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509B1 - 연마 장치 - Google Patents

연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509B1
KR101264509B1 KR1020110021644A KR20110021644A KR101264509B1 KR 101264509 B1 KR101264509 B1 KR 101264509B1 KR 1020110021644 A KR1020110021644 A KR 1020110021644A KR 20110021644 A KR20110021644 A KR 20110021644A KR 101264509 B1 KR101264509 B1 KR 101264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ashing water
housing
plate portion
polis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803A (ko
Inventor
손경춘
Original Assignee
손경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춘 filed Critical 손경춘
Priority to KR102011002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50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가 자체적으로 공급되며, 바닥면이 연마되면서 생성된 분진이 흡입될 수 있도록 한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공급부; 상부에 상기 구동부 및 세척수 공급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마판부가 구비된 중공의 연동하우징부; 상기 연마판부를 감싸면서 상기 연동하우징부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 유입공이 형성되고, 분진배출구가 형성된 연마하우징부; 및 상기 분진배출구에 연결된 분진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연마 장치에 따르면, 세척수 공급부를 연마 장치에 일체로 구비하고,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마부로 세척수가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연마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며, 연마 작업으로 인해 발생된 분진이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여 연마 작업 시 분진이 작업장 주변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마 장치{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가 자체적으로 공급되며, 바닥면이 연마되면서 생성된 분진이 흡입될 수 있도록 한 연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 장치는 외발 연마 장치와 쌍발 연마 장치로 나눌 수 있으며, 외발 연마 장치는 연마 헤드가 1개인 방식을 칭하며, 쌍발 연마 장치 연마 헤드가 2 개인 방식을 칭한다.
이러한 연마 장치 중 쌍발 연마 장치는 넓은 면적을 동시에 2 개의 연마 헤드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쌍발 연마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하는 전기 모터(10)와, 상기 전기 모터(10)의 하부 좌우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마 헤드(12)와, 완충 매개부(14)와, 지지 막대(16) 및 상기 지지 막대(16)의 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8)를 포함한다.
완충 매개부(14)는 상기 전기 모터(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기 모터(10)를 가동시켜 한 쌍의 연마 헤드(12)가 회전하면 상당한 크기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완충 매개부(14)는 지지 막대(16) 및 손잡이(18)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줄여주어 연마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쌍발 연마 장치는 연마 작업시 필요한 세척수를 별도로 구비하여 연마 작업 시 할 바닥에 뿌려줘야 하므로 연마 작업이 필요한 곳에 충분한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연마 작업으로 인해 발생한 분진이 주변으로 날리면서 세척수와 섞여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수 공급부를 연마 장치에 일체로 구비하고,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마부로 세척수가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연마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며, 연마 작업으로 인해 발생된 분진이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여 연마 작업 시 분진이 작업장 주변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마 장치는, 구동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공급부; 상부에 상기 구동부 및 세척수 공급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마판부가 구비된 중공의 연동하우징부; 상기 연마판부를 감싸면서 상기 연동하우징부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 유입공이 형성되고, 분진배출구가 형성된 연마하우징부; 및 상기 분진배출구에 연결된 분진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하우징부는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홈부가 형성된 베이스판부와; 상기 연결홈부 사이에서의 상기 베이스판부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구동홈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과 하부가 개방된 중앙커버부와; 상기 중앙커버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판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커버부와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며 하부가 개방된 측면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커버부는 상기 구동홈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의 제1측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의 제2측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부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전후방으로 이격된 상부연결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의 하단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연결탭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탭이 위치한 상기 베이스판부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의 체결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부에는 하부브라켓부가 후방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하부브라켓부에 상기 분진흡입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브라켓부에는 상기 분진흡입부 하부에 위치하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마하우징부는 상기 베이스판부의 하부에 구비된 원통형의 제1연마하우징부와, 상기 제1연마하우징부의 하부에서 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완충패드부와, 상기 완충패드부의 단부 하부에 구비된 원통형의 제2연마하우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마하우징부에 측방으로 세척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마하우징부에 측방으로 분진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의 상부에는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된 결합탭부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는 상기 결합탭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세척수 유입공 사이에는 관 형상의 세척수 공급관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마 장치에 따르면, 세척수 공급부를 연마 장치에 일체로 구비하고,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마부로 세척수가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연마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며, 연마 작업으로 인해 발생된 분진이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여 연마 작업 시 분진이 작업장 주변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연동하우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판부 및 중앙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측면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연동회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판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판부의 저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세척수 공급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 연동하우징부(100)를 기준으로 메인휠브라켓부(710)가 구비된 방향을 '후방', 그 반대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도 4에서의 가로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연동하우징부(100)와, 상기 연동하우징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구동회전축(310)이 삽입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와, 상기 구동부(300)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동하우징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한 쌍의 세척수 공급부(500)와, 상기 연동하우징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바닥을 연마하는 한 쌍의 연마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300)의 후방으로 상기 연동하우징부(100) 상부에 지지브라켓부(61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브라켓부(610)에 지지대부(6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부(630)의 단부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650)가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510은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투입구이다.
