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32B1 -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 - Google Patents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332B1
KR101260332B1 KR1020110115593A KR20110115593A KR101260332B1 KR 101260332 B1 KR101260332 B1 KR 101260332B1 KR 1020110115593 A KR1020110115593 A KR 1020110115593A KR 20110115593 A KR20110115593 A KR 20110115593A KR 101260332 B1 KR101260332 B1 KR 101260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curities
shaft
drive moto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우
구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엠
Priority to KR102011011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2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absence of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휠을 사용하지 않고 지폐를 적재하면서도 다량의 지폐를 적재할 수 있고 적재 품질을 높을 수 있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는, 유가증권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함; 적재함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유가증권을 위에 적재하기 위한 받침부; 배출되는 유가증권을 적재함 쪽으로 안내해주기 위한 배출가이드; 적재함에 쌓여있는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적재높이센서; 받침부를 적재함 내에서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받침부 승강수단; 적재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에 받침부를 하강시키도록 받침부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 {Banknote stacking apparatus and banknote coun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을 사용하지 않고 지폐를 적재하면서도 다량의 지폐를 적재할 수 있고 적재 품질을 높을 수 있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지폐 적재장치는 주로 지폐계수기, 지폐정사기, 현금입출금기 등의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지폐 이송롤러에 의해 일렬로 이송된 다수의 지폐를 가지런히 정렬하여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지폐 적재장치는 크게 휠을 구비하여 구현하는 방법과, 휠이 없이 구현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에서 (a)는 휠을 구비하지 않은 적재함이고, (b)는 휠을 구비한 적재함이다.
휠(H)을 구비하여 구현한 적재함은 유가증권의 정렬이 쉽고, 많은 양의 지폐나 유가증권을 적재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에 계수나 정사 등 원하는 작업을 완료한 지폐가 쌓이는 적재함으로 사용되고 보통 적재 용량이 200매에 달한다. 도 1의 (a)와 같이 휠을 구비하지 않은 적재함은 보통 원하는 작업에 실패한 지폐나 위조지폐와 같은 정상권이 아닌 훼손권의 반송 적재함으로 사용된다. 적재할 지폐의 양이 적고, 구동부가 필요 없으며, 높이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휠(H)을 구비한 적재함의 장점은 유가증권의 정렬이 쉽고,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는 점을 꼽을 수 있지만, 유가증권이 휠(H)에 꽂혀 정렬되지 아니하고 장비 밖으로 날아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휠(H)의 곡률과 처리할 지폐의 곡률로 인하여 휠(H)을 구비하지 아니한 경우와 비교할 때 적재함(포켓)의 높이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휠을 구비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지폐가 장비 밖으로 날릴 염려가 없고, 적재함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여러 개의 적재함을 탑재한, 정사기와 같은 장비에 이 방식을 적용하면 장비의 크기를 많이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장비를 놓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좁아도 되고, 운반이 용이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
그러나, 휠을 구비하지 않고 적재함을 구현할 경우에는 휠을 구비한 경우와 비교할 때 적재 용량을 키우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지폐나 유가증권의 상태에 따라 적재 용량이 많이 변화하는 단점이 있다.
즉, 휠을 구비하지 않고 적재함을 구현할 경우 적재용량은 도 1의 높이 h로 나타낼 수 있는데 유가증권의 상태에 따라 그 높이가 매우 유동적이다. 일례로 전혀 사용하지 않은 신권 100매의 두께는 약 10~12mm 밖에 되지 않으나 오랫동안 유통되어 많이 낡은 지폐 100매의 두께는 40mm가 넘기도 한다.
