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506B1 -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506B1
KR101259506B1 KR1020127021549A KR20127021549A KR101259506B1 KR 101259506 B1 KR101259506 B1 KR 101259506B1 KR 1020127021549 A KR1020127021549 A KR 1020127021549A KR 20127021549 A KR20127021549 A KR 20127021549A KR 101259506 B1 KR101259506 B1 KR 101259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request signal
access network
cal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753A (ko
Inventor
카츠토시 니시다
심페이 카와카츠
켄이치 카타야마
켄이치로 아오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10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방법은, Idle 상태의 이동국(UE)이, 무선기지국(eNodeB)을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송신하는 공정과, 이동관리용 노드(MME)가,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기지국(eNodeB)이, 수신한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포함되는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 {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ADIO ACCESS NETWORK DEVICE, AND MOBILE STATION }
본 발명은,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있어서 Idle 상태인 이동국(UE)이, 회선 교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CS Fallback(CSFB) 수순'이 규정되어 있다.
상술한 CSFB 수순에서는, E-UTRAN 상의 무선 베어러인 'E-RAB(Evolved Radio Access Bearer)'를 설정한 후,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나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상의 무선 베어러인 'RAB(Radio Access Bearer)'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CSFB 수순에서는, 패킷 베어러로서의 E-RAB의 설정처리나 RAB의 설정처리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CSFB 수순에서는, 우선 이동국(UE)으로부터의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에 따른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을 우선적으로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째로, 도 12에, 상술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우선 이동국(UE)의 발신처리에 따르는 CSFB 수순의 일부 동작에 대해 나타낸다.
상기 CSFB 수순에서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RAB의 설정처리에 있어서, E-RAB의 설정에 필요한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 우선 이동국(UE)용 패킷 베어러로서의 E-RAB를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CSFB 수순에서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AB의 설정처리에 있어서, RAB의 설정에 필요한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 우선 이동국(UE)에 따른 패킷 베어러로서의 RAB를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CSFB 수순에서는,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회선 제어국(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있어서, UTRAN측의 RRC 기능이 폭주하고 있는 경우, 우선 이동국(UE)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제어신호의 송신에 따른 RRC 커넥션을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로, 도 13에, 상술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Idle 상태의 우선 이동국(UE)에 대한 착신처리에 따르는 CSFB 수순의 일부 동작에 대해 나타낸다.
상기 CSFB 수순에서는,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odeB)에 있어서, E-UTRAN측의 RRC 기능이 폭주하고 있는 경우, 우선 이동국(UE)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제어신호의 송신에 따른 RRC 커넥션을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CSFB 수순에서는,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RAB의 설정처리에 있어서, E-RAB의 설정에 필요한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 우선 이동국(UE)용 패킷 베어러로서의 E-RAB를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CSFB 수순에서는, 도 1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AB의 설정처리에 있어서, RAB의 설정에 필요한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 우선 이동국(UE)용 패킷 베어러로서의 RAB를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CSFB 수순에서는, 도 1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있어서, UTRAN측의 RRC 기능이 폭주하고 있는 경우, 우선 이동국(UE)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제어신호의 송신에 따른 RRC 커넥션을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로, 도 14에, 상술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Active 상태의 우선 이동국(UE)에 대한 착신처리에 따르는 CSFB 수순의 일부 동작에 대해 나타낸다. 상기 CSFB 수순에서는, 우선 이동국(UE)용 E-RAB는, 이미 설정되어 있다.
