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23B1 -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23B1
KR101264023B1 KR1020110023275A KR20110023275A KR101264023B1 KR 101264023 B1 KR101264023 B1 KR 101264023B1 KR 1020110023275 A KR1020110023275 A KR 1020110023275A KR 20110023275 A KR20110023275 A KR 20110023275A KR 101264023 B1 KR101264023 B1 KR 10126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fer module
input
address informatio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684A (ko
Inventor
김성봉
정광욱
심승환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주)맨엔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맨엔텔 filed Critical (주)맨엔텔
Priority to KR102011002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2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05I-O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44Program, program I-O modu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물품을 다수 개의 작업공정을 거쳐 최종 목적지까지 이송시켜 주기 위한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보드에 배치된 다수 개의 입출력포트; 상기 입출력포트에 커넥터를 통해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에 대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독출하는 정보독출부; 상기 정보독출부에서 독출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모듈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정보DB; 상기 어드레스정보DB에 생성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에 제어프로그램DB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매칭시키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대한 구동순서를 설정하는 프로그램매칭부; 상기 프로그램매칭부에서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의 구동순서에 따라 상기 이송모듈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CONVEYER MODULE}
본 발명은 이송물품을 다수 개의 작업공정을 거쳐 최종 목적지까지 이송시켜 주기 위한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이하 "PLC" 또는 "콘트롤러"라고 한다.)가 제어하는 대상인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에 매칭되게 생성시킨 제어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이송모듈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이송물품을 다수 개의 작업공정을 거쳐 최종 목적지까지 이송시켜 주기 위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등에서 제어대상 기기나 장비 등에 대한 제어학습을 행하기 위한 학습용 장치로 대부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이용하게 되고, 이 경우에 있어서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를 이미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PLC의 입출력단자에 단순히 배선 연결하는 작업을 통해서 제반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학습자들에게는 제어대상 기기나 장비 등의 종류나 배치형태 등에 따른 다양한 작업공정에 대비하여 창의적인 학습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제어를 받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대상인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에 매칭되게 생성시킨 제어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이송모듈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이송물품을 최종 목적지까지 이송시켜 주는 다양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는 베이스 보드에 배치된 다수 개의 입출력포트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포트에 커넥터를 통해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모듈에 대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독출하는 정보독출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독출부에서 독출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모듈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정보DB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정보DB에 생성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에 제어프로그램DB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매칭시키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대한 구동순서를 설정하는 프로그램매칭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매칭부에서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의 구동순서에 따라 상기 이송모듈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수단으로베이스 보드에 배치된 다수 개의 입출력포트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포트에 커넥터를 통해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모듈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모듈에 대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독출하는 정보독출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독출부에서 독출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모듈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정보DB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정보DB에 생성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에 매칭되도록 프로그램작성부를 통해 제어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어프로그램DB에 저장시키는 프로그램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 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학습자들에게 이송모듈의 구동에 대한 제어프로그램 작성능력을 향상시켜 주고, 아울러 이송모듈의 다양한 배치 등을 통해 작업공정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도를 향상시켜 주는 학습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이송모듈을 제어시키기 위한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이송모듈을 제어시키기 위한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1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콘트롤러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2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보드에 학습용 이송모듈이 배치되는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있어서, 베이스 보드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학습용 이송모듈을 일부 절개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이송모듈의 어드레스정보에 제어프로그램을 매칭시켜 주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이송모듈의 어드레스정보에 제어프로그램을 매칭시켜 주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동작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고,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호스트 컴퓨터(100)의 제어를 받는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 예컨데, PLC의 제어대상인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에 매칭(Matching)되게 생성시킨 제어프로그램(144)(144a)을 통해서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줌으로써, 이송물품(300)을 최종 목적지까지 이송시켜 주는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앞에서 언급된 호스트 컴퓨터(100)로부터 제어를 받는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를 비롯하여, 상기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의 제어대상인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 및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설치되는 베이스 보드(5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보드(500)에 가로 및 세로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 또는 임의적인 간격으로 고정 배치된 다수 개의 입출력포트(600)가 구성된다.
