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039B1 - Eco-friendly street inlet - Google Patents

Eco-friendly street in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039B1
KR101649039B1 KR1020140138632A KR20140138632A KR101649039B1 KR 101649039 B1 KR101649039 B1 KR 101649039B1 KR 1020140138632 A KR1020140138632 A KR 1020140138632A KR 20140138632 A KR20140138632 A KR 20140138632A KR 101649039 B1 KR101649039 B1 KR 10164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utant
collecting barrel
rainwater
filtering device
fil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4175A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14013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039B1/en
Publication of KR2016004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1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에서 강우 초기에 유입되는 도로의 각종 비점 오염물질로 오염된 우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하기 위한 오염물질 저감용 친환경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그레이팅과;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포함되며 그 내부에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 기름 흡착포, 토목 부직포가 구비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내측에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구비되며 상부에 손잡이 및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골재와 중금속 제거통이 구비된 필터통; 오버플로우되는 우수를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 및 상기 필터통을 거쳐 유출되는 정화된 우수를 배출하기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친환경 빗물받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빗물받이는 오염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장치의 유지 보수 및 사후 관리가 용이하며, 초기 집중 호우시 오염 물질이 외부로 재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염 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우수를 하천, 지하 토사 및 저류조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이나 바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지하수 고갈, 지하 공동화 현상, 씽크홀(sink hole)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깨끗이 정화된 우수를 저류조에 집수함으로써 저류조의 기능이 원활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rainwater collector for pollutant reduction to clean rainwater contaminated with various non-point pollutants on the road entering at the beginning of rainfall on a road or a bridge with clean water. An enclosure supporting the grating and constituting a main body of the rainwater receiver; A pollutant collecting barrel, an oil absorber, and a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ar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a pollutant backflow preventing plate is provided inside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Material filtering device; A filter box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and having an aggregate and a heavy metal removal filter therein; A bypass pipe for discharging overflowing rainwater, and a connection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rain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filter canister.
The eco-friendly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move pollutants, facilitate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and prevent pollutants from being re-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the initial heavy rainfall, Clear stormwater can be drained into rivers, underground soil and storage tank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rivers and oceans, to prevent problems such as underground water depletion, underground hollowing phenomenon, sink hole, etc., and collecting cleanly cleaned stormwater in a storage tank, Can be done.

Description

친환경 빗물받이{Eco-friendly street inlet}Eco-friendly street inlets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에서 강우 초기에 유입되는 도로의 오염된 우수, 즉 기름이나 타이어 가루, 기타 쓰레기 등 각종 비점 오염물질로 오염된 우수(빗물)를 깨끗한 물로 정화하기 위한 오염물질 저감용 친환경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proofing material for pollutant abatement for the purification of rainwater contaminated with various non-point pollutants such as oil, tire powder, and other refuse such as roads, It is about the receiver.

비점 오염물질이란 넓은 지역에 산재해 있는 오염물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도로 위에는 각종 기름이나 타이어 가루, 기타 쓰레기 등의 비점 오염물질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비점 오염물질은 비가 내리면 우수와 함께 하천이나 호소로 흘러 들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Non-point pollutants are pollutants scattered in a wide area. There are many non-point pollutants such as various oil, tire powder, and other garbage on the road. Such non-point pollutants can cause rainwater to pollute the water by flowing into rivers or lake water with rainfall.

또한, 각종 개발 사업으로 인해 건축 면적이 증가하고, 도로 포장 면적의 증가와 투수 면적 감소에 따라 지하 침투수의 양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으며, 지하 공간의 활용에 따른 지하수 과다 양수에 의하여 지하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고, 지하수 흐름의 변화에 따른 계곡의 건천 현상, 토양 생태계 파괴 및 하천 수질 오염의 악순환에 의한 생태계 파괴 현상 등이 지구 환경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the construction area has increased, the amount of underground penetration water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due to the increase of road pavement area and decrease of permeable area, and underground cavitation phenomenon And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due to vicious circulation of river water quality pollution threatens the global environment.

또한, 각종 개발 사업에 따른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집중 호우시에는 저지대가 침수되는 원인이 되며, 하천이 범람하여 홍수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고, 집중호우가 끝나면 소하천은 건천이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In addition, due to the increase in impervious area due to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floods are flooded when the floods are flooded, floods are damaged by floods, and vicious circles are repeated where the floods are over.

여기에, 도로와 차량의 증가로 차도에 차량으로부터 유출된 기름과 타이어의 마모분, 인간이 배출하는 각종 오염 물질의 증가로 인하여 하천, 토양 및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다.In addition, rivers, soils and groundwater are polluted by the increase of roads and vehicles, the abrasion of oil and tires from vehicles, and the increase of various pollutants emitted by humans.