상기 CSFB 수순에서는,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odeB)이, 'CSFB Indicator'를 포함하는 'Context Modification Request'를 수신한 경우에, UTRAN에 있어서의 RAB의 설정에 필요한 리소스가 부족한 것을 감지한 경우, 이후의 패킷 통신에 대한 핸드오버에 따른 제어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우선 이동국으로부터의 발신 혹은 착신 등 우선해야 할 통신에 따른 CSFB 수순에 있어서, 패킷 베어러로서의 E-RAB 및 RAB의 우선적 확보, 및, 상기 CSFB 수순에 따른 RRC 신호에 대한 우선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Idle 상태의 이동국이,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가,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한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요구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이,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가,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변경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수신한 상기 설정변경 요구신호에 따라,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는 제2 통신방식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라도, 상기 설정변경 요구신호에 상기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의 해방 수순을 수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Idle 상태의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요구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신한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요구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로부터 수신한 설정변경 요구신호에 따라,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는 제2 통신방식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라도, 상기 설정변경 요구신호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의 해방 수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제2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이동국과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의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후,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 및 상기 제2 통신방식의 패킷 교환기를 통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환요구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신한 상기 전환요구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2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이동국에 있어서,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는 제2 통신방식에 있어서 액세스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환요구신호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상기 전환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이동국으로부터의 발신 혹은 착신 등 우선해야 할 통신에 따른 CSFB 수순에 있어서, 패킷 베어러로서의 E-RAB 및 RAB의 우선적 확보, 및, 상기 CSFB 수순에 따른 RRC 신호에 대한 우선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내의 무선기지국(eNodeB)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eNodeB)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회선 제어국(RNC)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회선 제어국(RNC)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UE)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eNodeB)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eNodeB)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E-UTRAN 및 UTRAN의 쌍방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게이트웨이 장치(P-GW(PDN Gateway))와, 서빙 게이트웨이 장치(S-GW(Serving Gateway))와, 이동관리용 노드(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무선기지국(eNodeB)과, 회선 교환기(MSC(Mobile-service Switching Center))와, 패킷 교환기(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와, 무선 회선 제어국(RNC)과, 무선기지국(NodeB)(미도시)을 구비한다.
첫째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우선 이동국(UE)의 발신처리에 따르는 CSFB 수순을 일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UTRAN에 있어서 Idle 상태인 우선 이동국(UE)은, 단계 S1001에 있어서, 회선 교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발신조작이 수행된 것을 검출하면, 단계 S1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CSFB Indicator'를 포함하는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10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CSFB Indicator'를 포함하는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1004에 있어서,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단계 S1003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접속 이유 정보(예를 들면, 사유=우선 접속)'나 '접속 종별 정보(예를 들면, 긴급 호 발신)'나, '이동관리용 노드(MME)가 보유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예를 들면, 우선 유저)' 등을 참조하여, CSFB 수순을 우선해야 한다고 판단하면,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CSFB Indicator' 및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수신한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로, 도 3을 참조하여,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의 제1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odeB)은, 단계 S101에 있어서,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102에 있어서, E-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상기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E-RAB에 대한 통상의 리소스 할당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상기 리소스의 할당이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Negative Response'를 송신한다.
한편,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처 RAT(Radio Access Technology), 즉, UTRAN에 있어서, 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상기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확보해 두고, E-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생긴 경우에, 상기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해당 리소스를 할당한다.
한편, 상기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8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중단하고,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에서는,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Initial UE Context Setup Response'를 송신해도 좋다.
여기서, 단계 S106의 처리를 생략하고, 단계 S104에 있어서,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확보해두고, E-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생긴 경우에, 상기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해당 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둘째로, 도 4를 참조하여,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의 제2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odeB)은, 단계 S201에 있어서,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202에 있어서,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E-RAB에 대한 통상의 리소스의 할당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기지국(eNodeB)은, E-RAB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그 취지를 나타내는 'Negative Response'를 송신한다.
한편,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처 RAT, 즉, UTRAN에 있어서, 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상기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여기서, E-UTRAN에 있어서, E-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선기지국(eNodeB)은, 비우선 이동국(UE)용 리소스를 해방하여,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한편, 상기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중단하고,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에서는,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Initial UE Context Setup Response'를 송신해도 좋다.
여기서, 단계 S204의 처리를, 도 4의 A의 시점에서 수행하고, 단계 S204에 있어서, 상술한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E-RAB에 대한 통상의 리소스의 할당처리를 수행하고, 상술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중단하고,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해도 좋다.
