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023B1 -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023B1
KR101260023B1 KR1020110145011A KR20110145011A KR101260023B1 KR 101260023 B1 KR101260023 B1 KR 101260023B1 KR 1020110145011 A KR1020110145011 A KR 1020110145011A KR 20110145011 A KR20110145011 A KR 20110145011A KR 101260023 B1 KR101260023 B1 KR 10126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udio signal
song
song accompaniment
input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110145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음을 이용하여 노래를 선곡하도록 하거나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노래 반주 장치에 편리하게 연동하여 휴대형 단말기가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KARAOKE APPARATUS AND KARAOKE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USING AUDIO SIGNAL TONE}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음을 이용하여 노래를 선곡하도록 하거나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래방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노래 반주 장치는, 사용자가 노래를 선곡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암기하고 있는 곡 번호나, 노래방에 비치된 곡목 책자로부터 검색된 곡 번호를, 노래방에 비치된 리모컨이나 노래 반주 장치의 키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이에 따라 선곡된 곡을 부를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선곡 방법은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한 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곡목 책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자기가 찾고자 하는 곡 이름이나 가수를 찾거나 혹은 곡목 책자에 표시된 일부 가사를 보면서 검색을 실시하여 사용자의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리모컨을 이용하여 노래 반주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직접 곡의 검색을 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노래방의 리모컨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는, 그 리모컨의 입력 키들의 배열을 정확히 알지 못하거나 다른 사용자와의 리모컨 공유의 문제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검색을 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기능(예를 들어 단어 검색)의 한계로 인해서 또한 용이하게 곡을 검색할 수 없도록 한다.
한편, 핸드폰이 발전함에 따라서, 이 핸드폰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핸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애창하는 곡을 기억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부르고자 하는 곡을 핸드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고핸드폰을 이용하여 곡 번호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이 또한 제시되었다.
비록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폰이 편리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다시 핸드폰에서 검색된 곡 번호를 노래방에 비치된 리모컨을 이용해서 다시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노래 반주 장치가 사용자의 선곡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극히 제한되어 있고 따라서 노래 반주 장치가 수신할 수 있는 물리적 인터페이스인 리모콘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핸드폰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다시 리모콘을 이용해서 이러한 선곡 명령을 발송해야 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따라서, 핸드폰의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노래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핸드폰에서 제공하는 표준화된 포맷의 신호를 수신하여 용이하게 곡을 선곡하거나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한다면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곡목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고 검색된 곡목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노래 반주 장치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휴대형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노래방의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노래 반주 장치에 이미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는, 제어 명령을 인코딩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와 복수의 미디 파일을 포함하는 저장부와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 키를 결정하고, 결정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로부터 제어 명령을 식별하고, 제어 명령에 포함될 수 있는 곡 번호에 대응하는 미디 파일을 상기 저장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 명령을 인코딩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입력 키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로부터 제어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곡목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검색된 곡목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노래 반주 장치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은, 모든 휴대형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노래방의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은, 휴대형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노래 반주 장치에 이미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노래 반주 장치의 구성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노래 반주 장치에서 실행되는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입력 키를 결정하기 위한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입력 키로부터 제어 명령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100)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노래 반주 시스템은, 노래 반주 장치(100)와 휴대형 단말기(200)를 포함하고 외장 마이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래 반주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장치들을 살펴보면, 노래 반주 장치(100)는, 외장 마이크(300)나 내장 마이크(113)를 통해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음에 인코딩된 제어 명령을 식별하고 이 제어 명령에 따라 이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어 명령은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 포함된 곡 번호를 예약하기 위한 예약 명령, 해당 곡 번호를 우선하여 예약하기 위한 우선 예약 명령, 해당 곡 번호를 예약 취소하기 위한 예약 취소 명령, 현재 연주중인 곡에 대한 연주 중지를 지시하는 중지 명령, 노래 반주 장치(100)에 예약 중인 곡을 시작하도록 하는 시작 명령 등이 있을 수 있다.
