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426B1 -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426B1
KR101265426B1 KR1020100132235A KR20100132235A KR101265426B1 KR 101265426 B1 KR101265426 B1 KR 101265426B1 KR 1020100132235 A KR1020100132235 A KR 1020100132235A KR 20100132235 A KR20100132235 A KR 20100132235A KR 101265426 B1 KR101265426 B1 KR 101265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back
sip
cal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781A (ko
Inventor
변철우
박종서
장세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3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4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션 설정 프로토콜(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연결 대상이 아닌 제3자 장치(콜백 장치)를 이용하여 SIP 기반으로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과금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저렴하고 편리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콜백 대상에 대한 통화요청 가입자 식별정보(ID) 및 통화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콜백 대상 각각을 착신대상으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여 발신하기 위한 콜백 수단; 및 상기 콜백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호를 착신대상 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콜백 대상 상호 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IP-BASED NON-ORIGINATING CALLBACK COMMUNICATION CONNECTION}
본 발명은 콜백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연결 대상이 아닌 제3자 통신장치(콜백 장치)를 이용하여 세션 설정 프로토콜(SIP : 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으로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과금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저렴하고 편리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백 서비스(Callback Service)는 예를 들어, 국내 이용자가 미국의 통신회선 판매사업자의 교환기로 전화를 걸어 발신음만 듣고 끊으면 미국에서 다시 전화를 걸어 통화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콜백 서비스는 전화요금이 발신자가 속한 국가의 기준으로 부과되고, 상대방 국가의 통신망 이용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데에서 출발한 것이다. 미국의 국제전화 요금은 대개 국내업체 요금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가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공중전화망(PSTN)과 음성 패킷망(VoIP)을 활용한 콜백(Callback) 방법은 통화로 내에서 콜백을 수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망에서 제어를 통제하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콜백 서비스는 위치 기반이 아닌 배정받은 프리픽스(Prefix) 기반으로 과금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금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콜백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다양한 과금을 부과하는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로 밖에서 SIP 기반으로 콜백을 수행하고, 단말 위치를 기반으로 과금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콜백 대상에 대한 통화요청 가입자 식별정보(ID) 및 통화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콜백 대상 각각을 착신대상으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여 발신하기 위한 콜백 수단; 및 상기 콜백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호를 착신대상 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콜백 대상 상호 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콜백 수단은, 상기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통화 종료 시 빌링 서버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위치 기반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콜백 장치에서의 콜백 통화연결 방법에 있어서,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콜백 대상에 대한 통화요청 가입자 식별정보(ID) 및 통화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콜백 대상 각각을 착신대상으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콜백 대상 상호 간에 통화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복수의 호를 소프트스위치를 통하여 해당 착신대상 측으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통화종료 결과를 받으면, 빌링 서버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위치 기반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에서의 콜백 통화연결 방법에 있어서, SIP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콜백 통화를 요청하는 가입자로부터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가입자 식별정보(ID),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 및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SIP 클라이언트를 통해 콜백 장치로 전송하면서 콜백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SIP 클라이언트가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발신된 패킷 호를 착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SIP 배포 서버로부터 상기 SIP 클라이언트를 수신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SIP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가입자 관리 서버에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상기 SIP 클라이언트가 빌링 서버로부터의 선불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폰 환경에서 위치 정보와 SIP 기반의 콜백 통화연결 기능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통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요금 