상기 경우, 단계 S202에 있어서,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여기서, E-UTRAN에 있어서, E-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선기지국(eNodeB)은, 비우선 이동국(UE)용 리소스를 해방하여,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
도 2로 되돌아가, 단계 S10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과 우선 이동국(UE)과의 사이에 E-RAB가 설정되면, 단계 S100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Initial UE Context Setup Response'를 송신한다.
단계 S1008에 있어서,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서빙 게이트웨이 장치(S-GW)에 대해, 'GTPv2 Modify Bearer Request'를 송신하고, 단계 S1009에 있어서, 서빙 게이트웨이 장치(S-GW)는,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GTPv2 Modify Bearer Response'를 송신한다.
단계 S1010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Cause'나 'Target RNC Identifier'나 'Source eNodeB Identifier'나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 등을 포함하는 'Handover Required'를 송신한다.
여기서,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에는, 상술한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1011에 있어서,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를 포함하는 'Forward Relocation Request'를 송신한다.
여기서,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수신한 'Handover Required' 내의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를 그대로 포함하는 'Forward Relocation Request'를 생성하여,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송신한다.
혹은,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단계 S1004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우선해야 하는 호인 것을 검출하고, 우선 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Forward Relocation Request'를 생성하여,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송신해도 좋다.
단계 S1012에 있어서, 패킷 교환기(SGSN)는,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를 포함하는 'Relocation Request'를 송신한다.
여기서, 패킷 교환기(SGSN)는, 수신한 'Forward Relocation Request' 내의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를 그대로 포함하는 'Relocation Request'를 생성하여,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송신한다.
혹은, 패킷 교환기(SGSN)는, 수신한 'Forward Relocation Request'에 포함되는 우선 호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우선 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Relocation Request'를 생성하여,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송신해도 좋다.
단계 S1013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수신한 'Reloca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Reloca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로, 도 5를 참조하여, 'Reloca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의 제1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단계 S301에 있어서, 'Relocation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302에 있어서, 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상기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03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RAB에 대한 통상의 리소스 할당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04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Relocation Request'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06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사전에 확보하고 있는 우선 이동국(UE)용 RAB에 대한 리소스보다, 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생긴 경우에, 상기 우선 이동국(UE)용 RAB에 대해 해당 리소스를 할당한다.
한편,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05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그 취지를 나타내는 'Negative Response'를 송신한다.
둘째로, 도 6을 참조하여, 'Reloca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의 제2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단계 S401에 있어서, 'Relocation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402에 있어서, 'Relocation Request'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03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우선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여기서, UTRAN에 있어서, 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비우선 이동국(UE)용 리소스를 해방하고, 우선 이동국(UE)용 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한편,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04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RAB에 대한 통상의 리소스의 할당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RAB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그 취지를 나타내는 'Negative Response'를 송신한다.
도 2로 되돌아가, 단계 S1014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우선 이동국(UE)용 RAB에 대한 리소스의 할당에 성공하면,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무선기지국(eNodeB) 앞으로의 정보요소에 해당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Relocation Request Acknowledge'를 송신한다.
단계 S1015에 있어서, 패킷 교환기(SGSN)는,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무선기지국(eNodeB) 앞으로의 정보요소에 해당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Forward Reloc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단계 S1016에 있어서,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무선기지국(eNodeB) 앞으로의 정보요소에 해당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Handover Command'를 송신한다.
단계 S101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우선 이동국(UE)에 대해, 'CSFB Indicator' 및 해당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HO from E-UTRAN Command'를 송신한다.
단계 S1018에 있어서, 우선 이동국(UE)은, 수신한 'HO from E-UTRAN Command'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HO from E-UTRAN Command'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UE)(예를 들면, 우선 이동국(UE))은, 단계 S501에 있어서, 'HO from E-UTRAN Command'를 수신하면, 단계 S502에 있어서, UTRAN에 있어서 액세스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여기서, 이동국(UE)은, 'HO from E-UTRAN Command' 내의 정보요소에 기초하여, UTRAN에 있어서 액세스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해도 좋으며, 무선 회선 제어국(RNC) 배하의 셀에 있어서의 알림정보에 기초하여, UTRAN에 있어서 액세스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해도 좋다.
