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166B1 - 도로 횡단 굴착기 - Google Patents

도로 횡단 굴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166B1
KR101259166B1 KR1020120153501A KR20120153501A KR101259166B1 KR 101259166 B1 KR101259166 B1 KR 101259166B1 KR 1020120153501 A KR1020120153501 A KR 1020120153501A KR 20120153501 A KR20120153501 A KR 20120153501A KR 101259166 B1 KR101259166 B1 KR 101259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road
support tube
sup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영
이방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5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1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a rotary drilling-head cut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cross-section, i.e. full-face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18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horizontal holes or incline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 또는 도시가스관을 주택으로 인입하기 위해 도로를 횡단 굴착할 때, 도로 굴착부분을 최소화하고 도로를 횡단 굴착하는 과정에서 배관연결을 위한 외부관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는 도로 횡단 굴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도로 횡단 굴착기는, 도로 굴착부분의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와, 받침대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에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된 이송대와, 이송대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구동실린더와, 이송대에 설치된 종동풀리와,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된 구동풀리와, 구동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전동모터와, 바깥둘레면에 나선형의 흙배출유도판을 구비하고 한쪽 끝단을 종동풀리와 연결한 굴착관과, 굴착관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고 땅 굴착을 위한 굴착날이 형성된 드릴과, 굴착관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와, 받침대에 설치되고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에 지지되어 받침대의 유동 및 진동을 방지하는 고정기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로 횡단 굴착기{Excavator for Excavating Road}
본 발명은 도로 횡단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신축이나 증축으로 인하여 도로에서 주택으로 인입되고 있는 상수도관 및 도시가스관을 시공하기 위해 도로와 주택 사이를 횡단 굴착하는 도로 횡단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신축이나 증축시 도로에서 상수도관이나 도시가스관을 주택 안으로 인입하게 되는데, 이때 도로를 굴착하여 배관연결 공사를 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예로서 상수도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수도관을 주택으로 인입하는 공사를 할 때 도로의 배수관(1) 위치에서 주택의 담장(2) 앞까지 대략 5~10m의 도로를 포크레인 등의 굴착기로 도로 굴착부분(4)과 같이 횡단 굴착하고, 주택 내부의 수도계량기(3)와 담장(2) 하부는 도 3에 도시된 인력굴착부분(4a,4b)과 같이 인력에 의해 굴착하고 있다. 이어서 도로의 배수관(1)과 주택의 수도계량기(3)를 급수관(5)으로 연결한 후, 도로 굴착부분(4)과 인력굴착부분(4a,4b)을 다시 메워 복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수도관 연결작업은 도로 굴착부분(4)이 길기 때문에 도로를 굴착하고 다시 복구하는 작업이 힘들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등 작업성이 나쁘고 비효율적이어서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복구 후에도 시간이 지남에 도로 굴착부분(4)이 점점 침하되고 도로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반 굴착이 어려운 담장이나 주택 내에 고가의 시설(대리석, 정원수)이 있는 경우는 터파기 옆면 굴착 후, 되메우기 할 때 토사를 채우고 있으나, 다짐이 부실하여 지반침하의 우려가 있는 등 도로 굴착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수도관 또는 도시가스관을 주택으로 인입하기 위해 도로를 횡단 굴착할 때, 도로 굴착부분을 최소화하고 도로를 횡단 굴착하는 과정에서 배관연결을 위한 외부관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으며, 굴착 작업시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굴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로 횡단 굴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굴착부분의 바닥에 고정되고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이 구비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고정되어 도로횡단굴착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봉;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가이드봉에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가이드봉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된 이송대; 상기 받침대에 실린더몸체가 고정되고 상기 이송대에 실린더로드가 고정되어 이송대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구동실린더; 상기 도로횡단굴착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이송대에 설치되고 플랜지 이음부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풀리; 상기 이송대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된 구동풀리; 상기 이송대에 고정되어 구동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전동모터; 양끝단에 제1 및 제2 플랜지 이음부가 형성된 