상기 입출력포트(600)에는 전기적인 신호전송이 이루어지는 소정 갯수의 신호핀(423) 예컨데, 9핀(Pin), 15핀(Pin) 등으로 구비된 커넥터(420)를 통해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입출력포트(600)는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높이가 동일한 한 쌍의 제1포트(601) 및 제2포트(6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출력포트(600)에 대응하는 커넥터(420) 역시 바디(410)에 일체로 한 쌍의 제1커넥터(421) 및 제2커넥터(422)로 형성되어, 상기 제1포트(601) 및 제2포트(602)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위치정보(141)(610)와 식별정보(142)(460)를 독출(이를 "인식" 또는 "감지" 또는 "식별"이라고도 한다.)하는 정보독출부(1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독출부(120)에서 독출된 위치정보(141)(610)와 식별정보(142)(460)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정보DB(1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정보DB(130)에 생성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에 제어프로그램DB(170)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144)을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키입력부(160)를 조작하여 매칭시키는 프로그램매칭부(14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매칭부(140)는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에 매칭된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에 대한 제어프로그램(144)의 구동순서를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키입력부(160)를 조작하여 설정하는 구동순서설정부(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매칭부(140)에서 설정된 제어프로그램(144)의 구동순서에 따라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RS232C 등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100)의 제어를 받아 제어신호(CS1)를 출력하는 콘트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매칭부(140)는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에 매칭된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구동시간을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키입력부(160)를 조작하여 설정하는 구동시간설정부(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수단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베이스 보드(500)에 배치된 다수 개의 입출력포트(600)와 상기 입출력포트(600)에 대응하는 커넥터(420)를 통해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제어신호(CS1)를 출력하는 콘트롤러(200)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100)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와 콘트롤러(200) 간에는 RS232C 등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위치정보(141)(610)와 식별정보(142)(460)를 독출하는 정보독출부(1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보독출부(120)에서 독출된 위치정보(141)(610)와 식별정보(142)(460)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정보DB(1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정보DB(130)에 생성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에 매칭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키입력부(160)를 조작하여 프로그램작성부(147)를 통해 제어프로그램(144a)을 생성하여 제어프로그램DB(170a)에 저장시키는 프로그램생성부(14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생성부(140a)는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에 매칭된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에 대한 구동순서 및 구동시간이 생성된 제어프로그램(14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CS1)는 호스트 컴퓨터(100)에 구비된 제어부(110)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를 통해 출력되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144)(144a)의 생성에 사용되는 PLC 언어에 대해 살펴보면,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 제조회사 또는 기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보편적으로 LD(Ladder Diagram)언어를 비롯하여 IL(Instruction List)언어, SFC(Sequential Function Charts)언어, FBD(Function Block Diagram)언어, ST(Structured Text)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첨부된 도 6에서 어느 하나의 학습용 이송모듈(400)에 대해 그 일실시 사례로써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물품(300)을 전방향 즉, 화살표 (가)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전방향 이동용 이송모듈을 비롯하여, 좌방향 회전용, 우방향 회전용, 상방향 업(Up)용, 하방향 다운(Down)용, 전방향 푸싱(Pushing)용, 좌방향 푸싱용, 우방향 푸싱용 등 