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118B1 - Exhaust hood device for restaurant equiment provided with moving member - Google Patents
Exhaust hood device for restaurant equiment provided with moving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1118B1 KR101261118B1 KR1020100125054A KR20100125054A KR101261118B1 KR 101261118 B1 KR101261118 B1 KR 101261118B1 KR 1020100125054 A KR1020100125054 A KR 1020100125054A KR 20100125054 A KR20100125054 A KR 20100125054A KR 101261118 B1 KR101261118 B1 KR 101261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pipe
- bracket
- fixing
- pipe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이동부재, 후드관부, 레일바퀴부, 연결고정부, 배기관브라켓, 주름관으로 구성되어 음식점 천정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내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의 하부에 후드관부를 구성하여 음식점 테이블에서 로스터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용이하게 음식점 외부로 배출하고, 음식점 내의 테이블을 이동부재의 하부에서 전,후로 자리를 바꾸거나 유동되었을 때 손쉽게 이동부재를 전,후로 이동하여 테이블 상부에 위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pipe comprising a guide rail, a moving member, a hood pipe portion, a rail wheel portion, a connection fixing portion, an exhaust pipe bracket, and a corrugated pipe, The smoke generated when the meat is burned from the restaurant table on the restaurant tab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staurant easily and the table in the restaurant is easi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an exhaust hood apparatus for a restaurant facility equipped with a moving member which can be used by being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a t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 천정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내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의 하부에 후드관부를 구성하여 음식점 테이블에서 로스터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용이하게 음식점 외부로 배출하고, 음식점 내의 테이블이 이동부재의 하부에서 전,후로 자리를 바꾸거나 유동되었을 때 손쉽게 이동부재를 전,후로 이동하여 테이블 상부로 위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hood apparatus for a restaurant facility equipped with a moving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od apparatus which comprises a hood pipe section at a lower portion of a moving member which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a guide rail provided on a restaurant ceiling, When the table is moved back and forth from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member to the front and back, the moving member is easi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move to the upper part of the table So that i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육류구이나 생선구이 등을 주로 취급하는 요식업소 등에서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기 및 냄새 등으로 인하여 실내 분위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배기덕트를 포함한 공기조화시스템이 설치된다. 즉, 실내의 천장 주변에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기 위한 배기덕트가 설치되는 한편 각각의 테이블에 마련된 로스터의 상측으로부터 로스터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배기덕트로 유도하기 위한 연기 흡입관이 배관 설치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ir conditioning systems including an exhaust duct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an indoor atmosphere due to smoke and odor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oking foods are installed in foodservice businesses, which mainly handle meat balls and fish grills. That is, an exhaust duct is provided around the ceiling of the room for forcibly sucking the insid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air around the roaster is suck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roaster provided in each table and then guided to the exhaust duct The smoke suction pipe is piped.
한편, 로스터의 상측에 설치되는 연기 흡입관의 하단이 로스터에 대하여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배기덕트와 연기 흡입관이 연결되는 구간 또는 연기 흡입관 자체에 승강 수단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smoke suction pip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aster, the eleva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section where the exhaust duct and the smoke suction pipe are connected or the smoke suction pipe itself.