특히, 최근 환경 오염에 따른 이상 기온으로 집중 호우가 자주 발생하면서 초기 5mm 강우시에 비점 오염물질을 처리하여 흘려보내기 위한 비점 오염 저감 장치가 구비된 빗물받이가 설치되고는 있으나 그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한번 설치된 후에는 사후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Especially, it has recently been installed rainwater basin equipped with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 during the initial 5mm rainfall due to frequent heavy rain due to abnormal temperature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but it is easy to install and manage After installation once, after-care is not properly performed, so the function of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is difficult to exhibit properly.

도 1은 기존 도로나 교량에 설치된 빗물받이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orm of a rain gutters installed on an existing road or a bridg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빗물받이는 유입된 빗물이 연결관을 통해 하수 본관으로 배출하고 이렇게 배출된 우수는 바로 하천이나 저류지로 배수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직접 우수를 직접 배수시킬 경우에는 우수 중에 섞인 비점 오염물질로 인해 하천이나 저류지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천이나 저류지의 유입구에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우수를 흘러보내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existing rainwater collector discharges the rainwate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o the main water pipe, and the discharged rainwater is drained to the river or the reservoir. In case of directly discharging the rainwater directly, it is possible to pollute rivers and reservoirs due to non-point pollutants mixed with rainwater.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t the inlet of the river or reservoir,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기존의 이와 같은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은 한번 설치되면 하부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삽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제거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물질 제거 기능이 거의 없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보수 없이 방치되고 있는 경우도 많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is required to remove pollutants deposited at the lower part once by using a tool such as a shovel,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the pollutants, and accordingly, Even though it is almost gone,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neglected without compensation.

이와 같이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오염 물질 제거 기능이 원활히 발휘되도록 하기 위한 몇 가지 기술들이 제안된바 있다.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nd ensure that the pollutant removal function is performed smoothly.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9768호는 도로 또는 교량에서 강우 초기에 유출되는 각종 비점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우수와 함께 각종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그레이팅, 유입실과 처리실이 계단 형태로 구분 형성된 하우징, 상기 유입실 내부에 설치되면서 처리실 측 일면에 배수구와 경사판이 형성된 유입조, 상기 처리실 내부에 설치되면서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된 처리조, 상기 하우징의 처리실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등으로 구성된 비점 오염원 저감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기술에서는 설치 및 유지 관리가 간편하고 평상시에는 시설에 빗물이 고이지 않아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유입조와 처리조로 구분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고가이고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집중 호우시 오염물질이 역류하여 바이패스관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해서는 검토가 없다. Korean Patent No. 10-1099768 discloses an apparatus for removing various non-point pollutants discharged from a road or a bridge at the beginning of rainfall. The apparatus includes a grating formed to introduce various non-point pollutants along with rain, an inflow chamber, An inlet tank provided in the inflow chamber and formed with a drain hole and a swash plate on one side of the treatment chamber, a treatment tank provided inside the treatment chamber with a drain hole formed in the bottom thereof, a drain pip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treatment chamber of the housing, And proposed a pollutant reduction device. This technology has advantages such as easy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the ability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bad odors because the rainwater does not accumulate in the facility in normal times. However, in this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inflow tank and the treatment tank so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is large, and the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taminant from flowing back to the bypass pipe during heavy rain is reviewed There is no.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2192호는 홍수시 갑작스럽게 불어나는 우수가 하수도의 집수정에 집중되는 경우 우수의 일부를 워터 포켓을 통해 지반 깊숙한 곳으로 침투시킴으로써 우수의 유출 속도를 저감시켜 하수도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워터 포켓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 기술에서는 집수정의 하부에 워터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워터 포켓에서 오염물질을 거른 후 정화된 물이 지하로 스며들도록 하는 것을 기술의 특징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워터 포켓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집수정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다량의 우수를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0952192 discloses that when the sudden blowing of floods concentrates on the correction of the sewage, the part of the storm is penetrated deep into the ground through the water pocket, And proposed a technique relating to a water pocket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This technique is characterized by the provision of water pockets at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compartment and filtering the contaminants from the water pockets and allowing the purged water to penetrate into the basement. However,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pocket is not easy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box, there is a limit to the processing of a large amount of wate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7714호는 교량용 비점 오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형의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그라우팅과, 교량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상단부의 머리부와, 머리부 하방향에 형성된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와 일체로 연결 형성된 함체수단과, 비점 오염물질을 여과 제거하는 여과수단과, 상기 여과수단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물질과 유출수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여과수단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출부에 포함된 비점 오염물질을 여과 제거하는 필터수단으로 구성된 교량용 빗점 오염 처리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은 소량의 우수에 대한 처리를 위한 것으로서 홍수시나 집중 호우에 대한 처리 능력에는 한계가 있는 장치이고, 특히 집중 호우시 오염물질이 역류되어 외부로 재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검토는 없다. Korean Patent No. 10-1067714 relates to a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for bridges, which comprises grouting for separating and removing solid foreign matter, a head portion at an upper end portion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bridge, A filter unit for filtering out non-point pollutants;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and effluent water provided inside the filtration unit;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and effluent from the filtration unit; And filter means for filtering out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outflow portion. However, this technology is intended for treatment of small amounts of stormwater, and is limited in the treatment capacity for floods and heavy rainfall. Especially, it is a technical examination to prevent pollutants from backflowing and re- There is no.