이송모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나, 물론 상기 언급한 일실시 사례들로 제한받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추가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 간에 존재하는 대기구간(D1 내지 Dn) 예컨데, 이송물품(300)이 다음 작업공정을 대기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버퍼링(Buffering)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버퍼링부(180)는 작업공정을 진행하는 이송물품(300)이 다수 개인 경우에 있어서 전후 작업공정 간에 작업 수행시간을 융통성 있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결국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공정 밸런스(Balance)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보드(500)의 예컨데, C행 03번째 위치에 배치된 입출력포트(600)의 경우에 있어서 그 위치정보(141)(610)는 C03으로 생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입출력포트(600)에 내장 또는 외부에 구비된 위치정보(141)(610)는 AND, OR, NOT 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4비트(Bit) 논리게이트부(도시 생략함.)를 비롯하여 바코드(Bar Cod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위치정보(141)(610)는 입출력포트(600)가 배치된 위치별로 중복되지 않도록 고유하게 부호, 숫자 또는 코드화하여 생성시켜 주고, 이는 정보독출부(120)에서 독출(이를 "인식" 또는 "감지" 또는 "식별"이라고도 한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베이스 보드(500)의 C03 위치에 배치된 입출력포트(600)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이송모듈의 경우에 있어서 식별정보(142)(460)는 예컨데, FM001로 생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내장 또는 외부에 구비된 식별정보(142)(460)는 앞에서의 위치정보(141)(610)와 마찬가지로 4비트(Bit)로 구성된 논리게이트부, 바코드, RFID 태그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식별정보(142)(460)는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 공정별로 중복되지 않도록 고유하게 부호, 숫자 또는 코드화하여 생성시켜 주고, 이 또한 정보독출부(120)에서 독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이를 정리하면 베이스 보드(500)의 C03 위치에 배치된 입출력포트(600)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이송모듈에 대한 어드레스정보(143)는 C03FM001로 생성되어 있고, 이는 예컨데 전방향 이동용 이송모듈에 해당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언급한 위치정보(141)(610) 및 식별정보(142)(460)에 근거하여 생성된 어드레스정보(143)의 코드화 사례 즉, C03FM001은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한 것이며, 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적용 가능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독출부(120)에서 입출력포트(600)에 대한 위치정보(141)(610)를 독출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4비트(Bit) 논리게이트부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입출력포트(600)의 제1포트(601) 또는 제2포트(602)에 구비된 신호핀 잭(623) 중에서 어느 4개를 선정한 예컨데, 1번 내지 4번 신호핀 잭(부호 없음)에 호스트 검퓨터(100) 또는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로부터 4비트(Bit)의 스캔신호(IS1)를 상기 4비트(Bit) 논리게이트부에 공급하고, 이어서 리턴(Return)되는 상기 4비트(Bit)의 스캔신호(IS1)를 정보독출부(120)에서 독출되게 함으로써 베이스 보드(500)에 배치된 입출력포트(600)에 대한 위치정보(141)(610)의 독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정보독출부(120)에서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식별정보(142)(460)를 독출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4비트(Bit) 논리게이트부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입출력포트(600)의 제1포트(601) 또는 제2포트(602)에 구비된 신호핀 잭(623) 중에서 어느 4개를 선정한 예컨데, 1번 내지 4번 신호핀 잭(부호 없음)에 호스트 검퓨터(100) 또는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로부터 4비트(Bit)의 스캔신호(IS2)를 상기 4비트(Bit) 논리게이트부에 공급하고, 이어서 리턴(Return)되는 상기 4비트(Bit)의 스캔신호(IS2)를 정보독출부(120)에서 독출되게 함으로써 베이스 보드(500)의 입출력포트(600)에 각각 설치된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식별정보(142)(460)의 독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141)(610) 및 식별정보(142)(460)로써 바코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바코드 리더기를 입출력포트(600) 또는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입출력포트(600)에 대한 위치정보(141)(610) 및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식별정보(142)(460)의 독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141)(610) 및 식별정보(142)(460)로써 RFID 태그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RFID 리더기를 입출력포트(600) 