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32B1 - 진공 단열 패널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32B1
KR101264032B1 KR1020110101840A KR20110101840A KR101264032B1 KR 101264032 B1 KR101264032 B1 KR 101264032B1 KR 1020110101840 A KR1020110101840 A KR 1020110101840A KR 20110101840 A KR20110101840 A KR 20110101840A KR 101264032 B1 KR101264032 B1 KR 10126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anel
pair
insulation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440A (ko
Inventor
김미성
Original Assignee
김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성 filed Critical 김미성
Priority to KR102011010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은, 건축물의 단열을 위해 이용되는 진공 단열 패널로서, 사이 공간에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이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패널 하우징;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외측 부분을 따라 밀착되게 개재되어 진공 공간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밀부; 및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패널 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기밀성을 가짐으로써 진공 공간의 진공도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단열 성능과 더불어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패널 플레이트의 외벽에 보강부를 장착함으로써 강도 보강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이러한 보강 구조로 인해 외력에 의한 벤딩(bending)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진공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단열 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진공 단열 패널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기밀성을 가짐으로써 진공 공간의 진공도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단열 성능과 더불어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아울러 우수한 내구성은 물론 단열 및 차음 성능 저하 시 유지보수가 가능한 진공 단열 패널이 개시된다.
환경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업 및 국가의 중요 사안이 되면서 모든 건축물에 대해서 에너지 고효율 설계가 필수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 에너지효율 등급 인증 등 에너지 절약을 권고하는 단계를 지나 벽의 단열 성능 기준이 강화되는 실정이다.
건축물의 냉난방 시 에너지 손실방지를 위해 건물외피 단열 등을 통해서 에너지 50%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고 알려졌으며, 따라서 건물외피 단열은 건축물 에너지 절약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건물 단열재로 쓰이는 일반적인 재료는 폴리우레탄 폼의 발포제인 CFC, 스티로폼, 유리섬유 등이 이용되었으며, 아울러 이보다 더욱 단열 성능이 우수한 진공 단열 패널(VIP, Vacuum Insulation Panel)과 에어로겔(aerogel)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진공 단열 패널의 경우 단열 성능은 유리섬유 또는 폴리우레탄 폼이나 스티로폼보다 현저히 우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용이 많이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면, 2011년 7월 7일 공개된 국내공개특허 2011-0077859호(발명의 명칭 :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진공 단열 패널의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한 유리섬유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적용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내부가 투영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은, 비닐 또는 은박 등으로 구성되는 상판(11) 및 하판(12)을 구비하는 패널 하우징(10)과, 패널 하우징(10)에 구비되어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한 심재(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내부 진공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심재(3)로는 무기질섬유인 유리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에 있어서는, 현장여건에 따라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비닐 또는 은박과 같은 재질의 패널 하우징(10)의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자재로 쓰이는 경우 단열을 위한 기간에 한계가 발생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최근 건축물의 경우 백 년 이상의 기간을 바라보고 건축되는데 패널 하우징(10)을 이루는 재질의 경우 길어야 20년 지속되는 내구성을 갖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심재(3)가 있기 때문에 진공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 단열 패널(1)은 건축 설계에 의해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조립 시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 조립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단점도 있다.
