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759B1 -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759B1
KR101265759B1 KR1020060038872A KR20060038872A KR101265759B1 KR 101265759 B1 KR101265759 B1 KR 101265759B1 KR 1020060038872 A KR1020060038872 A KR 1020060038872A KR 20060038872 A KR20060038872 A KR 20060038872A KR 101265759 B1 KR101265759 B1 KR 10126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acid alkyl
reaction
reactor
alkyl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236A (ko
Inventor
전신호
조현준
노항덕
임재봉
이종인
문찬우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75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an ester group with a hydroxy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07C67/5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2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 C07C69/30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esterified with trihydroxy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02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27Process aspects
    • B01J2219/00029Batch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촉매를 도입하지 않고, 지방산, 특히 지방산 디스틸레이트와 알코올을 반응시킴으로써, 촉매 및 글리세린의 정제공정이 불필요할 뿐 만 아니라, 지방산의 전환율이 우수한, 바이오디젤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200 내지 350℃의 반응 온도 및 상압 내지 10 바아의 반응 압력에서, 지방산 원료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장치는 200 내지 350℃의 반응 온도 및 상압 내지 10 바아의 반응 압력에서, 지방산 원료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되, 전체 지방산의 80 내지 90%를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시키는 1차 반응기; 및 상기 1차 반응기에서 전환되지 않은 나머지 지방산을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하는 2차 반응기를 포함한다.
지방산, 지방산 디스틸레이트, 바이오디젤, 무촉매, 지방산알킬에스테르

Description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atty acid alkyl ester using fatty aci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방산알킬에스테르 반응부의 세부 구성도.
도 3 및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반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촉매를 도입하지 않고, 지방산, 특히 지방산 디스틸레이트(fatty acid distillate)와 알코올을 반응시킴으로써, 촉매 및 글리세린의 정제공정이 불필요할 뿐 만 아니라, 지방산의 전환율이 우수한, 바이오디젤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젤유는 원유로부터 얻어지는 여러 가지 연료 중에서, 연비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은 장점을 가지는 반면, 연소 후 대기오염 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젤유와 물성이 유사하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고,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체 연료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디젤유와 물성이 유사하면서도 대기오염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자연순환형 에너지로서, 일반적으로, 산 촉매 또는 알칼리 촉매 하에서, 유채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팜유 등의 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 폐식용유 등과 알코올을 에스테르교환 반응시켜 얻는다. 이러한 바이오디젤의 제조에서는, 바이오디젤의 약 10중량%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글리세린이 부산물로서 발생하는데, 최근 바이오디젤의 공장 건설이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글리세린의 공급과잉이 예상된다.
한편, 유지에는 일반적으로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s)이 함유되어,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와 혼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유리 지방산은 유지의 정제 과정에서 부산물로서 분리되는데, 이와 같이 분리된 유리 지방산으로부터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몇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유리 지방산을 에스테르화하는 방법은 유럽특허공개 127104A호, 유럽특허공개 184740A호 및 미국특허 4,164,506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방법에서는, 황산 또는 술폰산 촉매 하에, 65℃ 정도의 온도에서, 지방산 및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과 메탄올을 함께 가열하 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또한, 유지로부터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에스테르교환 반응의 결과로 얻어진 글리세린 상에서 유리 지방산을 분리한 다음, 분리된 유리 지방산을 에스테르화하는 방법이 유럽특허공개 708813A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글리세린 상의 중화로부터 얻은 유리 지방산을 진한 황산 촉매 하에 85℃ 정도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지방산의 함량을 50%에서 12%까지 감소시켰다. 