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744B1 -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744B1
KR101259744B1 KR1020110130596A KR20110130596A KR101259744B1 KR 101259744 B1 KR101259744 B1 KR 101259744B1 KR 1020110130596 A KR1020110130596 A KR 1020110130596A KR 20110130596 A KR20110130596 A KR 20110130596A KR 101259744 B1 KR101259744 B1 KR 101259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action
unit
load
handle fram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진
박준혁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3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7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7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Abstract

PURPOSE: A variable weight generator is provided to reduce the weight of exercise equipment when a user lifts the equipment up, and to apply the whole weight of the equipment when the user lifts the equipment down, thereby improving the exercise effect without an assistant such as a trainer. CONSTITUTION: A variable weight generator(10) comprises a main body(100), a crank unit(200), and a guide unit(400). The main body includes a handle frame(110) and a weight unit(120). The crank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varies the weight point(WP) of the weight unit so that the forces of a user during lifting the handle frame up and down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guide un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weight unit varied by the crank unit.

Description

가변하중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본 발명은 가변하중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을 하는 운동기구의 하중 작용점(WP)을 변화시켜 운동효율을 높이며 특히, 웨이트 트레이너(Weight trainer) 등과 같은 운동 보조자 없이도 혼자서 근력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exercise efficiency by changing the load operating point (WP) of the exercise equipment to the weight training (weight training), in particular, an exercise assistant such as a weight trainer It relates to a variable load generating device which is provided to enable strength exercise alone.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한 정신과 육체 및 균형적인 몸매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운동기구 중 근력운동을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 운동기구는, 하중이 있는 바벨(Barbell)이나, 또는 와이어(Wire)에 연결되어 설정된 중량의 무게추 등을 들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여 단련시키고자 하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 벤치 프레스, 어브도미날컬, 버터플라이, 암컬머신 등의 각종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various exercise apparatuses are being developed to maintain a healthy mind, body and a balanced body. Particularly, weight training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 training among exercise equipments proposes a device that can lift a barbell with a load, or a weight of a set weight connected to a wire. According to the part of the body to be trained, various apparatuses such as bench press, abdominal, butterfly, and female machine are disclosed.

특히, 이러한 기구들이 주로 구비되는 헬스장에서는, 사용자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도와주도록 웨이트 트레이너 즉, 운동보조자가 상기 사용자와 2인 1조로 하여 운동을 보조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상기 운동보조자는, 운동기구를 들어 사용자의 하중부담을 줄여주며, 내릴 때는 운동하고 있는 사람이 모든 하중을 받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운동하는 헬스장에는 상기 트레이너 등 운동보조자의 수가 부족하여 상기 사용자의 옆에서 일일이 보조하기가 사실상 어려워, 상기 사용자는 트레이너 없이 혼자 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n particular, in a gym mainly equipped with such apparatuses, a weight trainer, that is, an exercise assistant, often assists exercise in pairs with the user to help weight training of the user. In particular, the exercise aids, by lifting the exercise equipment to reduce the load of the user, when lowering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by receiving all the load of the person who is exercising. However, in a gym where many people exercise, the number of exercise assistants such as the trainer is insufficient, so tha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assist each other next to the user, and most of the users exercise alone without a trainer.

따라서 하중을 받는 운동기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근육의 피로로 인하여 일정 횟수 이상의 왕복운동이 가능하지 않다. 결국, 운동보조자가 없는 경우에는 운동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refore, not only can not effectively use the exercise equipment under load, due to the fatigue of the muscle is not possible to reciprocat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ercise effect is halved when there is no exercise assista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의 문헌 '국내등록특허 제10-0657716호'에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하중제거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하중제거장치는, 반복적으로 들고 내리는 바벨 등의 하중기구에 리프팅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과, 바벨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싱 유닛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바벨을 지지하여 운동보조자의 도움 없이도 운동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ior art document 'Korean Patent No. 10-0657716' discloses a load removing device for weight training. The weight removing apparatus for weight training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a lifting unit to a load mechanism such as a barbell that is repeatedly lifted and lowered, and a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speed of the barbell to automatically support the barbell by the exercise assistant. You can exercise without help.

