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875B1 -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875B1
KR101258875B1 KR1020130018023A KR20130018023A KR101258875B1 KR 101258875 B1 KR101258875 B1 KR 101258875B1 KR 1020130018023 A KR1020130018023 A KR 1020130018023A KR 20130018023 A KR20130018023 A KR 20130018023A KR 101258875 B1 KR101258875 B1 KR 10125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tting
bodies
flange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
Priority to KR102013001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7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며, 파이프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원하는 절단부위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단작업 도중에 부산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는, 우측과 좌측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제 1,2몸체를 가지며 중간에 파이프 커팅수단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진입홈이 형성된 클램프 몸체와, 상기 클램프 몸체의 하부를 착탈 방식으로 결속시켜 고정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Clamp structure of cutting device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 및 분리작업이 간편하며, 파이프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원하는 절단부위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단작업 도중에 부산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의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톱이나 글라인더 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절단하는 절단기 등의 다양한 공구 및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은 파이프를 절단할 때, 파이프를 절삭하거나 파이프에 전단력을 발생시켜 파이프가 절단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 절삭에 의한 방법으로 파이프를 절단할 때에는 파이프의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이 긴 단점이 있었고, 절삭날에 의해 파이프에 버(Burr)가 발생하여 절삭면이 깨끗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버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단력에 의해 파이프를 절단할 경우에는 파이프의 절단 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장점이 있었으나, 커터가 파이프와 맞닿는 순간에 파이프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원하는 부위를 절단하지 못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에 변형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상품성 및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모터의 힘을 이용한 절단기의 경우에는 고속 회전되는 원형 절단날과 파이프의 절단 부위가 접촉됨에 따라 부산물이 비산되어 작업 장소가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파이프를 바이스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파이프의 찌그러짐 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들 문제점들중 일부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51014호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가이드 부착된 클램프장치"(등록일자 : 2010.11.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 절단부위의 전,후 양측에 클램프가 결합되고 각각의 클램프에 가이드가 부착되어 파이프의 절단 공정 내에서 버(burr) 발생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는 파이프 클램프에 가이드만 부착된 단순 구조로서 버 제거를 위한 추가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반면에, 파이프 절단부위의 전,후 양측에 각각의 클램프를 장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클램프들 및 가이드들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파이프 클램프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787990호 "파이프 절단장치의 클램프"(등록일자 : 2007.12.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드를 절단톱이 진행하는 방향의 반대측에 설치하여 구동축하우징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절단톱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이면서 절단면의 직각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나, 클램프를 구성하는 실린더, 고정부, 죠 등의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버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갖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51014호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가이드 부착된 클램프장치"(등록일자 : 2010.11.1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787990호 "파이프 절단장치의 클램프"(등록일자 : 2007.12.14)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단순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며, 톱날 등의 도구 및 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중에 파이프의 절단부위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단도중에 부산물이 비산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연결편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2몸체를 가지고, 상기 제 1,2몸체의 하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될 경우 상기 제 1,2몸체의 중앙에 파이프의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몸체의 중간에 파이프 커팅수단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진입홈이 형성된 클램프 몸체와,
상기 클램프 몸체의 하부를 착탈 방식으로 결속시켜 상기 고정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2몸체의 하부에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1,2플랜지와, 상기 제 1,2플랜지를 감싸도록 중간부위가 상기 제 1플랜지를 감싸도록 양측단이 상기 제 2플랜지의 양측면을 감싸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양측단과 상기 제 2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중간부위에 관통되어 단부가 상기 제 1플랜지의 일면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2플랜지를 구속시키기 위한 가압볼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파이프의 클램핑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톱날이 진입홈 내부로 진입되는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진입홈의 양측벽에 가이드되면서 절단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정확한 수직 각도로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게 되어 절단시 부산물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a,3b,3c는 본 발명 클램프 구조체와 파이프의 결합 전,후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단순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며, 파이프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원하는 절단부위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단작업 도중에 부산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제 1,2몸체(110,120)를 가지며 중간에 파이프 커팅수단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진입홈(105)이 형성된 클램프 몸체(100)와, 상기 클램프 몸체(100)의 하부를 착탈 방식으로 결속시켜 클램프 몸체(100)를 개폐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2몸체(110,120)는 상단부가 연결편(130)과 연결핀(135)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제 1,2몸체(110,120)는 상단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서로 대응되는 홈이 각각 형성되고, 홈의 내부에 연결편(130)의 단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연결편(130)과 제 1,2몸체(110,120)와의 연결을 위해 연결핀(135)이 핀 결합된다.