그 밖에, 반응기에 동적 난류를 일으키는 기계적 장치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공지되었으며(한국특허공개 2004-0101446호, 국제출원공개 WO 2003/ 087278호), 이 방법에서는 황산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촉매로 하여, 고압 및 고온 조건에서, 지방산 또는 유지에 함유된 지방산을 알코올과 반응시켜 에스테르화 하였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2004-87625호에는 고체산 촉매를 이용하여, 폐식용유로부터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들은 공통적으로 황산 등의 촉매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산촉매는 반응 후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바이오디젤의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이를 중화 및 여과, 세척하기 위한 복잡한 공정을 수행하여야 할 뿐 만 아니라, 고체산의 경우 촉매의 수명이 짧고 이를 재생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방법들은,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저온에서 수행하므로, 반응단계에서 생성되는 물이 효과적으로 반응계 외부로 제거되지 못하여, 지방산의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의 전환율이 낮아, 바이오디젤 용도로는 적합한 물성을 가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디젤 연료용으로 적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촉매 하에서,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와 알코올을 에스테르교환 반응시켜, 지방산알킬에스테르 및 글리세린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고온 영역에서 지방산과 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성 유지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지방산 디스틸레이트를 원료로 사용하여,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글리세린의 발생 없이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00 내지 350℃의 반응 온도 및 상압 내지 10 바아의 반응 압력에서, 지방산 원료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200 내지 350℃의 반응 온도 및 상압 내지 10 바아의 반응 압력에서, 지방산 원료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되, 전체 지방산의 80 내지 90%를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시키는 1차 반응기; 및 상기 1차 반응기에서 전환되지 않은 나머지 지방산을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하는 2차 반응기를 포함하는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개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하며, 지방산 원료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얻기 위한 반응부; 상기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부터 저비점 불순물을 증류시켜 제거하기 위한 1차 정제부; 및 상기 1차 정제된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증류시켜 얻고,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정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부의 상부에는, 과잉의 알코올을 재순환하고, 상기 반응부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기 위한 알코올 회수부가 연결되어 있는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산 원료(1, 이하, 필요에 따라 단순히 지방산이라 한다.)과 알코올(2)이 반응부(10)에 투입되어, 일정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이 진행된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생성된 조(crude) 지방산알킬에스테르(4)는 1차 정제부(20)로 이송되고, 증류에 의해 저비점 불순물(5)이 1차 정제부(20)의 증류탑 상부를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1차 정제된 지방산알킬에스테르(6)는 2차 정제부(30)로 이송되고, 증류에 의해 잔류 불순물(8)은 남고, 정제된 지방산알킬에스테르(7)가 2차 정제부(30)의 증류탑 상부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반응부(10)에는 알코올 회수부(40)가 연결되어 있어서, 반응부(10)의 반응기에서 생성된 물과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과잉의 알코올(알코올/물, 3)은 알코올 회수부(40)로 이송되고, 여기서 알코올(2)은 증류되어 반응부(10)로 재순환되고, 물(9)은 폐수처리장으로 보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산알킬에스테르(7)의 제조에 사용되는 지방산 원료(1)로는, 지방족 부분(R)의 탄소수가 14 내지 24개인 순수한 지방산(RCOOH)을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유채, 대두, 해바리기, 팜(palm) 등의 식물로부터 채취한 식물성 조 유지(crude oil)를 고압 스팀(steam) 등으로 가열하여, 유채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팜유 등의 식물성 정제 오일을 얻는 경우에,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지방산 디스틸레이트(fatty acid distill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순수한 지방산과 지방산 디스틸레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지방산 디스틸레이트는 지방족 부분의 탄소수가 14 내지 24개인 지방산을 6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85중량% 포함하며, 나머지 성분으로서 