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524B1 -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524B1
KR101264524B1 KR1020110021243A KR20110021243A KR101264524B1 KR 101264524 B1 KR101264524 B1 KR 101264524B1 KR 1020110021243 A KR1020110021243 A KR 1020110021243A KR 20110021243 A KR20110021243 A KR 20110021243A KR 101264524 B1 KR101264524 B1 KR 10126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aving
information
radio frequency
circuit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155A (ko
Inventor
배은숙
Original Assignee
배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은숙 filed Critical 배은숙
Priority to KR102011002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52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5Mounting details of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2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는, 특정한 주파수의 전파를 발산하는 리더기에 의해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표면에 봉제되는 섬유 재질의 봉제층; 상기 봉제층에 내측에 형성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내측에 형성되는 필름 재질의 커버층; 상기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가 메모리 형태로 저장되는 회로칩 및 회로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더기에서 발산하는 전파 내에서 움직이면서 발생된 전류를 활용하여 회로칩을 작동시켜 회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리더기로 전송하게 하는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무선주파수인식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을 통해 원단의 제직정보가 원단의 염색공정을 수행하는 메인컴퓨터로 전달되어 원단의 제직정보를 식별하는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원단의 제직정보가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입력됨으로써 염색가공을 원활히 흘러가게 하고 염색공정을 통한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Device of weaving information to cloth}
본 발명은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색가공을 수행하고자하는 원단의 일측에 무선주파수인식태그가 내장된 식별장치를 봉제하여 무선주파수인식태그에 입력된 원단의 제직정보를 식별함으로서 원단의 제직정보를 토대로 바람직한 염색가공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공정은 염료를 사용하여 원단에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실시되는 것으로서, 원단의 특징을 결정짓는 공정으로 원단의 생산 시에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공정이다.
이러한 염색공정은 원단의 종류에 따라 안료를 달리 사용하거나 염색공정의 시간 등을 조절하여 원단의 종류에 맞게 원단의 훼손없이 최적의 색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며, 따라서 염색공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필수적으로 원단의 특징 및 재질 등의 제직정보를 확인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대부분의 염색가공 공정을 작업자가 경험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각 공정의 기기에 작업조건을 수동으로 입력하여 실시하고 있으므로, 원단마다 그 염색 품질의 일관성이 없고, 또 그로 인한 불량률이 높아 양질의 색상을 얻을 수 없었던 실정이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 원단은 그 제직시 제직회사별 제직기에 따라, 원단의 조직밀집도가 다르고 또 그에 함유된 화학약품(풀)의 양이 각기 다르다.
즉, 제직기의 신/구형 및 그 기능 차이에 의해 제직회사별 원단의 특징이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자면 원단의 조직밀집도와 그 내에 함유된 화학약품의 량이 각기 다른 'A'제직회사의 'A'재질 원단과 'B'제직회사의 'A'재질 원단을 동일 조건하에서 위 설명한 염색가공공정을 통해 작업을 실시할 경우, 먼저 염색가공공정의 약품 전처리공정 및 수세공정에서 원단 특징에 따라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 제거 및 세척효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조직밀집도가 높고 화학약품이 첨가량이 많은 원단을 이와 반대의 특징을 가지는 원단과 동일 조건으로 작업을 실시할 경우 원단에 함유된 화학약품 제거 및 세척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 반대 조건으로 작업을 실시하게 할 경우에는 원단의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약품 전처리공정과 수세공정에서 바람직한 작업이 수행되지 않아 원단으로 화학약품과 이물질이 잔류하거나 또는 원단의 훼손이 있을 경우, 염색공정에서 염색작업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다음 공정의 수세 및 텐타 그리고 롤링 공정에서 원단의 염색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원단은 그 특징에 적합한 작업조건으로 염색을 실시하여야만 양질의 색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위와 같은 문제를 인지하면서도 염색가공회사에서는 염색을 실시할 원단의 제직정보 및 그 특징을 쉽게 파악할 수 없어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고, 또 파악한다 하더라도 염색가공공정을 모두 작업자의 경험에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실시하고 있어, 원단 특징에 따른 적합한 염색작업을 수행하지 못하여 염색불량 및 원단의 훼손을 초래하였던 실정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0958770호를 개발하여 사용되었으나, 상기 등록특허 10-0958770호는 펀칭작업을 통해 원단 일측부로 특정 갯수 및 형상과 위치로 형성시킨 표시공의 갯수 및 갯수의 조합 그리고 형성 위치에 따라 원단의 제직정보를 나타내어 염색가공공정에서 표시공을 통하여 나타난 원단의 제직정보를 바탕으로 그에 가장 적합한 방법의 염색가공이 신속, 편리하게 하는 효과는 있었으나,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 10-0958770호에서 표시공을 통해 원단의 제직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원단을 가공장치에 투입시켜 그 장치에 설치된 리더기에 의해서만 제직정보가 인식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원단이 적재된 상태에서 그 원단의 제직정보를 파악하기 힘들고, 이로 인해 적재된 원단의 재고파악 및 가공계획을 세우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색가공을 수행하고자하는 원단의 일측에 무선주파수인식태그가 내장된 식별장치를 봉제하여 무선주파수인식태그에 입력된 원단의 제직정보를 식별함으로서 원단의 제직정보를 토대로 바람직한 염색가공이 염색가공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는, 특정한 주파수의 전파를 발산하는 리더기에 의해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표면 일측에 봉제되는 원단과 동일한 섬유 재질의 봉제층; 상기 봉제층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내측에 형성되는 필름 재질의 커버층; 상기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회사, 제직기 정보, 원단의 재질, 작업정보 등의 제직정보가 메모리 형태로 저장되어 COB(Chip On Board)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로칩 및 회로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더기에서 발산하는 전파 내에서 움직이면서 발생된 전류를 활용하여 회로칩을 작동시켜 회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리더기로 전송하게 하도록 구리선을 타원형 형태로 수회에 걸쳐서 감은 형태로 이루어져 단부가 회로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무선주파수인식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주재질은 실리콘과 테프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층(20)의 두께는 0.2㎜ 내지 0.