이에, 종래에 비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우수한 진공도를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단열 성능뿐만 아니라 차음 성능까지 구비하며, 아울러 현장 조립성까지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진공 단열 패널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우수한 기밀성을 가짐으로써 진공 공간의 진공도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단열 성능과 더불어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단열 및 차음 성능 저하 시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진공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패널 플레이트의 외벽에 보강부를 장착함으로써 강도 보강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이러한 보강 구조로 인해 외력에 의한 벤딩(bending)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진공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가령 시간 경과에 따라 진공도가 약해지는 경우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 내부 진공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우수한 단열 성능 및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진공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조립 시 가령 조립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조립 공차에 맞게 현장에서 제작이 가능하여 현장 조립의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는 진공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은, 사이 공간에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이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패널 하우징;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외측 부분을 따라 밀착되게 개재되어 상기 진공 공간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밀부;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우수한 기밀성을 가짐으로써 진공 공간의 진공도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단열 성능과 더불어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패널 플레이트의 외벽에 보강부를 장착함으로써 강도 보강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이러한 보강 구조로 인해 외력에 의한 벤딩(bending)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는,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1 기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기밀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 기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재 및 상기 제2 기밀부재는 러버(rubber)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재 및 상기 제2 기밀부재는 오일(oil) ) 또는 러버 재질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결합 보강을 위해 복수 개의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결합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체결이 가능한 볼트 및 너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는 상기 기밀부가 개재되는 외측 부분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가 상기 진공 공간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는 상기 기밀부가 개재되는 외측 부분이 절곡 형성되며, 절곡 형성된 부분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공 공간과 연통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진공 공간의 진공도가 저하된 경우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진공 공간의 진공도를 높이도록 하는 진공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폭 또는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삼각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일방향으로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일방향과 직교 방향을 갖도록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기밀성을 가짐으로써 진공 공간의 진공도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단열 성능과 더불어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단열 및 차음 성능 저하 시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 플레이트의 외벽에 보강부를 장착함으로써 강도 보강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이러한 보강 구조로 인해 외력에 의한 벤딩(bending)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시간 경과에 따라 진공도가 약해지는 경우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 내부 진공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우수한 단열 성능 및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조립 시 가령 조립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조립 공차에 맞게 현장에서 제작이 가능하여 현장 조립의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내부가 투영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진공 단열 패널이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진공 단열 패널이 건축물의 조적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진공 단열 패널이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00)은, 건축물의 단열 및 차음을 위해 이용되는 진공 단열 패널(100)로서,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110S)을 형성하며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를 구비하는 패널 하우징(110)과,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사이에서 외측 부분을 따라 개재되어 진공 공간(110S)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밀부(120)와,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패널 플레이트(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100)은,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 저하의 경우 이를 감지하여 진공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진공밸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우수한 단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음 성능까지 기대할 수 있고, 또한 내구성을 확보함으로써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대해서도 강한 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패널 하우징(110)은, 진공 공간(110S)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플레이트(111)는 철,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가 갖는 이격 공간이 진공 공간(110S)이 되며, 이러한 진공 공간(110S)에 의해 우수한 단열 성능 및 차음 성능이 구현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는 10-3torr 이하의 진공압을 갖도록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3torr 이상의 진공압이 유지되는 경우 단열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를 상기 수치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패널 하우징(110)의 경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에 의해 형성된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가 후술할 기밀부(120) 및 진공밸브(150) 등에 의해 신뢰성 있게 유지되기 때문에 우수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패널 플레이트(11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부분이 바깥 부분으로 절곡 형성되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는 진공 공간(110S)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갖도록 결합된다.