전술한 바와 같이 연기 흡입관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승강 수단이 구비되는 이유는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조리대상물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연기 및 냄새의 정도에 따라서 흡입구의 높낮이가 적절히 조절되게 함으로써 연기 및 냄새 등의 원활한 흡입은 물론 로스터 주변에 둘러앉은 사람들 간의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eleva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oke suction pipe is provided is that the height of the suction port is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oke and odor generated from the cooking object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Inhalation as well as to ensure that the view between people sitting around the roster is not obstructed.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관(101)과, 주름관(102)과 본체(103) 및 승강수단(104)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관(101)은 로스터의 바로 상측에 배치되며, 냄새와 연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기 위해 흡입구(101a)가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01)과 본체(103)는 상기 주름관(102)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본체(103)의 내측에는 연기를 강제배출하기 위한 블로워(103a)가 내장되며, 그 측면에는 배출관(103b)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관(103b)은 또 다른 주름관(미도시) 등에 의해 배기덕트(미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104)은 승강모터(4a)와 권취축(104b) 및 리프팅와이어(104c)로 구성되는데, 외부에서 상기 승강모터(104a)를 작동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감속기(미도시) 등을 거친 후에 권취축(104b)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리프팅와이어(104c)가 권취되면서 흡입관(101)이 함께 승강하게 된다.The exhaust device for a roaster us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generally comprises a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전동으로 작동하는 승강수단(104)을 이용하여 흡입관(101)을 승강시킴으로써 로스터에 근접시켜 냄새와 연기를 흡입한 후 단순히 상기 흡입관(101)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관(101)의 하부에 로스터를 상부에 갖는 테이블이 가로방향의 전,후로 이동할 때 상기 흡입구(101)는 전,후로 이동되지 못하므로 상기 흡입구(101)의 하부에만 로스터를 갖는 테이블을 위치시켜서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exhaust device for roaster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음식점 천정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내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의 하부에 후드관부를 구성하여 음식점 테이블에서 로스터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용이하게 음식점 외부로 배출하고, 음식점 내의 테이블이 이동부재의 하부에서 전,후로 자리를 바꾸거나 유동되었을 때 손쉽게 이동부재를 전,후로 이동하여 테이블 상부에 위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od tub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a moving member which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a guide rail provided on a restaurant ceiling,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moving member back and forth when the table in the restaurant is moved back and forth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of the moving member so that the moving member can be positioned on the table and u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haust hood apparatus for a restaurant facility equipped with a moving membe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는,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천정에 설치되고, 가이드홈부를 갖는 양측 가이드레일과; 양측에 절곡형성된 슬라이드부가 양 가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고, 상부에는 상부연결구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결구와 연통되게 설치된 하부연결구로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하부연결구의 하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구와, 흡입관과, 흡입부로 구성되는 후드관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하부면 및 측면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바퀴를 갖는 레일바퀴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방을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부와; 상기 연결고정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배기팬을 갖는 배기관이 설치되는 배기관브라켓과; 상기 배기관과 상기 상부연결구에 연결되는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haust hood apparatus for a restaurant facility equipped with a moving member, comprising: a pair of guide rails provided on a ceiling at a plurality of distances from each other and having guide grooves; A sliding member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and slidably inserted into both guide grooves, an upper connecting memb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connect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 hood pipe portion formed of a suction pipe and a suction portion; A rail wheel part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on the upper, lower and side surfaces of the slide part and having wheels; A connection fixing part fixi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guide rail; An exhaust pipe bracket provided outside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n exhaust pipe having an exhaust fan; And a corrugated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and the upper connector.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하부면에 수직으로 절곡되게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bent portions are formed to be bent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rail.
상기 레일바퀴부는 상기 바퀴의 바깥둘레면에 고무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ubber layer is furth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상기 연결고정부는 전면과, 상,하부면과, 양측면이 폐쇄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면에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도록 홈부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 및 상,하부면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and securing part has a front surface,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both side surfaces being closed, and a rear surface being opened to form an insertion groove,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이동부재가 이탈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조립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간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양측은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necting member provided at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both side guide rails to form an assembly space portion so that the moving member can be separated and inserted and to close the assembly space portion; And both sides thereof are fixed to the both side guide rails by fixing means.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과 일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means is fixed to the bolt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bolts formed on the guide rails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bolt holes.
상기 배기관브라켓은 일측에 상기 배기관이 삽입되게 삽입공이 형성된 브라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부둘레면이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공의 내측에 결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pipe bracket has a bracket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exhaust pipe therein and a coupling jaw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to fix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상기 배기관브라켓의 양측에 브라켓부가 형성되고, 일측 브라켓부에 연기를 흡입하는 배기관이 설치되고, 타측 브라켓부에는 냉,온풍의 통로로 배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acket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exhaust pipe bracket, an exhaust pipe for sucking the smok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and an exhaust pipe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for cooling and warm air.
상기 배기관브라켓의 양측에 브라켓부가 형성되고, 양 브라켓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보강공이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장식용 모양 및 형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bracke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haust pipe bracket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are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the both bracket portions to each other, and decorative or shap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이동부재는 양측 가이드레일의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oving member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guide grooves of the both side guide rails.
상기 브라켓부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천정에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볼트공이 상기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에 삽입 후, 상기 앵커볼트에 고정너트로 결합되게 구성되는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lt hole formed in the fixing member on the ceiling is inserted into an anchor bolt provided on the ceiling and then fixed to the anchor bolt with a fixing nut, And is fixed by fixing means.