노래 반주 장치(100)는 이러한 제어 명령에 따라서 노래 반주 장치(100)에 포함된 각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노래 반주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휴대형 단말기(200)는, 노래 반주 장치(100)로 오디오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휴대폰,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고 네트워킹이 가능한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이 스피커나 이어폰 등을 연결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단자를 구비하여 이 스피커나 오디오 출력 단자로 오디오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널이나 키 패드를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의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LCD 화면 등을 구비하고 응용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200)는, 표준화된 오디오 신호음을 스피커나 오디오 출력 단자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음은, 예를 들어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음일 수 있다. DTMF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음은 각 입력 키에 대해서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로 표현되어 신호음을 출력된다.
표준 DTMF에 따르면, 697Hz, 770Hz, 852Hz 또는 941Hz 중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나머지 주파수를 1209Hz, 1336Hz, 1447Hz 또는 1633Hz 중 하나의 주파수로 선택하여 '0' ~ 'D', '*', '#' 키와 같은 입력 키를 이 두 개의 주파수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음으로 인코딩되고 이 오디오 신호음은 전화선을 통해서 그리고 스피커 등을 통해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입력 키 '1'은 697 Hz 와 1209 Hz 주파수로 합성되어 오디오 신호음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입력 키의 합성된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음은 별다른 실행 동작 없이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키 패드나 터치 패널에서 해당 키를 선택하는 경우에 스피커나 오디오 출력 단자를 통해서 출력된다.
물론 이러한 오디오 신호음은 DTMF 신호음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하나의 주파수 혹은 복수의 주파수를 합성한 신호음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합성된 주파수의 신호음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예를 들어 두개 이상)의 주파수를 식별하고 이로부터 입력 키가 무엇인지를 노래 반주 장치(100)가 인식할 수 있다면 노래 반주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비록 노래 반주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곡 등을 검색하고 검색된 곡 번호를 이 합성된 주파수의 신호음을 출력하여 쉽게 곡을 선곡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200)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 포함된 곡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프로그램을 더 구비하거나 혹은 애창곡 리스트를 파일이나 간단한 리스트의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파일 등으로 된 애창곡 리스트에서 애창곡을 보고 애창곡 리스트에 있는 곡 번호를 직접 휴대형 단말기(200)의 터치 패널이나 키 패드를 사용하여 이 휴대형 단말기(200)의 터치 패널이나 키 패드의 입력 키(예를 들어 '0' ~ '9', '*', '#' 키 등)을 누름으로써 해당 입력 키에 대응하는 합성된 주파수의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애창곡 리스트에 연결된 프로그램에서 특정 애창곡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때 자동으로 이 애창곡의 곡 번호에 대응하는 합성된 주파수의 신호음을 포함하는 일련의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혹은 휴대형 단말기(200)에 구비된 검색 프로그램은, 특정 노래 반주 장치(100)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곡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가수나 제목에 대하여 초성으로 검색 가능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서 음성을 수신하고, 이 음성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에 일치하거나 유사한 곡들을 검색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검색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특정 곡에 대한 곡 번호에 대응하는 신호음을 포함하는 일련의 합성된 주파수의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성된 주파수의 신호음은 휴대형 단말기(200)의 스피커(이에 더하여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출력된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200)에 탑재되어 노래 반주 장치(100)로 곡 번호 등을 오디오 신호음으로 송출할 수 있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노래 반주 장치(100)와 미리 약속된 패턴의 오디오 신호음으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약속된 패턴은 노래 반주 장치(100)로 하여금 약속된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약속된 패턴에는 일반적으로 곡 번호의 선곡에 사용되는 '0' ~ '9'까지의 입력 키와는 상이한 입력 키(예를 들어 '*', '#')를 이용하여 특정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200)가 일반적으로 그리고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두 개의 주파수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음을 스피커 등을 통해서 출력하고 노래 반주 장치(100)가 이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특정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래 반주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다른 장치(예를 들어 노래 반주 장치(100) 전용의 리모컨 등)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자신의 휴대형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특정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외장 마이크(300)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소리로부터 노래 반주 장치(100)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노래 반주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외장 마이크(300)는, 특정 무선 대역(예를 들어 900 MHz)을 이용하여 이 무선 대역에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이거나 혹은 노래 반주 장치(100)에 유선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이 유선의 케이블에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혹은 디지털 신호로 전송할 수 있는 유선 마이크일 수 있다.
