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558A - 비접촉식 전기장 감지센서를 이용한 안전경보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전기장 감지센서를 이용한 안전경보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558A
KR20120019558A KR1020100082816A KR20100082816A KR20120019558A KR 20120019558 A KR20120019558 A KR 20120019558A KR 1020100082816 A KR1020100082816 A KR 1020100082816A KR 20100082816 A KR20100082816 A KR 20100082816A KR 20120019558 A KR20120019558 A KR 20120019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detecting
sensor
do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서
전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Priority to KR102010008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558A/ko
Publication of KR2012001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는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의 전원 공급 유무를 검출하여 점등되는 LED 램프(101) 및 레이저 발생부(102)가 구비된 자기장 검출센서(100)와, 상기 자기장 검출센서(10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빛을 변환하는 변환장치(110)와,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20)과, 배전반 내부의 과열 및 발열을 감지하는 열/냄새 감지센서(130)와, 배전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40)와, 배전반 내부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생체인식센서(150)와, 배전반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센서(160)와, 배전반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170)와, 정전시 전원 공급부(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80)와, 상기 배전반 도어를 잠금/해제하는 도어 잠금부(190)와, 상기 각 센서의 센싱값을 전송받아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00)와, 상기 중앙제어부(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30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safety alarm system of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에 설치된 전원 공급선로의 통전상태를 감지하여 배전반의 외부에서 배전반의 통전상태 유무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확인함은 물론, 전력계통의 모든 전력 값을 계측 및 전송 할 수 있도록 한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을 설치한 배전반이 마련되며, 특히 대규모 공장이나 통신업체 등에는 PLC판넬, 고-저압 판넬, 리페어(Repair) 판넬, 특고 수전반, 통신시스템 판넬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이하 "전장품"이라 한다)이 배전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압모터용 배전반과 같이 부하가 크게 걸리는 배전반의 경우는 배전반에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배전반 내에서 과다한 열이 발생하게 되면 전선에 큰 부하가 걸려 있음을 의미하거나 용량 과다 등과 같은 불안정 요소이므로 즉시 확인하여 시정하여야 하고, 기타 배전반 내의 이상발생시 이를 바로 잡아야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 안전 경보장치이다.
종래의 배전반용 안전경보장치는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과부하가 가해지면 소정의 경보(경보음 또는 램프의 점등)를 제공하여 작업자에게 배전반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배전반용 안전장치는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고전 압 인가로 단락/단선이 발생될 경우에만 경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배전반의 내부에 전자기장(전기장 및 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의 수리 및 교환을 위하여 배전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배전반 내부의 전자기장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전자기장에 의하여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733612호와 같은 안전 경보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그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는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는 전자기장 감지센서와, 상기 전자기장 감지센서를 배전반 내부에 설치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배전반의 도어 표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내장되고 전자기장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전반 내부의 상황을 문자 또는 무늬의 조합으로 고지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엘이디(LED) 표시패널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 측면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여 배전반 외부에 설치된 엘이디 표시패널을 통하여 고지하게 되고, 또 부저 및 경광등을 통하여 배전반을 출입하는 작업자에게 배전반의 통전상태 유무를 알려줌으로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있지만,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 인가된 전력계통의 전력 값을 계측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별도의 계측장비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전반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통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통전상태에 의해 배전반 도어에 설치된 표시수단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배전반 내부의 통전 유무상태를 알려줌은 물론, 배전반 내부의 이상 발생으로 그 배전반 내부를 점검 또는 수리하고자 할 때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원 검출을 이용한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를 제공하고,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 인가되는 전력계통의 모든 전력 값을 계측 및 전송하여 배전반 내부의 전력 변화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의 전원 공급 유무를 검출하여 점등되는 LED 램프 및 레이저 발생부가 구비된 자기장 검출센서와, 상기 자기장 검출센서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빛을 변환하는 변환장치와,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배전반 내부의 과열 및 발열을 감지하는 열/냄새 감지센서와, 배전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배전반 내부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생체인식센서와, 배전반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배전반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정전시 전원 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전반 도어를 잠금/해제하는 도어 잠금부와, 상기 각 센서의 센싱 값을 전송받아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통전상태를 검출하는 정전용량 검출센서와,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배전반 내부의 과열 및 발열을 감지하는 열/냄새 감지센서와, 