한편, 본 출원인은 선행특허(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2365호)를 통해 강우 초기에 빗물의 오염물질을 정화한 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술에서는 기존의 빗물받이 하부에 바닥과 벽체에 필터관을 설치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내부 공간에 여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필터층을 구비하며 필터층 위쪽에 오염물질 제거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오염물질 걸름망을 설치하여 초기 강우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지하로 유입시킴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오염물질 걸름망에서 역류되어 오염물질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검토가 부족하여 개선의 필요성이 큰 상황이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d a method of purifying rainwater pollutants at the beginning of rainfall through a prior patent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12365) and then introducing the pollutants into the underground. In this technology, a filter tube is installed on the floor and wall in the lower part of the rainwater basin to allow rain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basement, a filter layer is provided for filtering the inside space, and a pollutant removing fun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ology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removing pollutants in the initial rainfall and introducing them into the underground. However, in this technology, there was a need to improve the technology because there was a lack of studies on the technology for preventing the contaminants from flowing out from the contaminant trapping n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기존에 설치된 빗물받이 시설을 개선하여 오염물질 제거를 원활히 하고, 장치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후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오염물질 제거 기능이 지속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 시간이 경과할 경우에도 시설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초기 집중 호우시 오염 물질이 외부로 재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 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우수를 하천 등으로 배수할 수 있는 친환경 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xisting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pollutants and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So that the function of the facility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time elapse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llutants from being re-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the initial heavy rainfall, Friendly rain gutter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상기 첫번째 과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친환경 빗물받이를 이용하고 그 하부에 깨끗이 정화된 우수를 지하 토사로 직접 연결하여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고갈, 지하 공동화 현상, 씽크홀(sink hole)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n eco-friendly rain gutter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problem, and to supply the cleaned rain gutters directly to the underground soil, which can prevent a problem such as a sink hol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번째 과제는 상기 첫번째 과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친환경 빗물받이를 이용하고 그 하부에 저류조 접합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함으로써 깨끗이 정화된 우수를 저류조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빗물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A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collecting system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rainwater collector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problem and having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ainwater collecting pipe, Friendly rain gutters.

상기 첫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A grating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an excellent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An enclosure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to support the grating and which has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하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nd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Wherein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s provided with a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by a fixing table and a plurality of separating plates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 wheel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 및 잔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 및A heavy metal removing tube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is contain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the activated carbon is contain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 tubular filter case having a hand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상기 함체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bypass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of the enclosure for discharging rainwater overflowing,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에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바이패스관과 연결된 유입관 및 유출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빗물받이을 제공한다. Wherein a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is protruded from a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pipe is provided at a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and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between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bypass pipe. Provide rain gutters.

또한, 상기 두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A grating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an excellent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An enclosure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to support the grating and which has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하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nd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Wherein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s provided with a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by a fixing table and a plurality of separating plates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 wheel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 및 잔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 및A heavy metal removing tube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is contain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the activated carbon is contain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 tubular filter case having a hand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상기 함체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bypass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of the enclosure for discharging rainwater overflowing,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에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내부에 여과 기능을 하는 잔골재를 포함하고 상하 단부에 잔골재 유출 방지망을 구비하고 내부에 잔골재를 함유한 다수의 필터관이 연결되어 지하 토사로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빗물받이를 제공한다.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lower end of the housing. A connection pipe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filter case. The connection pipe includes a fine aggregate for filtering the inside of the filter case. And a plurality of filter tubes containing fine aggregate are connected to directly connect to the underground soil.

또한, 상기 세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object,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A grating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an excellent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An enclosure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to support the grating and which has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하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nd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Wherein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s provided with a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by a fixing table and a plurality of separating plates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 wheel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 및 잔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 및A heavy metal removing tube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is contain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the activated carbon is contain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 tubular filter case having a hand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상기 함체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bypass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of the enclosure for discharging rainwater overflowing,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에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지하 저류조 접합관과 연결되어 여과되는 우수가 지하 저류조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빗물받이를 제공한다.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pipe is provided at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storage tank junction pipe so that the filtered well can be collected by the underground storage Friendly rain gutters.

본 발명에 하면 초기 5㎜ 강우 발생시 차도에서 유출된 차량의 기름, 차량 타이어 마모에 의한 고무, 보도에서 발생되는 담배 꽁초, 기타 쓰레기를 초기에 유입되는 곳에서 여과함으로써 하천과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고, 필터통을 통과한 깨끗한 빗물이 하천과 바다, 지하로 유입되므로 지하 공동화 현상을 방지하고, 지하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므로 계곡 건천 현상과 토양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깨끗한 빗물을 지하 저류조에 저장하여 빗물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빗물받이의 빗물 저장 공간에 빗물을 저장함으로써 홍수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streams and soils by filtering the oil of a vehicle leaked from the roadway during the initial 5 mm rainfall, rubber caused by abrasion of the vehicle tire, cigarette butts generated from the sidewalks, Since the clean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box flows into the river, the sea and the underground, it prevents the underground cavitation phenomenon and smoothes the ground water flow. Therefore, it can expec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aising of the valley and soil pollution. And the rainwater resources can be recycled. In addition, the flood prevention effect can be expected by storing the rainwater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of the rainwater receiver.