이러한 외장 마이크(300)는 유선이나 무선의 마이크가 각 노래방 실내에 복수개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100)는 복수개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장 마이크(300)는, 휴대형 단말기(200)로부터 휴대형 단말기(200)가 발생한 복수의 주파수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여 이를 노래 반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노래 반주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와 제어부(150)와 저장부(140)와 입력부(130)와 출력부(120)를 포함한다. 이 노래 반주 장치(100)의 블록들 중 전부 혹은 일부는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60)에 연결될 수 있고 블록들 일부의 블록은 그 구현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거나, 혹은 도 2에 포함되지 않은 블록이 노래 반주 장치(100)를 구성하는 블록도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노래 반주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는, 내장 마이크(113)나 외장 마이크(300)로부터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음은 휴대형 단말기(200)로부터 발생한 하나 이상의 입력 키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음이며 이로부터 노래 반주 장치(100)(특히 제어부(150)가)가 인코딩된 제어 명령을 식별가능하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음이다.
이와 같은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는, 마이크의 타입에 따라서 그 구체적인 구성 블록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장 마이크(113)를 통해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는, 내장 마이크(113)와 필터부(115)와 ADC(117)(Analog-Digital Converter)를 포함한다.
이 내장 마이크(113)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전면 판넬이나 노래 반주 장치(100)에 연결되어 별도로 고정 설치된 마이크일 수 있고 이 내장 마이크(113)는 휴대형 단말기(200)로부터 발생한 소리(예를 들어 진동 소자를 이용하여)를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필터부(115)는, 변환된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에서 특정 대역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이다. 이러한 필터부(115)는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200)가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DTMF 신호음의 경우에, 이 필터부(115)는 DTMF 신호음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00Hz ~ 1.5 KHz)만을 통과 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이거나 혹은 가청 대역(예를 들어 0Hz ~ 4KHz)만을 통과 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ADC(117)는 필터부(115)를 통해서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ADC(117)는 예를 들어 8bit, 16bit, 20 bit 등과 같이 지정된 데이터 비트 크기로 지정된 샘플링 레이트(sample rate, 예를 들어 8 KHz, 32 KHz, 42 KHz 등)로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디지털 데이터를 지정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I2S 등)로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의 외장 마이크(300)를 통해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는, 통신부(111)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11)는 무선의 외장 마이크(300)와 미리 약속된 특정 대역(예를 들어 900Mhz)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고 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60)를 통해서 제어부(150)에 외장 마이크(3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을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한다.
한편 또 다른 예로서, 유선의 외장 마이크(300)를 통해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는, 필터부(115)와 ADC(117)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부(115)는,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변환된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에서 특정 대역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고, ADC(117)는 필터부(115)로 통해 통과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본 필터부(115)와 ADC(117)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필터부(115) 이전 혹은 필터부(115)와 ADC(117) 사이에는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폭부는 입력된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게인(gain)만큼 증폭된 신호로 출력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전면 판넬에 부착된 키패드나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포함한다.