배전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배전반 내부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생체인식센서와, 배전반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배전반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정전시 전원 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전반 도어를 잠금/해제하는 도어 잠금부와, 상기 각 센서의 센싱 값을 전송받아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에 대전된 전하를 감지하여 통전상태를 검출하는 검전센서와,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배전반 내부의 과열 및 발열을 감지하는 열/냄새 감지센서와, 배전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배전반 내부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생체인식센서와, 배전반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배전반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정전시 전원 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전반 도어를 잠금/해제하는 도어 잠금부와, 상기 각 센서의 센싱 값을 전송받아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는 배전반에 전원이 공급되는 공급선로의 통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센싱 값에 의해 배전반 내부의 통전 유무상태를 알려줌은 물론, 배전반 내부의 이상 발생으로 그 배전반 내부를 점검 또는 수리하고자 할 때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원 검출을 이용한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를 제공하고,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검출센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검출센서가 설치된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검출센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검출센서가 설치된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전센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전센서가 설치된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검출센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검출센서가 설치된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10)에 전원 공급시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여 공급선로(10)의 전원 공급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장 검출센서(10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자기장 검출센서(100)에는 자기장 검출시 점등되는 LED 램프(101)와 레이저가 발생되는 레이저 발생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배전반에 설치된 공급선로(10)에 전원이 통전되면 그 공급선로(10)의 주변에는 자기장이 발생되고, 이때 자기장 검출센서(100)에 자기장이 센싱되면 LED 램프(101)가 점등됨과 동시에 레이저 발생부(102)에서 레이저가 발생된다.
상기 레이저 발생부(102)에서 발생된 레이저는 변환장치(110)로 전송되어 데이터 값으로 변환되는 것이며, 그 변환된 값은 표시패널(120)에 표시되어 배전반에 공급되는 상간전압(R,S,T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지하게 된다.
한편 배전반에 전원 공급시 그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는 고온이 발생되고 그로 인하여 배전반 내부가 과열된다.
상기와 같이 배전반이 과열되어 화재 발생시 열/냄새 감지센서(130)가 감지하여 그 센싱 값을 중앙제어부(200)로 전송하는 것이며, 이때 중앙제어부(200)는 각종 전장품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통신선로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배전반 내부의 이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표시패널(120)은 평상시에 절전모드(소등상태 또는 미등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배전반의 외부에 물체(작업자)가 접근하면 근접센서(140)에 감지되고 이때 표시패널(120)은 정상모드(점등상태)로 절환 되면서 작업자에게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고지하는 것이다.
한편, 작업자가 배전반 내부에 들어오면 생체인식센서(150)가 감지하여 중앙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도어센서(160)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여 중앙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한다.
배전반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원 공급부(170)를 통하여 배전반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차단시(정전시)에는 전원 공급부(170)에 연결된 배터리(180)의 전원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배전반의 내부에 비 정상적인 사람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잠금부(19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잠금부(190)의 동작은 별도의 수단 송전중에는 각종차단기(AISS,LBS,VCB,ACB,MCCB)등과 인터록으로 DOOR의 열림 닫힘을 통제한다
한편, 상기 중앙제어부(200)에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선로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선로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유선 및 무선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무선방식으로 송수신할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또는 위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신부는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휴대폰, PDA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또는 이동 중에도 배전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배전반의 이상 발생시 원격으로 배전반의 비상상황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검출센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검출센서가 설치된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10)에 전원 공급시 공급선로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통전상태를 검출하는 정전용량 검출센서(40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배전반에 설치된 공급선로(10)에 전원이 통전되면 그 공급선로(10)의 통전상태는 정전용량 검출센서(400)에 감지되고, 그 감지값은 표시패널(120)에 표시되어 배전반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지하게 된다.
한편 배전반에 전원 공급시 그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는 고온이 발생되고 그로 인하여 배전반 내부가 과열된다.
상기와 같이 배전반이 과열되어 화재 발생시 열/냄새 감지센서(130)가 감지하여 그 센싱값을 중앙제어부(200)로 전송하는 것이며, 이때 중앙제어부(200)는 각종 전장품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통신선로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배전반 내부의 이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표시패널(120)은 평상시에 절전모드(소등상태 또는 미등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배전반의 외부에 물체(작업자)가 접근하면 근접센서(140)에 감지되고 이때 표시패널(120)은 정상모드(점등상태)로 절환 되면서 작업자에게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고지하는 것이다.
