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122B1 - 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 - Google Patents

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122B1
KR101261122B1 KR1020110023395A KR20110023395A KR101261122B1 KR 101261122 B1 KR101261122 B1 KR 101261122B1 KR 1020110023395 A KR1020110023395 A KR 1020110023395A KR 20110023395 A KR20110023395 A KR 20110023395A KR 101261122 B1 KR101261122 B1 KR 10126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avement
storage module
filter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5760A (en
Inventor
한신인
이강문
김부성
정영욱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2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122B1/en
Publication of KR2012010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의 포장층과 원지반 노상 사이에 배치되어 포장로의 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포장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로 하부에 설치되는 빗물 정화 저류 시설에 있어서, 포장층과 원지반 노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층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포장층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하도록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제1유입공간과 제2유입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빗물 저류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pavement layer of asphalt or concrete and the ground roadb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pavement, and to store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pavement rain pavement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sing a modular structure In more detail, in the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vement path, disposed between the pavement layer and the ground roadbed to support the load generated in the pavement layer, to store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pavement layer It relates to a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a modular structure to include a flow path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storage modules formed with a first inflow space and a second inf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Description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

본 발명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의 포장층과 원지반 노상 사이에 배치되어 포장로의 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포장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pavement layer of asphalt or concrete and the ground roadb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pavement, and to store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pavement rain pavement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sing a modular structur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현재의 인도 및 도로는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성으로 구성된 포장이며 그 면적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불투수성 포장은 빗물이 지반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반의 사막화를 초래하고 지하수를 고갈시키고 있으며, 자연적 물순환 시스템의 왜곡을 가져와 강우 유출량 및 첨두유량의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도 증가시킴으로써 도시홍수, 수생태계의 파괴 및 수질오염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In general, current sidewalks and roads are paved with water impermeability due to urbanization, and their area is getting wider. This impervious pavement prevents rain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soil, causing desertification of the soil and depleting groundwater, causing distortion of the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 increasing rainfall runoff and peak flow, and increasing the discharge of various nonpoint pollutants. It causes various problems such as urban flooding, destruction of water ecosystems and water pollution.

이와 같이 불투수성 포장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1712호의 "다공성 필터가 설치된 보도블록"이 제시되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or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impermeable packaging, a "walk block provided with a porous filter" of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51712 has been presented.

상기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통기성, 투수성 및 정화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관통되는 필터홀이 형성된 보도블록에 숯, 활성탄, 맥반석 분말, 세라믹 분말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필터홀과 동일한 형상이 구비되도록 압출/사출성형한 다공성 필터가 설치된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Looking at the prior art, the same shape as the filter hole using one or more charcoal, activated carbon, ganban stone powder, ceramic powder in the sidewalk block formed with a filter hole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in order to impart breathability, permeability and purification 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walk block provided with a porous filter extruded / molded to be provided.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포장층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보도블록을 이용하여 단순히 빗물의 통기성, 투수성 및 정화능력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빗물 저류 및 재활용에 대한 효과는 저조하다.However, the prior art focuses only on the breathability, permeability, and purification ability of rainwater using a sidewalk block,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pavement layer, and the effect on rainwater storage and recycling is low.

한편,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8860호의 "보수성 블록 포장 시스템"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별도의 수원없이 블록 하단에 저수 패널을 구비하여 우천시 필터층을 통해 여과된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며 또한 상부 블록으로의 수분 공급은 급수 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모래층의 모세관 형상을 통해 상부 블록까지 직접 공급하여 증발을 유도하는 보수성 블록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has been presented a "conservative block packaging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58860, which has a storage panel at the bottom of the block without a separate source to store the rain 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layer in the rain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to the upper block relates to a conservative block packaging system that induces evaporation by directly supplying the upper block through the capillary shape of the sand layer without using a water supply member.