두번째 문제는 적재 품질이다. 휠(H)을 구비한 경우의 적재 방식은 휠(H)에 꽂힌 유가증권(N)이 도 1의 경사면 S에서 더 이상 휠과 함께 회전하지 못하게 되면서 휠(H)로부터 이탈, 적재하게 되므로 고르게 정렬할 수 있다. 반면, 휠을 구비하지 않고 적재할 경우에는 최종 배출 롤러(R)로부터 유가증권(N)이 벗어나 공간을 날아갈 때 유가증권(N)의 방향을 제어하고 정렬을 하기 위해서, 도 1의 배출가이드(G)와 같은 얇은 판을 사용하여 적재 방향을 유도하고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날아오는 지폐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정렬을 유도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적재함 바닥면과 배출가이드(G)가 이루는 각도가 적재 용량, 적재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데, 많은 용량을 적재하게 되면 지폐가 쌓이면서 이 각도가 변하게 되어 일정한 적재품질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휠이 있는 적재함의 경우에는 약 200매의 지폐를 적재할 수 있는데, 이와 유사한 적재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상태의 지폐나 유가증권을 고려할 때 높이 h를 약 50mm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도 2는 50mm 깊이에서 지폐나 유가 증권을 적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제시한다.
우선, 종래의 휠이 없는 적재함의 깊이를 50mm로 깊게 만들면 당초 최적화된 배출가이드(G)의 각도(a1)에 비해 배출가이드(G)의 각도(a2)가 너무 커져서 도 2의 A와 같이 배출된 지폐가 안으로 회전하면서 적재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일단 그와 같은 적재 불량이 발생하면 뒤따르는 지폐들이 제대로 정렬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원하는 양의 지폐를 적재할 수도 없게 된다.
또한, 직관적으로 관찰해보더라도 지폐가 최종 배출 롤러(R)를 떠나 적재함 밑면에 다다를 때까지 자유낙하하는 구간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정상적인 적재는 불가능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설령, 정상적인 적재가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지폐가 B 지점까지 쌓이게 된다면 배출가이드(G)가 지폐를 누르는 위치가 너무 끝단에 위치하게 되어, 이미 이 지점에 이르면 정상적으로 가이드를 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휠을 사용하지 않는 적재함의 적재 용량은 지폐의 두께 변화, 적재를 원활하게 돕기 위한 얇은 판과 바닥면과의 각도 때문에 휠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매우 작게 설계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적재용량을 높이고 적재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는, 유가증권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유가증권을 위에 적재하기 위한 받침부; 배출되는 유가증권을 상기 적재함 쪽으로 안내해주기 위한 배출가이드; 상기 적재함에 쌓여있는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적재높이센서; 상기 받침부를 상기 적재함 내에서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받침부 승강수단; 상기 적재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받침부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받침부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배출가이드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적재높이센서는 가이드판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한다. 배출가이드는 가이드판 아래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지폐를 아래에 정렬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누름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재함은 양측에 각각 마련된 기둥부를 구비하며, 기둥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는 유가증권을 위에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양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축을 구비하며, 상기 축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받침부가 상하로 이동한다.
받침부의 상기 축의 양쪽 끝 부근에는 톱니부가 마련되어 있다. 받침부 승강수단은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 풀리와, 상기 구동모터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링 회전풀리와, 스프링 회전풀리에 연결되어 스프링 회전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기 축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양 기둥부의 옆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의 톱니부에 각각 맞물리는 선형 톱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는 받침부에 유가증권이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지폐 유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폐 계수기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폐 계수기는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1개 이상 구비한 2포켓 이상의 지폐계수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소형으로 구현하면서도 적재용량을 높이고 적재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형이면서 적재용량이 높은 유가증권 적재장치가 구현될 수 있으므로, 