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031B1 - 안전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031B1
KR101262031B1 KR1020110003264A KR20110003264A KR101262031B1 KR 101262031 B1 KR101262031 B1 KR 101262031B1 KR 1020110003264 A KR1020110003264 A KR 1020110003264A KR 20110003264 A KR20110003264 A KR 20110003264A KR 101262031 B1 KR101262031 B1 KR 10126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belt
exposed
fix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887A (ko
Inventor
한복환
Original Assignee
한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복환 filed Critical 한복환
Priority to KR102011000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안전 잠금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제2 단부를 가지는 가요성 고정띠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띠가 상기 본체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띠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에 연속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볼록하게 노출된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잠금 부재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의 제1 부분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고정띠의 제2 부분의 길이가 변하도록 상기 고정띠의 제1 부분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안전 잠금 장치{SAFETY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수납장의 문을 여닫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닫을 수 있는 문을 구비하는 수납장은 그 내부 공간에 물건을 수용한다. 이러한 수납장을 이용함에 있어서, 특히 유아들은 수납장을 개방하여 그 속의 정돈된 물건을 빼내거나 어지럽히는 경우가 많고, 수납장 문틈에 손을 넣어 다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부주의하게 또는 의도치않게 수납장 문을 여닫으면서 손을 다치는 안전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납장 이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전 잠금 장치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한 안전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제2 단부를 가지는 가요성 고정띠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띠가 상기 본체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띠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에 연속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볼록하게 노출된 제2 부분을 가진다. 상기 잠금 부재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의 제1 부분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고정띠의 제2 부분의 길이가 변하도록 상기 고정띠의 제1 부분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안전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의 적어도 일부에는 치형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띠의 치형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요소와, 상기 맞물림 요소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맞물림 요소를 상기 고정띠의 치형부를 향해 압박하는 스프링과, 상기 맞물림 요소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맞물림 요소의 타측면 상에 상기 맞물림 요소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 요소를 외부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맞물림 요소를 상기 스프링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의 본체에는 관통 개구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관통 개구의 둘레에는 고무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 둘레에는 상기 관통 개구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상기 고무를 압박하는 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의 본체는 상면, 이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 제1 측면 및 이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띠의 제2 부분은 상기 본체의 제2 측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고정띠의 제2 단부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 요소의 노출된 일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고정띠의 제2 부분은 상기 본체의 제1 측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띠의 제2 단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누름 요소의 노출된 일부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본체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띠 및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해 좌우 대칭이도록 고정띠 및 잠금 부재가 각각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장의 문이 용이하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성인이 본 발명의 안전 잠금 장치를 수납장의 문에 설치함으로써, 유아들이 수납장을 여닫지 못하게 할 수 있으며, 의도치않게 수납장의 문이 개폐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미관상으로도 우수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중에 유통되거나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보관함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수납장을 간략히 도시.
도 2b는 도 1의 안전 잠금 장치가 도 2a의 수납장에 이용되는 양태를 간략히 도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안전 잠금 장치(100)는 본체(110)와, 가요성 고정띠(120)와, 잠금 부재(130)를 포함한다.
안전 잠금 장치(100)의 본체(1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이 내부 공간에 가요성 고정띠(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다. 이 본체(1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본체(110)는 상면(111)과, 이 상면(111)에 대향하는 하면(112)과, 제1 측면(113)과, 이 제1 측면(113)에 대향하는 제2 측면(114)을 가진다. 안전 잠금 장치(100)의 본체(110)는 본체(110)를 관통하는 관통 개구(140)를 포함하며, 이 관통 개구(140) 둘레에는 신축성 고무(150)가 마련된다. 이 고무(150) 둘레에는 고무(150)를 개구(14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박할 수 있는 스프링(160), 예컨대 판 스프링이 마련된다.