그러나 종래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하중제거장치는, 상기 바벨을 자동으로 지지하며, 올라가는 하중뿐만 아니라 내려오는 하중에 대해서도 자동 지지되어 상기 사용자가 힘을 주지 않을 경우에는 운동의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장치 자체가 부피가 커서 가정 등 좁은 공간에서는 사용이 사실상 힘들고, 제조시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대되며, 특히, 운동시에는 별도의 바벨을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eight removal device for weight train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utomatically supports the barbell, and automatically supports not only the up load but also the down load so that the effect of the exercise is lowered when the user does not apply the force. In addition, such a device itself is bulky,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use in a narrow space, such as a hom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barbell must be provided during exercis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운동기구를 들어 올릴 때와, 내릴 때의 하중 작용점(WP)이 가변되어, 운동효과를 극대화 하며, 트레이너 등의 운동 보조자 없이도 혼자서 운동이 가능한 가변하중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fting device and the lifting point when lowering (WP) when the variable is variable,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exercise alone without an exercise assistant, such as a trai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such a variable load generating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무게추가 연결된 하중작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중작용부의 하중 작용점(WP)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핸들프레임을 들어 올릴 때와 내릴 때의 힘이 달라지게 하는 크랭크 유닛; 및 상기 크랭크 유닛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하중작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ody having a handle frame that can be repeatedly lifted or lowered by the user, and a load action portion coupled to the handle frame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weight frame; A crank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vary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art so that the forc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handle frame is different; And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oad action section, which is varied by the crank unit.

또한, 상기 크랭크 유닛은, 상기 하중작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핸들프레임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하중작용부의 하중 작용점(WP)을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밀거나 당기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동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ank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load action part and a force for pushing or pulling the connection part to vary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frame.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connected to.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중작용부에 연결된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동력제공부와 연결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load action part, a second connection member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핸들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핸들프레임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1샤프트와 연동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여 연동 회전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2기어와 연동 회전하고, 상기 제2연결부재가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를 밀거나 당기는 제2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the first shaft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frame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frame, the first shaft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shaft A gear, a second gear that meshes with the first gear and rotates in coordination, and the second gear is fixedly coupled to rotate with the second gea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connec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t may include a second shaft for pushing or pulling.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과 고정 결합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rotatably installed, and a rotation mean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핸들프레임을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수단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fram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ans in response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또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하중작용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중작용부를 내측에 감싸서, 상기 하중작용부와 연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means, the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so that the load action portion is inserted and movable, hing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wraps the load action portion inside, interlocked with the load action portion It may include a moving unit.

또한, 상기 이동부의 내측과 상기 하중작용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ay may be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moving part and the load action part.

또한, 상기 크랭크 유닛은, 상기 핸들프레임을 들어 올릴 때, 상기 하중작용부의 하중 작용점(WP)이 사용자 쪽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핸들프레임을 내릴 때, 상기 하중작용부의 하중 작용점(WP)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가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nk unit, when lifting the handle frame,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ortion is closer to the user, and when the handle frame is lowered,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ortion is far from the user Can be variable to

본 발명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에 의하면, 운동기구를 들 어 올릴 때와, 내릴 때의 하중작용점을 가변 시켜, 운동기구를 들어 올릴 경우 하중부담을 줄여주고, 내릴 때는 운동하고 있는 사람이 모든 하중을 받도록 하여 트레이너 등의 운동보조자 없이도 운동효과를 높이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이러한 효과로 인해 헬스장뿐만 아니라, 가정 등에서 혼자 운동이 가능하여 많은 돈을 납부하여야 하는 헬스장에 가지 않아도 되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운동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공정이 단순하여 실용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action point when lifting and lowering the exercise equipment is varied, thereby reducing the load burden when lifting the exercise equipment, and when the lowering, all the loads are exercised.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xercise effect without the need for exercise aids such as trainers. Moreover, because of this effect, not only the gym, but also can be exercised alone at home, such as not having to go to the gym to pay a lot of money, it is possible to exercise at any tim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addition, the production cost is low and the process is simple, so that the practicality and productivity are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나타낸 가변하중 발생장치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D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load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step by step;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나타낸 가변하중 발생장치(10)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d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load generating device 10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10)는, 본체(100)와, 크랭크 유닛(200)과, 가이드 수단(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the crank unit 200 and the guide means 400.