한편, 작업자가 배전반 내부에 들어오면 생체인식센서(150)가 감지하여 중앙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도어센서(160)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여 중앙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한다.
배전반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원 공급부(170)를 통하여 배전반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차단시(정전시)에는 전원 공급부(170)에 연결된 배터리(180)의 전원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배전반의 내부에 비 정상적인 사람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잠금부(19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잠금부(190)의 동작은 별도의 수단 송전중에는 각종차단기(AISS,LBS,VCB,ACB,MCCB)등과 인터록으로 DOOR의 열림 닫힘을 통제한다.
한편, 상기 중앙제어부(200)에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선로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선로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유선 및 무선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무선방식으로 송수신할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또는 위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신부는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휴대폰, PDA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또는 이동 중에도 배전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배전반의 이상 발생시 원격으로 배전반의 비상상황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전센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전센서가 설치된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10)에 전원 공급시 공급선로에 대전된 전하를 감지하여 통전상태를 검출하는 검전센서(500)가 마련된다.
상기 검전센서(500)는 공급선로에 대전여부나 대전된 전하의 양/음 등을 검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배전반에 설치된 공급선로(10)에 전원이 통전되면 그 공급선로(10)의 대전 상태를 검출하고, 검전센서(500)에 검출된 검출값은 표시패널(120)에 표시되어 배전반에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지하게 된다.
한편 배전반에 전원 공급시 그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는 고온이 발생되고 그로 인하여 배전반 내부가 과열된다.
상기와 같이 배전반이 과열되어 화재 발생시 열/냄새 감지센서(130)가 감지하여 그 센싱값을 중앙제어부(200)로 전송하는 것이며, 이때 중앙제어부(200)는 각종 전장품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통신선로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배전반 내부의 이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표시패널(120)은 평상시에 절전모드(소등상태 또는 미등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배전반의 외부에 물체(작업자)가 접근하면 근접센서(140)에 감지되고 이때 표시패널(120)은 정상모드(점등상태)로 절환 되면서 작업자에게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고지하는 것이다.
한편, 작업자가 배전반 내부에 들어오면 생체인식센서(150)가 감지하여 중앙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도어센서(160)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여 중앙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한다.
배전반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원 공급부(170)를 통하여 배전반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차단시(정전시)에는 전원 공급부(170)에 연결된 배터리(180)의 전원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배전반의 내부에 비정상적인 사람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잠금부(19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잠금부(190)의 동작은 별도의 수단 송전중에는 각종차단기(AISS,LBS,VCB,ACB,MCCB)등과 인터록으로 DOOR의 열림 닫힘을 통제한다.
한편, 상기 중앙제어부(200)에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선로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선로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유선 및 무선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무선방식으로 송수신할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또는 위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신부는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휴대폰, PDA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또는 이동 중에도 배전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배전반의 이상 발생시 원격으로 배전반의 비상상황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자기장 검출센서 101 : LED 램프
102 : 레이저 발생부 110 : 변환장치
120 : 표시패널 130 : 열/냄새 감지센서
140 : 근접센서 150 : 생체인식센서
160 : 도어센서 170 : 전원 공급부
180 : 배터리 190 : 도어 잠금부
200 : 중앙제어부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검출센서 500 : 검전센서

Claims (3)

  1.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의 전원 공급 유무를 검출하여 점등되는 LED 램프(101) 및 레이저 발생부(102)가 구비된 자기장 검출센서(100)와, 상기 자기장 검출센서(10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빛을 변환하는 변환장치(110)와,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20)과, 배전반 내부의 과열 및 발열을 감지하는 열/냄새 감지센서(130)와, 배전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40)와, 배전반 내부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생체인식센서(150)와, 배전반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센서(160)와, 배전반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170)와, 정전시 전원 공급부(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80)와, 상기 배전반 도어를 잠금/해제하는 도어 잠금부(190)와, 상기 각 센서의 센싱값을 전송받아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00)와, 상기 중앙제어부(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
  2.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통전상태를 검출하는 정전용량 검출센서(400)와,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20)과, 배전반 내부의 과열 및 발열을 감지하는 열/냄새 감지센서(130)와, 배전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40)와, 배전반 내부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생체인식센서(150)와, 배전반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센서(160)와, 배전반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170)와, 정전시 전원 공급부(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80)와, 상기 배전반 도어를 잠금/해제하는 도어 잠금부(190)와, 상기 각 센서의 센싱 값을 전송받아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00)와, 상기 중앙제어부(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
  3. 배전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선로에 대전된 전하를 감지하여 통전상태를 검출하는 검전센서(500)와, 배전반 내부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20)과, 배전반 내부의 과열 및 발열을 감지하는 열/냄새 감지센서(130)와, 배전반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40)와, 배전반 내부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생체인식센서(150)와, 배전반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센서(160)와, 배전반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170)와, 정전시 전원 공급부(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80)와, 상기 배전반 도어를 잠금/해제하는 도어 잠금부(190)와, 상기 각 센서의 센싱값을 전송받아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00)와, 상기 중앙제어부(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장치.