안전 잠금 장치(100)의 가요성 고정띠(120)는 본체(1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본체(110)에 고정되는 제1 단부(123)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제2 단부(124)를 가진다. 도 1에서, 고정띠(120)의 제1 단부(123)는 본체(110)의 제2 측면(114) 상단에 고정되고, 고정띠(120)의 제2 단부(124)는 본체(110)의 제2 측면(114) 하단을 관통하여 본체(110)의 제1 측면(113)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고정띠(120)의 제1 단부(123)는 패스너와 같은 탈부착 장치에 의해 본체(110)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고정띠(120)는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1 부분(121)과, 이 제1 부분(121)에 연속하며 상기 본체(110)의 외부에 볼록하게 노출된 제2 부분(122)을 가진다. 도 1에서,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은 본체(110)의 제2 측면(114)과의 사이에 D자형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고정띠(120)의 제1 부분(121)이 이동함에 따라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제1 부분(121)이 제1 측면(113)을 향해 이동할 때 제2 부분(122)의 길이가 줄어들며, 제1 부분(121)이 제2 측면(114)을 향해 이동할 때 제2 부분(122)의 길이가 늘어난다.
이러한 고정띠(1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잠금 부재(130)와 맞물릴 수 있는 치형부(125)가 마련된다. 도 1에 있어서, 치형부(125)는 고정띠(120)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띠(12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안전 잠금 장치(100)의 잠금 부재(130)는 본체(110)에 장착되어,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의 길이가 변하도록 고정띠(120)의 제1 부분(121)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부재(130)는 맞물림 요소(131)와, 누름 요소(132)와, 스프링(133)을 포함한다. 맞물림 요소(131)는 본체(110)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고정띠(120)에 마련된 치형부(125)와 맞물린다. 스프링(133)은 맞물림 요소(131)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어 맞물림 요소(131)를 고정띠(120)의 치형부(125)를 향해 압박한다. 스프링(133)이 배치된 맞물림 요소(133)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맞물림 요소(133)의 타측면 상에 누름 요소(132)가 배치되고, 이 누름 요소(132)는 맞물림 요소(133)와 접촉하며, 적어도 일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누름 요소(132)를 외부로부터 압박하면, 예컨대 도 1에서 누름 요소(132)를 스프링(133)을 향해 압박하면 맞물림 요소(131)는 스프링(133)을 향해 이동하며, 이러한 맞물림 요소(131)의 이동으로 인해 맞물림 요소(131)와 고정띠(120)의 치형부(125)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된다. 누름 요소(132)에 외력을 가하는 것을 중단하면, 맞물림 요소(131)는 스프링(133)에 의해 압박되어 고정띠(120)의 치형부(125)를 향해 이동하며, 이로 인해 맞물림 요소(131)는 고정띠(120)의 치형부(125)와 다시 맞물리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띠(120)의 치형부(125)의 치(齒)는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치형부(125)와 맞물리는 맞물림 요소(131)의 일부[도 1에서, 맞물림 요소(131)의 하단]가 이에 상보적으로 경사져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치형부(125)의 치(齒)의 경사를 크게 함으로써, 치형부(125)와 맞물림 요소(131)가 서로 맞물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고정띠(120)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치형부(125)의 치(齒)의 경사를 낮춤으로써, 잠금 부재(130)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고정띠(120)의 제1 부분(121)이 제2 측면(114)을 향해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나 고정띠(120)의 제1 부분(121)이 제1 측면(113)을 향해 이동하는 것은 허용되게 할 수 있다. 즉, 잠금 부재(130)의 잠금 상태에서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은 방지되나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의 길이가 줄어드는 것은 허용되게 할 수 있다.
치형부(125)의 치(齒)의 형상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치형부(125)의 치(齒)는 좌우 대칭인 쐐기 형상일 수 있으며, 맞물림 요소(131)는 이러한 쐐기형 치(齒)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치형부(125)와 맞물림 요소(131)가 맞물렸을 때, 제1 부분(121)은 제1 측면(113)을 향하는 방향 및 제2 측면(114)을 향하는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없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수납장을 도시하며, 도 2b는 도 1의 안전 잠금 장치가 도 2a의 수납장에 이용되는 양태를 간략히 도시한다.