상기 본체(100)는, 핸들프레임(110)과 하중작용부(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프레임(110)은,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일 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타 측 단부는 후술(後術)할 크랭크 유닛(200)의 동력제공부(220)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핸들프레임(110)은, 사용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반복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자의 근육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andle frame 110 and a load action part 120. Here, the handle frame 110, the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so that the user can grip in the lying down state,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ower supply unit 220 of the crank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後 術) Combined. The handle frame 110 is repeated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user, and serves to generate the muscle of the user.

상기 하중작용부(120)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후술할 가이드 수단(400)의 가이드 홈(411)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하중작용부(120)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무게추(121)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하중작용부(120)는, 상기 무게추(121)의 하중 작용점(WP)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하중작용부(120)는, 일단이 후술할 가이드 수단(400)의 가이드 홈(411)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와이어(122)는, 일단부가 상기 하중작용부(120)의 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22)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무게추(121)를 연결한다. 그러면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연동에 따라 상기 하중작용부(120)는, 상기와이어(122)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와이어(122)에 연결된 무게추(121)의 하중 작용점(WP)은, 상기 하중작용부(120)에 의해 가변된다. 여기서 상기 하중작용부(120)를 동작하는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load action part 120 is fixed to the guide groove 411 of the guide means 40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dle frame 110 to be movable. Here, the load action part 120, the weight 121 is connected to the handle frame 110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the load action part 120, serves to vary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weight (121).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load action part 120 is fixed to the guide groove 411 of the guide means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one end of the wire 122 is fixed to the end of the load action portion 120. The other end of the wire 122 connects the weight 12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n,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of the handle frame 110, the load action unit 120, the wire 122 moves. Then,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weight 121 connected to the wire 122 is varied by the load action part 120. Here,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oad action par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무게추(121)는, 상기 본체(100)의 일 측에서 상기 핸들프레임(110)에 의해 주로 상, 하 반복적으로 승강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무게추(121)의 총 중량은 대략 200kg 내외로 설정되어 대략 10kg 내의 범위에서 등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무게가 설정되어 상, 하 이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121 is installed to be repeatedly lifted up and down mainly by the handle frame 11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particular, the total weight of the weight 121 is set to approximately 200kg and divided into approximately 10kg within the weight is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to play a role of moving up and down.

상기 크랭크 유닛(200)은, 연결부(210)와 동력제공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10)는, 제1연결부재(211)와 제2연결부재(212)를 포함한다. The crank unit 200 includes a connection unit 210 and a power supply unit 220. Here, the connection part 2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211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상기 제1연결부재(2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하중작용부(1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212)에 연결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211)는, 일단이 후술할 가이드 수단(400)의 이동부(420)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212)의 일단과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재(211)는, 상기 제2연결부재(212)의 회전에 따라 상대 회전되어 후술할 이동부(42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has a plate shap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ad action part 12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In other words,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moving part 420 of the guide means 400, one end of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opposite is hing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2).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is relatively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serves to move the moving unit 4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연결부재(21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연결부재(211)의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하는 타단이 후술할 동력제공부(2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연결부재(212)는, 후술할 동력제공부(220)에 고정 결합되어 동력제공부(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211)를 상대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has a plate shape,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power providing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is fixedly coupled to the power supply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serves to relatively rotat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상기 동력제공부(220)는, 제1샤프트(221)와, 제1기어(222)와, 제2기어(223)와, 제2샤프트(2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샤프트(221)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동작에 따라 연동 회전된다. 상기 제1기어(222)는, 상기 제1샤프트(221)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222)는 상기 제1샤프트(221)와 연동 회전된다.The power supply unit 220 includes a first shaft 221, a first gear 222, a second gear 223, and a second shaft 224. Here, the first shaft 221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frame 110, it is interlocked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frame (110). The first gear 222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haft 221. Here, the first gear 222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haft 221.