중공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 나선형의 흙배출유도판을 구비하며, 한쪽의 제1 플랜지 이음부를 상기 종동풀리의 플랜지 이음부와 연결하여 도로 횡단굴착방향으로 설치된 굴착관; 상기 굴착관의 제2 플랜지 이음부와 연결되는 플랜지 이음부가 형성되고, 땅 굴착을 위한 굴착날이 형성된 드릴;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상기 굴착관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받침대의 수직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에 지지되어 받침대의 유동 및 진동을 방지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도로 횡단 굴착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기구가, 상기 받침대의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 안둘레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지지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관의 회전을 제한하여 수평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상기 제1 지지관에 일단이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제1 지지관의 걸림턱에 단턱을 걸림유지시킨 제2 지지관; 상기 제1 지지관 내에 구비되어 제1 지지관과 제2 지지관 사이에 탄력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제2 지지관에 일단이 삽입되고 일측면에 삽입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타단에 구형지지부가 고정된 제3 지지관; 상기 제2 지지관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지지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제3 지지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를 상기 나사부 끝단에 형성한 고정노브; 상기 구형지지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반구형지지홈을 형성하고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끝이 뾰족한 복수개의 원추형상돌기를 가지는 지지판; 상기 구형지지부가 반구형지지홈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지지판에 관통설치되고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쪽 끝단에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단에는 납작한 형상의 타격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타격고정구; 및 상기 타격고정구의 타격부에 일체로 형성한 후크형상부로 이루어진 도로 횡단 굴착기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도로 횡단 굴착기에 의하면, 선단에 드릴을 연결한 굴착관을 이송대에 장착하고, 감속전동모터를 구동하여 굴착관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구동실린더를 구동하여 이송대를 도로횡단굴착방향으로 서서히 이송시키는 것에 의해 도로횡단굴착이 이루어지고, 1개의 굴착관에 의한 굴착이 끝나면, 새로운 굴착관을 연결하여 연이어 굴착하는 방식이므로 길이가 긴 도로의 횡단굴착 작업도 가능함은 물론, 굴착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착기를 수용할 있는 1m 정도의 굴착부분만 형성하여도 5~10m의 횡단굴착을 쉽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도로를 직접 굴착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도로굴착으로 인한 지반 침하 또는 도로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굴착에 사용한 굴착관을 배관으로 사용하거나 배관 설치를 위한 외부관으로 사용함으로써 도로 횡단굴착을 진행하면서 배관 또는 외부관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착 작업시 고정기구에 의해 받침대와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 사이가 사방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굴착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기구의 제1 지지관과 제2 지지관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서는 굴착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게 되므로, 굴착시의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타격고정구를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에 깊이 박을 수 있어 연약한 지반에서도 고정기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상수도관 연결을 위한 도로 횡단굴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상수도관 연결을 위한 도로 횡단굴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수도관 연결을 위한 도로 횡단굴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로 횡단 굴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로 횡단 굴착기에서 고정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로 횡단 굴착기에서 고정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g는 본 발명의 도로 횡단 굴착기에 의한 도로 횡단굴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수도관 연결을 위한 도로 횡단굴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 횡단 굴착기에 의한 굴착작업은, 도로의 배수관(11) 위치에 1m 정도의 길이로 굴착부분(12)을 형성하고, 이 굴착부분(12) 내에 본 발명의 굴착기(100)를 설치한 후, 주택 내의 수도개량기(13)까지 굴착기(100)로 횡단굴착하는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의 굴착기(100)로 횡단굴착하는 과정에서 배관 연결을 위한 외부관(14)의 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횡단 굴착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착기(100)는, 도로 횡단굴착방향으로 1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한 굴착부분(12)에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소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1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한 굴착부분(12) 바닥에 놓을 수 있는 사이즈로 제작되고,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10a)이 고정된 받침대(110)를 구비한다.