또한, 오염물질 걸름장치 내에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구비됨으로써 오염물질 걸름장치 내로 들어온 오염물질이 다시 상부로 역류되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lso, since the pollutant backflow preventing plate is provided in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ollutant that has entered into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from flowing back to the upper portion and flowing out.

또한, 기존의 빗물받이 유지 관리시 빗물받이 하부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삽 등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제거하므로 유지 관리 비용이 과다하였으나, 본 발명은 오염물질 걸음장치와 필터통의 상부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관리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aintenance of the existing rainwater collector, the pollutants accumul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rainwater collector are individually removed by using other tools such as shovels, so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excessive. However, It is possible to expect a reduction in maintenance cost by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도 1은 기존 도로나 교량에 설치된 빗물받이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빗물받이가 설치된 도로의 횡단면과 빗물받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빗물받이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걸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걸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걸름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걸름장치에 사용되는 오염물질 수집통을 나타낸 평면도 및 일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걸름장치에 사용되는 오염물질 수집통을 나타낸 평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필터통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필터통을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필터통에 사용되는 중금속 제거통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빗물받이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빗물받이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orm of a rain gutters installed on an existing road or a bridg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road provided with a rain gutters and a rain gutt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taminant filtering apparatus included in a rainwater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taminant filtering apparatus included in a rainwater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ntaminant filtering apparatus included in a rainwater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used in a pollutant filtering device included in the rain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and another side view of a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used in a pollutant filtering apparatus included in a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ilter case included in a rainwater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a filter case included in a rainwater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view of a heavy metal removal canister used in a filter canister included in a rainwater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 "comprising"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aken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Elements, and / or groups.

도 1은 기존 도로나 교량에 설치된 빗물받이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orm of a rain gutters installed on an existing road or a bridg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빗물받이(1)는 유입된 우수가 연결관(2)을 통해 하수 본관(3)으로 바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우수는 하천이나 저류지로 배수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직접 우수를 직접 배수시킬 경우에는 우수 중에 섞인 비점 오염물질로 인해 하천이나 저류지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우수를 흘려 보낼 필요가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existing rainwater collector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flowing stormwater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main sewage pipe 3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 and the discharged rainwater is drained to a river or a reservoir have. In case of directly discharging the storm water directly,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and to discharge the pollutant-removed storm water to prevent the river or the reservoir from being polluted by the non-point pollutant mixed with stormwater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빗물받이가 설치된 도로의 횡단면과 빗물받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road provided with a rain gutters and a rain gutt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도와 보도가 설치되고 상기 차도의 측면에 빗물받이가 설치되는데, 상기 차도는 도로 중심에서 양쪽으로 하향 구배로 형성되며, 보도는 차도측으로 하향 구배를 이루어 빗물이 빗물받이(10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빗물받이(100)는 연결관을 통하여 하수 본관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Referring to FIG. 2, a roadway and a sidewalk are installed, and a rainwater drainag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way. The roadway is formed in a downward gradient from both sides of the roadway. 100, and the rainwater receiver 100 is connected to the sewage main pipe through a connection pipe.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빗물받이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걸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그 평면도이며, 도 6은 그 저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minant filtering apparatus included in a rainwater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thereof, and FIG. 6 is a bottom view thereof.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걸름장치에 사용되는 오염물질 수집통을 나타낸 평면도 및 일측면도이고, 도 8은 그 평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FIG. 7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pollutant collecting column used in the pollutant filter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thereof.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필터통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10은 그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필터통에 사용되는 중금속 제거통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10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filter box.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removal of heavy metals used in the filter pail included in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빗물받이는 3 to 11,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10)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11);A grating (11)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the rainwater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10);

상기 그레이팅(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10);A housing (1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11) to support the grating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and constituting a body of the rainwater receiver;

상기 함체(10)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121)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미도시)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122)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하부에는 고정대(미도시)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1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1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125)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126)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127)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12);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enclosure 10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mounted vertically inside, (Not shown) is fixed to the outer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by a fixing base A plurality of separators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ant collecting tube 121 to be opened by self weight of the excellent and closed by spring elasticity to prevent contaminant backflow prevention A cylindrical pollutant filtering device 12 having a plate 124 and a handle 125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126 at a low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7 at the side and lower portion, ;

