 3단계(S300)가 완료되면 상층을 시공하고 연결하는 제 4단계(S400)가 진행된다. 이러한 제 4단계(S400)에서는, 먼저, 일열로 배치된 블럭(2)의 상부에 또 하나의 열을 이루어 블럭(2a,2b)을 적층하여 설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열에 배치된 블럭(2,2e)들의 돌출부에 형성된 삽입홈(h)에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를 각각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아래열에 배치된 블럭(2,2e)들의 사이로 상부열의 블럭(2a,2b)들을 각각 적층한다.
이때, 아래열의 블럭(2,2e)들에 삽입된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들은 상부열에 적층되는 블럭(2a,2b)들의 삽입홈(h)에 각각 됨으로써 아래열의 블럭(2,2e)과 윗 열의 블럭(2a,2b)들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윗 열의 블럭(2a,2b)들이 아래열의 블럭(2,2e)들과 일체로 결합되면, 아랫열의 블럭(2,2e)들과 동일하게 윗 열의 블럭(2a,2b)들도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가 관통함으로써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랫열의 블럭(2,2e)들과 윗 열의 블럭(2a,2b)들은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연결부재(8,10)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종방향 연결부재(21,21a,21b,21c)에 의하여 종방향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시공되는 다수개의 블럭(2,2a,2b,2c,2d)들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결합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다.
1: 블럭 조립체 2: 블럭
3: 앙카박스 5: 연결부
8,10: 횡방향 연결부재
21,21a,21b,21c: 종방향 연결부재

Claims (9)

  1. 블럭과;
    상기 블럭에 구비되어 앙카볼트가 상기 블럭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여 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박스와;
    상기 앙카박스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와; 그리고
    상기 블럭의 연결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횡방향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앙카박스는 상기 블럭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매설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후면 네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앙카슈즈를 포함하는 블럭 조립체.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럭과;
    상기 블럭에 구비되어 앙카볼트가 상기 블럭의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여 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박스와;
    상기 앙카박스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블럭의 연결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이웃한 사면블록의 연결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블럭을 횡방향으로 연결시키는 횡방향 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블럭의 상하면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열 혹은 하부열에 배치된 블럭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블럭들을 종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종방향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앙카박스는 상기 블럭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매설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후면 네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앙카슈즈를 포함하는 블럭 조립체.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플레이트의 상부에 돌출되어 횡방향 연결부재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상부 브래킷과; 상기 제 2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되어 횡방향 연결부재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하부 브래킷과; 상부 및 하부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된 횡방향 연결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블럭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결부재는 상기 상부 브래킷을 통과하는 상부바와; 상기 상부바와 일정 거리 떨어져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하부 브래킷을 통과하는 하부바를 포함하는 블럭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브래킷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상기 상부 브래킷과 하부 브래킷의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바와 하부바가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조립체.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연결부재는 상기 블럭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상하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열 혹은 하부열에 배치된 블럭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블럭 조립체.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상하좌우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하면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십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조립체.
  9. 삭제
KR1020110046695A 2011-05-18 2011-05-18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 KR10126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695A KR101266829B1 (ko) 2011-05-18 2011-05-18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695A KR101266829B1 (ko) 2011-05-18 2011-05-18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816A KR20120128816A (ko) 2012-11-28
KR101266829B1 true KR101266829B1 (ko) 2013-05-27

Family

ID=4751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695A KR101266829B1 (ko) 2011-05-18 2011-05-18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66Y1 (ko) * 2002-03-23 2002-06-28 구창보강토기술(주) 보강토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KR100756680B1 (ko) 2006-05-01 2007-09-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KR100980860B1 (ko) * 2010-03-02 2010-09-10 서동수 보강토 옹벽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66Y1 (ko) * 2002-03-23 2002-06-28 구창보강토기술(주) 보강토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KR100756680B1 (ko) 2006-05-01 2007-09-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KR100980860B1 (ko) * 2010-03-02 2010-09-10 서동수 보강토 옹벽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816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JPH11303104A (ja) 擁壁用ブロック及び同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構築方法
KR101524303B1 (ko)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JP2009133099A (ja) 自立式土留擁壁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212619B1 (ko)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KR101266829B1 (ko) 블럭 조립체 및 시공방법
JP2018009388A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KR101265079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20120128955A (ko) 내진용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7115817B2 (ja) 大型土嚢を用いた補強土壁及び大型土嚢を用いた土留め方法
KR200429936Y1 (ko) 수직 적층식 옹벽블록
KR100567853B1 (ko) 토류판 구조물
KR101824176B1 (ko)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옹벽 블록
KR101716895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100574830B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KR100650751B1 (ko) 조립식 수로 구조물
KR100645600B1 (ko) 다중 결속방식의 축조블록과 이 축조블록을 이용한축조구조
KR20190142492A (ko) 흙막이가 용이한 phc파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30062586A (ko) 옹벽용 블럭 및 옹벽용 블럭의 옹벽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