상기 연동하우징부(10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회전축(310)의 일측과 타측으로 상기 구동부(30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연동회전부(17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연마부(200)에는 상기 연동회전부(170)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연마헤드부(270)가 구비된다. 상기 연마부(200)도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연동하우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판부 및 중앙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측면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연동하우징부(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베이스판부(110)와, 상기 베이스판부(110)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는 중앙커버부(130)와, 상기 중앙커버부(13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의 상기 베이스판부(110) 상부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커버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부(11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측에 상하로 관통된 연결홈부(115)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부(115)에서 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제2체결공(119)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부(100)의 양측 단에는 측면연결탭(111)이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중앙커버부(1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홈부(115) 사이에서의 상기 베이스판부(110) 상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관통된 구동홈부(135)가 형성된 판 형상의 상판부(131)와, 상기 상판부(131)의 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의 제1측판부(133)와, 상기 상판부(131)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의 제2측판부(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131)에는 구동홈부(135)에서 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제1체결공(139)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커버부(130)는 길이방향 양측과 하부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상판부(131)에는 길이방향 양단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연결탭(1313)이 한 쌍씩 각각 돌출 구비된다.
상기 상부연결탭(1313)은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측판부(133) 및 제2측판부(137)의 하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부연결탭(1335)이 각각 절곡 구비된다.
상기 제1측판부(133)에 구비된 하부연결탭(1335)은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2측판부(135)에 구비된 하부연결탭(1335)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하부연결탭(1335)이 위치한 상기 베이스판부(11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의 체결장공(117)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장공(117)은 상기 제1측판부(133)에 구비된 하부연결탭(1335)이 위치한 베이스판부(110)와, 상기 제2측판부(135)에 구비된 하부연결탭(1335)이 위치한 베이스판부(110)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부(110)의 체결장공(117) 상부에 상기 중앙커버부(130)의 하부연결탭(1335)을 위치시키고,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체결장공(117)과 상기 하부연결탭(1335)을 관통하여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중앙커버부(130)와 상기 베이스판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커버부(130)는 상기 체결장공(117)이 형성된 길이만큼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을 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15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와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이며, 일측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중앙커버부(130)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중앙커버부(130) 및 상기 베이스판부(110)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커버부(150)는 일측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중앙커버부(130) 및 베이스판부(110)에 결합된다.
상기 측면커버부(150)의 상부에는 한 쌍의 결합탭부(15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결합탭부(155)는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판부(110)에 결합된 상기 중앙커버부(130)의 양측에 일측이 개방된 부분이 상기 중앙커버부(130)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부(110)에 상기 측면커버부(150)를 위치시키고,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중앙커버부(130)의 상부연결탭(1313)과 상기 측면커버부(150)의 상부를 체결시키고, 상기 베이스판부(110)의 측면연결탭(111)과 상기 측면커버부(150)의 개방되지 않은 타측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측면커버부(150)는 상기 중앙커버부(130)와 베이스판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150)가 상기 중앙커버부(130) 및 베이스판부(110)에 결합되면, 상기 중앙커버부(130)는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되고, 상기 측면커버부(150)는 개방된 일측이 상기 중앙커버부(130)의 양측을 향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중앙커버부(130)와 측면커버부(150)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통 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회전축(310)이 상기 중앙커버부(130)의 구동홈부(135)를 관통하여 상기 중앙커버부(130)에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중앙커버부(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제1체결공(139)을 통하여 상기 중앙커버부(130)와 구동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축(310)에는 원판 형상의 구동풀리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커버부(15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연동하는 연동회전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회전부(170)는 상기 베이스판부(110)의 연동홈부(115)를 관통하면서 상기 베이스판부(110)에 결합된다.