책상 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크기의 3포켓 지폐계수기/지폐정사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휠이 없는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적재용량을 키웠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포켓 지폐계수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받침부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회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후면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전면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로 2개의 포켓을 구현한 3포켓 지폐계수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포켓 지폐계수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 두 개와, 종래의 휠이 없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한 개를 구비하는 3포켓 지폐계수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충분한 적재용량의 적재장치를 휠을 사용하지 않고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2포켓 지폐계수기와 비슷한 크기의 장치에 3포켓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20) 내에서 지폐를 적재하기 위한 받침부(30)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4는 받침부(30)가 최대 높이로 올라가 있는 상태(D)와 최저 높이에 있는 상태(E)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또한 배출가이드(40)가 지폐가 쌓여감에 따라 회동되는 모습(F)을 보여주고 있다. 즉, 배출가이드(40)는 지폐가 쌓여감에 따라 회동 범위 내의 최하 위치에서 점점 위로 회동하여 최고 위치까지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받침부(30)의 위치는 지폐의 적재 높이에 따라 배출가이드(40)의 회동 범위가 정해진 범위 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적절한 높이로 제어된다. 즉, 배출가이드(40)가 최고 위치까지 회동되면 받침부(30)는 적절한 거리만큼 하강하여 배출가이드(40)의 회동 위치가 다시 최저 위치가 되어, 지폐가 쌓여가면서 다시 최고 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도 5는 받침부(30)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부(30)는 지폐 등의 유가증권을 위에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31)과, 받침판(31)의 한쪽 끝 쪽에 마련된 축(32)을 포함하고 있다. 축(32)의 양쪽 끝 부근에는 톱니부(33a, 33b)가 형성되어 있어서, 받침부(30)의 승강을 위한 동력 전달을 하게 된다. 받침판(31)의 상면에는 지폐가 바닥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돌기(34) 또는 홈을 마련할 수 있다. 받침판(31)은 하나 이상의 클램프(35a, 35b)에 의해 축(32)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회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후면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전면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지폐를 올려놓기 위한 받침부(30)는 적재함(20) 공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적재함(20)에는 좌우 양측에 기둥부(21a, 21b)가 마련된다. 기둥부의 수는 임의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도 8, 도 9의 예에서는 기둥부가 양측에 각각 두개씩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기둥부(21a, 21b, 21c, 21d)에는 각각 세로 방향으로 가이드홈(22a, 22b, 22c, 22d)이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부(30)의 축(32)이 가이드홈(22a, 22b, 22c, 22d) 안으로 삽입된다.
받침부(30)는 받침부 승강수단(6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받침부 승강수단(60)은 구동모터(61)와, 구동모터풀리(62), 스프링 회전풀리(63), 스프링(64), 기둥부(21a, 21b)의 외측에 가이드홈(22a, 22b)을 따라 각각 마련된 선형 톱니부(65a, 65b)를 구비한다.
받침부(30)의 축(32) 양단 부근에 형성된 톱니부(33a, 33b)는 선형톱니부(65a, 65b)에 맞물려서 이들 톱니부의 기어 결합에 의해 받침부(30)가 선형 톱니부(65a, 65b)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모터(61)에는 구동모터풀리(62)가 달려있어서, 구동모터(61)가 회전하면 구동모터풀리(62)에 기어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회전풀리(63)가 회동한다. 스프링 회전풀리(63)는 적재함 이송풀리(36)의 아래쪽을 지지하고 있다. 스프링회전 풀리(63)가 위쪽으로 돌면 스프링(64)의 아암(Arm)도 위쪽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함 이송풀리(36)를 위로 들어 올리게 되고, 반대로 스프링 회전풀리(63)가 아래 방향으로 돌면 스프링(64)의 아암도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받침부(30)는 자중으로 인하여 하강하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풀리(62)와 스프링 회전풀리(63)를 하나의 풀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출가이드(40)는 가이드축(41)과, 가이드축(4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가이드판(42)을 포함한다. 지폐가 K 방향으로 이송되면 지폐는 배출가이드(40)의 유도에 따라 받침판(31)에 쌓이게 되며, 쌓인 지폐의 양이 늘어날수록 배출가이드의 끝단(44)이 높아지게 된다. 