액세스 규제가 수행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이동국(UE)은, 단계 S503에 있어서, 'HO from E-UTRAN Command'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04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Handover to UTRAN Complete'를 송신하지 않고, CSFB 수순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E-UTRAN으로의 재접속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05(도 2에 도시하는 S1019에 대응)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Handover to UTRAN Complete'를 송신한다.
또, 단계 S502에 있어서, 액세스 규제가 수행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05(도 2에 도시하는 S1019에 대응)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Handover to UTRAN Complete'를 송신한다.
또한, 단계 S1018의 처리는, 생략되어도 좋다.
단계 S1020에 있어서,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수신한 'Handover to UTRAN Complete'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UTRAN측의 RRC 기능 등이 폭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Handover to UTRAN Complete'만을 접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무선 회선 제어국(RNC)은, 수신한 'Handover to UTRAN Complete'를 접수한 경우, 단계 S1021에 있어서,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Relocation Complete'를 송신한다.
단계 S1022에 있어서, 패킷 교환기(SGSN)는,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Forward Relocation Complete'를 송신하고, 단계 S1023에 있어서,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Forward Relocation Complete Acknowledge'를 송신한다.
단계 S1024에 있어서, 패킷 교환기(SGSN)는, 서빙 게이트웨이 장치(S-GW)에 대해, 'Modify Bearer Request'를 송신하고, 단계 S1025에 있어서, 서빙 게이트웨이 장치(S-GW)는,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Modify Bearer Response'를 송신한다.
둘째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Idle 상태의 우선 이동국(UE)에 대한 착신처리에 따르는 CSFB 수순의 일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2001에 있어서, E-UTRAN에 있어서, Idle 상태인 이동국(UE) 앞으로의 우선 이동국으로부터의 착신이 발생하면, 회선 교환기(MSC)는, 단계 S2002에 있어서,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IAM/Invite'를 수신하고, 단계 S2003에 있어서, 'SGs status'가 'SGs-ASSOCIATED'인 것을 확인하고, 단계 S2004 및 S2005에 있어서, SGs의 Association 처의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SGsAP-PAGING-REQUEST(Paging)'를 송신한다.
단계 S2006에 있어서,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Paging'을 송신하고, 단계 S200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국(UE)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Paging'을 송신한다.
단계 S2008에 있어서, 이동국(UE)은, 수신한 'Paging'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2009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수신한 'RRC Connec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eNodeB)은, E-UTRAN측의 RRC 기능 등이 폭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RRC Connection Request'만을 접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단계 S200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국(UE)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Paging'을 송신해도 좋다. 상기 경우, 단계 S2009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수신한 'RRC Connec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eNodeB)은, 수신한 'RRC Connection Request'를 접수한 경우, 단계 S2010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RRC Connection Setup'을 송신한다.
단계 S2011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CSFB Indicator'를 포함하는 'Extended Service Request'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Complete'를 송신한다.
단계 S201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CSFB Indicator'를 포함하는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송신하고, 단계 S2013에 있어서,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회선 교환기(MSC)에 대해, 'Service Request'를 송신한다.
이하, 단계 S2014 내지 S2035의 동작은, 도 2에 도시하는 단계 S1004 내지 S1025의 동작과 동일하다.
셋째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Active 상태의 우선 이동국(UE)에 대한 착신처리에 따르는 CSFB 수순의 일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CSFB 수순에서는, 우선 이동국(UE)용 E-RAB는, 이미 설정되어 있다.
단계 S3001 내지 S3005의 동작은, 도 8에 도시하는 단계 S2001 내지 S2005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단계 S3006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CS Service Notification'을 송신하고, 단계 S3007에 있어서, 회선 교환기(MSC)에 대해, 'Service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3008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CSFB Indicator'를 포함하는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송신하고, 단계 S3009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CSFB Indicator'를 포함하는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송신한다.
이동관리용 노드(MME)는, 단계 S3009에 있어서, 단계 S3006에 대한 응답신호인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단계 S3010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CSFB Indicator' 및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를 송신한다.