출력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는 미디 파일로부터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내장 마이크(113)나 외장 마이크(300)로부터 발생한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 혹은 디지털 포맷의 신호로 노래 반주 장치(100)에 연결된 앰프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신호는 LCD나 LED TV 등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포맷의 신호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재생할 수 있는 복수의 미디 파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재생할 수 있는 복수의 미디 파일 뿐 아니라, TV 등에 출력되는 배경 영상(예를 들어 MPEG2)이나 각 미디 파일에 대응하여 배경 영상 위에 오브레이(overlay)되는 가사 파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이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매체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사용할 각종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매체는, 입력부(130)나 마이크를 통해서 선곡된 곡 번호에 대응하는 미디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곡 재생 프로그램과,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로부터 제어 명령을 식별하고 이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곡 재생 프로그램과 제어 프로그램은 별도의 프로그램일 필요는 없고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하나의 프로그램 혹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구분되거나 혹은 쓰레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내장 마이크(113)나 외장 마이크(300)를 통해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발생한 신호음에 대응한 하나 이상의 입력 키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로부터 제어 명령을 식별하여 이 제어 명령에 따라서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하고 이 제어 명령에 포함된 곡 번호에 대응하는 미디 파일을 저장부(140)에서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입력 키를 결정하기 위해서, 제어부(150)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룰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로부터 복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이 복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입력 키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준의 DTMF 신호음을 사용하는 경우에 결정된 두 개의 주파수가 697 Hz 와 1477 Hz 인 경우에는 '3'으로 입력 키를 결정하고, 941 Hz와 1209 Hz 인 경우에는 '*'로 입력 키를 결정하고, 941 Hz와 1477 Hz 인 경우에는 '#'으로 입력 키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로부터 주파수의 결정은 제어부(150)가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을 식별하기 위해서 제어부(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매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 입력 패턴을 휴대형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어 결정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키 입력 패턴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명령을 식별한다.
그리고 키 입력 패턴은 곡 번호의 식별에 사용되는 입력 키와는 상이한 입력 키를 사용하여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 등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미디 파일을 일련의 오디오 신호로 재생하여 출력하거나 배경 영상을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휘발성 메모리나 비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하여 이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해서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60)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각 블록들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이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혹은 다른 블록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버스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 버스(DRAM 버스), 외부 I/O나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버스를 포함하고 또한 I2C, SPI, UART 등과 같은 시리얼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100)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의 제어 흐름은 노래 반주 장치(100)가 부팅을 통해 구동을 시작함으로써 시작(S100)하고, 노래 반주 장치(100)의 동작을 종료하거나 대기함으로써 종료(S700)한다.
그리고 도 3의 제어 흐름은 바람직하게 제어부(150)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먼저 단계 S200에서, 제어부(150)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제어 명령을 인코딩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음은 통신부(111)나 ADC(117)를 통해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의 일련의 스트림으로 구성될 수 있고 스트림 내의 각 데이터는 통신부(111)나 ADC(117) 등에서 지정된 크기의 데이터 비트의 크기를 가진 데이터이다.
단계 S300에서, 제어부(150)는, 이렇게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하나의 입력 키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서 단계 S300에서 시간 도메인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을 나타내는 디지털 스트림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이로부터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발생한 입력 키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00에 대한 자세한 흐름은 도 4를 통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S40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 S300에서 결정된 하나의 입력 키를 휘발성 메모리 등에 미리 할당된 버퍼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미리 할당된 버퍼는 제어 명령을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키 입력 패턴의 최대 데이터 개수보다 같거나 더 큰 버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키 입력 패턴이 최대 7개의 입력 키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 버퍼는 7개의 입력 키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결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버퍼는, 예를 들어 큐(Queue) 타입이나 FIFO(First In First Out) 타입의 버퍼로서 가장 먼저 저장된 입력 키가 가장 먼저 삭제되도록 구성된 버퍼이다.
그리고 단계 S500에서, 제어부(150)는, 버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로부터 제어 명령을 결정한다.
이러한 제어 명령의 결정은 제어부(150)가 알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키 입력 패턴과의 비교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500에 대한 상세한 제어 흐름은 도 5를 통해서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S600에서, 제어부(150)는 결정된 제어 명령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하고 단계 S200으로 전이한다.