β-카로틴, 지방족 부분의 탄소수가 14개 미만, 또는 24개를 초과하는 지방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에 있어서, 원료로서 상기 지방산 디스틸레이트를 사용하면 경제적으로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코올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일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일가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메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은 1단계 또는 2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스테르화 반응이 1단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반응부(10)는 1개의 반응기와 1개의 증류탑으로 구성되고, 2단계로 이루어진 경우, 반응부(10)는 2개의 반응기와 1개의 증류탑으로 구성되어 증류탑을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도 2에서와 같이 각 단계가 1개의 반응기와 1개의 증류탑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밖에, 반응기와 증류탑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하부는 반응기 역할을 하고 상부는 증류탑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증류탑 역할을 하는 상부와 반응기 역할을 하는 하부 사이에는 씰 트레이(seal tray)를 설치하여 물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화 반응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단계로 이루어지거나, 2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속식 반응의 경우, 체류시간이 충분하면 1단계 반응만으로도 높은 전환율을 얻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단계로 반응을 실시한다. 회분식의 경우에도 1차 반응에서의 전환율이 충분하지 않으면, 반응 조건을 달리하여 2차 반응을 실시함으로서,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반응부(10)를 구체화한 일례로서, 2개의 반응기(11, 12)와 2개의 증류탑(13, 14)으로 구성된 반응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보면, 1차 반응기(11)에서 일정 정도 반응이 진행된 생성물(4a)은 2차 반응기(12)로 알코올(2)과 함께 도입되어 2차 반응에 참여하고, 2차 반응을 거친 생성물(조 지방산알킬에스테 르, 4)은 도 1의 정제부(20, 30)로 이송된다. 각각의 반응기(11, 12)에서 생성된 물과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과잉의 알코올의 혼합물(3a)은 증류탑(13, 14)으로 배출되고, 증류탑(13, 14)에서 분리되어, 증류탑(13, 14) 상부로는 순수한 알코올 또는 알코올/물 공비 혼합물(3b), 증류탑(13, 14) 하부로는 물농도가 높은 물/알코올 혼합물(3)이 배출된다. 여기서, 증류탑(13, 14) 상부에서 얻어진 순수한 알코올 또는 알코올/물 공비 혼합물(3b)은 반응부(10)로 도입되는 알코올로 재사용될 수 있고, 물 농도가 높은 물/알코올 혼합물(3)은 도 1의 알코올 회수부(40)로 이송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 조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화 반응은 촉매가 도입되지 않으나, 고온 영역에서 수행되므로, 높은 반응 속도 및 지방산의 전환율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온도는 20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20℃ 이고, 반응 압력은 상압 내지 10 바아, 바람직하게는 상압 내지 5 바아이다. 상기 반응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이 회분식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압 내지 10바아의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반응을 실시하거나, 초기에는 3바아 내지 10바아의 상대적으로 고압에서 반응을 실시하여 반응속도를 높이고, 말기에는 상압 내지 3바아로 압력을 낮추어 생성되는 물을 반응액상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반응의 전환율을 높인다. 반응이 연속식으로 이루어질 경우, 전체 단계의 반응공정을 상압 내지 10바아의 일정 압력에서 반응을 실시하거나, 2단계 반응일 경우 1차 반응기에서는 3바아 내지 10바아, 2차 반응기에서는 상압 내지 3바아에서 반응을 실시한다. 상기 반응온도 및 압력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반응속도 및 지방산의 전환률이 저하되거나, 부반응의 우려가 있다.
촉매를 이용한 종래의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통상 100℃ 미만의 저온에서 실시되고, 반응 중 생성되는 물이 반응계로부터 제거되지 못하므로, 반응평형 이상으로는 반응이 진행되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200 내지 350℃의 고온에서 반응을 수행하므로, 반응에서 생성된 물은 과잉의 알코올과 함께, 반응계에서 지속적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화 반응은 반응평형을 넘어, 완전 반응에 가까울 정도로 반응 전환율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주요 용도인 바이오디젤에 있어서는, 전산가(㎎ KOH/g)를 소정치 이하로 낮추어야 하나, 미반응된 지방산 성분(지방족 부분의 탄소수가 13 내지 18개)이 잔류하면, 제조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전산가(㎎ KOH/g)가 높아져, 바이오디젤의 품질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미반응된 지방산 성분은 지방산메틸에스테르와 비점이 유사하여, 증류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으므로, 반응 단계에서 완전 반응에 의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지방산의 전환율이 99.7% 이상으로서, 바이오디젤 품질 기준상의 전산가 항목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반면, 통상의 촉매를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으로는 지방산의 전환율을 99.7% 이상으로 향상시키기 어렵다.
