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280B1 - 잠수함 구조복 - Google Patents

잠수함 구조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280B1
KR101266280B1 KR1020110050172A KR20110050172A KR101266280B1 KR 101266280 B1 KR101266280 B1 KR 101266280B1 KR 1020110050172 A KR1020110050172 A KR 1020110050172A KR 20110050172 A KR20110050172 A KR 20110050172A KR 101266280 B1 KR101266280 B1 KR 10126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rescue suit
air
submarine rescu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804A (ko
Inventor
미카엘 기에르나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3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7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 B63C9/105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055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 B63G2008/406Submarine escape s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잠수함 구조복은 공기가 공급되어지기 위한 잠수함 구조복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잠수함 구조복{SUBMARINE RESCUE SUIT}
본 발명은 잠수함 구조복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을 포함하는 수중 사고 동안, 잠수함 선원은 이 목적을 위하여 잠수함 타워내에 통상적으로 배치된 비상출구 통로 또는 내압선각의 위에 있는 이 목적에 적합한 어떤 해치의 수단에 의해 약 200m 깊이의 물 아래로 잠수함을 탈출할 수가 있고, 그리고 물 표면으로 올라올 수가 있다.
특별 잠수함 구조복이 대략 80mm 보다 더 낮은 물 깊이에서 손상된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을 위한 잠수함 선원들용으로 개발되어져 왔으며, 이것은 부상하고 있는 동안 부력을 제공하고, 손상된 잠수함으로부터 물 표면에 스스로 사용자들에게 호흡공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잠수함 구조복은 GB 2 441 959 A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잠수함 구조복은 사용자를 완전히 포위하고 있다. 잠수함을 떠나기 전에, 이 복장 안에 구비된 부력 깃(buoyancy collar)이 공기로 채워져야만 한다. 이 구조복은 이 목적을 위하여 공기 공급 포트를 가지고 있다. 이 공기공급포트는 잠수함의 비상출구통로에 설치된 공기공급장치에 연결될 수가 있고, 이것은 잠수함으로부터 개인들을 밖으로 이송하기 위한 곳에 특별히 배치된다. 잠수함 구조복이 공기로 충분히 채워지고 그것의 부력 깃이 부풀려 진 후, 그리고 또한 비상출구 통로가 물에 잠긴 후, 비상출구통로의 외부 해치가 열려 질 수 있고, 비상출구통로에 놓인 개인 또는 개인들은 잠수함을 탈출하고 물 표면으로 부상할 수가 있다.
잠수함 구조복에 있어서 비상출구들은 잠수함의 남아 있는 해치들에서 더 문제가 많은데, 그 이유는 그들이 잠수함 구조복의 공기공급포트에의 연결에 적합한 공기공급장치를 통상적으로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잠수함 구조복의 부력 깃은 부가적으로 제공된 압축공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한편, 이 압축공기 실린더의 수단에 의해 잠수함 구조복의 사용자에게 호흡하는 공기가 제공될 수가 없다. 물의 진입 후 내압선각에 아직 남아 있는 공기는, 필요하다면, 그것이 지나치게 오염되어 있지 않다면, 호흡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가 있다. 이것은 잠수함을 떠나기를 원하는 개인이, 내압선각에 포함된 잔여 공기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또는 만약 이 공기가 오염되어 있거나 공기압이 소정의 한계를 초과한다면, 잠수함 구조복의 두건을 개방한 채로 잠수함의 비상 호흡 공기시스템에 결합되어 있는 별도의 휴대 호흡장치를 사용하여 호흡할 수 있도록, 머리를 덮고 밀폐한 잠수함 구조복의 두건을 개방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잠수함 구조복이 호흡공기 공급의 목적을 위하여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 직전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져야만 한다는 사실은 개인이 손상된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 전 그를 그 자체로 발견한 상태에서 긴장의 레벨을 올린다.