도 2a에 있어서, 수납장(200)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수납장(200)의 본체에 그 회전축이 고정된 문(210, 220)을 포함하고 있고, 이 문(210, 220)의 외측에는 원형의 손잡이(230. 240)가 돌출되어 있다. 문(210, 220)은 도 2a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장(200)의 문(210, 220)이 회전하지 않도록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30, 240)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안전 잠금 장치(100)의 본체(110)에 형성된 개구(140)에 일측 손잡이(230)가 삽입되고, 본체(110)와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타측 손잡이(240)가 삽입된다. 개구(140) 둘레에 마련된 고무(150)는 손잡이(230)가 개구(14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손잡이(23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그 탄성에 의해 손잡이(230)를 압박하여 손잡이(230)와 개구(140) 사이의 확고한 결합을 보장한다. 또한, 고무(150)를 개구(14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160)은 상술한 손잡이(230)와 개구(140) 사이의 확고한 결합을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이와 같이 손잡이들(230, 240)을 안전 잠금 장치(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잠금 부재(130)의 누름 요소(132)를 상부로 압박하여 맞물림 요소(131)와 고정띠(120)의 치형부(125)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고정띠(120)의 제2 단부(124)를 파지하여 본체(110)의 제1 측면(113) 외측으로 고정띠(120)를 잡아 당긴다.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해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과 본체(110)의 제2 측면(114) 사이 공간은 줄어들게 되고, 손잡이(240)는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에 의해 단단히 조여지게 된다.
상술한 작업을 통해 안전 잠금 장치(1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수납장(200)의 문(210, 220)은 여닫을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수납장(200)의 문을 여닫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아가 수납장(200)의 내부 공간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안전 잠금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안전 잠금 장치(100)의 고정띠(120) 및 잠금 부재(130)를 그 위치 및 배치만을 달리하여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고정띠(120) 및 잠금 부재(130)에 각각 대응하는 추가 고정띠(320) 및 추가 잠금 부재(1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에 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고정띠(120)는 본체(110)의 제1 측면(113)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띠(120)의 제2 부분(122)은 본체(110)의 제1 측면(113) 외측으로 볼록하게 노출된다. 고정띠(120)의 제2 단부(124)는 본체(110)의 하면(112) 외측으로 노출되고, 누름 요소(132)는 그 일부가 본체(110)의 제1 측면(113) 외측으로 노출된다.
추가 고정띠(320)와 추가 잠금 부재(330)는 본체(110)의 제1 측면(113) 및 제2 측면(114)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고정띠(120) 및 잠금 부재(130)에 대해 좌우 대칭이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추가 고정띠(320)는 본체(110)의 제2 측면(114)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추가 고정띠(320)의 제2 부분(322)은 본체(110)의 제2 측면(114) 외측으로 볼록하게 노출된다. 추가 고정띠(320)의 제2 단부(324)는 본체(110)의 하면(112) 외측으로 노출되고, 추가 잠금 부재(330)의 추가 누름 요소(332)는 그 일부가 본체(110)의 제2 측면(113) 외측으로 노출된다.
고정띠(120) 및 추가 고정띠(320)가 본체(110)에 배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지대(340)가 본체(11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띠(120) 및 추가 고정띠(320)는 지지대(340)와 접촉하여 지지대(340) 외면의 곡면을 따라 굴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달리, 지지대(340)는 고정띠(120) 및 추가 고정띠(3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고정띠들(120; 32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를 이용함에 있어, 고정띠들의 제2 부분들(122; 322)과 본체(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은 수납장의 손잡이를 삽입한 후, 잠금 부재들(130; 330)이 잠금 해제되도록 누름 요소들(132; 332)을 서로에 대해 압박하고, 제2 단부들(123; 324)을 아래로 당김으로써 고정띠들의 제2 부분들(122; 322)은 수납장의 손잡이를 꽉 죄게 된다. 안전 잠금 장치(100)는 수납장의 손잡이에 설치되고,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수납장의 문이 개폐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에 있어 고정띠의 제2 부분은 두 개가 마련되므로,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사항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실시예들이 여기에서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되었고,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그리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지정된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균등의 의미와 범위 내의 모든 변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제2 단부를 가지는 가요성 고정띠;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띠가 상기 본체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띠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에 연속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볼록하게 노출된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잠금 부재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의 제1 부분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고정띠의 제2 부분의 길이가 변하도록 상기 고정띠의 제1 부분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고정띠의 적어도 일부에는 치형부가 마련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띠의 치형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요소와, 상기 맞물림 요소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맞물림 요소를 상기 고정띠의 치형부를 향해 압박하는 스프링과, 상기 맞물림 요소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맞물림 요소의 타측면 상에 상기 맞물림 요소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요소를 외부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맞물림 요소를 상기 스프링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관통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관통 개구의 둘레에는 고무가 마련되며, 상기 고무 둘레에는 상기 관통 개구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상기 고무를 압박하는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인 안전 잠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 이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 제1 측면 및 이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띠의 제2 부분은 상기 본체의 제2 측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띠의 제2 단부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면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누름 요소의 노출된 일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인 안전 잠금 장치.