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절곡 부분(112)으로 인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으로 후술할 기밀부(12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절곡 부분(112)으로 인해 걸림턱이 형성되기 때문에 기밀부(120)가 절곡 부분(112)에 지지되어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절곡 부분(112)의 일면 및 그에 직교되는 면에 기밀부(120)가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일 실시예의 경우 진공 단열 패널(1, 도 1 참조)을 구성하는 판(11, 12)들의 테두리 부분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건축 현장에서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내구성이 약하여 전술한 수치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테두리 부분이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기밀부(120)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현장 파손 우려를 배제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밀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사이에서 외측 부분을 따라 개재되어 진공 공간(110S)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밀부(120)는, 러버(rubber) 재질로 제작된 타이어 또는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재질 특성에 의해 패널 플레이트(111)에 완전히 밀착되게 결합되어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기밀부(120)의 재질이 타이어 또는 폐타이어의 재질로 사용되는 러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러버 또는 실링부재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밀부(120)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개재되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내벽에 밀착 결합되는 제1 기밀부재(121)와,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사이에서 제1 기밀부재(121)의 외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 기밀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기밀부재(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플레이트(111)의 절곡 부분(112)에 결합됨으로써 우선적으로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기밀부재(122)는 제1 기밀부재(121)에 대해 층 구조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진공 공간(110S)의 진공 상태가 보다 확실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기밀부재(121) 및 제2 기밀부재(122)가 패널 플레이트(111)의 내벽에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오일(oil)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패널 플레이트(111)와 접촉되는 기밀부재(121, 122)들의 면에 오일을 도포한 후 패널 플레이트(111)에 기밀부재(121, 122)들을 밀착시키면 패널 플레이트(111)와 기밀부재(121, 122)가 완전히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패널 플레이트(111)와 기밀부재(121, 122)의 밀착 결합을 위한 물질이 오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질 예를 들면 러버 재질의 접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 사이에 기밀부(120)를 개재하여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지만,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결합 구조를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100)은, 볼트 및 너트 결합 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 결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 결합부(14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 중 하나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외벽에 배치되는 너트부재(141)와, 다른 하나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일측으로부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너트부재(141)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부재(142)의 회전에 의해 너트부재(141)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어 진공 단열 패널(100)의 일측에서 체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100)의 유지보수가 요구되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를 상호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일측에서 단순히 볼트부재(142)를 분리시킨 후 외력을 가하여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밀부(120)에 의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가 상호 결합될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플레이트 결합부(140)에 의해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가 결합되어 패널 플레이트(111)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보강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11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패널 플레이트(11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130)는, 패널 플레이트(111)의 폭 및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보다 정확하게는 절곡 부분(112)을 뺀 패널 플레이트(111)의 가로 및 세로 길이)로 마련되며, 우수한 강성을 가짐으로써 패널 플레이트(111)에 벤딩(bending)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보강부재(131, 132)가 패널 플레이트(111)의 외측면에 장착되되 하나는 가로 방향으로 하나는 그의 직교 방향(즉, 십자 형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플레이트(111)를 견고히 지지함으로써 패널 플레이트(111)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패널 플레이트(111)의 외측면에 대해 십자 형상을 갖도록 2개의 보강부재(131, 132)가 장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보강부재(131, 132)의 개수 및 장착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생 가능한 변형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131, 132)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이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패널 플레이트(111)에 일반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벤딩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보강부재(131, 13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강부(130)의 경우, 패널 플레이트(111)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패널 플레이트(111)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진공 단열 패널(1, 도 1 참조)의 경우 진공도가 저하되는 경우 진공도를 다시 올릴 수 없어 단열 성능 그리고 차음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가 저하되더라도 다시 진공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실시예의 진공밸브(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공간(110S)과 연통되도록 패널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진공을 제공하는 외부의 진공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진공도가 저하되는 경우, 진공 장치(진공펌프)를 진공밸브(150)에 연결한 후 진공 장치를 구동하여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 건축 설계 도면에 맞춰 공장 등에서 진공 단열 패널(1)이 미리 제작된 후 건축 현장에서 조립되는 공정을 갖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조립 공차 등에 의해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100)의 경우, 공장 등에서 미리 정해진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나, 건축 현장에서 공차 등을 고려한 제작 역시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 조립의 용이성이 훨씬 우수하다.
