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244B1 - 휴대용 정수 수통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 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244B1
KR101264244B1 KR1020110132976A KR20110132976A KR101264244B1 KR 101264244 B1 KR101264244 B1 KR 101264244B1 KR 1020110132976 A KR1020110132976 A KR 1020110132976A KR 20110132976 A KR20110132976 A KR 20110132976A KR 101264244 B1 KR101264244 B1 KR 10126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filter member
weigh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식
조웅기
박오현
Original Assignee
(주)삼성홈코리아
박오현
조웅기
엄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홈코리아, 박오현, 조웅기, 엄태식 filed Critical (주)삼성홈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13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2003/163Water bottles with purification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 수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수통의 내부에 필터를 마련하여 오염된 물을 넣으면 언제 어디서나 정수된 깨끗한 물을 음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구(110)가 형성된 몸체(100)와; 출구(210)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입구(110)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입구(110)로부터 상기 출구(210)로 배출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220)가 마련된 정수부(200)와; 상기 정수부(200)의 출구(210)를 개폐시키는 뚜껑(300)으로 구성되어, 휴대용 수통의 내부에 필터를 마련하여 흐르는 강물이나 바로 음용하기 어려운 오염된 물을 넣으면 환경적으로 물을 구하기 어려운 곳이거나 전시 상황에서도 항상 정수된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 수통{portable water bottle for purifying}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 수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수통의 내부에 여과용 필터를 마련하여 오염된 물을 담아 언제 어디서나 정수된 깨끗한 물을 음용하기 위한 장치로써, 흐르는 강물이나 바로 음용하기 어려운 오염된 물을 담아 환경적으로 물을 구하기 어려운 곳이거나 전시 상황에서도 항상 정수된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통이란 물을 담아 보관하는 용기로써, 사용자가 물을 담아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수통이 군용 또는 민간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수통에 깨끗한 물을 넣어 놓아도 그 내부에서 오염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아랍이나 일부 동남아 국가 등 몇몇 나라에서는 기후 환경적인 이유에 의해 깨끗한 물 자체를 공급받는 것조차 어려움이 많았다.
이뿐 아니라, 예를 들어 군인들의 경우 음용할 수 있는 깨끗한 물을 전시 상황에서 항상 원활하게 보급 받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흐르는 물 등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나 음용이 불가능한 물을 담아 자체적으로 손쉽게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수통의 내부에 필터를 마련하여 흐르는 강물이나 바로 음용하기 어려운 오염된 물을 담아 환경적으로 물을 구하기 어려운 곳이거나 전시 상황에서도 항상 정수된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입구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 배출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가 마련된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뚜껑은 상기 정수부의 출구에 나사 결합하되, 상기 정수부가 상기 몸체의 입구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과 상기 뚜껑이 상기 정수부의 출구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것이 바라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는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그리고 제3필터부재의 3가지 필터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필터부재는 물의 찌꺼기를 여과시키는 부직포이고; 상기 제2필터부재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실로 뽑아내 응고시킨 합금 금속사로 이루어져 환원반응을 통해 각종 균류의 살균 및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3필터부재는 2차 균을 살균하는 활성탄 필터인 것이 양호하다.