제공과 새로운 형태의 콜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제 통화 등의 통신 시장에서 기존의 글로벌 VoIP 사업자와 경쟁함에 있어 차별화된 시장을 개척하여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 착신용 SIP 클라이언트를 탑재하여 제3자 통신장치(C2C 서버)가 콜백 브릿지 통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이동 음성망 통신 서비스와 관계없이 스마트폰 기기의 오픈된 기능을 활용한 제3자 SIP 기반 콜백 장치의 호 제어를 통하여 사용자 편의적이고 저렴한 비용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를 요청하는 단말에서 발신을 활용하지 않고도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의 수신만을 이용한 통화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과금을 분류하고 통제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다양한 상품 모델의 제공으로 통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통신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가능하게 하며, 선/후불 과금 등 다양한 결제 방식으로 인하여 통신의 융/복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및 과금 처리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호 요청 단말(100), 콜백 장치(110), 소프트스위치(120), SIP 배포 서버(130), 가입자 관리 서버(140), 및 빌링 서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화호 요청 단말(100)은 스마트폰(WiFi PMP 포함)과 같이 데이터 통신접속 기능이 탑재된 단말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어플(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을 통해 배포받은 단말 프로그램(SIP 클라이언트)(10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SIP 클라이언트(101)를 통하여 SIP 기반의 콜백 요청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화호 요청 단말(100)은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호 요청 단말(100)의 SIP 클라이언트(101)는 SIP 통신기능 및 위치 정보 열람 등의 기능이 내재화된 모듈로서,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콜백 통화를 요청하는 사용자로부터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면 해당 가입자 식별정보(ID), 상대방 전화번호, 및 그 확인된 단말 위치 정보(통화호 요청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예를 들면, 위치 좌표)를 콜백 장치(110)에 전송하면서 콜백을 요청하며, 이후에 소프트스위치(120)로부터 발신된 패킷 호를 착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콜백 장치(110)는 SIP 클라이언트(101)로부터 콜백 대상에 해당하는 통화 요청 가입자 식별정보(ID) 및 통화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콜백 대상 각각을 착신대상으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여 소프트스위치(120)로 발신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C2C(Click to Call)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콜백 장치(110)는 통화 요청 가입자 식별정보(ID)를 이용하여 해당 가입자에 대한 패킷 호(패킷망 호, 예를 들어, VoIP Call)와, 통화상대방 전화번호("160"의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 호(음성망 호)를 생성하여 소프트스위치(120)로 발신한다.
또한, 콜백 장치(110)는 SIP 클라이언트(101)로부터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통화 종료 시 빌링 서버(150)에 그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위치 기반의 과금 처리를 요청한다.
소프트스위치(120)는 "교환 수단"의 일종으로서, 콜백 장치(110)에서 생성되어 발신된 복수의 호를 착신대상 측으로 전달하여 콜백 대상 상호 간(101, 160)의 통화연결을 수행한다. 즉, 소프트스위치(120)는 패킷 망(예를 들어, VoIP 망)을 통하여 패킷 호를 전달하고, 음성 망(유/무선 음성통화망)을 통하여 음성 호를 전달한다.
SIP 배포 서버(130)는 SI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단말에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가입자 관리 서버(140)는 가입자 ID, 메일 주소 등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관리하며, 빌링 서버(150)는 가입자 관리 서버(140)와의 연동을 통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빌링 서버(150)는 콜백 장치(110)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통화호 요청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SIP 배포 서버(130)가 웹을 통하여 SI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과 같은 스마트폰어플(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단말 프로그램을 배포하면(200) 사용자 단말(100)이 이를 다운로드받아 해당 SIP 클라이언트(101)를 설치하게 되고(202), 그 설치된 SIP 클라이언트(101)를 통해 가입 정보에 해당하는 ID, 메일주소 등을 가입자 관리 서버(140)에 등록한다(204).
가입자 관리 서버(140)는 가입자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빌링 서버(150)에 전송하고(206), 빌링 서버(150)는 선불 과금 처리를 수행하여 그 결과(선불 과금 정보)를 가입자 관리 서버(140)에 제공한다(208). 그리고 빌링 서버(150)와 SIP 클라이언트(101)는 선불 결제 처리 충전을 진행한다(210, 212). 즉, 빌링 서버(150)의 선불 결제 요청에 따라(210), SIP 클라이언트(101)는 결제를 수행한다(212). 이와 같은 선불 결제 처리 과정은 필수적 절차는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등록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이 시작되면, SIP 클라이언트(101)는 해당 단말(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확인(열람)하며(214), 위치 정보 확인이 끝나고 통화 요구가 있으면(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서 콜백 통화를 요청하면) 사용자 ID(통화 요청자 ID) 및 전화번호(통화상대방 전화번호)와 상기 확인된 단말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콜백 장치(110)에 전달한다(216).
그러면, 콜백 장치(110)는 SIP 통화 방식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2개의 호(2 Calls)을 발신한다(218). 즉, 콜백 장치(110)는 사용자 ID(통화 요청자 ID)를 이용하여 해당 통화호 요청 단말(100)을 착신대상으로 하는 패킷 호(패킷망 호)와, 통화상대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통화호 상대 단말(160)을 착신대상으로 하는 음성 호(음성망 호)를 생성하여 발신한다.