이러한 제어 명령에는,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 포함된 곡 번호를 예약하기 위한 예약 명령, 해당 곡 번호를 우선하여 예약하기 위한 우선 예약 명령, 해당 곡 번호를 예약 취소하기 위한 예약 취소 명령, 현재 연주중인 곡에 대한 연주 중지를 지시하는 중지 명령, 노래 반주 장치(100)에 예약 중인 곡을 시작하도록 하는 시작 명령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3의 제어 흐름은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단계 S200과 나머지 단계는 병렬로 수행되거나 각 단계들이 프로그램상에서 특정 이벤트를 발생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입력 키를 결정하기 위한 단계(S30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의 제어 흐름은, 도 3의 단계 S300에 진입함으로써 시작(S310)하고 도 4의 흐름도의 각 단계를 수행 완료함으로써 종료(S370)된다.
먼저 단계 S320에서, 제어부(150)는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하나의 입력 키를 결정하기 위한 프레임을 결정한다.
프레임을 결정하기 위해서 먼저, 휴대형 단말기(200)로부터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음의 특성을 살펴보면, 일련의 입력 키들이 순차적으로 마이크 등을 통해서 수신되고 이 입력 키들 사이에는 일정한 공백 기간(즉 신호음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 혹은 무음 기간)을 가진다.
이러한 공백 기간 사이의 오디오 신호음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의 일련의 스트림을(혹은 그 중의 일부의 스트림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백 기간에 대응하는 스트림의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서, 스트림에 포함된 각 데이터의 크기 값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스트림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는 16비트 단위의 크기로 디지털화되어 수신된 값이므로, 잡음(noise)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임계값 이하의 데이터를 공백 기간에 포함된 데이터로 간주함으로써 공백 기간을 식별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도 공백 기간을 식별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 이하의 데이터가 연속하여 수차례 이상 발생한 경우에 공백 기간의 시작으로 간주하고, 임계값 이상의 데이터가 연속하여 수차례 이상 발생한 경우에 공백 기간의 종료로 될 수 있고, 이 공백 기간의 시작과 종료 사이에도 한차례 혹은 두차례의 임계값 이하의 데이터의 발생은 무시함으로써 공백 기간을 식별할 수 있다.
혹은 일련의 데이터의 스트림을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평균화 과정을 이용하여서 이 공백 기간을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공백 기간을 식별하기 위해서,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100) 자체에서 발생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의 스트림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먼저 진행하고 이후에 임계값을 이용하여 공백 기간을 식별하여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발생한 신호음이 아닌 다른 오디오 신호를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비록 S340 단계에서 FFT 연산을 수행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먼저 이 단계(S320)에서 FFT 연산을 통해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수행하거나 혹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인터벌을 가진 공백 기간을 식별함으로써 특정 하나의 입력 키를 나타내는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30에서, 제어부(150)는, 이 프레임을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이 서브-프레임은 프레임의 크기와 물론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고 혹은 프레임의 크기보다 작은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이유는, 이후 단계에서 이 프레임에 포함된 입력 키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파수는 이 프레임 기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주파수이고 따라서 프레임 중 일부에 대해서만 FFT를 수행함으로써 연산 부담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단계 S340에서, 모든 서브-프레임 중 선택된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FFT 연산을 수행하여 선택된 각 서브-프레임을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선택된 서브-프레임은 분할된 모든 서브-프레임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중 첫번째(시작) 서브-프레임, 중간 서브-프레임, 마지막(종료)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보다더 연산 부담을 더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S350에서, 선택된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FFT 연산으로부터 한 개 이상의 주파수를 결정한다.