이러한 종래 기술은 기층 상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저수부를 포함하는 저수패널, 상기 저수부 사이 및 저수패널 상에 구비되는 필터층, 필터층 상에 구비되는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패널은 4 내지 10㎝의 높이를 갖는 내 충격성 경질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저수부는 사각단면 형태의 라인타입이고 그 하단부에 투수공을 갖고 있으며, 투수공은 모래의 투과를 방지하며 물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물질로 덮이는 형태이다.The prior art is provided on the base layer, and consists of a water storage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storage portions, a filter layer provided between the water storage portions and on the water storage panel, and a block provided on the filter layers. The water storage panel is formed of an impact resistant hard resin material having a height of 4 to 10 cm, and each water storage portion is a line ty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has a water hole at the bottom thereof, and the water hole prevents the penetration of sand. It is covered with a material that can selectively permeate water.

그러나, 내 충격성 경질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상기 종래 기술의 저수패널은 하부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서 단일규모의 대형 저류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작은 공간의 저수부를 다량으로 설치해야 함으로 제안된 지표면 냉각 목적 이외의 빗물 활용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water storage panel using the impact resistant hard resin material does not have a large storage space of a single scale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lower load, and requires a large amount of water storage in a small space. In terms of rainwater utilization other than the purpose there is an inefficient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강성이 확보된 빗물 저류 구조물을 포장층과 노상 사이에 설치하여 보도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넓은 저류 공간을 통해 다량의 빗물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 흡착, 여과 장치를 구비하여 빗물의 비점오염물질을 제거 및 활용 가능한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stalling a stiffness rainwater storage structure between the pavement layer and the roadbed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idewalk and to secure a large amount of rainwater through a wide storage spa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at the bottom of a pavement using a modular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and utilizing non-point pollutants in rainwater by providing an adsorption and filtering device on the structure.

또한, 기존 도로 포장 공사에서 사용되는 쇄석을 이용하여 도로의 기층을 형성하는 방법 대신 안정성 및 지지력이 확보된 모듈화된 구조물을 기층으로 적용시킴으로써 도로 포장 공사 기간 및 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forming the base of the road by using the crushed stone used in the existing road paving construction, a modular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of the road paving construction by applying a modular structure having stability and support as a base layer.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bottom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with used pavement.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은 포장로에 설치되는 빗물 저류 구조물에 있어서, 포장층과 원지반 노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층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포장층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하도록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제1유입공간과 제2유입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빗물 저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the modul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nwater storage structure installed in the pavemen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pavement layer and the ground roadbed and is generated in the pavement layer. And a plurality of rainwater storage modules formed with a flow path and a first inflow space and a second inf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to store rainwater flowing from the paving layer.

본 발명은 상기 빗물 저류 모듈 상부면에 구성되어 빗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1토목섬유; 및 상기 빗물 저류 모듈 하부면에 구성되어 빗물 저류 모듈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의 분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제2토목섬유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geotextile is configured o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upper surface serves to remove pollutants of rainwater; And a second geosynthetic fiber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to perform a role of distributing load generated by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본 발명은 상기 빗물 저류 모듈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빗물로부터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 및 여과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for removing the non-point contaminants from the rainwater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하나의 예로써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격자 모양의 격자망과, 상기 격자망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격자망의 테두리를 감싸는 스크린틀로 구성되어 상기 제1유입공간으로 삽설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adsorption and filtering means may include a grid-shaped grid and a screen frame configured to enclose an edge of the grid so as to fix the grid, an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flow space. It is characteristic.

하나의 예로써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여과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상기 여과재를 감싸는 여과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 저류 모듈의 어느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여과기둥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is composed of a filter medium and a filter net surrounding the filter medium with particles smaller than the filter medium to prevent loss of the filter medium, and passing through any one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lter column installed to be located in.