알코올의 투입은, 연속식일 경우, 투입되는 지방산에 대하여 중량비로 0.5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배의 유량으로 투입하며, 전체 반응 공정의 체류시간은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시간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알코올의 투입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반응속도, 반응수율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회분식일 경우, 지방산과 상기 지방산에 대하여 중량비로 0.1 내지 3배의 알코올을 반응기내에 투입하여 채워놓고, 일정 압력과 온도에 도달하면 주반응에 참여할 알코올을 투입하는데, 전체 반응 시간 동안 투입되는 알코올의 총량이, 지방산에 대하여 중량비로 0.5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배가 되도록 유량을 유지하며, 반응은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시간 동안 실시한다. 또한, 상기 회분식 또는 연속식 반응 후기에 알코올의 투입량을 증가시켜 초기 투입량의 1 ~ 3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배로 투입하면 반응 전환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스테르화 반응기로는, 비한정적으로, 교반기가 부착된 연속교반탱크반응기(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 type), 충분한 체류 시간을 유지하도록, 반응기 내부에 배플(baffle)을 부착시킨 관형반응기(plug flow reactor; PF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응기 내에 격막을 설치하여, 반응기 내부를 다수의 격실(隔室, compartment)로 분리하고, 반응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다음 격실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반응물에 충분한 체류 시간을 부여할 수 있는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 장치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반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스테르화 반응기는 전체 지방산의 80 내지 90%를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시키는 1차 반응기(30) 및 상기 1차 반응기(30)에서 전환되지 않은 나머지 지방산을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하는 2차 반응기(40)을 포함한다. 원료인 지방산(1)과 알코올(2)은 상기 1차 반응기(30)로 유입되어 1차 반응되며, 상기 1차 반응의 생성물(4a)은 반응기(30) 하부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1차 반응에서 생성된 물과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과잉의 알코올의 혼합물(3a)은 기체 상태로 반응기(30) 상부로 배출된다. 상기 2차 반응기(40)는 반응기 본체(42)와 상기 본체(42) 내부를 2이상의 내부 공간(44a, 44b, 44c)으로 분할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반응물이 상부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도록 되어 있는 격벽(46a, 46b)을 포함한다. 상기 2차 반응기(40)의 내부 공간(44a, 44b, 44c)들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격벽(46a, 46b) 상부를 통하여, 인접하는 내부 공간(44a, 44b, 44c)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제1 내부공간(44a)으로 유입된 1차 반응의 생성물(4a)과 알코올(2)은 제1 내부공간(44a)에서 충분히 반응된 후, 1차 반응의 생성물(4a)의 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1 격벽(46a)을 넘어 제2 내부공간(44b)으로 유입되고, 다시 제2 내부공간(44b)에서 알코올(2)과 반응된 후, 제2 격벽(46b)을 넘어 제3 내부공간(44c)에서 반응하여, 조(crude) 지방산알킬에스테르(4)로 전환된 다음, 2차 반응기(40)으로부터 유출된다. 이때, 반응 중 생성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3a)은, 2차 반응기(40) 상부로 배출된다. 