단계 S350에서는, FFT 연산에 의한 주파수 성분들 중에서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발생한 합성된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음을 결정할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약속된 주파수에 대하여 임계 크기 이상의 크기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주파수 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DTMF 신호음에 대해서 사용하는 8개의 주파수 성분에 각각에 대해서 각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크기 이상인 지를 확인하여 8개의 주파수 성분 중 두 개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결정하고, 모든 선택된 서브-프레임 상에서 공통되거나 다수를 차지하거나 가장 큰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주파수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FFT 연산의 결과인 주파수 성분과 DTMF 신호음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성분 사이에서의 일부 오차를 고려할 수 있고 따라서 주파수의 값 사이에서 일부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예를 들어 +-10Hz) 이를 동일한 주파수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산을 통해서 비록 프레임의 일부에서 잡음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정확히 두 개의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S360에서, 제어부(150)는 이렇게 결정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지정된 복수의 입력 키 중에서 하나의 입력 키를 결정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200)가 DTMF 신호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정된 두 개의 주파수로부터 복수의 입력 키 중 하나의 입력 키가 결정되고, 만일 맵핑된 입력 키가 없는 경우에는 이 프레임에는 입력 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고 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제어 흐름을 통해서 휴대형 단말기(200)로부터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입력 키에 대응한 오디오 신호음을 잡음과 연산 효율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형 단말기(200)가 내장 또는 외장 마이크에 가까이 인접하여 사용될 것이므로, 다른 잡음에 비해서 용이하게 휴대형 단말기의 신호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입력 키로부터 제어 명령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S50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의 제어 흐름은, 도 3의 단계 S500에 진입함으로써 시작(S510)하고 도 5의 흐름도의 각 단계를 수행 완료함으로써 종료(S570)된다.
먼저 단계 S520에서, 제어부(150)는 도 4의 단계 S400에서 버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를 지정된 하나 이상의 키 입력 패턴과 비교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키 입력 패턴은 휴대형 단말기(200)의 응용 프로그램(검색 프로그램)과 미리 약속된 일련의 입력 키의 입력 순서이거나 혹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입력 키의 입력 순서이다.
이러한 키 입력 패턴은 제어부(150)가 수행할 수 있는 특정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제어 명령 각각은 다수의 키 입력 패턴 각각에 맵핑되고, 이 키 입력 패턴에는 예를 들어 곡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0' ~ '9'까지의 입력 키를 이용하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키 입력 패턴 각각이 다른 키 입력 패턴과 구별되기 위해서, 곡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 키가 아닌 다른 입력 키의 조합으로 각각의 키 입력 패턴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200)의 입력 키는 '*'와 '#' 입력 키를 포함하여 신호음을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A' ~ 'D'까지의 문자를 DTMF 신호음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숫자와는 상이한 특수 키('*', '#')나 문자 키의 다양한 조합으로 키 입력 패턴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버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가 "*#75000*"인 경우에는 75000 곡 번호를 예약하라는 예약 명령으로, "**75000*"은 예약되어 있는 75000 곡 번호를 취소하라는 예약 취소 명령으로, "#*75000*"은 곡 번호 75000를 우선 예약하라는 우선 예약 명령으로 "##*"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현재 연주중인 곡을 중지하라는 중지 명령으로 맵핑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수 키의 다양한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혹은 다수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내장 마이크(113)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숫자 키 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자리의 숫자 패턴을 수신하는 것으로 해당 5자리의 숫자에 해당하는 곡 번호를 예약하라는 명령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의 키 입력 패턴들과 각각의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대한 패턴-명령 맵핑 테이블은 미리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30에서, 단계 S520의 비교 결과 일치하는 키 입력 패턴이 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일치하는 키 입력 패턴이 있는 경우에는, 일치하는 키 입력 패턴을 저장부(140)에서 식별하고(S540), 복수의 키 입력 패턴에 맵핑되어 할당된 지정된 복수의 제어 명령 중에서 이 식별된 키 입력 패턴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어 명령을 저장부(140)에 저장된 패턴-명령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S550)한다.
그리고 이렇게 특정 키 입력 패턴과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키는 버퍼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만일 키 입력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560에서, 제어부(150)는 버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들 중에서 일부의 입력 키를 버퍼에서 삭제한다.
이 버퍼에서의 입력 키의 삭제는 패턴-명령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어떤 입력 키가 삭제되어야하는 지 결정될 수 있다.