본 발명은 음식점 천정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내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의 하부에 후드관부를 구성하여 음식점 테이블에서 로스터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용이하게 음식점 외부로 배출하고, 음식점 내의 테이블을 이동부재의 하부에서 전,후로 자리를 바꾸거나 유동되었을 때 손쉽게 이동부재를 전,후로 이동하여 테이블 상부에 위치시켜서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od tube portion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a moving member which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 lateral direction inside a guide rail provided on a restaurant ceiling to easily exhaust smoke generated when meat is roasted on a restaurant tab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ving member can be easi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positioned on the table when the table in the moving member is displaced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bottom of the mov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에 설치된 로스터로 고기를 굽고 난 다음 이동부재를 테이블 상부의 전,후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테이블에 착석한 사용자들이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후드관부에 방해받지 않고 편리하게 테이블을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eat is roasted by the roaster installed on the table, the moving member is selectively moved back and forth on the table top so that the users seated on the table can conveniently and unobstructed the hood tube portion provided below the moving member It has the effect of using tables.
또한, 본 발명의 이동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드부의 전,후면 및 측면에 설치되는 레일바퀴부의 바퀴의 외측에 고무층을 더 형성하여 상기 바퀴가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서 이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동부재가 쉽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rubber layers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ides of the wheels of the rail wheels provided on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slide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when the wheels move in the guide groove portion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moving member from easily flowing.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의 상,하부면에 절곡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강도를 높여 가이드레일이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end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r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guide rails, thereby preventing the guide rails from being bent or bent.
또한, 본 발명의 배기관브라켓의 양측에 브라켓부를 형성하고, 일측의 브라켓부는 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연결하고, 타측의 브라켓부는 냉,온풍이 발생되는 배기관을 연결하여 음식점 내의 로스터 상부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용이하게 배출하고, 냉,온방을 할 수 있으며, 내부공기를 환기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bracket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haust pip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ipe for discharging the smoke is connected to one of the bracket portions, and the exhaust pipe for generating cold air and hot air is connected to the other bracket por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generated smoke and odor, cool and warm air, and ventilate the inside air.
또한, 본 발명의 양측 가이드레일상에 조립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 내에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를 손쉽게 이탈 및 조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부재를 손쉽게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ssembling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both side guide r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mbers that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both side guide rails can be easily detached and assembled, and the moving member can be easily repai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퀴부의 개략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의 개략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조립공간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공간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브라켓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배기장치를 나타낸 개략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ail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pace formed in the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exhaust pip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n exhaust pip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formed in an exhaust pip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haust system.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safely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퀴부의 개략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조립공간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공간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브라켓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3 is a sid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 FIG. 7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pace formed in the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exhaust pip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xhaust pip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formed on an exhaust pip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를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n exhaust hood apparatus for a restaurant facility equipped with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Fig.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는 가이드레일(10)과, 이동부재(20)와, 후드관부(30)와, 레일바퀴부(40)와, 연결고정부(50)와, 배기관브라켓(60)과, 주름관(70)으로 구성된다.An exhaust hood apparatus for a restaurant facility equipped with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가이드레일(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은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천정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는 가이드홈부(11)가 형성되어 있다.1 to 3, the
즉, 상기 가이드홈부(11)는 서로 마주보고 일정한 거리로 설치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하부면에 수직으로 절곡되게 절곡부(12)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상기 절곡부(12)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하부면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천정에 설치할 때 또는 설치된 후 상기 가이드레일(10)이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양 외측면에 고정부(11a)가 다수개로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상기 고정부(11a)에 형성된 연결공(11b)에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11c)가 삽입된 후 상기 앵커볼트(11c)에 고정너트(11d)를 고정하여 구성된다.An