상기 1차 반응기(30) 및 2차 반응기(40)의 각 내부 공간(44a, 44b, 44c)에는 반응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38, 48)가 각각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에스테르화 반응기는, 전체 지방산의 80 내지 90%를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시키는 1차 반응기(30) 및 상기 1차 반응기(30)에서 전환되지 않은 나머지 지방산을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하는 2차 반응기(50)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반응기(30)는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2차 반응기(50)는 반응기 본체(52)와 상기 본체(52) 내부를 2이상의 내부 공간(54a, 54b, 54c)으로 분할하는 격벽(56a, 56b)을 포함한다. 상기 2차 반응기(50)의 내부 공간(54a, 54b, 54c)들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격벽(56a, 56b)은 상기 내부 공간(54a, 54b)의 하부면을 구성한다. 즉, 제1 내부공간(54a)과 제2 내부공간(54b)은 제1 격벽(56a)에 의하여 상하로 분할 된다. 상기 제1 격벽(56a)에는, 액체 유로(62) 및 기체 유로(64)가 설치된다. 상기 액체 유로(62)의 일단은 제1 내부공간(54a)에 위치하는 반응액의 상부면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1 격벽(56a)을 관통하여, 제2 내부공간(54b) 내부 반응액의 상부면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상기 기체 유로(64)의 일단은 상기 제1 내부공간(54a)에 위치하는 반응액의 상부면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격벽(56a)을 관통하여, 제2 내부공간(54b)에 위치하는 반응액의 상부면 보다 높은 곳 에 위치한다. 상기 액체 유로(62) 및 기체 유로(64)는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격벽(56a, 56b)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격벽(56a, 56b)에 설치된 액체 유로(62) 및 기체 유로(64)를 통하여, 인접하는 내부 공간(54a, 54b, 54c)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제1 내부공간(54a)로 유입된 1차 반응의 생성물(4a)과 알코올(2)은 제1 내부공간(54a)에서 충분히 반응된 후, 1차 반응의 생성물(4a)의 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액체 유로(62)를 통하여 오버플로우하여, 제2 내부공간(54b)으로 유입되고, 다시 제2 내부공간(45b)에서 알코올(2)과 반응된 후, 제2 격벽(56b)에 설치된 액체 유로(62)를 통하여 오버플로우하여 제3 내부공간(54c)에서 반응하여, 조(crude) 지방산알킬에스테르(4)로 전환된 다음, 2차 반응기(50)으로부터 유출된다. 이때, 각각의 내부 공간(54a, 54b)에서, 반응 중 생성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3a)은, 기체 유로(64)를 통하여 상부의 내부 공간(54b, 54a)으로 순차 이동하며, 최상부 내부공간(54a)를 통하여, 2차 반응기(50) 상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1차 반응기(30)에서 전체 지방산의 80 내지 90%를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시킨 다음, 2차 반응기(40, 50)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지방산의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의 나머지 전환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반응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지방산의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의 전환반응 효율(전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얻어진 조(crude) 지방산알킬에스테르(4)는 대부분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있으나, 공업적 또는 바이오디젤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저분자량 및 고분자량의 지방산알킬에스테르, 잔류물(residue) 등을 제거하여야 한다. 특히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경우 바이오디젤의 품질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족 부분의 탄소수가 14개 미만이거나 24개를 초과하는 지방산알킬에스테르, 기타 저분자량의 불순물은 제거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두 단계의 증류공정을 통하여 정제를 수행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1차 정제부(20)에서는, 0.1 내지 150 torr,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 torr의 진공 하에서 증류탑의 하부온도를 1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20℃로 유지하여, 유입물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를 증류탑 상부로 제거한다. 