상기 함체(10)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12)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134)(예를 들어, 자갈과 같이 입자 크기가 큰 골재) 및 잔골재(135)(예를 들어, 모래와 같이 입자 크기가 작은 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131)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13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133)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13); 및A large aggregate material 134 (for example, an aggregate materia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such as gravel) and a fine aggregate material 135 are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in the housing 10, (For example, aggregate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such as sand) are divided and mixed up and down, a heavy metal removal cylinder 131 containing activated carbon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central lower portion thereof, A cylindrical filter case 13 having a wheel 133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상기 함체(10)의 오염물질 걸름장치(12)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bypass pipe (14)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of the enclosure (10) for discharging rain water overflowing,

상기 필터통(13)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10)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13)의 최하단부에 연결관(15)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15)은 상기 바이패스관(14)과 연결된 유입관(151) 및 유출관(152) 사이에 연결되어 하수 배관(3)을 통해 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13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 and a connection pipe 15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filter case 13. The connection pipe 15 is connected to the bypass pipe 14 and the outflow pipe 152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151 and the sewage pipe 3 to discharge the rainwater.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조에서 상기 함체(10), 오염물질 걸름장치(12), 필터통(13), 바이패스관(14) 및 연결관(15)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재의 경우는 강재 또는 아연도금 강재, 플라스틱재는 PVC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0,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12, the filter case 13, the bypass pipe 14 and the connecting pipe 15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metal material, a steel material or a galvanized steel material and a plastic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PVC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빗물받이는 공장에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는 조립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도 매우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rain gutters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so that the construction is very eas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빗물받이에는 함체의 내부 공간에 상하로 2개의 부품이 포함되는데 상부에는 오염물질 걸름장치(1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필터통(13)이 구비된다.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12) 및 필터통(13)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그레이팅(11)을 열고 각 부품을 상부로 들어올려 수선하거나 내부 자재를 교체하는 등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12) 및 필터통(13)의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와 같이 유지, 관리를 위하여 오염물질 걸름장치와 필터통을 상부로 들어올릴 때 들어올리는 힘을 감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In the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components are includ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12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the filter case 13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A handl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12 and the filter case 13 to easily maintain and manage the grill 11 by opening the grating 11 and lifting the respective parts up to repair or replace internal materials. In addition, a wheel is provided under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12 and the filter case 13 to reduce the lifting force when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and the filter case are lifted up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as described above The giver plays a role.

또한, 상기 오염물질의 걸름장치 내부에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구비되어 일단 내부로 유입된 오염물질이 다시 역류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 때 상기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은 2개 이상 복수의 분판으로 구성되고 각 분판은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측벽에 스프링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우수의 자중에 의해 분판이 열리고 스프링 장치의 탄력에 의해 분판이 닫히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오염물질 역류를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pollutant backflow preventing plate is provided inside the filtering device to prevent the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inside from being backflowed out again. In this case, the backflow preventing plate for pollutants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eparating plates And each of the separations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pollutant collecting tube 121 by a spring device so that the separator is opened by the weight of the rain and the separator is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device to prevent contaminant backflow.

또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내부에는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외부로 측부 및 상부에 기름 흡착포가 고정되고, 하부에는 토목 부직포가 고정되는데, 상기 기름 흡착포 및 토목 부직포는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내부 형상대로 제작된 고정대(미도시)에 의해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 내부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pollutant collecting cylinder 121 is provided at its side and top with the oil adsorben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pollutant collecting cylinder 121, and the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ollutant collecting cylinder 121. The oil adsorbent and the civil non- (Not shown) formed in the inner shape of the pollutant filtering device.

상기 기름 흡착포는 측부 및 상부에서 자동차 기름이나 타이어 마모분 등의 유지 성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토목 부직포는 상기 기름 흡착포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시에 우수의 오염물질이 상기 필터통(13)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oil absorber prevents leakage of oil and tire oil from the side and top of the oil absorber, and the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oil absorber, It prevents the flow of water.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하부 측면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홀(128)이 구비되어 협잡물과 같은 오염물질들이 오염물질 수집통(121)으로 들어온 후 상기 홀을 통해 바깥으로 유출되어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12)의 내부에 쌓임으로써 오염물질 수집통(121) 내부가 오염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7 and 8, a hole 128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pollutant collecting tube 121 so that contaminants such as contaminants enter the pollutant collecting tube 121 And then flows out through the holes to be accumulated in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thereby preventing the inside of the contaminant collecting container 121 from being filled with contaminants.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포함되는 필터통에 중금속 제거통(131)이 하부에 포함되는데, 상기 중금속 제거통은 하부에 하부커버(136)를 구비하여 내부에 활성탄과 같은 여과 물질을 투입,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다. 9 to 11, a heavy metal removing tube 131 is contain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case included in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metal removing tube has a lower cover 136 at a lower portion thereof, Filtration materials such as activated carbon can be injected, removed and replaced.

또한, 상기 중금속 제거통의 상부에도 상부커버(13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 중금속 제거통 및 하부커버에는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어 우수의 흡수와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Also, an upper cover 13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vy metal removal box,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cover, the heavy metal removal box, and the lower cover to facilitate absorption and discharge of rai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빗물받이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빗물받이는 상기 실시예 1의 빗물받이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되, 하부의 연결관(15)에 내부 여과 기능을 하는 잔골재(153)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결관(15)에는 다수의 필터관(16)이 연결되어 깨끗이 정화된 우수를 지하 토사로 흘려 보내는 것만 차이가 있다. 12,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fine aggregate 153 having an internal filtering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pipe 15 And a plurality of filter tubes 16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5 to discharge the clean purified water to the underground soil.