하나의 예로써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격자 모양의 격자망과, 상기 격자망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격자망의 테두리를 감싸는 스크린틀 및 상기 스크린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유입공간 상에서 부력체의 작용에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is composed of a lattice grid, a screen frame surrounding the grid so as to fix the grid, and at least one buoyancy body mounted below the screen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creen flowing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ction of the buoyancy body on the second inlet spac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빗물 저류 모듈의 제1유입공간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빗물 저류 모듈로 유입된 다량의 빗물이 유출되는 속도가 저하되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lat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irst inlet sp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so that the rate of outflow of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is reduced have.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은 포장로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포장로의 하부에 넓은 저류 공간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다량의 빗물을 저류할 수 있게 되며, 빗물 저류 모듈에 흡착 및 여과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빗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the modul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avement to form a large storage space at the bottom of the pavement to store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In additio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is provided with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through which the effect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that may occur from rainwater occurs.

또한, 기존 도로 포장 공사에서 사용되는 쇄석을 이용하여 도로의 기층을 형성하는 방법 대신 안정성 및 지지력이 확보된 모듈화된 구조물을 기층으로 적용시킴으로써 도로 포장 공사 기간 및 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method of forming the base of the road by using the crushed stone used in the existing road paving construction, by applying a modular structure with stability and support as a base, the effect of reducing the road paving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is generated.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빗물 저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여과기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c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스크린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4a는 도 3a의 스크린이 적용된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도 3b의 여과기둥이 적용된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storage module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pilla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scre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vement bottom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sing the modularized structure to which the screen of FIG. 3A is applied.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vement bottom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sing the modular structure to which the filter pillar of FIG. 3B is appli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plate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빗물 저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여과기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c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스크린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the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nwater storage modul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pilla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C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a는 도 3a의 스크린이 적용된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a는 도 3b의 여과기둥이 적용된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In addition, 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the modular structure with the screen of Figure 3a, 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the modular structure with the filter column of Figure 3b.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plat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의 포장층(10)과 원지반(20) 노상 사이에 배치되어 포장로의 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포장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장로 하부의 빗물 정화 저류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pavement layer 10, such as asphalt or concrete and the base plate 20 roadb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pavement, and to store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pavement rainwater below the pavement It relates to a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이러한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층(10)의 시공 범위와 대응하도록 상기 포장층(10)과 원지반(20) 노상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빗물 저류 모듈(30)과,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2 토목섬유(40, 50) 및 상기 제1토목섬유(40) 상부면에 형성되는 모래층(60)을 포함한다.The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includes a plurality of rainwater storage modules 30 arranged side by side between the paving layer 10 and the base 20 roadbed to correspond to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paving layer 10 as shown in FIG. 1. And first and second geosynthetic fibers 40 and 50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and sand layers 60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eosynthetic fibers 40, respectively. .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은 통상의 직육면체 블록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빗물 저류 모듈(30)은 포장층(10)의 시공 시, 상기 포장층(10)의 시공 범위와 대응하도록 나란히 조립되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인접하는 타 빗물 저류 모듈(30)과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has a general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modules.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 configuration that is assembled side by 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packaging layer 10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packaging layer 10, other coupling water is provided adjacent to the other rainwater Mutual coupling with storage module 30 may be achiev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은 그 저면부에 빗물이 유입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流路)(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유로(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로의 외측에 설치되는 측구(1) 내지 인접하는 타 빗물 저류 모듈(30)과 연통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각 빗물 저류 모듈(30)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제1유입공간(310)이 형성되고, 좌, 우측면에는 각각 제2유입공간(320)이 형성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has a flow path 300 formed therein so that rainwater may flow into and move to a bottom portion thereof. The flow path 300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to the side opening (1)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avement, as shown in Figure 6, for each rainwater The storage module 30 has first inlet spaces 310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reof, and second inlet spaces 320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포장층(10)의 상부에서 측구(1)로 이동되는 빗물은, 상기 측구(1)를 통해 포장층(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빗물 저류 모듈(30)의 제1유입공간(310)으로 유입하게 되는 것이며, 유입된 빗물이 유로(300)를 통해 저류됨과 동시에 이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우수관(2)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rainwater mov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avement layer 10 to the side opening 1 is a first inflow sp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disposed below the pavement layer 10 through the side opening 1. It is to be introduced into 310, the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pipe (2)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nd stor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flow path 300.