특히, 상기 필터는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제1필터부재, 그리고 제3필터부재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물이 상기 필터에 법선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들어와 상기 출구 측의 길이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필터부재는, 구리가 30~40 중량%, 아연이 50~6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이어도 좋고, 구리가 40~50 중량%, 아연이 40~5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부재는, 구리가 50~60 중량%, 아연이 30~4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이거나, 구리가 60~70 중량%, 아연이 20~3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수통의 내부에 필터를 마련하여 흐르는 강물이나 바로 음용하기 어려운 오염된 물을 담아 환경적으로 물을 구하기 어려운 곳이거나 전시 상황에서도 항상 정수된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은, 입구(110)가 형성된 몸체(100)와; 출구(210)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입구(110)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입구(110)로부터 상기 출구(210)로 배출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220)가 마련된 정수부(200)와; 상기 정수부(200)의 출구(210)를 개폐시키는 뚜껑(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는 몸체(100), 정수부(200), 그리고 뚜껑(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뚜껑(300)과 상기 정수부(200)의 상호 결합 형태에 따라 두 가지 실시 형태로 구분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일 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부(200)로부터 뚜껑(300)이 힌지 개폐되는 형태이며, 다른 예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0)이 상기 정수부(200)에 나사 결합하는 형태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정수부(200)로부터 상기 뚜껑(300)이 힌지 개폐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몸체(100)는 상측에 입구(110)가 형성된 용기 형상의 구성으로, 물을 그 내부에 담을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그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부터 금속재에 이르기까지 한정됨이 없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보온 등의 이유로 2겹 이상을 적층하여 성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입구(110) 외주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정수부(20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입구(110)에 결합하는 정수부(200)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2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수부(200)는 물이 상기 몸체(100)에 들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구(110)로 나올 때 정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정수부(200)는 그 저부가 상기 몸체(100)의 입구(110)와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정수부(200)의 저부에도 상기 몸체(100)의 입구(110)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수부(200)의 상부에는 출구(21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필터(220)가 마련되어, 상기 정수부(200)가 상기 몸체(100)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220)가 상기 몸체(10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을 마시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와 정수부(200)를 거꾸로 하였을 때, 상기 몸체(100)의 물은 상기 정수부(200)의 필터(2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출구(210)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뚜껑(300)은 상기 정수부(200)의 출구(210)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뚜껑(300)이 상기 출구(210)에 결합하여 수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뚜껑(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수부(200)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 상기 뚜껑(300)을 도시한 바와 같이 들어올려 상기 정수부(200)의 출구(210)를 개방시키고, 미도시 하였지만 상기 뚜껑(300)을 눌러 상기 출구(210)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에 대한 다른 예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0)이 상기 정수부(200)의 출구(210)에 나사 결합하되, 상기 정수부(200)가 상기 몸체(100)의 입구(110)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과 상기 뚜껑(300)이 상기 정수부(200)의 출구(210)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정수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입구(110) 사이에는 서로 왼나사를 성형하고, 상기 뚜껑(300)과 상기 정수부(200)의 출구(210) 사이에는 오른나사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로써, 뚜껑(300)을 개방하고자 할 때 그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정수부(200)가 상기 몸체(100)로부터 함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은 상기 정수부(200)를 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오염 여부에 관계없이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물을 상기 몸체(100)에 담는다.
이 후, 상기 정수부(200)를 다시 상기 몸체(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0)를 거꾸로 기울이면 상기 몸체(100)내에 있던 물이 상기 정수부(200)의 필터(220)를 거쳐 여과된 후, 출구(210)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의 오염 여부에 관계없이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어떠한 상태의 물이라도 상기 몸체(100)에 담았다가, 거꾸로 기울여 상기 필터(220)를 통과시키면서 깨끗하게 여과된 물을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수부(200)에 마련된 필터(220)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220)는 물이 통과하는 제1필터부재(221), 제2필터부재(222), 그리고 제3필터부재(223)의 3가지 필터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필터부재(221)는 물의 찌꺼기를 여과시키는 부직포이고; 상기 제2필터부재(222)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실로 뽑아내 응고시킨 합금 금속사로 이루어져 환원반응을 통해 각종 균류의 살균 및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3필터부재(223)는 2차 균을 살균하는 활성탄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2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필터부재(221), 제2필터부재(222), 