상기 제2기어(223)는, 상기 제1기어(222)와 치합하여 연동 회전된다. 특히, 상기 제2기어(223)는, 후술할 제2샤프트(224)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2샤프트(224)와 연동 회전된다. 상기 제2샤프트(224)는, 상기 제2기어(223)를 고정 결합하여 연동 회전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212)를 고정 결합한다. 이러한 제2샤프트(224)는, 상기 제2연결부재(212)를 밀거나 당기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gear 223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222 to rotate. In particular, the second gear 223 i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2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shaft 224. The second shaft 224 i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223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and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The second shaft 224 serves to push or pull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상기 가이드 수단(400)은, 가이드부(410)와, 이동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10)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중작용부(12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4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411)은, 상기 하중작용부(1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부(420)는, 플레이트 형상에 양 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며 상부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211)의 일단과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부(420)는, 상기 하중작용부(120)를 내측에 감싸서 상기 하중작용부(120)와 연동한다. The guide means 400 includes a guide part 410 and a moving part 420. Here, the guide part 4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dle frame 110.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411 into which the load action part 120 is inserted is formed. The guide groove 411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he load action part 120 to move. The moving part 420 is bent to face each other in a plate shape and the upper one side is hing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The moving part 420 is wrapped around the load action part 120 to interlock with the load action part 120.

한편 본체(100)는, 상기 핸들프레임(110)과, 하중작용부(120) 이외에 상기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벤치(Bench)가 구비되는 운동기구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앉는다. 즉, 상기 본체(100)는, 앉거나 또는 서서 웨이트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어브도미날컬, 버터플라이, 암컬머신 등이 있다.
Meanwhile, the main body 100 is illustrated as an exercise device having a bench (Bench) so that the user can lie down in addition to the handle frame 110 and the load action unit 120,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sits. That is, the main body 100 may be an exercise device that can sit or stand weight exercise. For example, there is an abdominal, a butterfly, a female machin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1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앞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10)의 일 측에 설치된 상기 무게추(121)의 중량을 상기 사용자의 목표의 중량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벤치에 누운 상태에서 양 손을 이용하여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손잡이를 각각 파지한다. Prior to this, the user sets the weight of the weight 12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s the weight of the target of the user. In addition, the handles of the handle frame 110 are gripped by using both hands while lying on a bench of the main body 100.

먼저, 상기 사용자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을 상부로 천천히 가압하여 운동을 시작한다. 그러면, 도 2b 내지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작동상태가 나타난다. 먼저,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프레임(11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부로 이동 되고, 이때,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된 상기 제1샤프트(221)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에 연동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1샤프트(221)에 고정 결합된 상기 제1기어(222)는, 상기 제1샤프트(221)와 연동 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22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222)와 치합된 상기 제2기어(223)는 상기 제1기어(222)와 연동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2기어(223)를 고정 결합한 상기 제2샤프트(224)는 상기 제2기어(223)와 연동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샤프트(224)의 일 측에 고정 결합된 상기 제2연결부재(212)는, 상기 제2샤프트(224)와 연동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21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결부재(211)는, 상기 제2연결부재(212)에 상대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1연결부재(211)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상기 이동부(420)를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이동부(420)의 내측과 상기 하중작용부(120)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다가, 상기 크랭크 유닛(2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부(420)와 상기 하중작용부(120) 사이에는 유격이 차츰 감소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상기 핸들프레임(110)을 들어 올리는 구간이 된다.First, the user starts to exercise by slowly pressing the handle frame 110 upward. Then, as shown in Figs. 2B to 2D, the following operating states appear. First, referring to FIG. 2B, the handle frame 110 is moved upwar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first shaft 221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frame 110 is the handle. I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rame 110. Then, the first gear 222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221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haft 221. In this case, as the first gear 222 rotates, the second gear 223 meshed with the first gear 222 rotates in coordination with the first gear 222. Then, the second shaft 224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223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gear (223).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haft 224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shaft 224.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rotates relative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2. Then, the moving part 420 hing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1 is moved. Meanwhile, a play is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moving part 420 and the load action part 120, and between the moving part 420 and the load action part 120 by the operation of the crank unit 200. The play is gradually reduced. This opera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user lifts the handle frame 110 even with a small force.