받침대(110) 상에는 이송대(120)가 도로 횡단굴착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대(120)의 이동은 받침대(110) 상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이드봉(111)에 의해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가이드봉(111)은 도로 횡단굴착위치를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여 도로 횡단굴착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양단이 받침대(11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송대(12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111)에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부(121)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이 가이드부(121)에 의해 이송대(120)는 가이드봉(111)에 안내되어 도로 횡단굴착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송대(120)는 구동실린더(130)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실린더(130)는 받침대(110)와 이송대(1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린더몸체(131)를 받침대(110)에 고정하고, 실린더로드(132)의 끝단을 이송대(120)에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송대(120)에는 굴착작업을 위한 굴착관(140)과 드릴(150)이 장착되는 것으로, 굴착관(140)은 양끝단에 제1 및 제2 플랜지 이음부(141,142)가 형성된 긴 중공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는 나선형의 흙배출유도판(143)이 형성되어 있다. 드릴(150)은 상기 굴착관(140)의 제2 플랜지 이음부(142,)와 연결되는 플랜지 이음부(151)와, 땅 굴착을 위한 굴착날(152)이 형성된 것으로, 굴착관(140)의 굴착방향 선단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드릴(150)이 연결된 굴착관(140)은 이송대(120)에 구비된 회전수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회전수단은 도로 횡단굴착위치에 횡단굴착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송대(120)에 설치된 종동풀리(161)를 구비하며, 종동풀리(161)는 굴착관(140)의 제1 플랜지 이음부(141)와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 이음부(161a)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종동풀리(161)에 장착된 굴착관(140)의 하부는 받침대(110)에 구비된 지지대(112)에 의해 지지되어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굴착관(140)의 제1 및 제2 플랜지 이음부(141,142,)와, 드릴(150) 및 종동풀리(161)의 플랜지 이음부(151,161a)는 모두 호환 가능하게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한 플랜지 이음시 패킹을 개재하여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종동풀리(161)는 이송대(120)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구동풀리(163)와 벨트(162)로 연결되고, 구동풀리(163)는 이송대(120)에 고정된 감속전동모터(164)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감속전동모터(164)와 구동풀리(163)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베벨기어(165,16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굴착관(140)의 회전수단으로서, 감속전동모터(164)를 구동원으로 하고, 한 쌍의 베벨기어(165,166), 구동풀리(163) 및 종동풀리(161)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기구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굴착관(140)을 서서히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구동원이나 동력전달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착작업시 받침대(110)가 유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진동이나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를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받침대(110)의 수직프레임(110a)에 각각 설치되고 사방에서 도로 굴착부분(12)의 벽면과 지지되어 받침대(110)의 유동 및 진동을 방지하는 고정기구(170)를 구비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구(170)는, 받침대(110)의 수직프레임(110a)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71)을 구비하고, 고정브라켓(171)은 수직프레임(110a)의 대략 중간지점에 고정한다.
고정브라켓(171)에는 제1 지지관(172)의 일단이 수평축(171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브라켓(171)의 하부에는 스토퍼(17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관(17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된 것으로, 스토퍼(171b)는 제1 지지관(172)이 수평위치에서 접촉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지지관(172)의 회전각도를 수직프레임(110a)과 나란한 수직위치와 수직프레임(110a)에 대하여 직각인 수평위치 사이로 제한한다.
제1 지지관(172)에는 제2 지지관(173)의 일단이 삽입되며, 제1 지지관(172)의 안둘레면에는 걸림턱(172a)을 형성하고 제2 지지관(173)의 일단에는 단턱(173a)을 형성하여 제1 지지관(172)으로부터 제2 지지관(173)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지지관(172) 내에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74)가 구비되고, 탄성부재(174)는 제1 지지관(172)과 제2 지지관(173)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제1 지지관(172)과 제2 지지관(173)이 탄력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관(173)에는 제3 지지관(175)의 일단이 삽입되고, 제3 지지관(175)의 일측면에는 가이드홈(175a)이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타단에는 구형지지부(175b)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관(173)과 제3 지지관(175)은 고정노브(176)에 의해 고정 및 고정해제 하도록 되어 있고, 고정노브(176)는 상기 제2 