상기 연동회전부(170)는 일측의 측면커버부(150) 및 타측의 측면커버부(150) 내부에 각각 구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연동회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연동회전부(17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이며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부(171)와, 상기 지지판부(171)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부(171)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면서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173)와, 상기 연장부(173) 및 상기 지지판부(171)를 상하로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연동회전축(175)과, 상기 연동회전축(175)의 상부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연동풀리부(177)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부(173)와 연동회전축(175) 사이에는 베어링부(17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부(179)를 통해 상기 연동회전축(175)은 상기 연장부(173)에 간섭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부(171)는 상기 베이스판부(110)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체결공(119)을 통해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베이스판부(110)의 하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동회전부(170)는 상기 베이스판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회전축(175)은 상기 지지판부(171)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풀리부(310)와 연동풀리부(17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등의 구동전달부재(350)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00)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풀리부(330)가 회전되면 상기 연동풀리부(177)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연동부(170)가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구동풀리부(310)에는 2개의 구동전달부재(350)가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마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회전축(175)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연마헤드부(270)와, 상기 연마헤드부(27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연마하는 연마판부(290)와, 상기 연마헤드부(270)와 연마판부(290)를 원주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판부(110)의 하부에 구비된 연마하우징부(201)로 이루어진다.
연마헤드부(270)는 상기 연동회전축(175)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홀더부(271)와, 상기 홀더부(271)의 하부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구동판부(273)와, 상기 구동판부(273)의 하부에 구비된 판 형상의 회전판부(275)와, 상기 구동판부(273)와 회전판부(275)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79)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부(275)의 하부에 상기 연마판부(290)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판부(273)와 상기 회전판부(275) 사이에는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회전판부(275)는 상기 구동판부(273)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가 있다.
상기 연마하우징부(20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110)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으로 결합된 제1연마하우징부(210)와, 상기 제1연마하우징부(210) 하부에 연결되어 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신축성 있는 재질의 완충패드부(230)와, 상기 완충패드부(230)의 외주면 단부 하부에서 원주방향으로 결합된 제2연마하우징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마하우징부(210)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세척수 유입공(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마하우징부(250)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분진배출구(253)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부(131)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판부(137)에서 후방을 향하여 한 쌍의 메인휠브라켓부(71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휠브라켓부(710)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메인휠브라켓부(710)의 후방에는 메인휠부(7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축(715)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메인휠브라켓부(710)에서 휠축(715)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측판부(137)가 위치한 방향의 상기 베이스판부(110)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브라켓부(410)가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하부브라켓부(410)에서 후방으로 힌지부(415)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415)에 분진흡입부(4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분진흡입구(4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유로(431)와, 제2유로(433)와, 제3유로(435)가 구비된 관 형상이며, 제1유로(431)는 별도의 진공청소기 등의 분진을 모을 수 있는 집진장치(미도시)에 연결되고, 제2유로(433)는 일측의 상기 연마부(200)의 제2연마하우징부(250)에 형성된 분진배출구(253)로 연결되고, 제3유로(435)는 타측의 상기 연마부(200)의 제2연마하우징부(250)에 형성된 분진배출구(253)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433) 및 제3유로(435)와 상기 분진배출구(253)는 주름관 등의 분진관(450)을 통하여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판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판부의 저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분진흡입부(430)의 하부에는 도 8,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진흡입부(43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411)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11)는 상기 하부브라켓부(4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후단에는 상기 분진흡입부(430)를 향하여 오목한 오목부(4111)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10)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길이가 감소되도록 테이퍼져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판부(110)의 하부에는 도 3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보조휠브라켓부(81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휠브라켓부(810)는 상기 일측의 연마부(200)와 타측의 연마부(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휠브라켓부(810)에는 보조휠부(83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휠부(830)는 구르는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되도록 구비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를 이루는 세척수 공급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는 도 2, 도 4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커버부(15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탭부(155)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수용부(510)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가 상기 측면커버부(150)의 상부에 구비될 시 상기 결합탭부(155)가 상기 결합수용부(510)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와 상기 측면커버부(150)를 결합시킬 수가 있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와 제1연마하우징부(210)에 형성된 상기 세척수 유입공(213) 사이에는 관 형상의 세척수 공급관부(530)가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부(530)를 통하여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제1연마하우징부(210)로 공급될 수가 있다.