무선기지국(eNodeB)은, 단계 S3011에 있어서, 수신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CSFB Indicator'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면, 단계 S3012에 있어서, 수신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로, 도 10을 참조하여,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의 제1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odeB)은, 단계 S601에 있어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6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처 RAT, 즉, UTRAN에 있어서, 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상기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6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을 계속한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단계 S301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한편, 상기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6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6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중단하고,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에서는,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를 송신해도 좋다.
한편,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6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의 실패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계 S602의 처리를 생략하고, 무선기지국(eNodeB)은,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S3013에 있어서,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둘째로, 도 11을 참조하여,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의 제2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odeB)은, 단계 S701에 있어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를 수신하면, 단계 S702에 있어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계속한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단계 S301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한편,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처 RAT, 즉, UTRAN에 있어서, RAB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상기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계속한다. 즉, 단계 S301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한편, 상기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중단하고,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에서는, 무선기지국(eNodeB)은,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UE Context Modification Response'를 송신해도 좋다.
여기서, 단계 S704의 처리를, 도 11의 B의 시점에서 수행하고, 단계 S704에 있어서, 상술한 리소스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계속하고, 상술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중단하고, 'Release with Redirection 수순'으로 이행해도 좋다.
상기 경우, 단계 S702에 있어서,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은, 상기 CSFB 수순(PS HO 수순)을 계속해도 좋다.
도 9로 되돌아가, 이후, 도 8에 도시하는 처리 X를 실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우선 이동국(UE)으로부터의 발신 혹은 착신 등 우선해야 할 통신에 따른 CSFB 수순에 있어서의 E-RAB의 설정처리나 RAB의 설정처리나 RRC 커넥션의 설정처리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이동국(UE)의 발신처리나 착신처리에 따르는 CSFB 수순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Idle 상태의 이동국(UE)(예를 들면, 우선 이동국(UE) 또는 비우선 이동국(UE)에 대한 발신처리를 수행하는 우선 이동국(UE)이나, 우선 이동국(UE)으로부터의 착신처리를 수행하는 우선 이동국(UE) 또는 비우선 이동국(UE))이, LTE 방식의 (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기지국(eNodeB)(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을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Extended Service Request(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이동관리용 노드(MME)가,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이동국(UE)과 무선기지국(eNodeB)과의 사이에서 E-RAB(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무선 베어러 설정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기지국(eNodeB)이, 수신한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포함되는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이동국(UE)용 E-RAB가 설정된 후, 무선기지국(eNodeB)이, 이동관리용 노드(MME)를 통해, 2G/3G 방식(회선 교환 통신에 대응하는 제2 통신방식)의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Handover Required/Forward Relocation Request(전환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패킷 교환기(SGSN)가, 무선 회선 제어국(RNC)(제2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Relocation Request(전환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 회선 제어국(RNC)이, 수신한 'Relocation Request'에 포함되는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UE)과 무선 회선 제어국(RNC)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RAB(제2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공정을 가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이동국(UE)용 RAB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된 후, 무선 회선 제어국(RNC)이,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Relocation Request Acknowledge(전환요구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패킷 