이렇게 발신된 2개의 호에 의하여, 콜백 장치(110)와 소프트스위치(120) 간에 호 경로가 설정되고(220) 양측(SIP 클라이언트, 통화호 상대 단말)으로 통화로가 생성되어(222, 224) 통화연결이 진행된다(226, 228). 즉, 패킷 호는 패킷망(VoIP 망)을 통하여 SIP 클라이언트(101)로 전달되고(222), 음성 호는 음성망을 통하여 통화호 상대 단말(160)로 전달되어(224), 통화 당사자 간에 통화연결이 이루어진다(228).
이후, 통화가 종료하면, SIP 클라이언트(101)는 소프트스위치(120)에 통화 종료 요청을 하고(230), 그러면 소프트스위치(120)는 통화연결 종료 처리를 수행한 후(232, 234), 그 종료 결과를 콜백 장치(110)에 전달한다(236).
해당 서비스에 대한 과금 처리가 통화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된다(238, 240, 242). 즉, 콜백 장치(110)가 빌링 서버(150)에 과금 처리를 요청하면(238), 빌링 서버(150)는 가입자 관리 서버(140)와의 연동을 통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240). 여기서, 콜백 장치(110)는 과금 처리 요청을 하는 경우, "216" 단계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빌링 서버(150)에 전송하며, 빌링 서버(150)는 통화호 요청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를 통하여 통화호 요청 단말(100)이 해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국제 요금을 부과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화호 요청 단말(100)과 소프트스위치(120) 사이 구간에 해당하는 인터넷 통화 영역에 대해서는 무료 과금을 할 수 있으며, 소프트스위치(120)와 통화호 상대 단말(16) 사이의 구간에 해당하는 통화 영역에 대해서는 통신사 간의 상호접속요금으로 통화 비용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통화호 요청 단말(100)의 위치에 기반하여, 거리에 따라 다양한 과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과금 처리가 종료되면, 가입자 관리 서버(140)는 과금 정보를 통화호 요청 단말(100)에 전송한다(24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도로서,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과정에 대한 개괄적/전반적 설명을 나타낸다.
SIP 클라이언트(101)가 해당 통화호 요청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300), 그 확인된 위치 정보와 함께 통화용 정보(통화호 요청 단말의 ID와 통화호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를 콜백 장치(110)에 전달한다(302).
콜백 장치(110)가 SIP 클라이언트(101)로부터 수신한 통화호 요청 단말의 ID와 통화호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2개의 호(패킷 호와 음성 호)를 생성하여 소프트스위치(120)를 통하여 해당 착신 단말 측으로 발신한다(304).
그에 따라, SIP 클라이언트(101)는 소프트스위치(120)를 통하여 전달된 패킷 호를 착신하여 콜백을 연결하고(306), 통화호 상대 단말(160)은 소프트스위치(120)를 통하여 전달된 음성 호(음성망 통화호)를 착신하여 호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308).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SIP 클라이언트(101)를 탑재한 통화호 요청 단말(100)과 통화호 상대 단말(160) 상호간에 통화 브릿지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통하여 양 사용자는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310).
이후, 통화가 종료되어 통화연결이 해제되면(312), 빌링 서버(150)는 가입자 관리 서버(140)와의 연동을 통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31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및 과금 처리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SIP 기반의 인터넷 제3자 콜백 통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스마트폰에서 저비용의 편리한 통화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SIP 배포서비스 과정을 통하여 설치된 SIP 클라이언트(101)는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 확인으로(400) 차별적 요금 부과 여부를 확인하며, 자신의 ID 정보와 요구된 통화연결 번호(통화 상대방 전화번호)와 위치 정보를 콜백 장치(110)로 전달한다(402).
그러면, 콜백 장치(110)는 2개의 호(Call)를 생성한 후(404), 통화를 요청한 단말(100)에는 소프트스위치를 통하여 SIP 프로토콜 기반의 인터넷 호(패킷 호)를 발신하고(406), 통화호 상대 단말(160)에는 소프트스위치를 통해 음성 연결을 진행한다(408).
상기와 같은 통화가 종료된 경우, 콜백 장치(110)는 "402"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빌링 서버(150)에 전송하면서 과금 처리를 요청한다(410). 그에 따라, 빌링 서버(150)는 가입자 관리 서버(140)와의 연동을 통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때, 인터넷 호 구간에 대해서는 비과금 처리하고(실시예에 따라서는, 저렴한 요금 부과)(411) 음성망 호 구간에서는 통신사 간의 상호접속요금으로 통화 비용을 처리할 수 있다(412).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호 요청 단말(100)의 위치 확인을 통하여 과금 여부를 확인하고 인터넷을 활용하여 비용을 최소화하며, 통화호 요청 단말(100)을 대신하여 국내외 위치에서 소프트스위치를 통하여 기존 음성 통화연결을 처리할 수 있어, 경쟁력있는 과금 처리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SIP 기반의 콜백 서비스 등에 이용될 수 있다.