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염색공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가 저장되면서도 리더기에서 발산하는 주파수에 따라 저장된 제직정보를 리더기에 송신하는 무선주파수인식태그가 실장된 식별장치가 원단의 일측에 봉제되기 때문에,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을 통해 원단의 제직정보가 원단의 염색공정을 수행하는 메인컴퓨터로 전달되어 원단의 제직정보를 식별하는 염색공정의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원단의 제직정보가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입력됨으로써 염색가공을 원활히 흘러가게 하고 염색공정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층의 주재질은 높은 내열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실리콘과 테프론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보호층의 두께가 0.2㎜ 내지 0.4㎜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150℃로 유지되는 염색공정에서도 보호층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층 내부에 형성된 무선주파수인식태그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가 원단에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가 원단에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색공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가 저장되는 무선주파수인식태그가 실장된 형태로 원단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무선주파수인식태그에 저장된 원단의 제직정보를 인식하는 리더기를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주위로 이동시킴으로써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을 활용하여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단(1)은 섬유뿐만 아니라 제지, 필름 등이 적용됨을 미리 알려둔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에 봉제되는 봉제층(10)과, 상기 봉제층(10)의 내부로 형성되는 보호층(20)과, 상기 보호층(20)의 내부로 형성되는 커버층(30)과, 상기 커버층(30)의 내부에 실장되는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봉제층(10)은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1)의 표면에 봉제될 수 있도록 원단(1)과 동일한 섬유 재질로 구성되어 후술되는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가 실장되는 보호층(20) 및 커버층(30)을 내부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봉제층(10)은 원단(1)의 일측에 봉제됨으로써 봉제층(10)의 내부에서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가 실장되는 보호층(20) 및 커버층(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원단(1)의 이송과정 중에 작업자가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에 대한 마찰을 완충하여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층(20)은 봉제층(10)의 내측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커버층(30)과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층(30)은 보호층(20)의 내측에 형성되는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로 후술되는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가 실장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층(30)이 필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를 상, 하로 접지하여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위치를 고정시켜 외력에 의해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작동을 원활히 하면서도 원단(1)에 외력에 가해지면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와 함께 변형 후 복원이 가능하여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커버층(30)의 내부로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회사 및 제직기 정보, 원단의 재질 및 작업정보 등의 원단의 제직정보가 메모리 형태로 저장되는 회로칩(41)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로칩(41)의 형태는 COB(Chip On Board) 형태로 이루어져 커버층(30)의 내부에 용이하게 실장되면서도 커버층(30)의 접지력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는 회로칩(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43)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안테나(43)의 형태는 구리선을 타원형 형태로 수회에 걸쳐서 감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안테나(43)의 단부가 회로칩(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작동원리는 리더기를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근거리에 이동시키면 리더기에서 발산하는 전파 내에서 안테나(43)가 반응하여 회로칩(41)을 작동시킴으로서, 회로칩(41)에 저장된 정보를 리더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살펴보면,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가 메모리 형태로 저장된 회로칩(41)에 안테나(43)의 단부가 연결된 형태의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를 커버층(30)으로 실장하여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를 고정하고 커버층(30)을 다시 보호층(20)의 내부로 실장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층(30)이 실장된 보호층(20)은 봉제층(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염색공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원단(1)의 일측에 봉제작업을 실시하여 원단(1)의 일측에 봉제층(10)이 봉제되어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가 원단(1)의 일측에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가 위치된 원단(1) 일측의 근거리로 특정한 주파수의 전파를 발산하는 리더기를 이동시키면 안테나(43)가 리더기에서 발산하는 전파 내에서 움직이면서 발생된 전류를 활용해 회로칩(41)을 작동시켜 회로칩(41)에 저장된 정보를 리더기로 전송함으로써 원단의 제직정보를 리더기가 식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염색공정을 자동실시하는 메인컴퓨터에 리더기를 통해 식별된 원단의 제직정보가 전송 또는 입력되어 원단(1)의 염색공정이 원단의 제직정보에 따라 메인컴퓨터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원단(1)의 제직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을 통해 원단(1)의 염색공정을 수행하는 메인컴퓨터로 전달되어 원단(1)의 제직정보를 식별하는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염색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원단(1)의 