도면을 참조하면, 도 2c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최 상부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이동부(420)는, 상기 하중작용부(120)를 상기 사용자 쪽으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킨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하중작용부(120)의 하중 작용점(WP)이 사용자 쪽으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처음에 작은 힘으로 상기 핸들프레임(110)을 들어 올리다가(도 2b 참조), 올리는 힘이 점점 최대의 힘으로 변하게 되는 구간이다.(도 2c 참조)2C, the handle frame 110 is rotated to the top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moving unit 4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ad action unit 120 is moved closer to the user. Therefore,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art 120 is closer to the user. This opera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user initially lifts the handle frame 110 with a small force (see FIG. 2B), and the lifting force gradually changes to the maximum force (see FIG. 2C).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도 2d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핸들프레임(110)이 하부로 내려오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 유닛(200)은, 도 2b 및 도 2 c에 나타낸 동작과 반대로 동작되어 상기 연결부(210) 및 동력제공부(22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동부(420)는, 상기 하중작용부(120)를 상기 사용자 쪽에서 멀어지도록 이동 시킨다. 따라서 상기 하중작용부(120)의 하중 작용점(WP)은 상기 사용자 쪽에서 차츰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하중을 받는 힘이 최대의 힘이 되며 최고 무산소 운동 효율을 내는 구간이다.(도 2d 참조)Referring to the drawings again, Figure 2d i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frame 110 is lowered by the user. Here, the crank unit 200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rations shown in FIGS. 2B and 2C to rotate the connection unit 210 and the power supply unit 220 in the reverse direction. Then, the moving part 420 moves the load action part 120 away from the user side. Therefore,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ortion 120 is gradually away from the user side. This opera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force that the user is subjected to the load is the maximum force and produces the highest anaerobic exercise efficiency (see FIG. 2D).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가변하중 발생장치(10)에 의하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무게추(121)는 상기 와이어(122)에 의해 상기 핸들프레임(110)과 연결되고, 상기 핸들프레임(110)을 들 어 올릴 때와, 내릴 때의 하중작용점(WP)을 가변 시켜 상기 핸들프레임(110)을 들 경우 하중부담을 줄여주고, 내릴 때는 운동하고 있는 사람이 모든 하중을 받도록 하여 트레이너 등 운동보조자 없이도 운동효과를 높이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이러한 효과로 인해 헬스장뿐만 아니라 가정 등에서 혼자 운동이 가능하여 많은 돈을 납부하여야 하는 헬스장에 가지 않아도 되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운동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riable load generating device 10, the weight 12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handle frame 110 by the wire 122, When lifting the handle frame 110 and lowering the load action point (WP) when lowering, reducing the load burden in the case of lifting the handle frame 110, when the lowering so that the person who is exercising receives all the load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xercise effect without the need for exercise assistants such as trainers. Moreover, due to this effect, you can exercise alone at home as well as at the gym, so you do not have to go to the gym where you have to pay a lot of money, and you can exercise at any tim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20)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과,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 1 and Figs. 2A to 2D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nd thus their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2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20)는, 크랭크 유닛(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랭크 유닛(300)은, 자동으로 동력이 발생되어 하중작용점(WP)을 가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 유닛(300)은 동력제공부(320)를 포함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variable load generating apparatus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nk unit 300. This crank unit 300, the power is automatically generated serves to vary the load action point (WP). In this case, the crank unit 300 includes a power provider 320.