100 : 통화호 요청 단말 101 : SIP 클라이언트
110 : 콜백 장치 120 : 소프트스위치
130 : SIP 배포 서버 140 : 가입자 관리 서버
150 : 빌링 서버

Claims (10)

  1.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콜백 대상에 대한 통화요청 가입자 식별정보(ID) 및 통화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콜백 대상 각각을 착신대상으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여 발신하기 위한 콜백 수단; 및
    상기 콜백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호를 착신대상 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콜백 대상 상호 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 수단
    을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수단은,
    상기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통화 종료 시 빌링 서버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위치 기반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수단은,
    상기 통화요청 가입자 식별정보(ID)에 대한 패킷 호와, 상기 통화상대방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 호를 생성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수단은,
    패킷 망을 통하여 상기 패킷 호를 전달하고, 음성 망을 통하여 상기 음성 호를 전달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수단은,
    소프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6. 콜백 장치에서의 콜백 통화연결 방법에 있어서,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콜백 대상에 대한 통화요청 가입자 식별정보(ID) 및 통화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콜백 대상 각각을 착신대상으로 하는 호(Call)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콜백 대상 상호 간에 통화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복수의 호를 소프트스위치를 통하여 해당 착신대상 측으로 발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IP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통화종료 결과를 받으면, 빌링 서버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위치 기반 과금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
  8. 단말에서의 콜백 통화연결 방법에 있어서,
    SIP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콜백 통화를 요청하는 가입자로부터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가입자 식별정보(ID),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 및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SIP 클라이언트를 통해 콜백 장치로 전송하면서 콜백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SIP 클라이언트가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발신된 패킷 호를 착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SIP 배포 서버로부터 상기 SIP 클라이언트를 수신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SIP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가입자 관리 서버에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IP 클라이언트가 빌링 서버로부터의 선불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방법.
KR1020100132235A 2010-12-22 2010-12-22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235A KR101265426B1 (ko) 2010-12-22 2010-12-22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235A KR101265426B1 (ko) 2010-12-22 2010-12-22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781A KR20120070781A (ko) 2012-07-02
KR101265426B1 true KR101265426B1 (ko) 2013-05-16

Family

ID=4670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235A KR101265426B1 (ko) 2010-12-22 2010-12-22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4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8099A2 (en) 2004-10-07 2006-04-13 Nokia Corporation Callback service in sip/ims from a visited network with a local nu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8099A2 (en) 2004-10-07 2006-04-13 Nokia Corporation Callback service in sip/ims from a visited network with a local nu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781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0196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enabling multimedia ring-back-within the context of a voice-call
KR101323200B1 (ko)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712567B2 (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ystems, methods, network elements and applications
US11546740B2 (en) Routing of toll-free numbers and text messages using a toll-free exchange
JP2013534757A (ja) 通信の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205834B2 (en) Global local number
JP5859129B2 (ja) 拡張型キャリア間付加価値サービスを容易にするためのマスタ・サービス制御機能を実施する方法
KR101265426B1 (ko) Sip 기반의 무발신 콜백 통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7012B1 (ko) 홈망의 로밍 서비스 제어 장치(RSCP:Roaming Service Control Point)에서 수행되는 실시간 로밍 과금 방법, 로밍 서비스 제어 장치 및 시스템
US9503487B2 (en) Call coupling
JP2005537756A (ja) 自動的決済のための方法
KR101179485B1 (ko) 로밍 요금 절감을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로밍 제어 방법
US2013027949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US2013002823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KR20110106819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피어링 파트너에게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시스템
JP2018139391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加入者サーバ、及び通信プログラム
KR101351999B1 (ko) 인터넷전화망 이용 대가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7204B1 (ko) 망 연동에 따른 선별적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관문 교환국
KR101562470B1 (ko)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기업용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그널링 게이트웨이
JP2014160904A (ja) 精算システムおよび精算方法
KR101470018B1 (ko) 로밍 단말의 호 처리 개선 방법 및 시스템
KR101381000B1 (ko) 패킷 호에 대한 수신자부담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51812A (ko)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위치 기반 요금 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0271A (ko) 음성-영상 전환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착신과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25457A (ko) 수신자 부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