가령, 미리 제작된 진공 단열 패널(100)의 사이즈가 현장 조립 시 맞지 않더라도, 패널 플레이트(111)를 분리 후 절단하고 이어서 기밀부(120)를 이용하여 패널 하우징(110)을 구축한 다음 진공밸브(150)를 통해 진공 공간(110S)의 진공 상태를 조성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00)의 유지보수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의 저하 원인은 기밀부(120)의 기밀성이 완벽할 수 없는 경우와 재질의 열화로 인한 기밀성의 파괴 그리고 일부 움직임이나 외력에 의한 기밀성 파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진공도가 저하될 경우, 진공도 향상 방법으로는 진공밸브(150)를 진공 장치를 연결하여 진공 공간(110S)으로 진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진공 단열 패널(100)의 진공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기밀부(120)가 약화되거나 순간적인 기밀성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진공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기밀부(120)의 심각한 손상 시 플레이트 결합부(140)의 볼트부재(141)가 관통되는 패널 플레이트(111)의 볼트홀을 통해 에폭시 또는 러버 재질의 액상 접착제를 주입한 후 고결시킨 다음 진공밸브(150)를 통해 진공을 제공함으로써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100)의 적용 예들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진공 단열 패널이 건축물의 콘크리트벽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100)은, 건축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200)에 같이 매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200)를 타설할 때 건축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진공 단열 패널(100)을 배치함으로써 건축물의 단열 및 차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이 때 진공 단열 패널(100)의 연결 부분은 진공 공간(110S)이 조성되지 않고 기밀부(120)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단열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공 단열 패널(100)의 연결 부분이 층과 층 사이의 층간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단열재를 연결 부분에 부착시킴으로써 단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2의 진공 단열 패널이 건축물의 조적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100)은 조적조 구조를 갖는 건축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벽돌로 구성된 외벽(300)과 내벽(350) 사이에서 외벽에 인접하도록 진공 단열 패널(100)을 배치하고 그 외 사이 공간(300S)을 중공으로 함으로써 단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조적조 구조에서의 진공 단열 패널(100)의 배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도 4처럼 진공 단열 패널(100)은 벽돌로 구성된 외벽(300)의 바깥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진공 단열 패널(100)은 건축 요건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진공 단열 패널(100)의 진공밸브(150)의 단부는 내벽(350)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진공 단열 패널(100)의 진공도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미도시)에 의해 진공 공간(110S)의 진공도가 낮다고 감지되는 경우, 진공밸브(150)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 패널(150)의 진공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우수한 단열 성능과 더불어 차음 성능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100)은 이중 구조를 갖는 유리 사이에 개재되어 유리벽의 단열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소음이 발생되는 건축물의 벽에 적용되어 외부로 소음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진공도를 유지함으로써 단열 성능 및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패널 플레이트(111)의 외벽에 보강부(130)를 장착함으로써 강도 보강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이러한 보강 구조로 인해 외력에 의한 벤딩(bending)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령 시간 경과에 따라 진공도가 약해지는 경우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 내부 진공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우수한 단열 성능 및 차음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현장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에 대해서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진공 단열 패널이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진공 단열 패널(400)의 패널 하우징(410)은,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411)를 포함하되, 패널 플레이트(411)의 절곡 부분(412)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기밀부(420) 및 플레이트 결합부(440)가 결합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411)의 절곡 부분(412)이 일측에 치우치게 되며, 따라서 여러 개의 진공 단열 패널(400)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연결 부분을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중첩 연결할 수 있어 단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진공 단열 패널(400)의 기밀부(420)가 다른 하나의 진공 단열 패널(4)0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단열 및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의 경우에도 연결 부분에 별도의 단열재를 부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패널 플레이트가 가운데 부분이 내측 방향으로 들어가는 형상을 갖는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플레이트는 절곡 구분이 없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또한 가운데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나온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이외에도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다른 구조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진공 단열 패널 110 : 패널 하우징
111 : 패널 플레이트 120 : 기밀부
130 : 보강부 140 : 플레이트 결합부
150 : 진공밸브

Claims (10)

  1. 건축물의 단열을 위해 이용되는 진공 단열 패널에 있어서,
    사이 공간에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이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패널 하우징;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 부분을 따라 밀착되게 개재되어 상기 진공 공간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밀부;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는 상기 기밀부가 개재되는 외측 부분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가 상기 진공 공간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갖는 진공 단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1 기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기밀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밀부재 및 상기 제2 기밀부재는 러버(rubber) 재질로 제작되는 진공 단열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밀부재 및 상기 제2 기밀부재는 오일(oil) 또는 러버 재질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진공 단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결합 보강을 위해 복수 개의 플레이트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플레이트 결합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체결이 가능한 볼트 및 너트 구조를 갖는 진공 단열 패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는 상기 기밀부가 개재되는 외측 부분이 절곡 형성되며, 절곡 형성된 부분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패널 플레이트는 결합되는 진공 단열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공간과 연통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진공 공간의 진공도가 저하된 경우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진공 공간의 진공도를 높이도록 하는 진공밸브를 더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폭 또는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삼각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일방향으로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일방향과 직교 방향을 갖도록 상기 패널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진공 단열 패널.