상기 동력제공부(320)는, 회전축(321)과, 회동수단(3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21)은, 상기 제2연결부재(312)의 일단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312)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회동수단(322)은, 상기 회전축(321)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특히, 상기 회동수단(322)은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32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회동수단(322)은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321)을 구동시키는 모터(Motor)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회동수단(322)이 상기 회전축(321)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회동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Solenoid), 엑츄에이터(Actuator)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제공부(320)는, 센서(323)와, 제어부(32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323)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하 반복적으로 이동되는 상기 핸들프레임(1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4)는, 상기 회동수단(322)의 인접한 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323)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수단(322)의 회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320 includes a rotation shaft 321 and the rotation means 322. The rotation shaft 321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12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12. The rotation means 322 connects the rotation shaft 321 to be rotatable. In particular, the rotation means 322 serves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321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a power source.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means 322 may be a motor for driving the rotating shaft 321 by a power source,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rotating means 322 serves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321. If it can be combined with a variety of rotation means. Examples include solenoids and actuators. The power supply unit 320 further includes a sensor 323 and a control unit 324. Here, the sensor 32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dle frame 110. And it serves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handle frame 110 that is repeatedly moved up and down by the us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4 is provided adjacent to the rotation means 322. And in response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323 serves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ans 32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하중 발생장치(20)에 의하면, 상기 크랭크 유닛(300)은, 센서(323)와, 상기 센서(323)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수단(322)을 구동하는 제어부(3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하중작용점(WP)을 가변시켜 트레이너 등의 운동보조자 없이도 혼자서 운동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운동의 횟수 등이 자동 카운팅 되거나, 운동량의 정도 및 세기 등이 자동으로 표시되어 상기 운동보조자의 도움 없이도 상기 사용자의 운동의 파악이 쉬운 편리성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riable load generato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k unit 300, by controlling the sensor 323,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323 The control unit 324 for driving the rotation means 322 is provided. Therefore, by automatically varying the load action point (WP) has the effect that can be exercised alone without an exercise assistant such as a trainer.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is automatically counted, or the amount and intensity of exercise is automatically displayed, so it is easy to grasp the exercise of the user without the assistance of the exercise assistan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20: 가변하중 발생장치 100: 본체
110: 핸들프레임 120: 하중작용부
121: 무게추 122: 와이어
200,300: 크랭크 유닛 210,310: 연결부
211,311: 제1연결부재 312,312: 제2연결부재
220,320: 동력제공부 221: 제1샤프트
222: 제1기어 223: 제2기어
224: 제2샤프트 321: 회전축
322: 회동수단 323: 센서
324: 제어부 400: 가이드 수단
410: 가이드 부 411: 가이드 홈
420: 이동부
10,20: variable load generator 100: the main body
110: handle frame 120: load action part
121: weight 122: wire
200,300: crank unit 210,310: connection
211,311: first connection member 312,312: second connection member
220,320: power supply unit 221: first shaft
222: first gear 223: second gear
224: second shaft 321: rotation axis
322: rotation means 323: sensor
324: control unit 400: guide means
410: guide part 411: guide groove
420: moving part