또한, 제 1,2몸체(110,120)는 하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될 경우 상기 제 1,2몸체(110,120)의 중앙에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대응되는 원통형 구조의 고정공(10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도 2를 참조하면, 제 1,2몸체(110,120)의 하부에 수직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1,2플랜지(112,122)와, 상기 제 1,2플랜지(112,122)를 감싸도록 중간부위가 상기 제 1플랜지(112)를 감싸도록 양측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 2플랜지(122)의 양측면을 감싸는 연결브라켓(210)과,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양측단과 상기 제 2플랜지(122)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20)를 구비한다.
체결부재(220)는 연결브라켓(210)의 절곡된 양측 단부와 제 2플랜지(12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222)와, 체결볼트(222)의 단부에 체결되어 조임력으로 연결브라켓(210)을 제 1,2플랜지(112,122)를 지지하기 위한 체결너트(224)로 구성된다.
또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중간부위에 관통되어 단부가 상기 제 1플랜지(112)의 일면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2플랜지(112,122)를 구속시키기 위한 가압볼트(2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1플랜지(112)의 일면에는 가압볼트(230)의 선단부가 체결되도록 체결홈(116)이 형성된다.
가압볼트(230)는 제 2플랜지(122)에 체결부재(220)를 매개로 연결브라켓(21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브라켓(210)이 유동되거나, 체결부재(22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제 1,2플랜지(112,122)를 조여서 고정공(102) 내에 수용되는 파이프(10)를 가압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3a에서와 같이, 제 1,2몸체(110,120)의 제 1,2플랜지(112,122)를 양 외측으로 벌릴 경우, 상단부가 연결편(130)과 연결핀(135)연결핀(135)으로 회전 동작되면서 고정공(102)의 입구가 되는 하부가 개방된다.
이때 연결브라켓(210)은 제 2플랜지(122)에 체결볼트(222)를 매개로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어서, 개방된 고정공(102)의 하부를 통해 파이프(10)가 고정공(102)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으며, 도 3b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210)의 중간부위가 제 1플랜지(112)의 일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후에, 파이프(10)가 고정공(102)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제 1,2플랜지(112,122)를 다시 원위치로 오므린다.
이후에, 도 3c에서와 같이, 제 1,2플랜지(112,122)를 오므린 상태에서 가압볼트(230)를 체결홈(116)에 체결시킨다.
이때, 연결브라켓(210)은 절곡된 양측 단부가 체결볼트(222)에 의해 제 2플랜지(122)에 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압볼트(230)가 체결홈(116) 내에 체결됨에 따라 제 1,2플랜지(112,122)의 간격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파이프(10)는 외주면이 고정공(102)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견고하게 파지된다.
이후에, 실제 파이프(10)의 절단공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2몸체(110,120)의 고정공(102) 내에 파이프(10)가 관통되어 축방향으로 결합된 후에는, 제 1,2몸체(110,120)에 고정된 파이프(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파이프 커팅수단(여기서는 톱날(20) 도구를 예로 들기로 한다)을 진입홈(105)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하강시켜 진입홈(105) 내로 진입시키면서 파이프(10)를 절단한다.
한편, 절단이 완료된 파이프(10)는 절단된 파이프(10)의 양측 부위가 제 1,2몸체(110,120)의 고정공(102)에 각각 고정되어 지지된다.