상기 이동부재(2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는 양측에 절곡형성된 슬라이드부(2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7, the moving
상기 슬라이드부(21)는 양 가이드홈부(1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어 전,후진되게 구성된다.The slide part (21) is inserted into both guide grooves (11)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상,하부면 및 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설치공(21a) 내에 레일바퀴부(40)가 설치되어 있다.A
상기 이동부재(20)의 상부에는 상부연결구(22)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연결구(22)는 후술되는 주름관(70)과 연결되고, 상기 주름관(70)은 후술되는 상기 배기관(62)에 형성된 연통공(62a)에 연결된다.An upper connector (22)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20). The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결구(22)와 연통되게 설치된 하부연결구(23)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연결구(23)는 후술되는 후드관부(30)의 연결구(31)와 연결된다.The lower end of the
또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양측 가이드레일(10)의 상기 가이드홈부(11) 내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ving
즉, 음식점 내부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레일(10)이 길게 설치되어 그 내측에 상기 이동부재(20)가 다수개로 설치되고, 음식점 내부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레일(10)이 짧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0)는 1개 또는 2개가 설치된다.That is, when the inside of the restaurant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또한,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24)에 조명부(2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n illuminating
상기 조명부(25)는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테이블 상부의 조도를 주위보다 밝게 하여 상기 테이블에 설치된 로스터에서 고기를 구울 때 주위 조명보다 조도를 밝게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손쉽고 편안하게 상기 테이블의 로스터에서 고기를 굽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illuminating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이탈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조립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다.8 and 9, 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조립공간부(13)의 상부면에는 이를 폐쇄하도록 연결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A connecting
상기 연결부재(14)의 상부면에 고정부(15)의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5)의 양측은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10)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15)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16a)과, 상기 볼트공(16a)과 일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0)에 형성된 볼트공(16b)에 볼트가 삽입결합하여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립공간부(13)를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10)의 하부면 또는 상,하부면에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14)로 조립공간부(13)를 폐쇄하도록 상기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ixing means includes a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상기 조립공간부(13)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가이드레일(10) 내에서 이동되는 상기 이동부재(20)를 이탈시켜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상,하부면 및 측면에 설치되는 바퀴레일부(40)의 상기 바퀴(41)가 고장이 발생했을 때 수리하거나, 상기 이동부재(20)의 자체의 결함 또는 오랜 사용으로 인한 금속피로로 휘어지거나 구부러지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가이드홈부(11) 내에서 이동이 불가능할 때 새로운 상기 이동부재(20)를 상기 조립공간부(13)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10) 내측에 삽입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formation of the
이렇게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된 테이블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쉽게 상기 이동부재(20)를 테이블 상부로 이동시키고, 테이블에 설치된 로스터로 고기를 구운 다음 상기 이동부재(20)를 상기 테이블 상부의 전,후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테이블측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후드관부(30)에 의한 방해를 받지않고 편리하게 상기 테이블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movement of the
상기 후드관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후드관부(30)는 상기 하부연결구(23)의 하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구(31)와, 흡입관(32)과, 흡입부(33)로 구성된다.1 to 3, the
즉, 상기 하부연결구(23)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구(23)와, 상기 연결구(23)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흡입관(32)과, 상기 흡입관(32)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흡입부(33)로 구성되는 것이다.A
상기 흡입부(33)의 상부와 상기 흡입관(32)의 하부 사이는 연결주름관(32a)을 설치하여 상기 흡입부(33)와 상기 흡입관(32)의 사이 길이를 늘렸다 줄였다하여 테이블의 로스터 상부에 상기 흡입부(33)의 하부가 근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로스터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A connecting
상기 레일바퀴부(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일바퀴부(40)는 몸체(40a)와 바퀴(41)로 구성된다.6 and 7, the
상기 바퀴(41)는 상기 몸체(40a)의 상,하부 및 측부로 노출되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 레일바퀴부(40)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상,하부면과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설치공(21a) 내에 상기 바퀴(41)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레일바퀴부(40)의 상기 몸체(40a)의 전,후방을 볼트 또는 리벳으로 상기 슬라이드부(21)에 관통하여 고정시키게 된다.The
또한, 상기 레일바퀴부(40)의 상기 바퀴(41)의 바깥둘레면에는 고무층(42)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A rubber layer 42 is furth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즉, 상기 레일바퀴부(40)의 상기 바퀴(41)가 상기 가이드홈부(11) 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바퀴(41)가 금속일 경우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부(11) 내에서 소음이 발생되므로, 상기 바퀴(41)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고무층(42)을 더 형성하여 상기 고무층(42)을 갖는 상기 바퀴(41)가 상기 가이드홈부(11) 내에서 이동할 때 소음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when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이동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상,하부면 및 측면에 설치된 상기 레일바퀴부(40)의 상기 바퀴(41)에 상기 고무층(22)을 더 형성하여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가이드레일(10) 내에서 이동할 때 금속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상기 연결고정부(5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정부(5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전,후방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5, the
또한, 상기 연결고정부(50)는 전면과, 상,하부면과, 양측면이 폐쇄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삽입홈부(5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연결고정부(50)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절곡부(12)가 삽입되도록 홈부(52)가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이와 같이 상기 홈부(52)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홈부(52)에 상기 절곡부(12)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과 상기 연결고정부(50)를 견고하게 삽입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상기 전면 및 상,하부면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볼트공(5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53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both side surfaces.