KR1020110101840A 2011-10-06 2011-10-06 진공 단열 패널 KR10126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40A KR101264032B1 (ko) 2011-10-06 2011-10-06 진공 단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40A KR101264032B1 (ko) 2011-10-06 2011-10-06 진공 단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40A KR20130037440A (ko) 2013-04-16
KR101264032B1 true KR101264032B1 (ko) 2013-05-21

Family

ID=4843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840A KR101264032B1 (ko) 2011-10-06 2011-10-06 진공 단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8839B (zh) * 2019-11-20 2021-07-06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耐高温阀门
KR102396158B1 (ko) * 2020-05-14 2022-05-09 김영동 진공 패널, 이를 구비한 건축자재 및 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78A (ja) * 1998-03-20 1999-10-05 Isuzu Motors Ltd 断熱部材、および断熱壁構造
JP2009185589A (ja) * 2008-02-08 2009-08-20 Shinko Kogyo Co Ltd 内外温度差を有する装置の点検窓兼用の真空外壁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778A (ja) * 1998-03-20 1999-10-05 Isuzu Motors Ltd 断熱部材、および断熱壁構造
JP2009185589A (ja) * 2008-02-08 2009-08-20 Shinko Kogyo Co Ltd 内外温度差を有する装置の点検窓兼用の真空外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40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5675B1 (en) A kit-of-parts for a spacer system for installing vacuum insulated glass (vig) window unit in window frame designed to accommodate thicker ig window unit
JP6343283B2 (ja) 厚い断熱ガラス窓ユニットを収容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窓枠内に真空断熱ガラス窓ユニットを設置するためのスペーサーシステム
KR102152497B1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KR101016878B1 (ko)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의 적층을 이용한 건물벽의 외단열 구조 및 이를 위한 프레임 유닛 단열재 패널
KR102108621B1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466936B1 (ko) 단열재 시공에 따른 외부 벽체 보강구조 및 방법
KR101861837B1 (ko)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을 이용한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264032B1 (ko) 진공 단열 패널
KR20170081811A (ko) 세라믹 복합판넬 및 이를 이용한 양단열 거푸집 공법
US9540865B2 (en) Vacuum glass including pillars having different arrangement dist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70108398A (ko) 진공 단열 패널
JP4975474B2 (ja)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の施工方法
KR200423362Y1 (ko)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1261789B1 (ko) 고단열 창호용 복층유리 스페이서 구조체
KR101977447B1 (ko) 외벽구조체
KR101024618B1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1234767B1 (ko)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11894392A (zh) 一种安全性能强的门窗
CN213928010U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大板与超低能耗系统窗装配加强结构
KR20160133800A (ko) 복합 패널 프레임 구조
CN115680191B (zh) 一种装配式建筑节能墙体结构板
KR101705774B1 (ko)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CN214941333U (zh) 一种外挂墙板的墙角连接节点及装配式建筑外墙
CN215253558U (zh) 一种预制墙板拼缝用密封件及装配墙板结构
KR102306099B1 (ko) 구조성능 및 단열성능이 보강된 수직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