제1필터부재(221), 그리고 제3필터부재(223)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의 물이 상기 필터(220)에 법선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들어와 상기 출구(210) 측의 길이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220)에는 3종의 필터부재인 제1필터부재(221), 제2필터부재(222), 그리고 제3필터부재(223)가 적용되되, 상기 제1필터부재(221)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물의 찌꺼기를 여과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부재(222)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성형의 특성상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실로 뽑아내 응고시킨 합금 금속사로 이루어져 물과의 환원반응을 통하여 곰팡이 균을 포함한 각종 균류의 살균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필터부재(223)는 활성탄 필터로서 물에 포함된 2차 균을 살균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2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 및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필터(220)의 내부로 들어온 물은 먼저 제1필터부재(221)를 통과하게 되며, 이후 상기 필터(220)의 내부에 상기 제1필터부재(221)에 의하여 감싸지게 충진된 제2필터부재(222)를 통과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필터부재(222)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1필터부재(221)를 다시 통과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제3필터부재(223)를 거쳐 상기 정수부(200)의 출구(210)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필터부재(222)는 염소 성분 제거, 수은을 포함한 중금속 제거, 악취 제거, 브롬(Br), 불소(F), 칼슘(Ca), 특히 질산성 질소까지도 제거할 수 있어, 물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아토피 치료에 도움을 주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222)를 구성하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합금은 그 다양한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제2필터부재(222)의 조성을 다양하게 변경해 보면서 시험해 본 결과 아래와 같은 중량%로 구성되었을 때 최적의 정수 효과를 얻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1실시예)
구리가 30~40 중량%, 아연이 50~6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
(제2실시예)
구리가 40~50 중량%, 아연이 40~5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
(제3실시예)
구리가 50~60 중량%, 아연이 30~4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
(제4실시예)
구리가 60~70 중량%, 아연이 20~3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
즉, 본 발명의 제2필터부재(222)는 구리, 아연, 은의 기본 소재에 더하여 망간, 니켈, 알루미늄 등의 미량 원소가 첨가되어 산화, 환원반응의 속도 및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종 균류의 살균, 조류(藻類)·이끼 및 곰팡이의 살균 효과가 우수하며, 유화(乳化), 염소 성분 제거, 수은 등 중금속 제거, 철이온 제거, 황화합물(H2S) 및 알데히드 성분의 악취물질 제거, 브롬(Br) 및 불소(F) 제거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과량의 염소 성분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며, 상기 제3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데 최적의 조합이고, 상기 제4실시예는 살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수통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정수부(200), 그리고 뚜껑(300)으로 이루어져 깨끗한 물을 공급받기 어려운 곳에서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물을 담아 여과시켜 음용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을 지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220)는 물의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각종 균류의 살균과 곰팡이의 살균은 물론,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여 염소 성분 제거, 수은 및 중금속 제거, 악취 제거, 브롬, 불소, 칼슘, 특히 질산성 질소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아토피 치료에 대한 기능까지 발휘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은 뚜껑(300)과 정수부(200)의 나사 결합 방향과 상기 정수부(200)와 몸체(100)의 나사 결합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여, 뚜껑(300)의 개폐시 정수부(200)가 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아랍이나 동남아 국가 등 많은 나라와 같이 환경적인 이유에 의해 깨끗한 물 자체를 공급받는 것조차 어려운 곳이나, 예를 들어 군인들의 경우 음용할 수 있는 깨끗한 물을 전시 상황에서 항상 원활하게 보급 받을 수 없는 곳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하여 항상 깨끗하게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몸체 110 : 입구
200 : 정수부 210 : 출구
220 : 필터 221 : 제1필터부재
222 : 제2필터부재 223 : 제3필터부재
300 : 뚜껑

Claims (8)

  1. 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입구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 배출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가 마련된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정수부의 출구에 나사 결합하되, 상기 정수부가 상기 몸체의 입구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과 상기 뚜껑이 상기 정수부의 출구에 나사 결합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물이 통과하는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그리고 제3필터부재의 3가지 필터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필터부재는 물의 찌꺼기를 여과시키는 부직포이고;
    상기 제2필터부재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실로 뽑아내 응고시킨 합금 금속사로 이루어져 환원반응을 통해 각종 균류의 살균 및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3필터부재는 2차 균을 살균하는 활성탄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제1필터부재, 그리고 제3필터부재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물이 상기 필터에 법선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들어와 상기 출구 측의 길이 방향으로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는,
    구리가 30~40 중량%, 아연이 50~6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는,
    구리가 40~50 중량%, 아연이 40~5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는,
    구리가 50~60 중량%, 아연이 30~4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는,
    구리가 60~70 중량%, 아연이 20~3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 수통.