지지관(173)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76a)를 구비하고, 나사부(176a) 끝단에는 상기 제3 지지관(175)의 가이드홈(175a)에 삽입되는 가압돌기(176b)가 형성되어 제3 지지관(175)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홈(175a)에 의해서는 제3 지지관(175)의 길이 조절시 직선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3 지지관(175)의 구형지지부(175b)는 지지판(177)에 형성한 반구형지지홈(177a)에 삽입하고, 고정편(178)을 지지판(177)에 고정하여 구형지지부(175b)가 반구형지지홈(177a)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지지판(177)에는 끝이 뾰족한 복수개의 원추형상돌기(177b)를 형성하여 도로 굴착부분(12)의 벽면에 밀착시킬 때 유동이나 미끄러짐 없이 접촉되도록 하고, 구형지지부(175b)와 반구형지지홈(177a)에 의해서는 도로 굴착부분(12)의 벽면 경사도와 경사방향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지지판(177)의 경사각과 경사방향을 조절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177)에는 복수개의 타격고정구(179)가 관통설치된 것으로, 지지판(177)을 중심으로 도로 굴착부분(12)의 벽면쪽 끝단에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삽입부(179a)를 형성하고, 반대쪽 끝단에는 납작한 형상의 타격부(179b)를 형성하여 지지판(177)을 도로 굴착부분(12)의 벽면에 밀착시킨 후, 타격고정구(179)의 타격부(179b)를 타격하여 삽입부(179a)를 벽면 깊이 박음으로써 연약한 지반에서도 지지판(177)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타격고정구(179)의 타격부(179b)에는 후크형상부(179c)를 일체로 형성하여 타격고정구(179)를 도로 굴착부분(12)의 벽면으로부터 빼낼 때,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부분(12)에 굴착기(100)를 넣어 설치한 후, 굴착관(140)의 제1 플랜지 이음부(141)를 종동풀리(161)의 플랜지 이음부(161a)에 연결하고, 굴착관(140)의 제2 플랜지 이음부(142)에 드릴(150)의 플랜지 이음부(151)를 연결하여 드릴(150) 및 굴착관(140)을 이송대(120)에 장착한다.
이어서, 감속전동모터(164)를 구동시키면, 한 쌍의 베벨기어(165,166)를 통해 구동풀리(163)가 회전하고, 이어서 구동풀리(163)와 벨트(162)로 연결된 종동풀리(161)가 회전하므로 굴착관(140) 및 드릴(150)을 서서히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실린더로드(132)를 서서히 후진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132)에 고정된 이송대(120)의 가이드부(121)가 가이드봉(111)에 안내되면서 이송대(120)를 도로 횡단굴착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굴착관(140) 및 드릴(150)이 서서히 회전하면서 도로 횡단굴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120)가 가이드봉(111) 끝단까지 이동하는 길이만큼 드릴(150)의 굴착날(152)이 땅을 뚫어 굴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송대(120)가 가이드봉(111) 끝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도 10c에서와 같이 이미 장착되어 있는 굴착관(140)의 플랜지 이음부(141)와 종동풀리(161)의 플랜지 이음부(161a)를 분리한 다음, 구동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실린더로드(132)를 전진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132)에 고정된 이송대(120)의 가이드부(121)가 가이드봉(111)에 안내되면서 이송대(120)는 처음위치로 후진된다.
이어서, 굴착관(140)의 제1 플랜지 이음부(141)에 다음에 투입되는 제2 굴착관(140A)의 제2 플랜지 이음부(142A)를 연결하고, 제2 굴착관(140A)의 제1 플랜지 이음부(141A)는 종동풀리(161)의 플랜지 이음부(161a)에 연결하여 새로운 제2 굴착관(140A)을 이송대(120)에 장착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감속전동모터(164)와 구동실린더(130)를 동작시켜 도 10d 및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작업을 수행하고, 다음의 굴착관(140B)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하여 굴착작업을 수행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다음의 굴착관을 연이어 반복함으로써 도로 횡단굴착 길이에 관계없이 굴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굴착작업에 의해 도 10f 및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150)이 주택의 수도계량기(13)쪽으로 관통됨으로써 굴착작업은 종료된다. 드릴(150)은 드릴(150)의 플랜지 이음부(151)와 굴착관(140)의 제2 플랜지 이음부(142)를 분리함으로써 굴착관(14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굴착관(140)은 굴착과 함께 땅속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굴착관(140)을 배관으로 사용하거나 배관연결을 위한 외부관(14)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좁은 굴착부분(12)에 굴착기(100)를 설치하여 도로를 횡단굴착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주택의 신축이나 증축시 도로에서 상수도관이나 도시가스관을 주택으로 인입할 때, 도로 굴착길이를 최소화하여 도로 굴착에 따른 침하나 요철 형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도로 횡단굴착에 사용한 굴착관(140)을 굴착후 배관 또는 배관연결을 위한 외부관(14)으로 사용할 수 있어 도로 횡단굴착작업을 수행하면서 배관 또는 배관연결을 위한 외부관 시공이 동시에 수행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받침대(110)의 수직프레임(110a)에 설치된 고정기구(170)는, 굴착작업 전에는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관(172)을 수직프레임(110a)에 나란한 수직위치에 두어 굴착부분(12)에 굴착기(100)를 넣을 때 지지판(177)이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고, 굴착기(100)가 설치된 후, 제1 지지관(172)을 고정브라켓(171)의 수평축(171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위치로 위치시킨 후, 지지판(177)을 굴착부분(12)의 벽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받침대(110)를 사방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71)에 형성된 스토퍼(171b)에 의해 제1 지지관(172)이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수평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제2 