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33B1 -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33B1
KR101264033B1 KR1020110052292A KR20110052292A KR101264033B1 KR 101264033 B1 KR101264033 B1 KR 101264033B1 KR 1020110052292 A KR1020110052292 A KR 1020110052292A KR 20110052292 A KR20110052292 A KR 20110052292A KR 101264033 B1 KR101264033 B1 KR 10126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ate
health
detection signal
stat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576A (ko
Inventor
최영완
김광진
손병희
주병호
신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포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포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포씨
Priority to KR102011005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3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15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bsence of activity per 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장치 및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장치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사람의 움직임 여부 및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상황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 분석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감지장치로 송신할 이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 받는 경우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몸에 부착되는 부착형 센서의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전력을 소모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 고령화, 미혼 현상의 심화로 인해 홀로 사는 사람들의 고독사라는 새로운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홀로 사는 사람들의 상태를 센서를 통해 관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을 판별하여 이상상태 발생시 응급 상황 정보를 보호 관찰자 또는 병원에 전송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람이 홀로 거주하는 방의 천장에 적외선 센서와 같은 고정형 센서(101)를 부착시킨다면 사람의 움직임을 검침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의 움직임 상황에서 발산되는 적외선 양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의 적외선 양의 변화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는 사람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의 상황을 감지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가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람의 몸에 맥박 센서, 체온 센서 등의 부착형 센서(103)를 부착하여 사람의 상황을 검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착형 센서들은 배터리 기반으로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즉 맥박 또는 체온 등을 계속적으로 측정하는 경우, 배터리가 짧은 시간에 소진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람의 몸에 부착되는 부착형 센서의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장치 및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장치와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사람의 움직임 여부 및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상황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 분석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감지장치로 송신할 이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 받는 경우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건강상태 감지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이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 분석부는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응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상황 분석부는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경우 정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상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로 송신하며, 상기 송수신부가 정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여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건강상태 감지부;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건강상태 판단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이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건강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응급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건강 상태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파워 결정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acknowledge, ACK)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및 상관도(correlation value, CV)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며,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상기 상태 감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장치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람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장치로 상기 이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 받는 경우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몸에 부착되는 부착형 센서의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R과 CV와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움직임 인식장치(210), 상태 감지장치(220), 모니터링 장치(230) 및 구조 요청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움직임 인식장치(210)는 움직임 감지부(211), 송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11)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움직임 감지부(211)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진동 감지센서 등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11)는 사람의 신체가 아닌 실내에 고정되며 실내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11)는 실내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므로 배터리의 제약 없이 상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송신부(213)는 움직임 감지부(211)에서 감지된 움직임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송신한다.
모니터링 장치(230)는 통신부(231) 및 상황 분석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1)는 움직임 인식장치(210)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 하며, 상태 감지장치(220)로부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한 상태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상황 분석부(233)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람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태 감지장치(2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231)를 통해 상태 감지장치(22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황 분석부(233)는 상태 감지장치(220)로부터 상태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의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람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응급신호를 생성한다.
상태 감지장치(220)는 건강상태 감지부(221), 송수신부(223), 전원 제어부(225) 및 전송파워 결정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상태 감지부(221)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여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건강상태 감지부(221)는 맥박 센서, 체온 센서 또는 산소포화도(SPO2) 센서와 같이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상태 감지부(221)는 사람의 몸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건강상태 감지부(221)는 상태 감지장치(220)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송수신부(223)는 통신부(231)로부터 이상 신호를 수신하며, 건강상태 감지부(221)에서 생성된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의 통신부(231)로 송신한다.