교환기(SGSN)가, 이동관리용 노드(MME)를 통해,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Forward Relocation Response/Handover Command(전환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기지국(eNodeB)이, 이동국(UE)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HO from E-UTRAN Command(전환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이동국(UE)이, 2G/3G 방식에 있어서 액세스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수신한 'HO from E-UTRAN Command'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Handover to UTRAN Complete(전환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이동국(UE)용 RAB에 대해 리소스가 할당된 후, 무선 회선 제어국(RNC)이, 패킷 교환기(SGSN)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Relocation Request Acknowledge'를 송신하는 공정과, 패킷 교환기(SGSN)가, 이동관리용 노드(MME)를 통해,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Forward Relocation Response/Handover Command'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기지국(eNodeB)이, 이동국(UE)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HO from E-UTRAN Command'를 송신하는 공정과, 이동국(UE)이,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Handover to UTRAN Complete'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 회선 제어국(RNC)이, 수신한 'Handover to UTRAN Complete'에 포함되는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Handover to UTRAN Complete'를 우선적으로 접수하는 공정을 가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과의 사이에서 E-RAB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UE)(즉, Active 상태의 이동국(UE))이, 무선기지국(eNodeB)을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송신하는 공정과, 이동관리용 노드(MME)가, 무선기지국(eNodeB)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설정변경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기지국(eNodeB)이, 수신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따라, 2G/3G 방식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공정과, 2G/3G 방식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라도,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E-RAB의 해방 수순을 수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은, 무선기지국(eNodeB)에 있어서, Idle 상태의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관리용 노드(MME)로부터, 이동국(UE)과 무선기지국(eNodeB)과의 사이에서 E-RAB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신한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에 포함되는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 E-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4 특징은, 무선기지국(eNodeB)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과의 사이에서 E-RAB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즉, Active 상태의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관리용 노드(MME)로부터 수신한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따라, 2G/3G 방식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2G/3G 방식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라도,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E-RAB의 해방 수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5 특징은,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있어서, 이동국(UE)과 무선기지국(eNodeB)과의 사이의 E-RAB가 설정된 후, 무선기지국(eNodeB)으로부터, 이동관리용 노드(MME) 및 패킷 교환기(SGSN)를 통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Forward Relocation Request'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신한 'Relocation Request'에 포함되는 우선 호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UE)과 무선 회선 제어국(RNC)과의 사이에 있어서 RAB에 대해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6 특징은, 이동국(UE)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odeB)을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MME)에 대해, 'Extended Service Request'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2G/3G 방식에 있어서 액세스 규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무선기지국(eNodeB)으로부터 수신한 'HO from E-UTRAN Command'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 회선 제어국(RNC)에 대해, 'Handover to UTRAN Complete'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UE)이나 무선기지국(eNodeB)이나 무선 회선 제어국(RNC)이나 이동관리용 노드(MME)나 게이트웨이 장치(P-GW)나 게이트웨이 장치(S-GW)나 회선 교환기(MSC)나 패킷 교환기(SGSN)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UE)이나 무선기지국(eNodeB)이나 무선 회선 제어국(RNC)이나 이동관리용 노드(MME)나 게이트웨이 장치(P-GW)나 게이트웨이 장치(S-GW)나 회선 교환기(MSC)나 패킷 교환기(SGSN)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이동국(UE)이나 무선기지국(eNodeB)이나 무선 회선 제어국(RNC)이나 이동관리용 노드(MME)나 게이트웨이 장치(P-GW)나 게이트웨이 장치(S-GW)나 회선 교환기(MSC)나 패킷 교환기(SGSN)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이동국으로부터의 발신 혹은 착신 등 우선해야 할 통신에 따른 CSFB 수순에 있어서, 패킷 베어러로서의 E-RAB 및 RAB의 우선적 확보, 및, 상기 CSFB 수순에 따른 RRC 신호에 대한 우선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을 제공할 수 있다.