상기 제1연마하우징부(210)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연마헤드부(270)를 거쳐 연마판부(290)로 이동되며, 연마 작업 시 상기 연마헤드부(270) 및 연마판부(290)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세척수는 바닥으로 이동된다.
세척수는 연마하우징부(201)의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기 연마판부(290)에 인접한 바닥으로 유동되어 연마 작업에 사용된다.
상기 세척수 공급관부(530)에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부(5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 장치가 이루어지면, 연마 작업을 할 위치로 연마 장치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구동부(300)로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부(300)가 구동되어 구동회전축(310) 및 구동풀리부(3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풀리부(330)와 구동전달부재(350)로 각각 연결된 일측의 연동풀리부(177)와 타측의 연동풀리부(177)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각각의 연동회전축(175)이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각각의 연동회전축(175)에 연결된 연마헤드부(27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각각의 연마헤드부(270)에 연결된 상기 연마판부(290)가 회전되면서 바닥을 연마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하여 한 쌍의 연마판부(29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연마 작업 속도가 빠르게 된다.
바닥의 연마 작업시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고 경사면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회전판부(275)가 유니버설 조인트와 탄성부재(279)에 의해 사방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바닥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회전판부(275)도 회전하게 되면서 경사면에 대한 연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마 작업 중 분진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발생된 분진은 상기 분진배출구(253)에 연결된 분진흡입부(430)를 통해 별도의 집진장치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연마 작업 시 바닥의 세척이 필요하면, 상기 조절밸브부(535)를 열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공급관부(530)를 통하여 상기 연마하우징부(201)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연마하우징부(201)로 공급된 세척수는 하부로 유동하면서 연마판부(290)의 인접한 바닥으로 유동되면서 바닥을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연동하우징부 201: 연마하우징부
213: 세척수 유입공 253: 분진배출구
290: 연마판부 300: 구동부
430: 분진흡입부 500: 세척수 공급부

Claims (9)

  1. 구동부(300)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공급부(500)와, 상부에 상기 구동부(300) 및 세척수 공급부(500)가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구동부(3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마판부(290)가 구비된 중공의 연동하우징부(100)와, 상기 연마판부(290)를 감싸면서 상기 연동하우징부(100)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 유입공(213) 및 분진배출구(253)가 형성된 연마하우징부(201)와, 상기 분진배출구(253)에 연결된 분진흡입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하우징부(201)는 연동하우징부(100)를 이루는 베이스판부(110)의 하부에 구비된 원통형의 제1연마하우징부(210)와, 상기 제1연마하우징부(210)의 하부에서 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완충패드부(230)와, 상기 완충패드부(230)의 단부에 구비된 원통형의 제2연마하우징부(2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마하우징부(210)에 측방으로 세척수 유입공(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마하우징부(250)에 측방으로 분진배출구(2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연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우징부(100)는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홈부(115)가 형성되며 하부로 상기 연마하우징부(201)의 제1연마하우징부(210)가 구비되는 베이스판부(110)와; 상기 연결홈부(115) 사이에서의 상기 베이스판부(110)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구동홈부(135)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과 하부가 개방된 중앙커버부(130)와; 상기 중앙커버부(13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상기 베이스판부(110)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커버부(130)와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며 하부가 개방된 측면커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연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커버부(130)는
    상기 구동홈부(135)가 형성된 판 형상의 상판부(131)와, 상기 상판부(131)의 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의 제1측판부(133)와, 상기 상판부(131)의 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의 제2측판부(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부(13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전후방으로 이격된 상부연결탭(1313)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측판부(133) 및 제2측판부(137)의 하단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연결탭(1335)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연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탭(1335)이 위치한 상기 베이스판부(110)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의 체결장공(1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연마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부(110)에는 하부브라켓부(410)가 후방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하부브라켓부(410)에 상기 분진흡입부(4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연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부(410)에는 상기 분진흡입부(430) 하부에 위치하며 후방을 향하여 스토퍼(411)가 연장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연마 장치.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부(150)의 상부에는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상부로 연장된 결합탭부(155)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에는 상기 결합탭부(155)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수용부(5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연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와 상기 세척수 유입공(213) 사이에는 관 형상의 세척수 공급관부(53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연마 장치.