지지관(173)과 제3 지지관(175)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노브(176)를 풀게 되면, 제3 지지관(175)을 제2 지지관(173)으로부터 빼내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되므로, 지지판(177)의 원추형상돌기(177b)를 굴착부분(12)의 벽면에 밀착시켜 지지판(177)을 미끄러짐 없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여 굴착작업시 받침대(1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관(175)과 지지판(177)이 구형지지부(175b)와 반구형지지홈(177a)으로 연결되어 제3 지지관(175)에 대한 지지판(177)의 경사각도 및 경사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것이므로, 굴착부분(12)의 벽면이 수직이 아닌 어느 한쪽으로 경사진 경우, 경사방향에 관계없이 지지판(177)을 굴착부분(12)의 벽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지지판(177)을 굴착부분(12)의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타격고정구(179)의 타격부(179b)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끝이 뾰족한 삽입부(179a)를 굴착부분(12)의 벽면 깊숙이 박게 되면, 지지판(177)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고, 굴착기(100)의 철수시에는 타격부(179b)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형상부(179c)에 도구를 걸어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타격고정구(179)를 굴착부분(12)의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관(172)과 제2 지지관(173)은 탄성부재(174)에 의해 탄력설치된 것이므로, 굴착작업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탄성부재(174)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고, 이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기구(170)가 받침대(110)를 사방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므로, 굴착작업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굴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굴착기 110 : 받침대
111 : 가이드봉 112 : 지지대
120 : 이송대 121 : 가이드부
130 : 구동실린더 140,140A,140B : 굴착관
143 : 흙배출유도판 150 : 드릴
152 : 굴착날 161 : 종동풀리
162 : 벨트 163 : 구동풀리
164 : 감속전동모터 170 : 고정기구

Claims (1)

  1. 도로 굴착부분의 바닥에 고정되고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이 구비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고정되어 도로횡단굴착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봉;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가이드봉에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가이드봉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된 이송대;
    상기 받침대에 실린더몸체가 고정되고 상기 이송대에 실린더로드가 고정되어 이송대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구동실린더;
    상기 도로횡단굴착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이송대에 설치되고 플랜지 이음부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풀리;
    상기 이송대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된 구동풀리;
    상기 이송대에 고정되어 구동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감속전동모터;
    양끝단에 제1 및 제2 플랜지 이음부가 형성된 중공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 나선형의 흙배출유도판을 구비하며, 한쪽의 제1 플랜지 이음부를 상기 종동풀리의 플랜지 이음부와 연결하여 도로 횡단굴착방향으로 설치된 굴착관;
    상기 굴착관의 제2 플랜지 이음부와 연결되는 플랜지 이음부가 형성되고, 땅 굴착을 위한 굴착날이 형성된 드릴;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어 상기 굴착관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받침대의 수직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에 지지되어 받침대의 유동 및 진동을 방지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받침대의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 안둘레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지지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관의 회전을 제한하여 수평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상기 제1 지지관에 일단이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제1 지지관의 걸림턱에 단턱을 걸림유지시킨 제2 지지관;
    상기 제1 지지관 내에 구비되어 제1 지지관과 제2 지지관 사이에 탄력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제2 지지관에 일단이 삽입되고 일측면에 삽입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타단에 구형지지부가 고정된 제3 지지관;
    상기 제2 지지관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지지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제3 지지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를 상기 나사부 끝단에 형성한 고정노브;
    상기 구형지지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반구형지지홈을 형성하고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끝이 뾰족한 복수개의 원추형상돌기를 가지는 지지판;
    상기 구형지지부가 반구형지지홈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지지판에 관통설치되고 도로 굴착부분의 벽면쪽 끝단에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단에는 납작한 형상의 타격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타격고정구; 및
    상기 타격고정구의 타격부에 일체로 형성한 후크형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횡단 굴착기.