제직정보가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입력됨으로써 염색가공을 원활히 흘러가게 하고 염색공정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통상적인 염색공정에서 온도는 150℃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이러한 고온에도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층(20)은 필수적으로 높은 내열성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호층(20)의 주재질은 높은 내열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실리콘과 테프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호층(20)이 고온의 온도 및 습도에 의해 보호층(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층(20) 내부에 형성된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20)의 두께는 0.2㎜ 내지 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보호층(20)의 두께가 0.2㎜ 내지 0.4㎜로 유지될 때, 실리콘과 테프론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20)은 200℃의 온도에도 견딜 수가 있게 되어 염색공정에서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호층(20)의 두께가 0.2㎜ 보다 얇으면 커버층(30) 및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가 실장되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두께가 유지되어야만 내열성이 유지되어 가변되는 온도 및 습도에 보호층(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호층(20)의 두께가 0.4㎜ 보다 두꺼우면 원단(1)에 봉제된 봉제층(10)이 원단(1)의 표면에서 높게 형성되어 원단(1)의 이송과정에서 봉제층(10)의 훼손을 야기시켜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가 손상될 우려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1 : 원단 10 : 봉제층
20 : 보호층 30 : 커버층
40 : 무선주파수인식태그 41 : 회로칩
43 : 안테나

Claims (3)

  1. 특정한 주파수의 전파를 발산하는 리더기에 의해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를 식별하는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1)의 표면 일측에 봉제되는 원단(1)과 동일한 섬유 재질의 봉제층(10);
    상기 봉제층(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호층(20);
    상기 보호층(20)의 내측에 형성되는 필름 재질의 커버층(30);
    상기 염색하고자 하는 원단(1)의 제직회사, 제직기 정보, 원단의 재질, 작업정보 등의 제직정보가 메모리 형태로 저장되어 COB(Chip On Board)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로칩(41) 및 회로칩(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더기에서 발산하는 전파 내에서 움직이면서 발생된 전류를 활용하여 회로칩(41)을 작동시켜 회로칩(41)에 저장된 정보를 리더기로 전송하게 하도록 구리선을 타원형 형태로 수회에 걸쳐서 감은 형태로 이루어져 단부가 회로칩(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43)로 이루어지는 무선주파수인식태그(4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20)의 주재질은 실리콘과 테프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층(20)의 두께는 0.2㎜ 내지 0.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21243A 2011-03-10 2011-03-10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KR10126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43A KR101264524B1 (ko) 2011-03-10 2011-03-10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43A KR101264524B1 (ko) 2011-03-10 2011-03-10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55A KR20120103155A (ko) 2012-09-19
KR101264524B1 true KR101264524B1 (ko) 2013-05-14

Family

ID=4711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243A KR101264524B1 (ko) 2011-03-10 2011-03-10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5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770B1 (ko) * 2007-12-28 2010-05-18 박태규 원단에 제직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JP2011015395A (ja) * 2009-06-03 2011-01-20 Nippon Information System:Kk Rfidタグ付き布およびrfidタグ付き布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770B1 (ko) * 2007-12-28 2010-05-18 박태규 원단에 제직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JP2011015395A (ja) * 2009-06-03 2011-01-20 Nippon Information System:Kk Rfidタグ付き布およびrfidタグ付き布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55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4642B2 (en) Merchandise tags incorpo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2689382B1 (en) Rfid tag assembly and label process
EP2787467A1 (en) Cloth-based electronic t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70407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
CN106462780B (zh) 结合耐用天线的商品标签
EP2901374A1 (en) Improvements in rfid tag assemblies and process
US20150154488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64524B1 (ko) 원단의 제직정보 식별장치
KR20170002234U (ko) 고무 타이어의 내부에 이식되는 rfid 장치 및 이의 프로세싱 방법
JP2017204264A (ja) Rfidタグを備えたケアラベル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101264907B1 (ko) 도전사로 자수나 박음질하여 형성한 hf rfid 태그 안테나
FI121763B (fi) Vahvistinantennin käsittävä transponderi
US9886661B1 (en) RFID tag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KR20150019209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976600B1 (ko) Rfid 판독기가 장착된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KR100958770B1 (ko) 원단에 제직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KR20100066933A (ko) 도전사와 전도성 잉크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한 섬유태그
CN111051594A (zh) 用于改善洗涤物处理的手持装置、具有该手持装置的系统和用于其运行的方法
KR20080105492A (ko) 도전사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태그
CN103919317B (zh) 基于标签卡的服装生产加工工艺
KR20100073686A (ko) 도전사 섬유태그 안테나의 rfid 칩 부착방법
US11177561B2 (en) Protected RFID antenna
KR101560630B1 (ko) Rfid 태그 및 그 태그와 케어라벨의 부착방법
KR20170128161A (ko) Rfid 태그가 구비된 케어라벨 및 이의 제작방법
JP2020112957A (ja) Rfidシステム,rfidカードおよびリーダライ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