상기 증류탑 상부로 제거되는 분량이, 유입물(feed)에 대하여 1중량% 미만이면 저비점 불순물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유입물에 대하여 10중량%를 초과하면 수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증류탑 상부로 제거되는 저비점 불순물은 대부분이 저분자량의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이므로, 별도의 추가공정을 거치치 않고, 곧바로 보일러 등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정제부(30)에서는, 0.1 내지 150 torr, 바람직하게는 0.1 torr 내지 40 torr의 진공 하에서, 증류탑의 하부온도를 200 내지 300℃, 특히 220 내지 280℃로 유지하여, 원료인 지방산의 조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증류탑 하부로는 유입물에 대하여 1 내지 25중량%의 불순물을 잔류시켜 제거하고, 증류탑 상부로는 정제된 고순도의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얻는다. 상기 증류탑 하부에 잔류되는 불순물이, 유입물에 대하여 1중량% 미만이면, 고순도의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고, 유입물에 대하여 25중량%를 초과하면 수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잔류 불순물은 조성의 대부분이 탄소수 24개를 초과하는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이므로, 보일러 등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정제된 지방산알킬에스테르, 특히 지방산메틸에스테르는 바이오디젤에 대한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의 모든 품질기준을 만족하므로 곧바로 바이오디젤유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생성된 물은, 과잉으로 투입되어 반응하지 않은 알코올과 함께 반응부(10)에서 배출되는데, 이 혼합물은 알코올 회수부(40)에서 분리되어, 물은 폐수처리장으로 이송되고, 알코올은 다시 반응부(10)로 순환되어 재사용된다. 상기 알코올 회수부(40)는 증류탑 및 이에 따른 부속설비로 이루어지며, 증류탑의 하부온도는 알코올의 비점에 따라 조절되어 알코올을 증류시킨다. 상기 증류되어 재사용되는 알코올은 0 내지 10중량%,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중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에 함유되는 물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반응부(10)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속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메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대의 증류탑만을 이용하여, 충분히 순수한 메탄올을 정제시켜 반응부(10)로 순환시킬 수 있고, 에탄올 등 탄소수 2개 이상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탑상으로 배출된 물/알코올 공비 혼합물에 대하여 탈수화 공정을 수행한 다음, 물은 제거하고 알코올은 반응부(10)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제조(연속식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은 2단계 반응으로 진행하였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먼저, 1차 반응기를 온도 300℃, 압력 3 바아로 조절하고, 조 팜오일(crude palm oil)을 증류하여 얻은 지방산 디스틸레이트 1 ㎏ 및 메탄올 1 ㎏을 투입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2차 반응기의 온도는 1차 반응기와 동일하게 유지하였고, 압력을 상압으로 낮추어 2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메탄올 2 ㎏(1차 유입량의 2배)을 3등분하여 각각의 내부 공간(44a, 44b, 44c)으로 투입하였다. 반응생성물을 1차 정제부로 이송하고 20 torr에서 하부온도를 200℃로 유지하여, 증류탑 상부로 유입량 대비 3중량%의 저비점 불순물을 증류시켜 제거하고, 정제된 생성물을 2차 정제부로 이송하였다. 2차 정제부에서는 압력 20 torr, 하부온도를 250℃로 유지하여, 유입량 대비 80중량%의 지방산메틸에스테르를 증류시켜 얻었다. 한편, 상기 반응기에서 생성된 물과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메탄올은 알코올 회수부로 이송하고, 증류를 통해 메탄올을 반응기로 회수하는 방법으로 메탄올을 순환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에서 얻어진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전환율은 99.7% 였다.