이와 같이 유로(300)와 제1 및 제2유입공간(310, 320)이 형성된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구성에 의해 포장층(10) 하부에서 포장층(10)을 따라 빗물을 수용 및 저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formed with the flow path 300 and the first and second inflow spaces 310 and 320 accommodates rainwater along the packaging layer 10 under the packaging layer 10. It will form a space that can be stored.

또한,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은 원지반(20) 노상 상부에서 포장층(10) 상부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져 기존에 사용되던 쇄석 기층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은 포장층(10) 상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재질에 있어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has a rigidity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generated on the pavement layer 10 from the top of the base 20 roadbed to serve as a crushed stone base that has been used previously. Here,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as long as it can secure sufficient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load generated from the paving layer 10, but may be preferably made of a concrete material.

따라서, 기존 도로 포장 공사에서 사용되는 쇄석을 이용하여 도로의 기층을 형성하는 방법 대신 안정성 및 지지력이 확보된 모듈화된 구조물을 기층으로 적용시킴으로써 도로 포장 공사 기간 및 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stead of the method of forming the base of the road by using the crushed stone used in the existing road paving construction, by applying a modular structure having a stable and supportive force as a base can be reduced the road paving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s.

뿐만 아니라,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에는 흡착 및 여과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빗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provided with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to remove non-point pollutants that may occur from rainwater.

구체적으로,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흡착 및 여과한다. 이러한 흡착 및 여과 수단은 물리적 내지 화학적 처리 방식이 적용되는 공지 기술 등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하면 세 가지 예를 제시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and absorbs and filters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rainwater. Such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through known techniques to which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methods are appl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ree examples.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입도가 큰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다공성 스크린(70)을 포함한다.First, the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ous screen 70 for removing contaminant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contained in rainwater as shown in FIGS. 3A and 4A. .

상기 스크린(70)은 격자 모양의 격자망(700)과, 상기 격자망(7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격자망(700)의 테두리를 감싸는 스크린틀(70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유입공간(310)으로 삽설된다. The screen 70 is composed of a grid-shaped grid net 700, and a screen frame 701 surrounding the border of the grid net 700 so as to fix the grid net 700, the first inflow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310.

이때,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제1유입공간(310)에는 상기 스크린틀(701)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스크린홈(301)이 형성됨에 따라 삽입된 상기 스크린틀(701)을 고정하게 됨은 물론 상기 스크린홈(301)으로부터 상기 스크린(70)이 탈, 부착되어 추후에 스크린(7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creen frame 30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space 310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so that the screen frame 701 may be inserted in a slide manner. As well as fixing the 701, the screen 70 is detached and attached from the screen groove 301,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screen 70 later.

상기 스크린(70)의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저류 모듈(30)은 상기 제1유입공간(31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의 오염물질 등을 여과시켜 우수관(2)으로 방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70,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ilter the contaminants of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space 310 to discharge into the rain pipe (2) You can do it.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스틱 형상의 여과기둥(7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ick-shaped filter pillar (71).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둥(71)은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어느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로(30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은 그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30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투입구(302)에는 상기 여과기둥(71)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3B and 4B, the filter pillar 7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to penetrate one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to be positioned in the flow path 300. Rainwater storage module 30 has at least one inlet 302 is formed on one surface, each of the inlet 302 is provided with the filter pillar 71 is inserted.