eNodeB…무선기지국
MME…이동관리용 노드
UE…이동국
P-GW, S-GW…게이트웨이 장치
MSC…회선 교환기
SGSN…패킷 교환기
RNC…무선 회선 제어국

Claims (5)

  1. 회선 교환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통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가, 상기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수신하고, 회선 교환 전환 수순을 우선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변경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이동국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환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상기 이동국이, 수신한 상기 전환요구신호에 상기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선 교환 통신을 지원하는 제2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2. 회선 교환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Idle 상태의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 앞으로의 페이징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가, 상기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수신하고, 회선 교환 전환 수순을 우선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이동국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환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상기 이동국이, 수신한 상기 전환요구신호에 상기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선 교환 통신을 지원하는 제2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3.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통지신호 혹은 페이징신호를 수신한 후에, 회선 교환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환요구신호에 우선 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선 교환 통신을 지원하는 제2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 회선 교환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통지신호를 수신한 후,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한 경우, 상기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수신하여 회선 교환 전환 수순을 우선해야 한다고 판단한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로부터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변경 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국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환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5. 회선 교환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어서 Idle 상태의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 앞으로의 페이징신호를 수신한 후,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송신한 경우, 상기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이동관리용 노드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선 교환 통신의 개시요구신호를 수신하여 회선 교환 전환 수순을 우선해야 한다고 판단한 상기 이동관리용 노드로부터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국에 대해 우선 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환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KR1020127021549A 2010-02-09 2011-02-09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 KR101259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7047 2010-02-09
JP2010027047A JP4800427B2 (ja) 2010-02-09 2010-02-09 移動通信方法、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局
PCT/JP2011/052775 WO2011099530A1 (ja) 2010-02-09 2011-02-09 移動通信方法、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753A KR20120103753A (ko) 2012-09-19
KR101259506B1 true KR101259506B1 (ko) 2013-05-06

Family

ID=443678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486A KR101200759B1 (ko) 2010-02-09 2011-02-09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
KR1020127021549A KR101259506B1 (ko) 2010-02-09 2011-02-09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486A KR101200759B1 (ko) 2010-02-09 2011-02-09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8428035B2 (ko)
EP (2) EP2536238B1 (ko)
JP (1) JP4800427B2 (ko)
KR (2) KR101200759B1 (ko)
CN (2) CN102754511A (ko)
AU (1) AU2011215272B2 (ko)
BR (1) BR112012019970A2 (ko)
CA (1) CA2789314A1 (ko)
ES (1) ES2621991T3 (ko)
MX (2) MX2012009263A (ko)
PT (1) PT2536239T (ko)
RU (2) RU2537959C2 (ko)
WO (2) WO2011099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52132B1 (en) 2010-04-14 2017-03-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enhanced multimedia priority service in circuit switched fallback mechanism
CN102378250B (zh) * 2010-08-23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优先业务的处理方法和系统
US9357461B2 (en) * 2011-11-04 2016-05-3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mmunication for circuit switched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5995211B2 (ja) 2012-06-06 2016-09-21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に戻るための方法および移動交換局ならびにシステム
JP5956850B2 (ja) * 2012-06-29 2016-07-27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管理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JP6088162B2 (ja) * 2012-06-29 2017-03-01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管理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JP5912926B2 (ja) * 2012-06-29 2016-04-27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サービング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CN103546931A (zh) * 2012-07-13 2014-01-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语音业务回落的方法及装置
EP2890184B1 (en) * 2012-10-18 2016-1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data-field service
US10009819B2 (en) * 2012-11-02 2018-06-26 Apple Inc. Network cell transitions for VoLTE devices at call initiation
US8824374B2 (en) * 2012-12-20 2014-09-02 Alcatel Lucent Call setup latency optimization for LTE to 1xRTT circuit switched fall back
CN104380798B (zh) * 2013-06-13 2018-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JP6289626B2 (ja) 2013-10-25 2018-03-07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通信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N105122882B (zh) * 2013-11-04 2019-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5084080A1 (ko) * 2013-12-04 2015-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