가이드판(42)의 아래에는 텐션을 가진 누름 스프링(43)이 마련될 수 있다. 누름 스프링(43)은 배출 가이드의 마모 방지 역할과 받침판(31)에 적재되는 지폐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K 방향으로 배출된 지폐는 누름 스프링(43)에 부딛혀서 누름 스프링(43)을 따라 받침판(31) 바닥면(지폐가 쌓여있는 경우에는 쌓여있는 지폐의 윗면)으로 유도되며, 누름 스프링(43)의 텐션에 의해 누름 스프링(43)의 밑으로 미끌어져 들어가서 정렬되게 된다. 누름 스프링(43)은 그 형태와 취급하는 유가증권의 크기 등에 따라 생략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계가 가능하다. 도 8 및 도 9의 예에서는 누름 스프링이 2개(43a, 43b)로 구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배출가이드(40)의 다른쪽 끝 단에는 배출가이드(40)의 높이 또는 각도를 감지하는 적재높이 센서(50)가 부착되어 있다. 적재높이 센서(50)는 적재함에 쌓여있는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를 감지한다. 적재높이 센서(50)로는 각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를 사용할 수도 있고, 각도에 따라 전류가 달라지도록 광커플러(optocoupler) 등의 소자를 사용하여 회로는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한 각도/높이 감지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의 예에서는 광커플러를 사용하여 배출가이드(40)가 소정의 높이에 다다르면 광커플러의 광 경로 사이가 가려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10)는 적재높이 센서(50)를 통해 감지한 가이드판(42)의 높이가 최고 높이에 다다르면, 구동모터(61)를 구동하여 받침부(30)를 밑으로 내린다. 받침부(30)가 내려가면 배출가이드(40)의 가이드판(42)이 아래로 회동되어 다시 적절한 각도와 압력으로 지폐가 받침판(31) 위에 적재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를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폐가 없을 때 최저 높이에 있던 가이드판(42)은 지폐가 배출됨에 따라 도 10a에서와 같이 지폐(N)가 받침판(31) 위에 쌓이면서 상승한다. 가이드판(42)의 높이가 소정의 최고 높이에 다다르면 제어부(10)는 적재높이 센서(50)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61)를 구동하여 받침부(30)를 하강시킨다. 받침부(30)의 하강에 따라 지폐(N)가 적재되어 있는 받침판(31)이 하강하면서 가이드판(42)도 도 10c에서와 같이 따라서 아래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받침판(31)의 하강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가이드판(42)의 최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판(42)을 최고 높이와 최저 위치 사이의 최적의 범위 내에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지폐 배출을 위한 최적의 각도와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10c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재된 지폐(N)를 제거하면 도 10d에서와 같이 가이드판(42)이 최저 위치보다 아래로 내려가게 되므로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61)를 구동하여 도 10e에서와 같이 받침판(31)을 상승시킨다. 또는, 지폐 유무 감지 센서(37)를 이용하여 지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적재함을 지폐가 없을 때의 최적 위치로 올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폐 유무 감지 센서(37)는 광 커플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무게 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지폐 감지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폐를 제거할 때 지폐가 받침판(31) 위에 일부 남아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받침판(31)을 상승시킬 때 적재높이 센서(50)를 사용하여 가이드판(42)의 높이가 최저 높이에 다다르면 받침판(31) 상승을 멈추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재함 이송풀리(36)를 기어를 사용하여 상승/하강 시키지 않는 이유는 받침부(3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받침부(30)가 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받침부(3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구동모터(61)가 돌지 않더라도 스프링(64)의 탄성에 의하여 스프링 아암이 아래로 처지면서 받침판(31)이 아래로 내려 앉아 받침부(30)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64)의 복원력에 의하여 받침판(31)이 원래의 높이로 다시 상승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위의 두 포켓에 사용하고 맨 밑의 포켓에는 종래의 휠 없는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사용한 3포켓 지폐계수기의 내부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충분한 적재용량의 적재장치를 휠을 사용하지 않고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2포켓 지폐계수기와 비슷한 크기의 장치에 3포켓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지폐계수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유가증권 적재장치는 지폐계수기뿐만 아니라 지폐정사기, 현금자동입출금기 등과 같이 유가증권의 적재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금융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어부,
20 적재함,
21 기둥부,
22 가이드홈,
30 받침부,
31 받침판,
32 축,
33 톱니부,
40 배출가이드,
41 가이드축,
42 가이드판,
50 적재높이센서,
60 받침부 승강수단.