상기 볼트공(53)들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전,후면에 형성된 볼트공(53b)들과 일치시켜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The bolt holes 53 are aligned with the
상기 연결고정부(50)의 측면에 다수개 볼트공(53) 및 측면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부(50a)에 구비된 다수개의 볼트공(53)을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공(53b)들에 일치시킨 후 볼트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A plurality of bolt holes 53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53 provided in the fixing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은 상기 연결고정부(50)의 외측에 설치되고, 배기팬(61)을 갖는 배기관(62)이 설치되어 구성된다.1 to 3, the
상기 배기팬(61)은 상기 배기관(62) 내에 수집되는 연기 및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은 일측에 상기 배기관(62)이 삽입되게 삽입공(63)이 형성된 브라켓부(64)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배기관(62)의 내부둘레면이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공(63)의 내측에 결합턱(65)이 형성되어 있다. A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은 상기 연결고정부(50)의 외측에 다수개의 볼트로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The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의 양측에 브라켓부(64)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또한, 일측 브라켓부(64)에 연기를 흡입하는 배기관(62a)이 설치되고, 타측 브라켓부(64)에는 냉,온풍의 통로로 배기관(62b)이 설치되어 구성된다.An
상기 배기관(62a)는 테이블의 로스터에서 구워지는 고기로 인한 연기 및 냄새를 흡입하여 음식점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상기 음식점 내부의 공기를 통풍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배기관(62b)는 별도의 냉,온풍발생장치(미도시)와 연결하여 상기 음식점 내에 냉,온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의 양측에 브라켓부(6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1,
양 브라켓부(64)를 연결하는 연결부(66)에는 보강공(67)이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66)의 상부에는 장식용 모양 및 형상부(67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상기 보강공(67)들은 상기 연결부(66)의 강도를 높여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상기 연결부(66)의 휨 및 절곡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inforcement holes 67 are form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부(64)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고정부재(68)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2, a fixing
상기 고정부재(68)가 천정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된다.The fixing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68)에 형성된 볼트공(69a)이 상기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69b)에 삽입 후, 상기 앵커볼트(69b)에 고정너트(69c)를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The fixing means is fixed to the
상기 주름관(7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주름관(70)은 상기 배기관(62)에 형성된 연통공(62a)에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상부연결구(22)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다.1 and 2, the
상기 주름관(70)은 상기 이동부재(20) 및 상기 후드관부(30)에서 수집된 연기 및 냄새를 상기 배기관(62)으로 배출하게 된다.The
상기 주름관(70)은 그 길이가 늘었다 줄었다 하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덕트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 flexible duct pipe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점 내의 테이블이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에서 전,후로 자리를 바꾸거나 유동되었을 때 손쉽게 상기 이동부재(20)를 전,후로 이동하여 테이블 상부에 위치시켜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able in a restaurant is swung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bottom of the moving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가이드레일 11 : 가이드홈부
12 : 절곡부 13 : 조립공간부
14 : 연결부재 15 : 고정부
16a,16b : 볼트공 20 : 이동부재
21 : 슬라이드부 22 : 상부연결구
23 : 하부연결구 24 : 통공
25 : 조명부 30 : 후드관부
31 : 연결구 32 : 흡입관
33 : 흡입부 40 : 레일바퀴부
41 : 바퀴 42 : 고무층
50 : 연결고정부 51 : 삽입홈부
52 : 홈부 53 : 볼트공
60 : 배기관브라켓 61 : 배기팬
62.62a,62b : 배기관 63 : 삽입공
64 : 브라켓부 65 : 결합턱
66 : 연결부 67 : 보강공
67a : 장식용 모양 및 형상부 68 : 고정부재
69a : 볼트공 69b : 앵커볼트
69c : 고정너트 70 : 주름관10: guide rail 11: guide groove
12: Bending section 13:
14: connecting member 15:
16a, 16b: bolt hole 20: moving member
21: slide portion 22: upper connector
23: lower connection hole 24: through hole
25: illumination part 30: hood tube part
31: connecting port 32: suction pipe
33: Suction part 40: Rail wheel part
41: wheel 42: rubber layer
50: connection fixing portion 51: insertion groove
52: groove 53: bolt hole
60: Exhaust pipe bracket 61: Exhaust fan
62.62a, 62b: exhaust pipe 63: insertion hole
64: bracket part 65: coupling jaw
66: connection 67: reinforcement ball
67a: Ornamental shape and shape portion 68: Fixing member
69a:
69c: a fixing nut 70: a corrugated tube
Claims (11)
양측에 절곡형성된 슬라이드부(21)가 양 가이드홈부(1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고, 상부에는 상부연결구(22)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결구(22)와 연통되게 설치된 하부연결구(23)로 구비되는 이동부재(20)와;
상기 하부연결구(23)의 하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구(31)와, 흡입관(32)과, 흡입부(33)로 구성되는 후드관부(30)와;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상,하부면 및 측면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바퀴(41)를 갖는 레일바퀴부(40)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전,후방을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부(50)와;
상기 연결고정부(50)의 외측에 설치되고, 배기팬(61)을 갖는 배기관(62)이 설치되는 배기관브라켓(60)과;