위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출구통로의 외부 해치가 아닌 해치를 통한 비상탈출을 위하여 준비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잠수함 구조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 잠수함 구조복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잠수함 구조복의 부가적 이점 및 구성들은 종속항들,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속항들에 나타난 구성들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해결책을 더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 분리하여 또는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구조복은 물이 새지 않는 전신복, 즉 사용자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복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잠수함 구조복은 또한 상상컨데 상의 또는 조끼와 같이 설계될 수 도 있다. 잠수함 구조복은, 잠수함을 탈출할 때 부력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사용자를 위하여 호흡공기저장기로서 역할을 하는, 알려진 바와 같이 머리를 덮고 밀폐하는 후드를 구비하고 있다. 부가하여, 잠수함 구조복은 물 표면으로 더 빠르게 올라올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공기-부풀릴 수 있는 부력 보조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생각은 이 잠수함 구조복을, 비상탈출통로에 배치된 공기공급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있어야만 하는, 잠수함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비상호흡공기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공급되어지기 위한 잠수함 구조복 내의 모든 장치들에 이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렇게 함으로서 예를 들어 별도의 압축된 공기 저장기 또는 특별한 호흡장치들이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 전에 대기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나중에, 잠수함 구조복은 공기가 공급되어지기 위한 잠수함 구조복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함께 있는 연결 수단이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비상호흡공기시스템이 잠수함의 전체 길이를 기본적으로 초과하게 연장되어 있는 공기공급라인들의 묶음을 구비하고, 다수의 공기배출포트들을 소정 간격으로 내포하고 있으며, 따라서 공기배출포트가 비상탈출을 위하여 적합한 내압선각 상의 모든 해치들, 예를 들면 공기가 공급되어지기 위한 잠수함 구조복의 장치가 이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연결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어뢰적재 해치, 가까이에 항상 위치되어 있게 된다.
호흡장치를 내포하는 공기가 공급되어지기 위한 그러한 장치를 위해 특별히 이점이 있다. 이전에 표준이었던 것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이 호흡장치는 잠수함 구조복의 필수부분이고, 라인에 의해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뒤에서, 잠수함 구조복은 바람직하게는 잠수함 구조복의 외부에 위치한 단부가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을 위한 포트를 구비하고 잠수함 구조복 속으로 안내된 공기공급라인을 구비하고 있다. 잠수함 구조복 내에서, 공기공급라인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덮고 있는 후드의 영역 내로 들어간다. 잠수함 구조복의 이 구조는 비상탈출 전 대기 기간 내, 즉 해치의 개방을 위하여 요구되는 잠수함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균형이 일어나는 시간 동안에 이미 빨리 잠수함 구조복을 완전히 폐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 그것에 의해 비상탈출 전 단기간에 잠수함 구조복을 폐쇄하는데 기인된 부가적 긴장이 많은 상황을 피할 수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잠수함 내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의 포트에 공기공급라인의 문제없는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호흡장치의 공기공급라인은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을 위한 공기 공급 상에 배치된 포트가 잠수함 구조복의 사용자에게 항상 도달거리 이내에 있도록 적어도 충분히 길게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잠수함 구조복을 나가는 공기공급라인의 부분은 잠수함 구조복을 입고 있는 개인이 그의 팔에 의해 공기공급라인을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잠수함 구조복 내부에 배치된 공기공급라인의 단부는 사용자의 머리를 덮고 있는 잠수함 구조복의 후드 안으로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이 호흡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공급라인의 단부는 이점적으로 마우스피스가 제공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잠수함 구조복의 사용자는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의해 공급된 호흡공기로 직접 숨을 쉴 수가 있다.