KR1020110132976A 2011-12-12 2011-12-12 휴대용 정수 수통 KR101264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976A KR101264244B1 (ko) 2011-12-12 2011-12-12 휴대용 정수 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976A KR101264244B1 (ko) 2011-12-12 2011-12-12 휴대용 정수 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244B1 true KR101264244B1 (ko) 2013-05-22

Family

ID=4866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976A KR101264244B1 (ko) 2011-12-12 2011-12-12 휴대용 정수 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2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038B1 (ko) * 2016-01-14 2016-08-23 (주)성현하이텍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CN105877370A (zh) * 2016-06-27 2016-08-24 刘忠刚 一种茶杯
KR101729129B1 (ko) 2015-07-13 2017-04-21 유은선 분리 결합형 정수음용 수통
WO2017123032A1 (ko) * 2016-01-14 2017-07-20 (주)성현하이텍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44Y1 (ko) 2001-03-07 2001-09-26 이덕일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KR200277163Y1 (ko) 2002-03-19 2002-05-30 김기호 휴대용 정수물통
US20110278216A1 (en) 2008-03-18 2011-11-17 Rubbermaid Inc. Drinking Container and Filte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44Y1 (ko) 2001-03-07 2001-09-26 이덕일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KR200277163Y1 (ko) 2002-03-19 2002-05-30 김기호 휴대용 정수물통
US20110278216A1 (en) 2008-03-18 2011-11-17 Rubbermaid Inc. Drinking Container and Filter Assembl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129B1 (ko) 2015-07-13 2017-04-21 유은선 분리 결합형 정수음용 수통
KR101648038B1 (ko) * 2016-01-14 2016-08-23 (주)성현하이텍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WO2017123032A1 (ko) * 2016-01-14 2017-07-20 (주)성현하이텍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CN108430935A (zh) * 2016-01-14 2018-08-21 株式会社成玹高科技 便携式碱性还原水生成装置
CN108430935B (zh) * 2016-01-14 2022-01-07 株式会社成玹高科技 便携式碱性还原水生成装置
CN105877370A (zh) * 2016-06-27 2016-08-24 刘忠刚 一种茶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244B1 (ko) 휴대용 정수 수통
US20100170839A1 (en) Water bottle with filter
KR20170017718A (ko) 애완동물용 정수구
GB2443608A (en) A device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liquid
US20130319927A1 (en) Water filtering device
US20060180550A1 (en) Portable water purifier
CN105565425A (zh) 复合滤芯和具有复合滤芯的净水设备
KR20100036691A (ko) 다기능 정수기 필터
KR20120050002A (ko) 휴대용 물통
JP3126287U (ja) 水改質装置
JP3106596U (ja) 浄水器
KR100583407B1 (ko) 이온수 정수기의 필터 시스템
CN102001777A (zh) 一种车载饮用水净化处理装置
JP3153867U (ja) ピッチャー型浄水器
CN105036280A (zh) 一种过滤自来水余氯的过滤水器
KR200426293Y1 (ko) 맥반석 정수기
CN204752360U (zh) 一种过滤自来水余氯的过滤水器
CN205773836U (zh) 一种净水器用活性炭过滤装置
KR20130008343A (ko) 반응 살균식 정수장치
JP2004074114A (ja) 浄水フィルタ
KR101670831B1 (ko) 휴대용 정수기
WO2016195724A1 (en) Filtration container
WO2015040599A1 (en) A water filter container
KR20110024790A (ko)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Majumdar et al. Devising an economical water purification unit using bio-adsorb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