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002B1 -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002B1
KR101260002B1 KR1020120101172A KR20120101172A KR101260002B1 KR 101260002 B1 KR101260002 B1 KR 101260002B1 KR 1020120101172 A KR1020120101172 A KR 1020120101172A KR 20120101172 A KR20120101172 A KR 20120101172A KR 101260002 B1 KR101260002 B1 KR 10126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signal
electromagnetic field
switchboar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Priority to KR1020120101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는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기장 센서, 상기 전자기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WIRELESS SAFETY DEVICE FOR DISTRIBUTING BOARD, METHOD THEREOF,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배전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을 설치한 배전반이 마련된다. 상기 배전반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자부품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전자기장(예컨대, 전기장 및 자기장)이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자부품을 수리 또는 교환하는 동안에 상기 전자기장에 노출되므로, 상기 전자기장에 의하여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는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기장 센서, 상기 전자기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 센서는 상기 감지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 센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기장 센서가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상기 전자기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 센서가 상기 감지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은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및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상태를 알리는 알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는 상기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기장 센서, 상기 전자기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감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제2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감지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는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므로 상기 배전반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이 구현된 배전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안전 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전반 안전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안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이 구현된 배전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40)은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100), 및 알림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40)은 배전반(10)에 설치될 수 있다.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전자 부품에 전원이 공급되는 때, 배전반(10) 내부에는 전자기장(EMF)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10)은 배전반(10) 내부에 발생하는 전자기장(EMF)을 감지하고, 배전반(10) 내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100)는 전자기장 센서(110),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 및 제1무선 통신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100)는 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EMF)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SS)를 무선 신호(WS)로 변환하여 알림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100)는 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EMF)을 감지하기 위해서 배전반(10) 내부에 고정장치(미도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전자기장 센서(110)는 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EMF)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SS)를 제1무선 통신 장치(150)로 출력할 수 있다.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전자 부품에 전원이 공급될, 예컨대 전류가 흐를 때, 상기 전자 부품의 주변에 전자기장(EMF)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전자기장(EMF)은 전자기장 센서(110)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전자기장 센서(110)는 유도된 전류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SS)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장 센서(110)는 LED(light emmi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장 센서(110)는 감지 신호(SS)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LED를 통하여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기장 센서(110)는 감지 신호(SS)가 상기 기준 신호보다 크거나 같을 때 발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장 센서(110)는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필름 형태의 전자기장 센서(110)는 보통 청색을 유지하다가 전자기장(EMF)을 감지할 때 적색으로 바뀔 수 있다.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100)는 온도 센서(미도시), 및 정전용량 검출센서(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전자 부품에 전원이 공급될 때 발생하는 고온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1무선 통신 장치(15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검출센서는 배전반(10) 내부의 전원 공급선로에 전원을 공급할 때 상기 전원 공급선로의 정전용량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1무선 통신 장치(150)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는 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EMF)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EMF)에 기초하여 전력(WOP)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는 생성된 전력(WOP)을 제1무선 통신 장치(150)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는 전자기유도 방식, 마이크로파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전력(WOP)을 제1무선 통신 장치(15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제1무선 통신 장치(15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로부터 전송된 전력(WOP)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1무선 통신 장치(150)는 전자기장 센서(110)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SS)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SS)를 무선 신호(WS)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무선 통신 장치(150)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 및 상기 정전용량 검출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수신된 감지 신호를 각각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무선 통신 장치(150)는 전원 공급 장치, 예컨대 충전기를 포함하고,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로부터 전송된 전력(WOP)을 상기 충전기를 통하여 충전할 수 있다.
제1무선 통신 장치(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알림 장치(200)는 제2무선 통신 장치(210), 컨트롤러(230), 및 디스플레이(250)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장치(200)는 배전반(10)의 양쪽 문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알림 장치(200)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WS)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WS)에 기초하여 배전반(10)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알림 장치(200)는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도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제2무선 통신 장치(210)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WS)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WS)를 감지 신호(SS)로 변환하여 컨트롤러(2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2무선 통신 장치(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알림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알림 장치(2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연산을 수행하고,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신호, 예컨대 각 센서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무선 통신 장치(210)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SS)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CTRL)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25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컨트롤러(23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배전반(10) 내부의 상태를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배전반(10) 내부의 상태, 예컨대 통전 여부, 및 고온 여부 등을 문자, 숫자, 또는 무늬의 조합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50)는 터치스크린,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 (liquid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 (active matrix OLED) 디스플레이 또는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 신호(SS)가 상기 기준 신호보다 크거나 같을 때 디스플레이(250)는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통전" 또는 "위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지 신호(SS)가 상기 기준 신호보다 작을 때 디스플레이(250)는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단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알림 장치(200)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알림 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배전반(10)에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1차 전지 또는 충전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장치(200)는 경고음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 장치는 컨트롤러(23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경고음을 내어 배전반(10)의 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전반 안전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배전반 안전 장치(100-1)는 전자기장 센서(110-1),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1), 및 제1무선 통신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는 생성된 전력(WOP)을 제1무선 통신 장치(150), 및 전자기장 센서(110-1)로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장 센서(110-1)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로부터 전송된 전력(WOP)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된 전자기장 센서(110-1)는 배전반(10) 내부에 발생하는 전자기장(EMF)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SS)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장 센서(110-1)는 전원공급장치, 예컨대 충전기를 포함하고,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1)로부터 전송된 전력(WOP)를 상기 충전기를 통하여 충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배전반 안전 장치(100-1)에 포함된 각 장치(110-1, 130-1, 및 150)의 동작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안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자기장 센서(110)는 배전반(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EMF)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SS)를 출력할 수 있다(S100).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는 전자기장(EMF)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EMF)에 기초하여 전력(WOP)을 생성할 수 있다(S130).
제1무선 통신 장치(15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30)로부터 전송된 전력(WOP)에 의해 구동되며 감지 신호(SS)를 무선 신호(WS)로 변환할 수 있다(S150).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장 센서(110)는 감지 신호(SS)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전반
40: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
100: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110: 전자기장 센서
130: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50: 제1무선 통신 장치
200: 알림 장치
210: 제2무선 통신 장치
230: 컨트롤러
250: 디스플레이