KR1020100082816A 2010-08-26 2010-08-26 비접촉식 전기장 감지센서를 이용한 안전경보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KR20120019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16A KR20120019558A (ko) 2010-08-26 2010-08-26 비접촉식 전기장 감지센서를 이용한 안전경보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16A KR20120019558A (ko) 2010-08-26 2010-08-26 비접촉식 전기장 감지센서를 이용한 안전경보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58A true KR20120019558A (ko) 2012-03-07

Family

ID=4612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16A KR20120019558A (ko) 2010-08-26 2010-08-26 비접촉식 전기장 감지센서를 이용한 안전경보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5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20B1 (ko) * 2012-10-31 2013-02-06 주식회사 한산테크 배전반의 안전경보장치
CN103390863A (zh) * 2013-08-08 2013-11-13 安徽集黎电气技术有限公司 开关柜智能操控装置
KR101404102B1 (ko) * 2012-07-26 2014-06-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복합 센서
KR101653612B1 (ko) * 2015-07-20 2016-09-02 유춘상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102B1 (ko) * 2012-07-26 2014-06-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복합 센서
KR101230420B1 (ko) * 2012-10-31 2013-02-06 주식회사 한산테크 배전반의 안전경보장치
CN103390863A (zh) * 2013-08-08 2013-11-13 安徽集黎电气技术有限公司 开关柜智能操控装置
KR101653612B1 (ko) * 2015-07-20 2016-09-02 유춘상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612B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US75614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curing a motor control center
KR100964544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086455B1 (ko) 스마트 수배전반의 상태표시시스템
KR101280292B1 (ko) 수변전설비의 멀티센서를 이용한 이상감지장치
KR101167979B1 (ko) 자동 강제 정전 작업 유도 기능을 내장한 안전 배전반
KR20120058953A (ko) 수배전반의 안전관리장치
KR101264344B1 (ko) 배전반 내부 이상상태 감시용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
WO2015102312A1 (ko) Hvdc 시스템의 전원 이중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9558A (ko) 비접촉식 전기장 감지센서를 이용한 안전경보장치가 장착된 배전반
KR20160005480A (ko)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CN105960347B (zh) 用于电动车辆中的电池接触器的安全装置
KR101175529B1 (ko) 배전반의 단전 및 결상상태를 검지하는 무선센서
CN104854013A (zh) 用于人员运送设备的监控装置
CN106410971A (zh) 一种中置柜的监测与控制系统
KR101043964B1 (ko) 안전 경보장치 및 측정수단이 구비된 배전반
KR20160143999A (ko) 배전반의 부스 바에서 전력에너지 상태감시 및 안전 시스템
CN110482355A (zh) 一种电梯门锁检测电路及装置
CN103942868A (zh) 一种用于35kv电气开关柜的带电显示门禁装置
KR101376214B1 (ko) 무정전 피크제어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감시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케이블 덕트 취부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US20150048814A1 (en) Absence of Voltage Indicator with Communication Network Based Secondary Power Source
KR101303316B1 (ko)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CN109283884A (zh) 站台门等电位智能导通装置
KR101621821B1 (ko) 지능형 배전반 안전경보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배전반 안전경보 방법
KR20180012069A (ko) 지능형 분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