또는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입출력포트(600)에 대한 위치정보(141)(610) 및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식별정보(142)(460)의 독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은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콘트롤러(200)를 통해 다수 개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순차적으로 통합제어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실제로 작업공정에 적용하게 되면, 하나의 콘트롤러(200)에 의해 다수 개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통합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작업공정 간의 작업 수행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은 있으나, 시스템 설치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은 첨부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각각 하나씩 매칭된 다수 개의 콘트롤러(200-1 내지 200-n)를 통해 순차적으로 개별제어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실제로 작업공정에 적용하게 되면,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각각 하나씩 매칭된 다수 개의 콘트롤러(200-1 내지 200-n)에 의해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개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시스템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나, 작업공정 간의 작업 수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의 제어대상인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는 첨부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구동모터(430)를 비롯하여 롤러(440), 컨베어벨트(450), 엑츄에이터, 푸셔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이 또한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한 것이며, 이송물품(300)을 이송하기 위한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학습용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을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이송물품이(300)이 이송되는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컨데, 호스트 컴퓨터(100)에 구비된 제어부(110)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콘트롤러(200)(200-1 내지 200-n)에서 제어신호(CS1)가 출력되면, 이때 어드레스정보(143)가 C02UP001로 생성된 제1이송모듈(400-1)이 첫 번째로 구동하여 2초에 걸쳐 이송물품(300)을 상방향으로 업(Up)시켜 주고, 이어서 어드레스정보(143)가 C01FP001로 생성된 제2이송모듈(400-2)이 구동하여 2초에 걸쳐 이송물품(300)을 전방향으로 푸싱(Pushing)해 주면, 이를 어드레스정보(143)가 C03FM001로 생성된 제3이송모듈(400-3)이 구동되어 10초에 걸쳐 이송물품(300)을 전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는 작업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이송물품(300)을 최종 목적지 즉, 어드레스정보(143)가 A06RT001로 생성된 제10이송모듈(400-10)까지 이송하여 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준 다음 작업공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 호스트 컴퓨터
110 : 제어부
120 : 정보독출부
130 : 어드레스정보DB
140 : 프로그램매칭부
140a : 프로그램생성부
141, 610 : 위치정보
142, 460 : 식별정보
143 : 어드레스정보
144, 144a : 제어프로그램
145 : 구동순서설정부
146 : 구동타임설정부
147 : 프로그램작성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키입력부
170, 170a : 제어프로그램DB
180 : 버퍼링부
200, 200-1 내지 200-n : 콘트롤러
300 : 이송물품
400, 400-1 내지 400-n : 이송모듈
410 : 바디
420 : 커넥터
421 : 제1커넥터
422 : 제2커넥터
423 : 신호핀
430 : 구동모터
440 : 롤러
450 : 컨베어벨트
500 : 베이스 보드
600 : 입출력포트
601 : 제1포트
602 : 제2포트
623 : 신호핀 잭

Claims (10)

  1. 베이스 보드(500)에 배치된 다수 개의 입출력포트(600);
    상기 입출력포트(600)에 커넥터(420)를 통해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위치정보(141)(610)와 식별정보(142)(460)를 독출하는 정보독출부(120);
    상기 정보독출부(120)에서 독출된 위치정보(141)(610)와 식별정보(142)(460)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정보DB(130);
    상기 어드레스정보DB(130)에 생성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에 제어프로그램DB(170)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144)을 매칭시키고, 상기 제어프로그램(144)에 대한 구동순서를 설정하는 프로그램매칭부(140);
    상기 프로그램매칭부(140)에서 설정된 제어프로그램(144)의 구동순서에 따라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100)의 제어를 받아 제어신호(CS1)를 출력하는 콘트롤러(200);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141)(610)는 입출력포트(600)의 제1포트(601) 또는 제2포트(602)에 구비된 신호핀 잭(623) 중에서 선정된 어느 4개의 1번 내지 4번 신호핀 잭을 통해서 4비트(Bit)의 스캔신호(IS1)를 공급받는 4비트 논리게이트부에 의해 입출력포트(600)가 배치된 위치별로 고유하게 코드화 생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베이스 보드(500)에 배치된 다수 개의 입출력포트(600);