[실시예 2]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제조(회분식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은 1단계 반응으로 진행하였으며, 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먼저, 반응기에 지방산디스틸레이트 1 ㎏ 및 메탄올 0.5 ㎏을 투입한 다음, 온도 300℃, 압력 3 바아로 조절한 후, 메탄올 1 ㎏을 더 투입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압력을 상압으로 낮추어 1시간 동안 더 반응시켰으며, 이때 메탄올 유입량을 증가시켜, 메탄올 2 ㎏(1차 유입량의 2배)을 투입하였다. 반응생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정제하였으며, 2차 정제공정의 유입량 대비 90 중량%의 지방산메틸에스테르를 얻었다. 한편,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과잉의 메탄올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하고, 물은 제거하였다. 상기 반응에서 얻어진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전환율은 99.8% 였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촉매의 도입 없이, 일정 고온 및 압력 조건에서, 지방산과 알코올을 반응시킨다. 따라서, 사용된 촉매를 제거하기 위해 중화, 여과, 세척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간단한 두 단계의 증류공정 만으로 고순도, 고전환율의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전체 공정이 단순화되어 공정설비 비용 및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되는 지방산디스틸레이트 또는 저렴한 지방산을 원료로 사용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글리세린 등 부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공급 과잉 위험이 있는 글리세린 시장환경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에스테르화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과잉의 알코올을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알코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공업적인 규모의 장치에서 이상적인 제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소규모 장치에서도 경제적인 제조방법으로서, 특히 지방산메틸에스테르를 제조할 경우에는 별도의 추가공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바이오디젤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200 내지 350℃의 반응 온도 및 상압 내지 10 바아의 반응 압력에서, 지방산 원료와 알코올을 무촉매 하에서 연속적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조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증류탑에 투입하고, 0.1 내지 150 torr의 진공 하에서 증류탑의 하부온도를 150 내지 250℃로 유지하여, 저비점 불순물을 증류시켜 제거하는 1차 정제공정; 및
    상기 1차 정제된 조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0.1 내지 150 torr의 진공 하에서 하부 온도가 200 내지 300℃로 유지되는 증류탑에 투입하여, 지방족 부분의 탄소수가 14 내지 24인 지방산알킬에스테르 증류시켜 얻고, 잔류물을 제거하는 2차 정제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과 반응되는 지방산 원료는, 식물성 조 유지(crude oil)를 가열하여, 식물성 정제 오일을 얻는 경우에, 부산물로서 발생하며, 지방족 부분의 탄소수가 14 내지 24개인 지방산을 65 내지 95중량% 포함하는 지방산 디스틸레이트인 것인,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원료에 대한 알코올의 투입비는 중량비로 0.5 ~ 5배이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반응온도는 250 내지 320℃이며, 반응압력은 상압 내지 5바아인 것인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과잉의 알코올은 생성된 물과 함께 반응기 상부로 배출되어, 반응기에 외곽에 장착된 알코올 회수부로 수집된 다음, 증류되어 반응기로 재순환되는 것인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7. 200 내지 350℃의 반응 온도 및 상압 내지 10 바아의 반응 압력에서, 지방산 원료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되, 전체 지방산의 80 내지 90%를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시키는 1차 반응기;
    상기 1차 반응기에서 전환되지 않은 나머지 지방산을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 전환하는 2차 반응기;
    상기 지방산알킬에스테르로부터 저비점 불순물을 증류시켜 제거하기 위한 1차 정제부; 및
    상기 1차 정제된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증류시켜 지방산알킬에스테르를 얻고,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정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과 반응되는 지방산 원료는, 식물성 조 유지(crude oil)를 가열하여, 식물성 정제 오일을 얻는 경우에, 부산물로서 발생하며, 지방족 부분의 탄소수가 14 내지 24개인 지방산을 65 내지 95중량% 포함하는 지방산 디스틸레이트인 것인,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반응기는 반응기 본체; 및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를 2이상의 내부 공간으로 분할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반응물이 상부로 오버플로 우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인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반응기는 반응기 본체; 및 상기 반응기 본체 내부를 2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2차 반응기 내부의 분할된 내부 공간들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격벽에는, 액체 유로 및 기체 유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은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1 내부 공간 하부에 위치한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유로의 일단은 제1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반응액의 상부면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1 격벽을 관통하여, 제2 내부공간 내부 반응액의 상부면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기체 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반응액의 상부면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제2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반응액의 상부면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인 바이오디젤 연료용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038872A 2006-04-28 2006-04-28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26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872A KR101265759B1 (ko) 2006-04-28 2006-04-28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872A KR101265759B1 (ko) 2006-04-28 2006-04-28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236A KR20070106236A (ko) 2007-11-01
KR101265759B1 true KR101265759B1 (ko) 2013-05-20

Family

ID=3906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872A KR101265759B1 (ko) 2006-04-28 2006-04-28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7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85B1 (ko) * 2014-05-23 2014-08-29 문영기 지방산 유도체 생산장치
KR101430393B1 (ko) 2014-05-23 2014-09-23 문영기 지방산 유도체 생산공정에 적용되는 부산물 재생장치
WO2015178633A1 (ko) * 2014-05-23 2015-11-26 페스웰 주식회사 지방산 유도체 생산장치 및 부산물 재생장치
KR20210098367A (ko) * 2020-01-31 2021-08-10 에스케이에코프라임 주식회사 고산가 유지로부터 바이오오일 제조방법
KR20220170545A (ko) 2021-06-23 2022-12-30 무진기공주식회사 미세조류로부터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전환 공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58B1 (ko) * 2007-11-30 2009-11-23 제이씨케미칼(주) 역반응 방지 반응기
KR100948292B1 (ko) * 2007-11-30 2010-03-17 제이씨케미칼(주) 바이오디젤 제조용 다단 반응기 시스템
MX2010010879A (es) 2008-04-01 2010-10-26 Sk Chemicals Co Ltd Metodo para preparar alquilester de acido graso usando acido graso.