마우스피스의 입력측에는 바람직하게는, 비상호흡공기시스템의 높은 공기압력을 요구된 호흡공기압력으로 낮추도록, 압력조절기가 제공된다. 이 압력조절기는 잠수함 구조복의 공기공급라인 상 소망하는 어느 곳에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압력조절기는 압축된 공기 잠수 장치의 잠수 조절기와 유사하게 마우스피스의 입력측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런 이유로 구조복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압력조절기는 또한 잠수함 구조복의 밖에 놓여 있는 공기공급라인의 부분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공기로 충진되어지기 위한 잠수함 구조복의 장치는 그 위에 제공된 부풀려질 수 있는 부력 구성인 이점이 있다. 즉, 잠수함 구조복은,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고 부력 구성이 공기로 충진되어질 수 있는, 라인에 의해 부력구성에 연결되는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부력구성은 바람직하게는, 그에 접속된 공기공급라인을 통해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라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공기로 충진되어지기 위한 부력 깃이다. 이 부력 깃은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잠수함 구조복의 영역 상 사용자의 어깨 위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부력 깃은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이전에 이 부력 깃을 부풀리기 위하여 취하여져야만 했던 압축공기실린더가 내압선각 해치에 의한 비상탈출 동안에는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구조복은 호흡장치 및 부풀려질 수 있는 부력구성 둘 다를 구비할 수 있고, 둘 모두 적합한 연결수단을 통해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되어질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함께, 잠수함 구조복은 두 개의 포트가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호흡장치에 접속라인을 생성하고 다른 하나는 부력 구성에 접속라인을 생성한다. 또한, 호흡장치 및 부풀려질 수 있는 부력구성은 공용 포트에 의해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단지 연결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이 포트를 부력구성 및 호흡장치에 라인접속을 연속하여 설정하기 위한 전환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유용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구조복은 전과 마찬가지로 잠수함의 비상탈출통로를 통한 비상탈출을 위하여도 적합하다. 앞서 알려진 잠수함 구조복들과 마찬가지로, 부력구성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포트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것은 비상탈출통로 내에 배치된 공기공급장치에 특별히 연결될 수 있다. 이 포트가 비상공기공급장치의 포트와 호환될 수가 없기 때문에, 하나의 어댑터가 제공되고, 이 어댑터는 비상출구통로의 공기공급장치에 접속가능한 포트에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이 포트는 또한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비상탈출통로 내에 배치된 공기공급장치에 접속을 위해 특별히 제공된 부력구성의 포트는 생략될 수 있고, 이 부력구성은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연결을 위해 설계된 포트에 라인에 의해 단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부력구성의 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어댑터가 제공되어 져야만 하고, 이 어댑터는 비상탈출통로 내에 배치된 공기공급장치에 접속을 허용한다.
다른 어댑터도 또한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 어댑터는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에 호흡장치와의 라인 접속과 부풀려질 수 있는 부력구성과의 라인접속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 구조복은 비상출구통로의 외부 해치가 아닌 다른 해치를 통한 비상탈출을 위하여 준비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잠수함 구조복을 착용한 개인의 매우 단순화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비상탈출 전 잠수함의 부분 내에 있는 개인의 매우 단순화된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목적을 위하여 공기공급라인을 접속할 때 도 2에 X로 표시된 부분의 상세도로서, 비상호흡공기시스템의 배출구에 대한 매우 단순화되고 확대된 사시도이고, 및
도 4는 접속 목적을 위하여 다른 공기공급라인을 접속할 때 도 2에 X로 표시된 부분의 상세도로서, 비상호흡공기시스템의 배출구에 대한 매우 단순화되고 확대된 사시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잠수함 구조복(4) 내의 개인(2)을 보여주고 있다. 잠수함 구조복(4)은 그 안에 위치한 개인(2)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물이 새지 않는 물질로 만들어 진 전신복이다. 잠수함 구조복(4)은 개인(2)의 머리를 덮고 있는 후드(hood)(6)를 갖고 있다. 부력 깃(8)이 후드(6) 아래의, 즉 개인(2)의 어깨 위의 잠수함 구조복(4)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부력 깃(8)은 부풀리게 되어 있는 부력 단위로서, 그것은 후드(6)와 마찬가지로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끝에서, 제1 튜브형 공기 공급 라인(10)이 부력 깃(8)에 연결된다. 포트(port)(12)가 공급라인(10)의 자유 단부에 제공된다. 공기공급라인(10)은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비상출구통로에 제공된 공기공급장치에 접속을 위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공기공급라인(10)의 포트(12)는 비상출구통로 내의 공기공급장치의 선박-측 포트와 대응한다. 이 포트(12)는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공기배출포트(16)에 연결되기 위하여는 적합하지 않다(도 2).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공기배출포트(16) 상의 공기로 부력 깃(8)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잠수함 구조복(4)은 튜브형의 공기공급라인(20)을 통해 라인에 의해 부력 깃(8)에 연결되는 다른 포트(18)가 제공된다. 부력 깃(8)에 연결된 두 공급라인들(10, 20)은 개인(2)에게 도달될 수 있는 이내가 되도록 이들 라인들의 단부들에 배치된 포트들(12, 18)을 위하여 충분히 길게 설계된다.