Claims (7)

  1.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기장 센서;
    상기 전자기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장 센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센서는,
    상기 감지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3. 삭제
  4.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전자기장 센서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센서가 상기 감지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의 동작 방법.
  6.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및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상태를 알리는 알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는,
    상기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기장 센서;
    상기 전자기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장에 기초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장 센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감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제2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감지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무선 안전 시스템.
KR1020120101172A 2012-09-12 2012-09-12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26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72A KR101260002B1 (ko) 2012-09-12 2012-09-12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72A KR101260002B1 (ko) 2012-09-12 2012-09-12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002B1 true KR101260002B1 (ko) 2013-05-06

Family

ID=4866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172A KR101260002B1 (ko) 2012-09-12 2012-09-12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90A (ko) * 2018-06-19 2019-12-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455B1 (ko) 2011-08-29 2011-11-25 전영국 스마트 수배전반의 상태표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455B1 (ko) 2011-08-29 2011-11-25 전영국 스마트 수배전반의 상태표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990A (ko) * 2018-06-19 2019-12-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2070898B1 (ko) 2018-06-19 2020-01-2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22450A (ja) 無線電力送信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9454148B2 (en) Machine control device
CA2799478C (en) A system, a tool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faulted circuit indicator using a display
KR101008707B1 (ko) 알에프아이디와 지그비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태양전지판 도난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244A (ko) 공진 방식 무선 전력 수신 장치용 과전압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5905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50069372A (ko) 전자태그, 전자 태그 무선 충전 시스템, 전자 라벨 시스템 및 그 전원 관리 방법
FR2966989B3 (fr) Systeme d'alimentation electrique sans coupure
KR102308420B1 (ko) 수배전반용 온도센서를 포함한 모니터링시스템(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JP2015040799A (ja) 電源回路装置、電流計測装置、電力監視システム、並びに電源回路装置の保護方法
EP2397924B1 (en) Bidirectional wireless electrical energy monitoring system
KR101260002B1 (ko) 배전반 무선 안전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308421B1 (ko) 모니터링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RU133370U1 (ru) Система индуктивной зарядки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порта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170110460A (ko) 누전표시장치
KR20130047948A (ko) 배전반의 도어 손잡이 접촉시 내부 통전 상태 알림장치
KR101708762B1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20100104673A (ko) 안전 경보장치 및 측정수단이 구비된 배전반
KR20120019558A (ko) 비접촉식 전기장 감지센서를 이용한 안전경보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JP2015070758A (ja) 表示機能付き分電盤
JP5174761B2 (ja) 配線端末設定システム
KR101084790B1 (ko)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원하는 반도체 분전반
WO2017086628A1 (ko) 단일 안테나 기반 무선충전 및 근거리 통신 제어장치 및 그 사용자 단말
KR20170100130A (ko) 옥외주차 유도 시스템
KR101864772B1 (ko) 전위차를 이용한 배전반 이상 검출용 ir 데이터 송신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