KR1020110021644A 2011-03-11 2011-03-11 연마 장치 KR101264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644A KR101264509B1 (ko) 2011-03-11 2011-03-11 연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644A KR101264509B1 (ko) 2011-03-11 2011-03-11 연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803A KR20120103803A (ko) 2012-09-20
KR101264509B1 true KR101264509B1 (ko) 2013-05-15

Family

ID=4711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644A KR101264509B1 (ko) 2011-03-11 2011-03-11 연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916B1 (ko) * 2013-08-08 2015-07-07 지윤정 콘크리트 그라인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4329A (zh) * 2017-11-27 2018-05-04 安徽和润特种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生产加工设备
CN111761438B (zh) * 2020-07-13 2021-03-19 湖南教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浇筑后的水泥地面打磨车
KR102377764B1 (ko) * 2021-07-01 2022-03-23 주식회사 드림컴퍼니 콘크리트 바닥의 폴리싱 공법
KR102354023B1 (ko) * 2021-07-01 2022-01-21 주식회사 드림컴퍼니 마루바닥의 샌딩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440A (ja) 2003-05-23 2004-12-09 Sadaichi Otake 床用回転ポリシャー
JP2006297563A (ja) 2005-04-22 2006-11-02 Institute Of Physical & Chemical Research 床面施工方法及び床面研削装置
KR100931641B1 (ko) * 2009-07-28 2009-12-14 (주)성심 폴리싱 머신용 기어툴 박스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440A (ja) 2003-05-23 2004-12-09 Sadaichi Otake 床用回転ポリシャー
JP2006297563A (ja) 2005-04-22 2006-11-02 Institute Of Physical & Chemical Research 床面施工方法及び床面研削装置
KR100931641B1 (ko) * 2009-07-28 2009-12-14 (주)성심 폴리싱 머신용 기어툴 박스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916B1 (ko) * 2013-08-08 2015-07-07 지윤정 콘크리트 그라인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803A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5730B (zh) 清掃機
KR101264509B1 (ko) 연마 장치
TWI603707B (zh) 清掃機器人
KR101448660B1 (ko) 청소기
KR101812021B1 (ko) 로봇청소기
US8984696B2 (en) Random orbit disc scrubber
KR102021824B1 (ko) 로봇 청소기
EP3566631A1 (en) Fluid manifolds for floor cleaning machine
US20170290487A1 (en) Dusting device for cleaning machine
CN100353902C (zh) 真空吸尘器吸头
US11154178B2 (en) Mop cleaning system
CN201179038Y (zh) 振动式清洁机
JP5789022B2 (ja) 掃除機
JP2021532944A (ja) 破片を除去するためのくしユニットを有する掃除装置におけるノイズ及び/又は振動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I814358B (zh) 拖把、吸嘴及清掃機
KR100582285B1 (ko) 물걸레 청소기
EP3510911B1 (en) A mop cleaning system
EP1603443A1 (en) Polishing vacuum cleaner for hard surfaces
KR101443648B1 (ko) 청소기
TWI841469B (zh) 拖把、吸嘴及清掃機
CN201200378Y (zh) 吸尘器地刷
AU2021247958B2 (en) Wet mop module for cleaner
TWI798611B (zh) 清掃機
CN213606151U (zh) 一种多用途陀螺仪地毯旋转清洗机
CN219048248U (zh) 地刷组件及地面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