즉,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빗물받이는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10)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11);A grating (11)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the rainwater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10);

상기 그레이팅(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10);A housing (1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11) to support the grating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and constituting a body of the rainwater receiver;

상기 함체(10)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121)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미도시)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122)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하부에는 고정대(미도시)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1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1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125)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126)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127)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12);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enclosure 10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mounted vertically inside, (Not shown) is fixed to the outer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by a fixing base A plurality of separators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ant collecting tube 121 to be opened by self weight of the excellent and closed by spring elasticity to prevent contaminant backflow prevention A cylindrical pollutant filtering device 12 having a plate 124 and a handle 125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126 at a low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7 at the side and lower portion, ;

상기 함체(10)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12)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134)(예를 들어, 자갈과 같이 입자 크기가 큰 골재) 및 잔골재(135)(예를 들어, 모래와 같이 입자 크기가 작은 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131)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13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133)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13); 및A large aggregate material 134 (for example, an aggregate materia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such as gravel) and a fine aggregate material 135 are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in the housing 10, (For example, aggregate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such as sand) are divided and mixed up and down, a heavy metal removal cylinder 131 containing activated carbon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central lower portion thereof, A cylindrical filter case 13 having a wheel 133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상기 함체(10)의 오염물질 걸름장치(12)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bypass pipe (14)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of the enclosure (10) for discharging rain water overflowing,

상기 필터통(13)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10)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13)의 최하단부에 연결관(15)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15)은 내부에 여과 기능을 하는 잔골재(153)를 포함하고 상하 단부에 잔골재 유출 방지망을 구비하고 내부에 잔골재(154)를 함유한 다수의 필터관이 연결되어 지하 토사로 직접 연결됨으로써 우수가 지하 토사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13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 and a connection pipe 15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filter case 13. The connection pipe 15 has a filtering function A plurality of filter tubes containing the fine aggregate 154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ne aggregate 153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slurry so that the slurry is discharged to the underground slurry have.

이때 상기 필터관(16) 내부에는 잔골재(154)가 포함되며, 상기 필터관의 상하 단부에는 내부 잔골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 방지망(미도시)이 구비된다. At this time, a fine aggregate (154) is contained in the filter tube (16), and an outflow preventing network (not shown) is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lter tube to prevent the inner fine aggregate from flowing out.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구조에서 상기 함체(10), 오염물질 걸름장치(12), 필터통(13), 바이패스관(14), 연결관(15) 및 필터관(16)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재의 경우는 강재 또는 아연도금 강재, 플라스틱재는 PVC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losure 10,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the filter case 13, the bypass pipe 14, the connecting pipe 15,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metal material, a steel material or a galvanized steel material and a plastic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PVC material.

기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빗물받이의 상세한 구조와 기능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빗물받이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detailed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ain gutte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rain gutt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빗물받이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빗물받이는 상기 실시예 1의 빗물받이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되, 하부의 연결관(15)은 지하 저류조 접합관과 연결되어 여과되는 우수가 지하 저류조로 집수될 수 있도록 저류조로 흘려 보내는 것만 차이가 있다. 13,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ower connection pipe 15 is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storage tank junction pipe, Is poured into the reservoir so that it can be collected as an underground reservoir.

즉,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빗물받이는That i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10)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11);A grating (11)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the rainwater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10);

상기 그레이팅(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10);A housing (1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11) to support the grating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and constituting a body of the rainwater receiver;

상기 함체(10)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121)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미도시)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122)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하부에는 고정대(미도시)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1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121)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1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125)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126)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127)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12);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enclosure 10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mounted vertically inside, (Not shown) is fixed to the outer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ollutant collecting container 121 by a fixing base A plurality of separators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ant collecting tube 121 to be opened by self weight of the excellent and closed by spring elasticity to prevent contaminant backflow prevention A cylindrical pollutant filtering device 12 having a plate 124 and a handle 125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126 at a low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7 at the side and lower portion, ;

상기 함체(10)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12)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134)(예를 들어, 자갈과 같이 입자 크기가 큰 골재) 및 잔골재(135)(예를 들어, 모래와 같이 입자 크기가 작은 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131)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13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133)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13); 및A large aggregate material 134 (for example, an aggregate materia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such as gravel) and a fine aggregate material 135 are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in the housing 10, (For example, aggregate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such as sand) are divided and mixed up and down, a heavy metal removal cylinder 131 containing activated carbon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central lower portion thereof, A cylindrical filter case 13 having a wheel 133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상기 함체(10)의 오염물질 걸름장치(12)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bypass pipe (14)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of the enclosure (10) for discharging rain water overflowing,