상기 배기관(62)과 상기 상부연결구(22)에 연결되는 주름관(70)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이동부재(20)가 이탈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조립공간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간부(13)를 폐쇄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14)와, 상기 연결부재(14)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양측은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10)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부(15)로 구성되며,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은 일측에 상기 배기관(62)이 삽입되게 삽입공(63)이 형성된 브라켓부(64)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62)의 내부둘레면이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공(63)의 내측에 결합턱(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Both side guide rails (10) provided on the ceiling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guide grooves (11);
A slide portion 21 bent at both sides is inserted and slid into both guide grooves 11 and an upper connection port 22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connection port 23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port 22, (20);
A hood pipe portion 30 composed of a suction pipe 32 and a suction portion 33; a connecting pipe 31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23 in order;
A rail wheel part 40 provided on the upper, lower and side surfaces of the slide part 21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41;
(50) for fixi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guide rail (10);
An exhaust pipe bracket 60 provided outside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50 and provided with an exhaust pipe 62 having an exhaust fan 61;
And a corrugated pipe (70)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62) and the upper connector (22)
An assembly hollow section 13 is formed on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oth side guide rails 10 so that the movable member 20 can be removed and inserted, And a fixing part 15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14 and has both sides fixed to the both side guide rails 10 by fixing means,
The exhaust pipe bracket 60 has a bracket portion 64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n insertion hole 63 for inserting the exhaust pipe 62 and an insertion hole 63 for fix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62. And a coupling step (65)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hood (65).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하부면에 수직으로 절곡되게 절곡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ent portion (12) is formed so as to be bent perpendicularly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rail (10).
상기 레일바퀴부(40)는 상기 바퀴(41)의 바깥둘레면에 고무층(4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l wheel part (40) further comprises a rubber layer (42)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41).
상기 연결고정부(50)는 전면과, 상,하부면과, 양측면이 폐쇄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삽입홈부(51)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면에는 상기 절곡부(12)가 삽입되도록 홈부(52)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 및 상,하부면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볼트공(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fixing part 50 has a front surface,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both sides thereof being closed, a rear surface being opened to form an insertion groove 51, and the bending part 12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53)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exhaust hood.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15)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16a)과, 상기 볼트공(16a)과 일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0)에 형성된 볼트공(16b)에 볼트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ans includes a bolt hole 16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ortion 15 and a bolt hole 16b formed in the guide rail 10 so as to coincide with the bolt hole 16a, Wherein the movable memb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member.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의 양측에 브라켓부(64)가 형성되고, 일측 브라켓부(64)에 연기를 흡입하는 배기관(62a)이 설치되고, 타측 브라켓부(64)에는 냉,온풍의 통로로 배기관(62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racket portion 6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haust pipe bracket 60 and an exhaust pipe 62a for sucking the smoke is provided in the one side bracket portion 64 and a cool air passage 62a is provided in the other side bracket portion 64 And an exhaust pipe (62b) is provided on the exhaust pipe (62).
상기 배기관브라켓(60)의 양측에 브라켓부(64)가 형성되고, 양 브라켓부(64)를 연결하는 연결부(66)에는 보강공(67)이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66)의 상부에는 장식용 모양 및 형상부(6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A bracket portion 6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haust pipe bracket 60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67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66 connecting the both bracket portions 64 to each other, , And a decorative shape and a shape (67a) ar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od.
상기 이동부재(20)는 양측 가이드레일(10)의 상기 가이드홈부(11) 내에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moving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portions of the both side guide rails.