전원 제어부(225)는 송수신부(223)에 이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건강상태 감지부(221)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감지장치(220)는 모니터링 장치(230)로부터 이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태 감지장치(220)의 건강상태 감지부(221)는 이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사람의 상태 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감지장치(220)는 건강상태 감지부(221)를 통해 이상 신호 수신 시점부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고,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전송한다. 이때, 모니터링 장치(230)의 상황 분석부(233)는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람의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정상인 경우에는 정상 신호를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응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 신호는 구조 요청장치(240)로 전송되며, 정상 신호는 상태 감지장치(22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225)는 상기와 같은 정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건강상태 감지부(221)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이상 신호 및 정상 신호를 통해 건강상태 감지부(221) 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감지장치(220)의 전원 제어부(225)는 상기한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전송하는 경우에 건강상태 감지부(221)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225)는 이상 신호 수신 이후 사람의 상태 감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원 제어부(225)는 이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건강상태 감지부(22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건강상태 감지부(221)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감지장치(220)는 사람의 신체에 부착되므로, 신호는 무선으로 송수신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230)와 상태 감지장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태 감지장치(220)는 신체의 건강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노드, 모니터링 장치(230)는 상태 감지장치(220)로부터 상태 감지 신호를 수신 받아 사람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싱크 노드로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태 감지장치(220)는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배터리를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송파워 결정부(227)는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무선전송 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며,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크기의 전송파워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파워 결정부(227)는 모니터링 장치(23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및 상관도(correlation value, CV)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송수신부(223)에서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전송하는 경우의 이에 대한 응답 신호(acknowledge, ACK)를 의미한다. 즉, 모니터링 장치(230)는 상태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태 감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ACK)를 송수신부(223)로 전송한다.
전송 파워 결정부(227)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지표 및 상관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30)에 수신되는 상태 감지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계산하고, 상태 감지 신호의 패킷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수신 파워 범위를 산출한다. 이어서, 전송 파워 결정부(227)는 산출된 수신 파워 범위 및 수신 신호 세기 지표를 이용하여 송수신부(223)에서 상태 감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최적의 전송파워를 결정한다.
전송파워 결정부(227)에서 결정되는 전송파워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2
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된 전송 파워, MDSS(minimum detectable signal strength)는 모니터링 장치(230)에서 상태 감지 신호의 수신 시 패킷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 수신 파워 범위를 각각 의미한다.
여기서, MDSS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4
은 최소 잡음 전력, REF는 모니터링 장치(230)에 수신되는 상태 감지 신호의 패킷 에러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SNR을 의미하며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5
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6
여기서, RSS는 모니터링 장치(230)에 수신되는 상태 감지 신호의 수신세기, SNR은 상관도(CV)를 이용하여 산출된 신호대 잡음비를 각각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R과 CV와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관도(CV)를 통해 SNR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파워 결정부(227)는 상태 감지 신호의 전송 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전송 파워를 결정함으로써, 상태 감지장치(220)에 내장된 배터리의 소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조 요청장치(240)는 모니터링 장치(230)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광대역망을 통해 119등의 구조센터나, 미리 저장된 지인들의 핸드폰으로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응급상황과 함께 사용자의 주소, 위치 등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감지장치(220)는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람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건강상태 판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상태 판단부에서 상태 감지 신호의 분석결과 사람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응급신호를 생성하고, 응급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태 감지장치(220)는 사람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경우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전송하지 않으며, 비정상인 경우에도 일정시간 동안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닌 응급신호만을 전송하므로 상태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함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400)에서 움직임 인식장치(210)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단계(S405)에서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송신한다.
단계(S410)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계(S415)에서는 이상 신호를 상태 감지장치(220)로 송신한다.
단계(S420)에서는 이상 신호를 수신한 상태 감지장치(220)가 건강상태 감지부(221)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어서, 단계(S425)에서 건강상태 감지부(221)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여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단계(S430)에서 상태 감지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30)로 송신한다.
단계(S435)에서 모니터링 장치(230)는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람의 건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람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단계(S450)에서는 응급신호를 구조 요청장치(240)로 송신한다.