상기 여과기둥(71)은 모래,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합성수지를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 여과재(710)와, 상기 여과재(710)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여과재(7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상기 여과재(710)를 감싸는 다공성의 여과망(7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여과기둥(71)은 상기 유로(30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1 및 제2유입공간(310, 32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여과재(710)에 의해 흡착 및 여과하여 방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filter column 71 is a filter medium 710 used by mixing at least one of sand, activated carbon, zeolite and synthetic resin, and the filter material (particle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filter medium 710 to prevent loss of the filter medium 710. 710 is composed of a porous filtering network 711 surrounding.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pillar 7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in the flow path 300 to filter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flow spaces 310 and 320. By adsorption, it becomes possible to discharge by filtration.

뿐만 아니라,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층(10)이 투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바, 상기 포장층(10)으로 투수되는 빗물은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투입구(302)로 유입하게 되어 상기 여과기둥(71)을 통과하면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흡착 및 여과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B, the pavement layer 10 may be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water permeable layer is formed.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302 of the pass through the filter column 71 can be adsorbed and filtered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rain water.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에 따라 유동되는 제2스크린(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nally, the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screen 72 that flows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상기 제2스크린(72)은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제1유입공간(310) 또는 제2유입공간(3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70)과 동일하게 빗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입도가 큰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screen 72 is installed in the first inflow space 310 or the second inflow space 320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the same as the screen 7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move pollutants of large particle size contained in rainwater,

구체적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크린(72)은 격자 모양의 격자망(720)과, 상기 격자망(7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격자망(720)의 테두리를 감싸는 스크린틀(7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유입공간(310) 또는 제2유입공간(320) 상에서 슬라이딩 구조로 상방향 내지 하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스크린(72)은 상기 스크린틀(721)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체(722)를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에 따라 작용하여 상방향 내지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C, the second screen 72 has a grid frame 720 that surrounds the grid network 720 and the frame of the grid network 720 to fix the grid network 720. It is composed of 721, the sliding flow on the first inlet space 310 or the second inlet space 320 in an upward direction to a downward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screen 72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buoyancy body 722 at the bottom of the screen frame 721 to act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flow path to flow upwards or downwards. It is.

이에 따라 한번에 다량의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2스크린(72)은 부력체(722)의 작용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유입공간(310) 또는 제2유입공간(320)을 완전히 개방시킴으로써 빗물이 저류됨에 있어 지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빗물의 량이 적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is introduced at a time, the second screen 72 is moved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action of the buoyancy body 722 to the first inlet space 310 or the second inlet space 320 By fully ope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nwater from being delayed. In general, when the amount of the rainwater is small, the rainwater is moved downward to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제1유입공간(310) 또는 제2유입공간(320) 역시 상기 제2스크린(72)의 스크린틀(721)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스크린홈(301-1)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The first inflow space 310 or the second inflow space 320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may also correspond to a scree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frame 721 of the second screen 72 so that the slide can flow in a sliding manner. No wonder that (301-1) should be 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1유입공간(310)에 일정 높이를 갖는 지지판(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판(80)의 구성에 의해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로 유입된 다량의 빗물이 유출되는 속도가 저하되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빗물이 상기 지지판(80)이 형성되는 높이 이상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유로(300)를 통과하여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강우 후에도 빗물 저류 모듈(30) 내의 공간에 빗물의 저류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late 8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in the first inlet space 31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5, the support plate 80 By the configuration i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rate of outflow of a large amount of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reduced. That is, when rainwater flows in at a h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at which the support plate 80 is formed, the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300 and is configured to be sto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amount of rainwater storage in the space i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even after the rainfall.

또한, 상기 지지판(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빗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기능 외에도 스트럿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판(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접하게 되는 기초 부위의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포장층(1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80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stru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rain wat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upport plate 80 can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pavement layer 10 positioned at the top by minimizing stress concentration by forming a wide area of the base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s shown in FIG. 5. Will be.