상기 필터통(13)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10)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13)의 최하단부에 연결관(17)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17)은 지하 저류조 접합관(18)과 연결되어 여과되는 우수가 지하 저류조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13 protrudes from a lower end of the housing 10 and a connection pipe 17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filter case 13. The connection pipe 17 is connected to an underground storage tank junction pipe 18) so that the stormwater can be collected by the underground storages.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구조에서 상기 함체(10), 오염물질 걸름장치(12), 필터통(13), 바이패스관(14) 및 연결관(15)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재의 경우는 강재 또는 아연도금 강재, 플라스틱재는 PVC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tructur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losure 10,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12, the filter case 13, the bypass pipe 14 and the connection pipe 15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metal material, a steel material or a galvanized steel material and a plastic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PVC material.

기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빗물받이의 상세한 구조와 기능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빗물받이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The detailed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ain gutter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ain gutt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상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빗물받이는 오염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장치의 유지 보수 및 사후 관리가 용이하며, 초기 집중 호우시 오염 물질이 외부로 재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염 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우수를 하천, 지하 토사 및 저류조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이나 바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지하수 고갈, 지하 공동화 현상, 씽크홀(sink hole)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깨끗이 정화된 우수를 저류조에 집수함으로써 저류조의 기능이 원활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eco-friendly rainwat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features can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facilitate maintenance and follow-up of the apparatus, and prevent pollutants from re-flowing to the outside during the initial heavy rainfall. The clear stormwater from which the material has been removed can be drained to rivers, underground soil and storage tank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rivers and oceans, to prevent problems such as underground water depletion, underground hollowing phenomenon, sink hole, etc., and collecting cleanly cleaned stormwater in a storage tank, Can be don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Lt; / RTI >

1: 빗물받이 2: 연결관
3: 하수 본관 100: 빗물받이
10: 함체 11: 그레이팅
12: 오염물질 걸름장치 13: 필터통
14: 바이패스관 15: 연결관
16: 필터관 17: 연결관
18: 접합관
121: 오염물질 수집통 122: 기름 흡착포
123: 토목 부직포 124: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
125: 손잡이 126: 바퀴
127: 통공 128: 홀(hole)
131: 중금속 제거통 132: 손잡이
133: 바퀴 134: 굵은 골재
135: 잔골재 136: 하부커버
137: 상부커버 151: 유입관
152: 유출관 153: 잔골재
154: 잔골재
1: Rainwater catcher 2: Connector
3: sewage main building 100: rainwater receiver
10: Enclosure 11: Grating
12: Contaminant filter device 13: Filter container
14: Bypass tube 15: Connector
16: filter tube 17: connector
18:
121: Contaminant collecting column 122: Oil adsorbent
123: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124: pollutant backflow prevention plate
125: handle 126: wheel
127: through hole 128: hole
131: Heavy metal removal cylinder 132: Handle
133: Wheel 134: Coarse aggregate
135: fine aggregate 136: bottom cover
137: upper cover 151: inlet pipe
152: Outflow pipe 153: Fine aggregate
154: fine aggregate