사람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경우 단계(S440)에서는 정상 신호를 상태 감지장치(220)로 송신하며, 정상 신호를 수신한 상태 감지장치(220)는 단계(S445)에서 건강상태 감지부(22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건강 상태의 감지를 중단 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 모니터링 과정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태 감지장치(220)에서 건강상태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고정형 센서 103: 부착형 센서
200: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210: 움직임 인식장치
211: 움직임 감지부 213: 송신부
220: 상태 감지장치 221: 건강상태 감지부
223: 송수신부 225: 전원 제어부
227: 전송 파워 결정부
230: 모니터링 장치 231: 통신부
233: 상황 분석부 240: 구조 요청장치

Claims (12)

  1. 움직임 인식장치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태 감지장치로부터 상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감지장치로 송신할 이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람의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상황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 받는 경우,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건강상태 감지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이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분석부는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응급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분석부는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경우 정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상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로 송신하며,
    상기 송수신부가 정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건강 상태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전송 파워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 결정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acknowledge, ACK)에 포함된 수신 신호 세기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및 상관도(correlation value, CV)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파워를 결정하며,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상기 상태 감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8
    는 이전의 전송 파워, MDSS(minimum detectable signal strength)는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상태 감지 신호의 수신 시 패킷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 수신 파워 범위를 각각 의미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DSS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Figure 112011040990648-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11040990648-pat00010
    은 최소 잡음 전력, REF는 상기 통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상태 감지 신호의 패킷 에러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SNR, RSS는 상기 통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상태 감지 신호의 수신 세기, SNR은 상기 상관도(CV)를 이용하여 산출된 신호대 잡음비를 각각 의미함.
  11.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장치 및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장치와 연결되는 모니터링 장치에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으로서,
    통신부가 상기 움직임 감지장치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황 분석부가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상태 감지장치로 상기 이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 받는 경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방법.
  12. 움직임 인식장치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태 감지장치로부터 상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감지장치로 송신할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상황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감지장치는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사람의 건강상태를 감지하여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건강상태 감지부; 상기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람의 건강상태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건강상태 판단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이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건강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응급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KR1020110052292A 2011-05-31 2011-05-31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26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292A KR101264033B1 (ko) 2011-05-31 2011-05-31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292A KR101264033B1 (ko) 2011-05-31 2011-05-31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576A KR20120133576A (ko) 2012-12-11
KR101264033B1 true KR101264033B1 (ko) 2013-05-21

Family

ID=4751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292A KR101264033B1 (ko) 2011-05-31 2011-05-31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37B1 (ko) * 2013-12-27 2015-07-17 주식회사 케이티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17219B1 (ko) * 2020-07-30 2021-02-18 주식회사 파란헤움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48744B1 (ko)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응급 상황에 따른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576A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79858B (zh) 心率监测设备
EP3029545B1 (en) Sensor device with persistent low power beacon
US101861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gesture events in a smart home system
KR101210277B1 (ko) 행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행위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 전송 방법
CN104350761B (zh) 测量设备、测量系统以及用于所述测量设备的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20050159653A1 (en) Living body information measuring system, method of identifying a living body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currently use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of identifying a living body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currently used, portable device, and data collector
EP2678694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dentifying and distinguishing motion states of a mobile device between a stationary state, a high average velocity motion state and a low average velocity motion state
KR101264033B1 (ko) 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9619988B2 (en)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monitoring and reporting
ATE439803T1 (de) System und methode zur überwachung der atmungsrate eines insassen
JP2007213218A (ja) 対象者動作判定装置及び対象者動作判定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H11306468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80070091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제공 방법
WO2016117411A1 (ja) 運動情報測定装置、運動情報測定装置の制御方法、運動情報測定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1915578B2 (en) Beacon device, positioning system, beac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JP750219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865679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86011A (ko) IoT모듈의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20027536A (ja) 通信装置
CN117063493A (zh) 接近感测系统
KR20230054006A (ko)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획득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자율 주행 모드를 제어하는 시스템
CA25704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speaker
CN104876084A (zh) 基于重力检测的新型电梯运行预警装置
WO2011155804A3 (ko) 메모리 기반 다중 생체정보의 통신 프레임 단일화 처리를 통한 실시간 피드백시스템
US20130249686A1 (en) Monitoring system, flow rate monitor and flow rate monito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