여기서, 상술한 스크린(70), 제2스크린(72), 여과기둥(71) 및 지지판(80)은 각각 하나의 실시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모듈(30)은 상기 실시 예들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 the screen 70, the second screen 72, the filter column 71 and the support plate 80 are described as one embodiment, respectively, but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it can be installed by applying a combination of examples.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로 하부의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은 강우 시 측구(1)를 통해 유입된 우수와,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 상부면에 설치된 여과기둥(71) 및 복수의 빗물 저류 모듈(30) 간의 틈 등을 통해 유입된 빗물은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을 지나 지반으로 침투되거나 우수관(2) 또는 외부로 유출되어 방류 또는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in the lower part of the pa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ide opening (1) during the rainfall, and the filter column 71 and a plurality of filter columns installed o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upper surfac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penetra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or flows out to the rain pipe 2 or the outside to be discharged or recycled.

뿐만 아니라, 포장로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포장로의 하부에 넓은 저류 공간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다량의 빗물을 저류할 수 있게 되며, 빗물 저류 모듈(30)에 흡착 및 여과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빗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ile ens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avement at the same time to form a large storage spa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vement can store a large amount of incoming rainwater,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provided with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move non-point pollutants that may occur from rainwa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로 하부의 빗물 정화 저류 시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제1토목섬유(40)와 제2토목섬유(50)가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at the bottom of the pa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respectively, the first civil fiber 40 and the second civil fiber ( 50) is attached.

먼저,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제1토목섬유(40)는 여과용도로 사용되는 토목섬유의 일종으로써,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 상부에서 빗물 속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First,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4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a kind of geotextiles used for filtration, to remove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t is composed.

그리고,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제2토목섬유(50)는 보강용 내지 흡수기능용도의 토목섬유로, 상기 빗물 저류 모듈(30)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 강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원지반(20)으로 전달되는 하중과 변형율을 분산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geosynthetic fiber 50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is a geosynthetic fiber for reinforcement or absorption function, and is stable to tensile strength generated by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At the same time to serve to distribute or reduce the load and strain transmitted to the base 20.

이러한 제1 및 제2토목섬유(40, 50)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통상의 토목섬유(Geosynthetics)의 일종으로써 시트 형태를 취하여 복수의 빗물 저류 모듈(30)이 조립된 상태에서 그 상부면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각 빗물 저류 모듈(30) 상부면에 부착된 각각 부착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eosynthetic fibers 40 and 50 are a kind of general geosynthetics including various functions, and take a sheet form to form a plurality of rainwater storage modules 30 as a whole. It may be attached, or may be of a structure attached to each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모래층(60)은 상기 제1토목섬유(40) 상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장층(10)과 빗물 저류 모듈(30) 사이에서 상기 포장층(10)의 완충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and layer 60 is formed on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40, and serves as a buffer of the pavement layer 10 between the pavement layer 10 and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3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 측구 2 : 우수관
10 : 포장층 20 : 원지반
30 : 빗물 저류 모듈 40 : 제1토목섬유
50 : 제2토목섬유 60 : 모래층
70 : 스크린 71 : 여과기둥
72 : 제2스크린 80 : 지지판
1: side mouth 2: excellent pipe
10: packaging layer 20: base plate
30: rainwater storage module 40: the first geotextile
50: second civil fiber 60: sand layer
70: screen 71: filter pillar
72: second screen 80: support plate

Claims (7)