부가하여, 잠수함 구조복(4)은 개인(2)을 위한 호흡장치를 가지고 있다. 이 호흡장치의 부분은 후드(6) 영역의 주입-통로(24)를 따라 잠수함 구조복(4) 속으로 안내되는 튜브형 공기공급라인(22)이다. 공기가 후드(6)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공급라인(22)은 주입-통로(24)에 대하여 밀폐되어진다. 포트(26)는 잠수함 구조복(4)의 밖에 위치한 공기공급라인(22)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 포트(26)는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공기배출포트(16)에 호흡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마우스피스(28)가 잠수함 구조복(4) 내부에 위치한 공기공급라인(22)의 단부에 설치되고, 그 흐름 상에 배치된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도면에 미도시).
도 2에 도시된 잠수함의 내압선각의 부분에 있어서, 해치(34)가 데크(30) 위에 배치된 내압선각 벽(3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해치(34)는 덮개(36)의 수단에 의해 압력이 새지 않게 폐쇄될 수 있다. 잠수함 내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공기공급라인들(38)의 묶음이 내압선각 벽(32) 아래를 지난다. 만약 잠수함이 수중사고를 당하면, 해치(34)는 잠수함으로부터 비상탈출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끝에, 공기올가미(40)가 내압선각 벽(32) 아래에 해치(34)를 둘러싸면서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도 2에 물 표면(4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6)가 개방된 후에도 잠수함의 내압선각 내에 충분히 많은 공기 거품이 남는 것을 보장한다.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공기공급라인들(38)의 묶음은 공기올가미(40)의 내부로 안내된다. 공기올가미 내부에,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공기배출포트(16)가 공기공급라인들(38)의 묶음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잠수함 구조복(4) 내의 개인(2)은 잠수함의 비상탈출 직전 공기올가미(40) 내에 서 있는 사다리(44) 상에 있다. 이 개인(2)은, 도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공기배출포트(16)를 공기공급라인(20) 상에 형성된 포트(18)에 결합함에 의해 그의 잠수함 구조복(4)의 부력 깃(8) 및 후드(6)를 충진완료했다. 한편,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수단에 의해 공기공급라인(10) 상에 배치된 포트(12)를 통해 부력 깃(8) 및 후드(6)를 공기로 충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의 공기배출포트(16) 및 공기공급라인(10) 상에 배치된 포트(12)는 직접 함께 결합될 수가 없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포트(16)는 어댑터(46)를 사용하여 공기공급라인(10)의 포트(12)에 결합될 수가 있다. 이 어댑터(46)는 공기배출포트(16) 및 포트(12) 둘 다에 연결될 수 있고, 공기배출포트(16)로부터 포트(12)에 이르는 접속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2: 개인 4: 잠수함 구조복
6: 후드 8: 부력 깃
10: 공기공급라인 12: 포트
14: 비상호흡공기시스템 16: 공기배출포트
18: 포트 20: 공기공급라인
22: 공기공급라인 24: 주입-통로
26: 포트 28: 마우스피스
30: 데크 32: 내압선각 벽
34: 해치 36: 덮개
38: 공기공급라인들의 묶음 40: 공기올가미
42: 물 표면 44: 사다리
46: 어댑터

Claims (9)

  1. 잠수함 구조복에 있어서, 공기가 공급되어지기 위한 잠수함 구조복(4)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에 연결될 수 있는 잠수함 구조복.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기가 공급되어지기 위한 상기 장치는 호흡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조복.
  3. 제 2항에 있어서, 잠수함 구조복(4)은 잠수함 구조복(4) 내부 안으로 안내된 공기공급라인(22)을 구비하고, 잠수함 구조복의 외부에 위치된 단부는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을 위한 포트(2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조복.
  4. 제 3항에 있어서, 공기공급라인(22)은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을 위한 포트(26)가 항상 잠수함 구조복(4)의 사용자의 손이 닿는 곳에 있도록 충분히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조복.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잠수함 구조복(4)의 내측에 배치된 공기공급라인(22)의 단부에 마우스피스(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조복.