KR101554607B1 (ko) 2008-11-07 2015-09-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64062B1 (ko) * 2011-08-26 2014-02-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바이오 디젤의 제조 방법
KR102327852B1 (ko) * 2013-07-22 2021-11-18 에스케이에코프라임 주식회사 지방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WO2021154022A1 (ko) * 2020-01-31 2021-08-05 에스케이에코프라임 주식회사 고산가 유지로부터 바이오오일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738A (ja) * 2002-06-27 2004-01-29 New Japan Chem Co Ltd 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5206575A (ja) 2003-08-29 2005-08-04 Nippon Shokubai Co Ltd 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及び/又はグリセリンの製造方法並びに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含有組成物
JP2006036817A (ja) * 2004-07-22 2006-02-09 Kimura Chem Plants Co Ltd 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6188590A (ja) 2005-01-05 2006-07-20 Kimura Chem Plants Co Ltd 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738A (ja) * 2002-06-27 2004-01-29 New Japan Chem Co Ltd 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5206575A (ja) 2003-08-29 2005-08-04 Nippon Shokubai Co Ltd 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及び/又はグリセリンの製造方法並びに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含有組成物
JP2006036817A (ja) * 2004-07-22 2006-02-09 Kimura Chem Plants Co Ltd 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6188590A (ja) 2005-01-05 2006-07-20 Kimura Chem Plants Co Ltd 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85B1 (ko) * 2014-05-23 2014-08-29 문영기 지방산 유도체 생산장치
KR101430393B1 (ko) 2014-05-23 2014-09-23 문영기 지방산 유도체 생산공정에 적용되는 부산물 재생장치
WO2015178633A1 (ko) * 2014-05-23 2015-11-26 페스웰 주식회사 지방산 유도체 생산장치 및 부산물 재생장치
KR20210098367A (ko) * 2020-01-31 2021-08-10 에스케이에코프라임 주식회사 고산가 유지로부터 바이오오일 제조방법
KR102507702B1 (ko) 2020-01-31 2023-03-09 에스케이에코프라임 주식회사 고산가 유지로부터 바이오오일 제조방법
KR20220170545A (ko) 2021-06-23 2022-12-30 무진기공주식회사 미세조류로부터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전환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236A (ko)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759B1 (ko)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5232139B2 (ja) 脂肪酸を利用した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5380523B2 (ja) 脂肪酸を用いた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1554607B1 (ko)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7531688B2 (en) Method for recovering unreacted alcohol from biodiesel product streams by flash purification
EP3440168B1 (en) Process for recovery of glycerol from biodiesel production streams
EP3026096B1 (en) Method for preparing fatty acid alkyl ester using fat
US20120279111A1 (en)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biodiesel fuel
KR101390754B1 (ko)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RU241297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алкильных эфиров жирных кислот
US20100126060A1 (en) Biodiesel production with reduced water emissions
US20120288906A1 (en) Process For Obtaining Fatty Acid Lower Alkyl Esters From Unrefined Fats And 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