포장로 하부에 설치되는 빗물 정화 저류 시설에 있어서,
포장층과 원지반 노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층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포장층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하도록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제1유입공간과 제2유입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빗물 저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빗물 저류 모듈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빗물로부터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 및 여과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여과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상기 여과재를 감싸는 여과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 저류 모듈의 어느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여과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
In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vement,
A plurality of first inlet spaces and second inlet spaces disposed between the paving layer and the ground road to support loads generated from the paving layer, and storing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paving layer; Includes a rainwater storage module,
Adsorbing and filtering means for removing the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rainwater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further includes,
The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It comprises a filter medium, and a filter net surrounding the filter medium with particles smaller than the filter medium to prevent the loss of the filter medium, and comprises a filter column installed to be located in the flow path through any one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A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beneath a pavement using a modular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및 여과 수단은,
격자 모양의 격자망과, 상기 격자망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격자망의 테두리를 감싸는 스크린틀 및 상기 스크린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유입공간 또는 제2유입공간 상에서 부력체의 작용에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
The method of claim 1,
The adsorption and filtration means,
A grid-shaped grid, a screen frame surrounding the grid so as to fix the grid, and at least one buoyant bod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creen frame, the first inlet space or the second inlet space A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a modula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creen flowing upward or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action of the buoyancy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류 모듈의 제1유입공간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구조물을 이용한 포장로 하부 빗물 정화 저류 시설.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facility under the pavement using a modular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irst inflow space of the rainwater storage module.
KR1020110023395A 2011-03-16 2011-03-16 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 KR101261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395A KR101261122B1 (en) 2011-03-16 2011-03-16 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395A KR101261122B1 (en) 2011-03-16 2011-03-16 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760A KR20120105760A (en) 2012-09-26
KR101261122B1 true KR101261122B1 (en) 2013-05-06

Family

ID=4711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395A KR101261122B1 (en) 2011-03-16 2011-03-16 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1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035B1 (en) * 2023-10-31 2024-02-02 서울특별시 금천구 Collecting apparatus for rainwa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6013B (en) * 2019-07-24 2024-02-14 Illman Susan Modular rain garde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2284B2 (en) 2003-11-27 2008-05-28 羽田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Rainwater underground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08421B1 (en) * 2010-07-19 2011-01-14 소재철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an invisible distributing pipe and a drainage hole for cleaning
KR101023932B1 (en) 2010-05-24 2011-03-28 (주)자연과환경 Light weight block for tree-planting and tree-pla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2284B2 (en) 2003-11-27 2008-05-28 羽田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Rainwater underground seepa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23932B1 (en) 2010-05-24 2011-03-28 (주)자연과환경 Light weight block for tree-planting and tree-pla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008421B1 (en) * 2010-07-19 2011-01-14 소재철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an invisible distributing pipe and a drainage hole for clea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035B1 (en) * 2023-10-31 2024-02-02 서울특별시 금천구 Collecting apparatus for rain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760A (en)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044B1 (en) The Permeable sidewalk block construction method for stormwater runoff reduction
KR20190072096A (en) Porous water permeable sidewalk block
KR101489248B1 (en)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Equipped with Purification Filter
KR101446275B1 (en) Rainwater retention and infiltration system preventing road and sidewalk flood damage and lowering non-point source cotamina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05272B1 (en) Artificial wetland for road for connecting green ecological axis and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KR101205223B1 (en) System for treating infiltration water
KR20170128921A (en) Urban rain garden system
KR101152978B1 (en) Management Block of Polluted Runoff Having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KR101062391B1 (en) Parking lot with bio filter for non-point pollution
KR101008421B1 (en)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an invisible distributing pipe and a drainage hole for cleaning
KR20180017990A (en) Rainwater penetration and storage type shoulder LID paving structure
KR20180071063A (en) Water catchment type water permeable block
KR101458540B1 (en) Water permeable block for apparatus draining of a road
KR102089235B1 (en) Multifunction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tructure
KR101261122B1 (en) A rainwater treatment and storage structure under pavement
KR101333120B1 (en) Street tree box and structure for creating street tree space for water circulation environment using the same
CN210597554U (en) Novel gutter inlet
KR101380776B1 (en) A Monolithic street tree box with side gutter
KR101649039B1 (en) Eco-friendly street inlet
KR101374622B1 (en) A street tree box having function of sinking prevention
KR101715196B1 (en) Unclogging Surface Filtering Elastic block
KR101362253B1 (en) A street tree box
KR101737730B1 (en) Low impact development(LID) type facilitie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KR20160150141A (en) Water-permeable pavement and water circulation system
KR101480037B1 (en)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Equipped with Multi-purposes Filter Applicable to Weather 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