Claims (9)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무게추가 연결된 하중작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중작용부의 하중 작용점(WP)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핸들프레임을 들어올릴 때와 내릴 때의 힘이 달라지게 하는 크랭크 유닛; 및
상기 크랭크 유닛에 의해 가변 되는 상기 하중작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
A main body having a handle frame which can be repeatedly lifted or lowered by a user, and a load action portion coupled to the handle frame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handle frame and having a weight added thereto;
A crank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vary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art so that the force when lifting and lowering the handle frame is different; And
Variable load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oad action unit is variable by the crank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유닛은,
상기 하중작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핸들프레임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하중작용부의 하중 작용점(WP)을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밀거나 당기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nk unit,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load action part;
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to provide power to push or pull the connection unit in order to vary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fram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중작용부에 연결된 제1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동력제공부와 연결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load action part;
One end hing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the other end variable load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핸들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핸들프레임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1샤프트와 연동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여 연동 회전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2기어와 연동 회전하고, 상기 제2연결부재가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를 밀거나 당기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ower providing unit,
A first shaft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frame and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an operation of the handle frame;
A first gear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shaft,
A second gear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and rotated;
And a second shaft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so as to interlock with the second gea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push or pull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과 고정 결합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ower providing unit,
A rotating shaft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rotatably installed;
And a rotating mean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핸들프레임을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수단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power providing unit,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fram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ans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하중작용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중작용부를 내측에 감싸서, 상기 하중작용부와 연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가변하중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means,
A guide part in which a guide groove is formed to move by inserting the load action part;
A variable load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moving part hing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wrapped around the load action part inward, and interlocked with the load action par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내측과 상기 하중작용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된 가변하중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7,
Variable load generation device formed with a play between the inside of the moving part and the load a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유닛은,
상기 핸들프레임을 들어올릴 때, 상기 하중작용부의 하중 작용점(WP)이 사용자 쪽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핸들프레임(110)을 내릴 때, 상기 하중작용부의 하중 작용점(WP)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가변시키는 가변하중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crank unit,
When lifting the handle frame,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ortion is closer to the user, when lowering the handle frame 110, the variable variable load so that the load action point (WP) of the load action portion away from the user Load generator.
KR1020110130596A 2011-12-07 2011-12-07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KR101259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96A KR101259744B1 (en) 2011-12-07 2011-12-07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96A KR101259744B1 (en) 2011-12-07 2011-12-07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744B1 true KR101259744B1 (en) 2013-04-30

Family

ID=4844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596A KR101259744B1 (en) 2011-12-07 2011-12-07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7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737U (en) * 2016-10-19 2016-10-28 김원종 Safety device for dumbe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329Y1 (en) 2003-02-13 2003-05-23 강준상 Complex bench
KR20060116690A (en) * 2006-04-13 2006-11-15 강신환 Heath and rehabilitation equipment using pneumatic
KR100728821B1 (en) 2005-09-28 2007-06-14 (주)소프트인하드 a health apparatus
US20070149367A1 (en) 2005-09-29 2007-06-28 Mats Thulin Training machine for strengthen training and rehabili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329Y1 (en) 2003-02-13 2003-05-23 강준상 Complex bench
KR100728821B1 (en) 2005-09-28 2007-06-14 (주)소프트인하드 a health apparatus
US20070149367A1 (en) 2005-09-29 2007-06-28 Mats Thulin Training machine for strengthen training and rehabilitation
KR20060116690A (en) * 2006-04-13 2006-11-15 강신환 Heath and rehabilitation equipment using pneumati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737U (en) * 2016-10-19 2016-10-28 김원종 Safety device for dumbell
KR200482244Y1 (en) 2016-10-19 2017-01-03 김원종 Safety device for dumb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0739B (en) It is incorporated to the funicular system of treadmill
KR102053685B1 (en) Complex fitness machine for motor control type
KR101394117B1 (en) Cable crossover training machine
CN104884133B (en) Force exercise equipment with flywheel
JP4701165B2 (en) Training equipment
CA2821974C (en) Weight training machines
AU2018271741B2 (en) Weight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CN111111107A (en) Wall-hanging strength training machine with small space ratio
KR20190061151A (en) Fitness cable machine for motor operating type
KR101196369B1 (en) Multi-functional health equipment installed on door
KR101259744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e load
KR100864108B1 (en) Apparatus for health
KR100651259B1 (en) Multi-functional weight training device
CN109107098B (en) Sit-up body-building device
KR101861240B1 (en) Weight Training Machine of Cable Driving Type
KR100766822B1 (en) Apparatus for weight control of weight training machine using electro-magnetic
KR101675632B1 (en) Fitness System
CN217489643U (en) Adjustable portable pull rope exercise device
CN109011330B (en) Rope-driven foldable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device
KR20200013336A (en) Complex fitness machine for motor control typ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itness exercise
KR20130039184A (en) A wave-type training device
CN210009574U (en) Electric capstan force-regulating type upper limb body-building device
KR100858363B1 (en) Bench press based on human weight
KR102039256B1 (en) Weight Train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Handle Angle
CH712467A2 (en) Rowing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