KR1020120153501A 2012-12-26 2012-12-26 도로 횡단 굴착기 KR101259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501A KR101259166B1 (ko) 2012-12-26 2012-12-26 도로 횡단 굴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501A KR101259166B1 (ko) 2012-12-26 2012-12-26 도로 횡단 굴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166B1 true KR101259166B1 (ko) 2013-04-30

Family

ID=4844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501A KR101259166B1 (ko) 2012-12-26 2012-12-26 도로 횡단 굴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897A (zh) * 2019-07-09 2019-09-27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大直径卵石复杂地质条件下的顶管施工工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375A (en) * 1978-07-27 1980-02-12 Tone Boring Co Propelling work method and equipment therefor
KR20010070900A (ko) * 2001-06-18 2001-07-27 김대용 토목공사용 매설관 추진삽입장치
KR20050094155A (ko) * 2004-03-22 2005-09-27 주식회사 경전굴착 강관압입 굴착용 수평굴착장치
KR101167276B1 (ko) * 2011-12-28 2012-07-23 (주)신보 비개착식 일체형 루프 구조물 및 이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375A (en) * 1978-07-27 1980-02-12 Tone Boring Co Propelling work method and equipment therefor
KR20010070900A (ko) * 2001-06-18 2001-07-27 김대용 토목공사용 매설관 추진삽입장치
KR20050094155A (ko) * 2004-03-22 2005-09-27 주식회사 경전굴착 강관압입 굴착용 수평굴착장치
KR101167276B1 (ko) * 2011-12-28 2012-07-23 (주)신보 비개착식 일체형 루프 구조물 및 이 시공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897A (zh) * 2019-07-09 2019-09-27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大直径卵石复杂地质条件下的顶管施工工法
CN110284897B (zh) * 2019-07-09 2021-08-27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大直径卵石复杂地质条件下的顶管施工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268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고정장치
KR101259166B1 (ko) 도로 횡단 굴착기
CN112894500A (zh) 一种市政排污管道安装连接前加工系统
CN110165607B (zh) 一种城市地下管廊预制件
CN211151357U (zh) 一种狭窄电缆沟内电缆、光缆敷设工具
CN116658679A (zh) 一种市政污水处理用地埋式管道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213622895U (zh) 一种大直径钢筋混凝土管吊具
CN213561507U (zh) 一种建筑用钢管除锈装置
CN210877698U (zh) 用于安装顶板钻孔支架的固定平台
CN219888886U (zh) 一种天然气埋地管道
CN110315448A (zh) 集输管线支撑定位装置及操作方法
CN211730209U (zh) 固定半径的双壁pvc板带缠绕笼
CN216131486U (zh) 一种给排水管道铺设固定装置
CN219930964U (zh) 一种绿色静钻根植桩施工植桩夹具装置
CN216201130U (zh) 一种水利工程管道支撑装置
CN220950951U (zh) 一种渗压计安装设备
CN220505979U (zh) 一种长距离顶管连接定位装置
CN219453337U (zh) 一种水电工程土石方填挖观测装置
CN219704808U (zh) 一种管道固定加持装置
CN220972421U (zh) 一种磁瓦夹取装置
CN210860072U (zh) 一种便于滑动支撑的工业废水用污水管道支架
CN215806751U (zh) 一种适用于顶管机的管道防偏装置
CN218624097U (zh) 一种钻机用快速精准定位装置
CN113089802B (zh) 一种污水管道顶装接口设备及方法
CN220184203U (zh) 一种给排水安装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