Claims (13)

  1. 유가증권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세로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적재함;
    유가증권을 위에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축을 구비하며, 상기 축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적재함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받침부;
    배출되는 유가증권을 상기 적재함 쪽으로 안내해주기 위한 배출가이드;
    상기 적재함에 쌓여있는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적재높이센서;
    상기 받침부를 상기 적재함 내에서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받침부 승강수단;
    상기 적재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받침부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받침부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높이센서는 상기 가이드판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판 아래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지폐를 아래에 정렬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누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기 축의 양쪽 끝 부근에는 톱니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 승강수단은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 풀리와, 상기 구동모터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링 회전풀리와, 스프링 회전풀리에 연결되어 스프링 회전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기 축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양 기둥부의 옆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의 톱니부에 각각 맞물리는 선형 톱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증권 적재장치는,
    받침부에 유가증권이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지폐 유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적재장치.
  7. 유가증권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세로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적재함;
    유가증권을 위에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축을 구비하며, 상기 축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적재함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받침부;
    배출되는 유가증권을 상기 적재함 쪽으로 안내해주기 위한 배출가이드;
    상기 적재함에 쌓여있는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적재높이센서;
    상기 받침부를 상기 적재함 내에서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받침부 승강수단;
    상기 적재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가증권의 상단 위치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받침부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받침부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하나 또는 그 이상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높이센서는 상기 가이드판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판 아래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지폐를 아래에 정렬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누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기 축의 양쪽 끝 부근에는 톱니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 승강수단은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 풀리와, 상기 구동모터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링 회전풀리와, 스프링 회전풀리에 연결되어 스프링 회전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기 축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양 기둥부의 옆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의 톱니부에 각각 맞물리는 선형 톱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증권 적재장치는 받침부에 유가증권이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지폐 유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계수기는 상기 유가증권 적재장치를 1개 이상 구비한 2포켓 이상의 지폐계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
KR1020110115593A 2011-11-08 2011-11-08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 KR101260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593A KR101260332B1 (ko) 2011-11-08 2011-11-08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593A KR101260332B1 (ko) 2011-11-08 2011-11-08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332B1 true KR101260332B1 (ko) 2013-05-03

Family

ID=4866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593A KR101260332B1 (ko) 2011-11-08 2011-11-08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0336A1 (zh) * 2015-05-12 2016-11-1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集回收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62B1 (ko) * 2008-10-16 2008-12-15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지폐 걸림 및 풀 감지센서를 장착한 투포켓형 지폐계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62B1 (ko) * 2008-10-16 2008-12-15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지폐 걸림 및 풀 감지센서를 장착한 투포켓형 지폐계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0336A1 (zh) * 2015-05-12 2016-11-1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集回收箱
US10221032B2 (en) 2015-05-12 2019-03-05 Grg Banking Equipment Co., Ltd. Bill collecting and recycling box
RU2682349C1 (ru) * 2015-05-12 2019-03-19 Джи Ар Джи БЭНКИНГ ЭКВИПМЕНТ КО., ЛТД. Ящик для сбора и утилизации банкно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165B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EP2600322B1 (en) Medium storage box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US10861274B2 (en) Multi-denomination banknote cassette including variable stopper
KR20090067357A (ko) 금융자동화기기
WO2018220913A1 (ja) 紙葉積載装置、及び荷重調整方法
KR101260332B1 (ko) 유가증권 적재장치 및 이를 채택한 지폐계수기
KR20150145622A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102633910B1 (ko) 지폐 분리 장치
KR100966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2093846B1 (ko) 지폐뭉치의 배출기능을 향상시킨 출금기
KR20090012510U (ko) 벨트형 지폐 계수기
KR101628481B1 (ko) 매체 저장부
JP4402555B2 (ja) 紙葉類繰出し収納庫
WO1993024404A1 (en) Dispensing hopper construction for bank note processing machine
KR20180111212A (ko) 다권종 지폐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승강구조
JP6259725B2 (ja) 紙葉類分離集積装置
EP3671677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20220068614A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2010008011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JPH07220139A (ja) 紙葉類払出装置
JP5256556B2 (ja) 紙幣収納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KR20090073737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637698B1 (ko) 매체 저장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