Claims (6)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하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 및 잔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 및
상기 함체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에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바이패스관과 연결된 유입관 및 유출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통의 하부에는 중금속 제거통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중금속 제거통의 하부에는 하부커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부커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커버, 중금속 제거통 및 하부커버에는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 오염물질 걸름장치, 필터통, 바이패스관 및 연결관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빗물받이.
A grating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an excellent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An enclosure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to support the grating and which has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nd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Wherein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s provided with a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by a fixing table and a plurality of separating plates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 wheel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A heavy metal removing tube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is contain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the activated carbon is contain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 tubular filter case having a hand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d a bypass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of the enclosure for discharging rainwater overflowing,
Wherein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is protruded from a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ng pipe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filter case and the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between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bypass pipe,
And the upper cover, the heavy metal removal barrel and the lower cover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lower cover, Respectively,
Wherein the enclosure,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the filter case, the bypass pipe, and the connecting pipe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삭제delete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하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 및 잔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 및
상기 함체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에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내부에 여과 기능을 하는 잔골재를 포함하고 상하 단부에 잔골재 유출 방지망을 구비하고 내부에 잔골재를 함유한 다수의 필터관이 연결되어 지하 토사로 직접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통의 하부에는 중금속 제거통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중금속 제거통의 하부에는 하부커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부커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커버, 중금속 제거통 및 하부커버에는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 오염물질 걸름장치, 필터통, 바이패스관, 연결관 및 필터관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빗물받이.
A grating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an excellent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An enclosure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to support the grating and which has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nd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Wherein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s provided with a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by a fixing table and a plurality of separating plates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 wheel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A heavy metal removing tube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is contain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the activated carbon is contain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 tubular filter case having a hand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d a bypass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of the enclosure for discharging rainwater overflowing,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lower end of the housing. A connection pipe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filter case. The connection pipe includes a fine aggregate for filtering the inside of the filter case. A plurality of filter tubes containing fine aggregates are connect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soil,
And the upper cover, the heavy metal removal barrel and the lower cover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lower cover, Respectively,
Wherein the enclosure,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the filter container, the bypass pipe, the connection pipe, and the filter pipe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삭제delete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흘러내리는 우수와 비점 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빗물받이 함체의 상부에 걸려 설치되는 그레이팅;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지지하며 상하로 길게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받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설치되며, 상부의 면적이 넓고 하부 면적이 좁은 깔대기형 오염물질 수집통이 내측에 상하로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외부 측부 및 상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상기 함체 내부에 고정된 기름 흡착포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하부에는 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토목 부직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염물질 수집통의 내부 중간에는 복수의 분판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스프링 탄력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염물질 역류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며, 측부 및 하부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통형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오염물질 걸름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굵은 골재 및 잔골재가 상하로 구분되거나 혼합되어 포함되고 중앙 하부에는 활성탄이 함유된 중금속 제거통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통형의 필터통; 및
상기 함체의 오염물질 걸름장치 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는 상기 함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통의 최하단부에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지하 저류조 접합관과 연결되어 여과되는 우수가 지하 저류조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필터통의 하부에는 중금속 제거통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중금속 제거통의 하부에는 하부커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부커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커버, 중금속 제거통 및 하부커버에는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 오염물질 걸름장치, 필터통, 바이패스관 및 연결관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빗물받이.
A grating installed on a road or a bridge and opened to allow an excellent and non-point pollutant to flow dow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receiver housing;
An enclosure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ating to support the grating and which has an inner space formed up and down,
A funnel-shaped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large upper area and a narrow bottom area is vertically moun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nd upper part of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Wherein the pollutant collecting barrel is provided with a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by a fixing table and a plurality of separating plates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olluting material collecting barrel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 wheel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A heavy metal removing tube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is contain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the activated carbon is contain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 tubular filter case having a hand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heel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d a bypass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of the enclosure for discharging rainwater overflowing,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is protru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A connection pipe is provided at the bottom end of the filter case.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storage tank junction pipe,
And the upper cover, the heavy metal removal barrel and the lower cover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lower cover, Respectively,
Wherein the enclosure, the contaminant filtering device, the filter case, the bypass pipe, and the connecting pipe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삭제delete
KR1020140138632A 2014-10-14 2014-10-14 Eco-friendly street inlet KR101649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632A KR101649039B1 (en) 2014-10-14 2014-10-14 Eco-friendly street in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632A KR101649039B1 (en) 2014-10-14 2014-10-14 Eco-friendly street in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175A KR20160044175A (en) 2016-04-25
KR101649039B1 true KR101649039B1 (en) 2016-08-18

Family

ID=5591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632A KR101649039B1 (en) 2014-10-14 2014-10-14 Eco-friendly street in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0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13Y1 (en) * 2017-08-10 2018-03-28 주식회사 현진기업 Underground penetration type rainwater filter
KR102158955B1 (en) 2020-05-04 2020-09-22 김무송 Water collecting device with having sewage blocking plate
CN115253460B (en) * 2022-07-29 2023-08-29 宁波碧城生态科技有限公司 High-efficient rain sewage silt separation rainwater extrac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68B1 (en) * 2009-04-14 2011-12-28 현수건설 주식회사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KR101320456B1 (en) * 2013-04-09 2013-10-23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Connecting structure in sewer and manho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365A (en) * 2012-04-04 2013-10-14 김종현 Eco-friendly street in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68B1 (en) * 2009-04-14 2011-12-28 현수건설 주식회사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KR101320456B1 (en) * 2013-04-09 2013-10-23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Connecting structure in sewer and manh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175A (en)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69B1 (en)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for early rainfall runoff
KR101749656B1 (en) Eco-friendly Filtration Grit Chamber AND Rain Water Recirculation System Using Thereof
KR101446275B1 (en) Rainwater retention and infiltration system preventing road and sidewalk flood damage and lowering non-point source cotamina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9041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KR100959161B1 (en) Initial excellent treatment system
KR100854314B1 (en) Initial excellent treatment facility
KR100991175B1 (en) 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of road
KR20070057744A (en) Heavy-duty manhole with rainwater arrester
KR101703319B1 (en) Rainwater permeate retention system
KR101152978B1 (en) Management Block of Polluted Runoff Having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KR101009634B1 (en) Nonpoint Pollution Purifier
KR100913315B1 (en)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KR100904081B1 (en) Filtration channel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with bypass channel
KR101564083B1 (en) A non-point pollution source filtration equipment
KR100787625B1 (en) Pollu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150114224A (en) infiltration institution of rainwater in rainwater treatment
KR101244122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KR101649039B1 (en) Eco-friendly street inlet
KR100958295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0922895B1 (en) Rainwater filtering system applicable to rainwater inlet for nonpoint source management
KR101089756B1 (en)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system
KR1009780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first run-off rain
KR100814790B1 (en) Filtration channel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KR101195091B1 (en)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KR100562168B1 (en)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