  6. 제 5항에 있어서, 마우스피스(28)의 입력 측 상에 압력조절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조복.
  7. 제 1항에 있어서, 공기가 공급되어지기 위한 장치는 잠수함 구조복(4) 상에 형성된 부풀려질 수 있는 부력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조복.
  8. 제 7항에 있어서, 부력구성은, 그기에 접속된 공기공급라인(20)을 통해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에 라인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공기로 충진되어지기 위한 부력 깃(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조복.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부력구성은 부력구성이 잠수함의 비상탈출통로에 배치된 공기공급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포트를 구비하고, 부력구성의 포트에는, 이 부력구성을 잠수함의 비상호흡공기시스템(14)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연결 가능한 어댑터(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구조복.
KR1020110050172A 2010-06-11 2011-05-26 잠수함 구조복 KR101266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3518A DE102010023518A1 (de) 2010-06-11 2010-06-11 Unterseebootrettungsanzug
DE102010023518.0 2010-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804A KR20110135804A (ko) 2011-12-19
KR101266280B1 true KR101266280B1 (ko) 2013-05-22

Family

ID=4458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172A KR101266280B1 (ko) 2010-06-11 2011-05-26 잠수함 구조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394907A3 (ko)
KR (1) KR101266280B1 (ko)
DE (1) DE102010023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3652B (zh) 2011-12-15 2015-12-16 乐金显示有限公司 偏振眼镜型立体图像显示器
GB2497619B (en) 2011-12-15 2016-04-06 Lg Display Co Ltd Polarization glasses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102012213424B3 (de) 2012-07-31 2013-09-19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rettungsanzug
DE102012219266B3 (de) 2012-10-22 2014-01-16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
FR3021951B1 (fr) * 2014-06-06 2017-05-26 Dcns Cellule de sas de dimensions reduites, notamment pour vehicule sous-marin
KR200482137Y1 (ko) * 2014-11-04 2016-12-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비상탈출 호흡용 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DE102015221496A1 (de) * 2015-11-03 2017-05-04 Thyssenkrupp Ag Unterwasserrett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1678B (en) * 1990-02-24 1993-10-13 Btr Plc Submarine escape assembly
US5293864A (en) * 1991-08-01 1994-03-15 Geomet Technologies, Inc.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GB2438606B (en) * 2006-05-31 2011-03-02 Survitec Group Ltd Submarine escape suit
GB2441959B (en) 2006-09-21 2011-06-15 Survitec Group Ltd Submarine escape s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804A (ko) 2011-12-19
DE102010023518A1 (de) 2011-12-15
EP2394907A2 (de) 2011-12-14
EP2394907A3 (de)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280B1 (ko) 잠수함 구조복
ES2749092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ara equipos de buceo
CN204548450U (zh) 一种新型的浮潜全面罩
PT1948501E (pt) Detetor de partículas
US20140261406A1 (en) Safety vest floatation system with oxygen supply
KR100730809B1 (ko) 잠수함
ES2349341T3 (es) Traje de escape submarino.
KR20140014971A (ko) 구조잠수정용 접합해치를 구비한 소형 수중운항체
US3246350A (en) Principle for safeguarding the possibility for individual persons to swim and breathe in water
DE10235842B4 (de) Transportsystem für Taucher und Tauchkapsel
KR200471085Y1 (ko) 수중호흡장치가 설치된 보드
WO2003097445A1 (de) Tauchkapsel und transportsystem für taucher
KR20170071462A (ko) 선박의 생존 시스템
CN210555515U (zh) 潜水服应急供气装置及可漂浮潜水服
RU2110438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снаряжение подводника
CN102120065A (zh) 防水防烟救生呼吸器与氧空气压缩气瓶装置
RU2788465C1 (ru) Водолазный полуколокол упроще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107685842A (zh) 开放式水下观光艇
ES2747485T3 (es) Rescate submarino
US1915818A (en) Submarine rescue suit
CN104773128B (zh) 一种车载救生装置
KR101676701B1 (ko) 선박용 비상 에어 공급 시스템
RU2330780C2 (ru) Тренировочная башня
RU2731933C1 (ru) Комплекс спасения экипажа корабля
RU2299831C2 (ru) Способ спасения и подъема судов и комплекс средств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