즉 버퍼에 저장된 첫번째 입력 키(즉 가장 먼저 저장된)와 패턴-명령 맵핑 테이블의 첫번째 입력 키가 비교되고, 만일 상이한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된 이 입력 키는 삭제되고 버퍼에 저장된 다음 입력 키에 대해서 다시 비교하고 버퍼가 비워질 때까지 이러한 동일한 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단계 S560에서, 제어부(150)는 패턴-명령 맵핑 테이블에 저장된 키 입력 패턴과는 상이한 키 입력 패턴(특수 키나 문자 키의 조합이 일치하지 않거나 일치하나 예정된 개수의 숫자 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등)이 버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입력 키에 대해서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약속된 키 입력 패턴을 제대로 수신받지 못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키 입력 패턴에 대응하는 모든 하나 이상의 입력 키는 버퍼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노래 반주 장치(100)가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형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 휴대형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노래 반주 장치 110 : 오디오 신호 수신부
111 : 통신부 113 : 내장 마이크
115 : 필터부 117 : ADC
120 : 출력부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160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200 : 휴대형 단말기
300 : 외장 마이크

Claims (8)

  1.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로서,
    복수의 입력 키를 인코딩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의 상기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식별될 수 있는 미디 파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디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수신된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복수의 입력 키를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입력 키를 지정된 복수의 입력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 키에 대응하는 입력 패턴을 상기 지정된 복수의 입력 패턴으로부터 식별하고, 식별된 대응하는 입력 패턴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의 입력 키로부터 식별되는 곡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미디 파일과 관련해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음은, 노래 반주 장치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를 각각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키에 대응하는 신호음으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음은, 무선 마이크 또는 유선 마이크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를 각각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입력 키에 대응하는 신호음으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입력 패턴의 식별은, 곡 번호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입력 키와는 상이한 하나 이상의 입력 키를 이용하여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두 개 이상의 주파수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두 개 이상의 주파수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입력 키에 포함되는 각각의 입력 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장치.
  6.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의 입력 키를 인코딩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복수의 입력 키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복수의 입력 키로부터 제어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복수의 입력 키로부터 제어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복수의 입력 키를 지정된 복수의 키 입력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따라 대응하는 키 입력 패턴을 복수의 키 입력 패턴에서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키 입력 패턴에 따른 제어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복수의 입력 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음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지정된 복수의 입력 키 중 하나의 입력 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 장치의 제어 방법.
  8. 삭제
KR1020110145011A 2011-12-28 2011-12-28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 KR10126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11A KR101260023B1 (ko) 2011-12-28 2011-12-28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11A KR101260023B1 (ko) 2011-12-28 2011-12-28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023B1 true KR101260023B1 (ko) 2013-05-06

Family

ID=4866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011A KR101260023B1 (ko) 2011-12-28 2011-12-28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0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139A (ja) * 2003-07-04 2005-01-27 Xing Inc 音楽再生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5139A (ja) * 2003-07-04 2005-01-27 Xing Inc 音楽再生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467B1 (ko) 오디오 재생 장치의 이퀄라이저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516854A (zh) 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8100743A1 (ja) 制御装置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10208330A1 (en) Sound recording device
JP4423235B2 (ja) 利用者別楽曲別好適キー設定システム
JP2010078926A (ja) デュエット相手抽出システム
CN102883063A (zh) 移动终端和铃声设置方法
KR101260023B1 (ko) 오디오 신호음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장치 제어 방법
JP4796512B2 (ja) 選曲者歌唱確認システム
JP4485966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445264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4452642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101429138B1 (ko)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장치에서의 음성 인식 방법
JP5349171B2 (ja) 演奏条件設定機能付きカラオケシステム
KR20150064870A (ko) 노래 가사 자동 디스플레이 방법, 노래 가사를 인식하는 서버 및 이 서버를 포함하는 노래 가사 자동 디스플레이 시스템
JP5025002B2 (ja) 歌唱採点結果振分出力システム
JP6349223B2 (ja) 歌唱時間の長短に関わらず同等の採点を行うカラオケ採点装置
JP5242856B1 (ja) 音楽再生プログラム及び音楽再生システム
JP5949823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4949962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80014188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음악파일 검색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JP6337723B2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の制御方法
JP6543155B2 (ja) 操作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91827B2 (ja) カラオケ演奏出力システム
JP2006011190A (ja) 音楽再生装置の音場設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