    상기 입출력포트(600)에 커넥터(420)를 통해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제어신호(CS1)를 출력하는 콘트롤러(200)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100); 및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위치정보(141)(610)와 식별정보(142)(460)를 독출하는 정보독출부(120);
    상기 정보독출부(120)에서 독출된 위치정보(141)(610)와 식별정보(142)(460)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대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정보DB(130);
    상기 어드레스정보DB(130)에 생성된 각각의 어드레스정보(143)에 매칭되도록 프로그램작성부(147)를 통해 제어프로그램(144a)을 생성하여 제어프로그램DB(170a)에 저장시키는 프로그램생성부(140a);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141)(610)는 입출력포트(600)의 제1포트(601) 또는 제2포트(602)에 구비된 신호핀 잭(623) 중에서 선정된 어느 4개의 1번 내지 4번 신호핀 잭을 통해서 4비트(Bit)의 스캔신호(IS1)를 공급받는 4비트 논리게이트부에 의해 입출력포트(600)가 배치된 위치별로 고유하게 코드화 생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 간에 존재하는 대기구간(D1 내지 Dn)에 대한 대기시간을 제어하는 버퍼링부(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142)(460)는 입출력포트(600)의 제1포트(601) 또는 제2포트(602)에 구비된 신호핀 잭(623) 중에서 선정된 어느 4개의 1번 내지 4번 신호핀 잭을 통해서 4비트(Bit)의 스캔신호(IS2)를 공급받는 4비트 논리게이트부에 의해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별로 고유하게 코드화 생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가진 개별적인 작업공정은 하나의 콘트롤러(200)를 통해 다수 개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이 순차적으로 통합제어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이송모듈(400-1 내지 400-n)에 각각 하나씩 매칭된 다수 개의 콘트롤러(200-1 내지 200-n)를 통해 순차적으로 개별제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KR1020110023275A 2011-03-16 2011-03-16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KR101264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275A KR101264023B1 (ko) 2011-03-16 2011-03-16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275A KR101264023B1 (ko) 2011-03-16 2011-03-16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84A KR20120105684A (ko) 2012-09-26
KR101264023B1 true KR101264023B1 (ko) 2013-05-13

Family

ID=4711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275A KR101264023B1 (ko) 2011-03-16 2011-03-16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32B1 (ko) * 2013-09-17 2014-06-26 주식회사 한백전자 임베디드 환경의 스마트기기 융복합 플랫폼 실습장치
CN106297490A (zh) * 2016-11-09 2017-01-04 上海海积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驾驶教学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84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7077A (zh) 用于仓储拣货的系统、方法、装置、拣选车及穿梭车
CN103760443A (zh) 一种板卡自动测试系统及其测试方法
KR101264023B1 (ko) 학습용 이송모듈의 제어장치
CN108529194A (zh) 一种料盘输送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11933041A (zh) 电子价签、导轨、电子价签系统和信息显示的方法
JPH0253325B2 (ko)
CN104992610A (zh) 一种智能视觉工业机器人分拣装箱职业竞赛系统及方法
JP2012003489A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CN205038899U (zh) 一种模块化传送分拣实训装置
CN109552451B (zh) 车辆总成装配生产线
JP2012150646A (ja) 生産設備および生産システム
JPWO2004108347A1 (ja) 組立システム、組立ユニット、レイアウト作成装置ならびにレイアウト作成方法
CN203737616U (zh) 一种图书分拣装置
EP3704722B1 (en) Electric wire harness
CN204557558U (zh) 基于rfid的航空教学工器具可视化管理系统
CN107967860A (zh) 迷你教学辅助系统
KR101622521B1 (ko) Plc 통신 장치
KR101184087B1 (ko) 실습 기자재의 자기진단장치 및 그 방법
US20220244712A1 (en) Production System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11200006B2 (en) Electronic memory data storage system having memory chips transportable to memory controller drives
KR20220027221A (ko) 인코더 시스템, 모터 시스템 및 로봇
CN208790626U (zh) 物料操作系统
Le et al. Multilayer Communication-Based Controller Design for Smart Warehouse Testbed
JP6829292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3792877A (zh) 机械加工生产线用产品加工信息自动记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