  5.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제2 단부를 가지는 가요성 고정띠;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띠가 상기 본체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띠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에 연속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볼록하게 노출된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잠금 부재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의 제1 부분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고정띠의 제2 부분의 길이가 변하도록 상기 고정띠의 제1 부분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고정띠의 적어도 일부에는 치형부가 마련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띠의 치형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요소와, 상기 맞물림 요소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맞물림 요소를 상기 고정띠의 치형부를 향해 압박하는 스프링과, 상기 맞물림 요소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맞물림 요소의 타측면 상에 상기 맞물림 요소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요소를 외부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맞물림 요소를 상기 스프링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는 상면, 이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 제1 측면 및 이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띠의 제2 부분은 상기 본체의 제1 측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띠의 제2 단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누름 요소의 노출된 일부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본체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띠 및 상기 잠금 부재에 대해 좌우 대칭이도록 고정띠 및 잠금 부재가 각각 추가로 마련되는 것인 안전 잠금 장치.
KR1020110003264A 2011-01-12 2011-01-12 안전 잠금 장치 KR10126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64A KR101262031B1 (ko) 2011-01-12 2011-01-12 안전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64A KR101262031B1 (ko) 2011-01-12 2011-01-12 안전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87A KR20120081887A (ko) 2012-07-20
KR101262031B1 true KR101262031B1 (ko) 2013-05-08

Family

ID=4671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264A KR101262031B1 (ko) 2011-01-12 2011-01-12 안전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2872A (zh) * 2020-11-09 2021-01-22 北京中宇豪电气有限公司 一种便携式门栓
CN114734100A (zh) * 2022-05-19 2022-07-12 威海天润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手动辅助攻丝的扳手及其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98U (ko) * 1976-06-22 1978-01-11
KR200287089Y1 (ko) * 2002-06-04 2002-08-27 (주)광성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98U (ko) * 1976-06-22 1978-01-11
KR200287089Y1 (ko) * 2002-06-04 2002-08-27 (주)광성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87A (ko) 201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3043B2 (ja) 取り外し可能なエラストマー製結束バンド
KR101438572B1 (ko) 와이어 조임장치
JP5160497B2 (ja) ペットサークル用扉のロック装置、該装置を備えたペットサークル
US10329840B2 (en) Child safe operating wand for a blind
KR101059775B1 (ko) 길이 조절용 버클 장치
RU22256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в виде пряжки
KR10155044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KR101262031B1 (ko) 안전 잠금 장치
JP2018508316A (ja) 安全固定システム、安全固定システムに使用可能なカラビナ、および安全固定システムを含む固定組立品
US6874825B1 (en) Drawer locking assembly
US5918915A (en) Sliding door lock
KR10133270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US9187939B1 (en) Safety gate locking strap and a safety gat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U2017202217B2 (en) Buckle
CN102525039A (zh) 绳索端头
US3149386A (en) Fabric fastening device
US20110016678A1 (en) Strap buckle
CN203575768U (zh) 安全带卡扣
JP2006348517A (ja) 扉開き防止装置
KR100869636B1 (ko) 안전용기
US948170A (en) Travel case and bag.
TWI702023B (zh) 窗簾繩索之垂重件
KR101445018B1 (ko)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체
JP7113477B2 (ja) ロック装置を装着可能な開閉式構造体のロック機構
JP5330412B6 (ja) 取り外し可能なエラストマー製結束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