상기 브라켓부(64)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고정부재(68)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68)가 천정에 상기 고정부재(68)에 형성된 볼트공(69a)이 상기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69b)에 삽입 후, 상기 앵커볼트(69b)에 고정너트(69c)로 결합되게 구성되는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부재가 구비된 음식점 설비용 배기후드장치.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 bolt hole 69a formed in the fixing member 68 on the ceiling of the fixing member 68 is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bracket part 64 Is fixed to the anchor bolt (69b) by means of a fixing nut (69c)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69b).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5054A KR101261118B1 (en) | 2010-12-08 | 2010-12-08 | Exhaust hood device for restaurant equiment provided with moving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5054A KR101261118B1 (en) | 2010-12-08 | 2010-12-08 | Exhaust hood device for restaurant equiment provided with moving mem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887A KR20120063887A (en) | 2012-06-18 |
KR101261118B1 true KR101261118B1 (en) | 2013-05-06 |
Family
ID=4668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5054A KR101261118B1 (en) | 2010-12-08 | 2010-12-08 | Exhaust hood device for restaurant equiment provided with moving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111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0627B1 (en) * | 2018-04-27 | 2018-11-21 |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 ventilation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 |
KR102477883B1 (en) | 2022-07-06 | 2022-12-14 | 이한만 | Hood ventila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387B1 (en) * | 2013-05-23 | 2014-07-16 | 강석억 | Smoke pipe device of gas range hood |
KR102498282B1 (en) * | 2017-11-01 | 2023-02-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ystem for discharging and ventilating harmful material |
WO2020039280A1 (en) * | 2018-07-27 | 2020-02-27 | Sanandan Sudhir | Adaptable cooking apparatus |
BR102020001857A2 (en) * | 2020-01-28 | 2021-08-03 | Ivan Carta | HOOD EQUIPMENT ADJUSTABLE TO A REGION OF THE STOVE |
KR102395187B1 (en) * | 2021-11-25 | 2022-05-04 | 김수홍 | Range hood for kitch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6408Y1 (en) * | 2004-01-06 | 2004-03-30 | 김상훈 | Exhausting hood for roaster |
KR100557867B1 (en) * | 2004-09-13 | 2006-03-10 | 강태선 | Hood for roaster |
-
2010
- 2010-12-08 KR KR1020100125054A patent/KR10126111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6408Y1 (en) * | 2004-01-06 | 2004-03-30 | 김상훈 | Exhausting hood for roaster |
KR100557867B1 (en) * | 2004-09-13 | 2006-03-10 | 강태선 | Hood for roast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0627B1 (en) * | 2018-04-27 | 2018-11-21 |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 ventilation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 |
KR102477883B1 (en) | 2022-07-06 | 2022-12-14 | 이한만 | Hood ventil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887A (en) | 2012-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1118B1 (en) | Exhaust hood device for restaurant equiment provided with moving member | |
US10816219B2 (en) | Modular vent hood blower kit for in-line or external application | |
US10480798B2 (en) | Recirculating downdraft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 |
KR20200065826A (en) | Ventilation inducing apparatus for range hood of kitchen | |
KR100600731B1 (en) | Exhaust Hood | |
CN107270341B (en) | Improved lifting cooker hood | |
WO2009057923A3 (en) | Multiple ventilation system | |
KR101264281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moke Induction Pipes | |
CN205641092U (en) | Range hood side plate of cabinet body with lift baffle plate | |
KR20130096395A (en) | Apparatus for kitchen hood with move up and down duct | |
CN207422307U (en) | A kind of range hood | |
KR100908695B1 (en) | Roaster hood | |
KR20100043992A (en) | Air conditioner | |
CN105953276B (en) | Lift the kitchen cabinet forced fume exhaust device of dock | |
KR20110075813A (en) | Removable hood | |
JP5009685B2 (en) | Range food | |
CN109974035A (en) | A kind of integrated kitchen range with baking car | |
CN207112944U (en) | A kind of multijaw adjustable air-breathing smoke exhaust ventilator | |
KR20150059320A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sleep driving | |
KR200422082Y1 (en) | hood assembly | |
CN222256729U (en) | Liftable wall suction structure and range hood | |
KR20190083726A (en) | Kitchen Range hood with sliding type shielding part | |
CN214619734U (en) | An odorless and odorless cooker | |
CN106123082B (en) | A kind of cleaning helps suction range hood | |
KR200196621Y1 (en) | Meat baking device having exhaust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