KR102176923B1 (ko) 2013-12-04 2020-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
KR102170503B1 (ko) 2014-01-13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호출장치 및 방법
US20190082350A1 (en) * 2015-09-24 2019-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by which prioritized service is transmitted
CN107277868B (zh) * 2016-04-08 2022-04-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电路域回退方法和设备
CN107371215B (zh) 2016-05-13 2021-07-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轻连接控制的方法及设备
US11601841B2 (en) * 2018-08-01 2023-03-07 Nec Corporation Radio st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9495887B (zh) * 2018-11-22 2021-08-17 熊猫电子集团有限公司 一种卫星移动通信终端协议栈mm连接的实现方法与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402A1 (en) 2007-06-19 2008-12-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09081268A1 (en) 2007-12-19 2009-07-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domain coordination for mt and mo call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30524T2 (de) * 1998-08-20 2006-11-16 Qualcomm, Inc., San Diego System und verfahren zur kanalvergabe mit prioritätszugriff in einem zellularen telefonsystem
US7792121B2 (en) * 2003-01-03 2010-09-07 Microsoft Corporation Frame protocol and scheduling system
KR101319870B1 (ko) * 2006-01-05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JP4988921B2 (ja) * 2007-06-08 2012-08-0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回線交換ドメインからパケット交換ドメイン上の回線交換サービスへのハンドオーバ
CN101731016B (zh) * 2007-06-08 2012-11-21 Lm爱立信电话有限公司 电路交换回退机制
CN102325355B (zh) * 2008-01-08 2014-12-17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到cs网络、测量cs网络、实现cs业务的方法及设备
WO2009117588A1 (en) * 2008-03-21 2009-09-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fallback to circuit switched domain from packet switched domain
US20100113010A1 (en) * 2008-11-03 2010-05-06 Qualcomm Incorporated Reprioritization of wireless networks for reselection to support voice call
WO2010051850A1 (en) * 2008-11-07 2010-05-14 Nokia Siemens Networks Oy Emergency call in radio system
JP5372173B2 (ja) * 2009-01-15 2013-12-18 ブラックベリー リミテッド 確立要因を決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616954B2 (ja) * 2009-03-16 2014-10-29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第1及び第2の種類の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間でのパケット交換の緊急呼の移行
WO2010120689A2 (en) * 2009-04-14 2010-10-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s
US9002315B2 (en) * 2009-05-01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mergency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A2765595C (en) * 2009-06-16 2015-09-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unavailable through a network cell
GB0915152D0 (en) * 2009-09-01 2009-10-07 Vodafone Plc LTE voice call handling
US8934331B2 (en) * 2009-10-30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Circuit switched fallback procedure
JP2013534090A (ja) * 2010-06-07 2013-08-29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輻輳した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サービス要求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386621B2 (en) * 2010-09-14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circuit-switched fallback performance
CN102457830B (zh) * 2010-10-22 2014-11-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业务处理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402A1 (en) 2007-06-19 2008-12-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09081268A1 (en) 2007-12-19 2009-07-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domain coordination for mt and mo c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9970A2 (pt) 2016-05-03
CN102763479B (zh) 2015-09-09
ES2621991T3 (es) 2017-07-05
RU2537959C2 (ru) 2015-01-10
MX2012009263A (es) 2012-09-12
CA2789314A1 (en) 2011-08-18
JP2011166455A (ja) 2011-08-25
KR20120101734A (ko) 2012-09-14
KR20120103753A (ko) 2012-09-19
JP4800427B2 (ja) 2011-10-26
CN102754511A (zh) 2012-10-24
CN102763479A (zh) 2012-10-31
EP2536239A4 (en) 2013-07-31
US20130217393A1 (en) 2013-08-22
RU2012137262A (ru) 2014-03-20
RU2534215C2 (ru) 2014-11-27
US8428035B2 (en) 2013-04-23
US20130040645A1 (en) 2013-02-14
US9301210B2 (en) 2016-03-29
KR101200759B1 (ko) 2012-11-13
EP2536238A1 (en) 2012-12-19
PT2536239T (pt) 2017-04-20
US20130259000A1 (en) 2013-10-03
MX2012009262A (es) 2012-09-07
RU2012137260A (ru) 2014-03-20
US20130039301A1 (en) 2013-02-14
EP2536238A4 (en) 2013-07-10
AU2011215272B2 (en) 2014-01-30
WO2011099529A1 (ja) 2011-08-18
EP2536238B1 (en) 2017-01-11
EP2536239A1 (en) 2012-12-19
AU2011215272A1 (en) 2012-09-13
WO2011099530A1 (ja) 2011-08-18
EP2536239B1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506B1 (ko) 이동통신방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국
CA2780300C (en) Preferential processing of prioritized cells in mobile communications
KR101372450B1 (ko) 이동통신방법, 이동 관리 노드, 서빙 게이트웨이 장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폴리시 제어 장치 및 패킷 교환기
JP505264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WO2012060420A1 (ja)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管理ノード
JP5603792B2 (ja) 移動通信方法
JP4800441B2 (ja) 移動通信方法、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局
JP562882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方法
JP5277154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交換局
US20150249944A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