또한, 절단된 양측 파이프(10)를 제 1,2몸체(110,1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도 3a,3b,3c의 조립순서와 역순으로 가압볼트(230)를 체결홈(116)으로부터 체결상태를 해제시킨 후에 연결브라켓(210)을 체결볼트(222)를 매개로 회전시켜 고정공(102)과 파이프(10)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톱날(20)이 진입홈(105) 내부로 진입되는 파이프(10)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톱날(20)이 진입홈(105)의 양측벽에 가이드되면서 절단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정확한 수직 각도로 파이프(10)를 절단할 수 있게 되어 절단시 부산물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파이프(10)의 클램핑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10 : 파이프 20 : 톱날
100 : 클램프 몸체 102 : 고정공
105 : 진입홈 110,120 : 제 1,2몸체
112,122 : 제 1,2플랜지 116 : 체결홈
130 : 연결편 135 : 연결핀
210 : 연결브라켓 220 : 체결부재
222 : 체결볼트 224 : 체결너트
230 : 가압볼트

Claims (3)

  1. 상부가 연결편(130)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2몸체(110,120)를 가지고, 상기 제 1,2몸체(110,120)의 하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될 경우 상기 제 1,2몸체(110,120)의 중앙에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공(10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몸체(110,120)의 중간에 파이프 커팅수단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진입홈(105)이 형성된 클램프 몸체(100)와,
    상기 클램프 몸체(100)의 하부를 착탈 방식으로 결속시켜 상기 고정공(102)을 개폐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2몸체(110,120)의 하부에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1,2플랜지(112,122)와, 상기 제 1,2플랜지(112,122)를 감싸도록 중간부위가 상기 제 1플랜지(112)를 감싸도록 양측단이 상기 제 2플랜지(122)의 양측면을 감싸는 연결브라켓(210)과,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양측단과 상기 제 2플랜지(122)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중간부위에 관통되어 단부가 상기 제 1플랜지(112)의 일면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2플랜지(112,122)를 구속시키기 위한 가압볼트(2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KR1020130018023A 2013-02-20 2013-02-20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KR10125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23A KR101258875B1 (ko) 2013-02-20 2013-02-20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023A KR101258875B1 (ko) 2013-02-20 2013-02-20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875B1 true KR101258875B1 (ko) 2013-04-29

Family

ID=4844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023A KR101258875B1 (ko) 2013-02-20 2013-02-20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8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31Y1 (ko) * 2015-12-23 2017-02-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칼럼 절단기 지지장치
KR200486897Y1 (ko) * 2016-12-13 2018-07-12 권성애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
CN108356724A (zh) * 2018-02-05 2018-08-03 上海汇凯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卡压式管件的无缺陷卡压钳口
CN111360557A (zh) * 2020-04-07 2020-07-03 马鞍山尊马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加油管口变形及垂直度控制用夹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355A (en) * 1976-08-30 1977-12-20 I-T-E Imperial Corporation Cutter for helically corrugated tube for flexible gas insulated cable
JPH0457397U (ko) * 1990-09-26 1992-05-18
KR200388060Y1 (ko) 2005-03-25 2005-06-28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 공급용 배관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355A (en) * 1976-08-30 1977-12-20 I-T-E Imperial Corporation Cutter for helically corrugated tube for flexible gas insulated cable
JPH0457397U (ko) * 1990-09-26 1992-05-18
KR200388060Y1 (ko) 2005-03-25 2005-06-28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 공급용 배관 절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31Y1 (ko) * 2015-12-23 2017-02-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칼럼 절단기 지지장치
KR200486897Y1 (ko) * 2016-12-13 2018-07-12 권성애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
CN108356724A (zh) * 2018-02-05 2018-08-03 上海汇凯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卡压式管件的无缺陷卡压钳口
CN111360557A (zh) * 2020-04-07 2020-07-03 马鞍山尊马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加油管口变形及垂直度控制用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875B1 (ko) 파이프 절단용 클램프 구조체
US20080168667A1 (en) Portable cutting device with guiding guard
MXPA05013534A (es) Accesorio para maquinas herramienta.
US9789625B2 (en) Separating device for a machine tool
PL182063B1 (pl) Urzadzenie do ciecia i fazowania rur PL PL
US8696411B1 (en) Setup platform apparatus for bench and pedestal grinders
US7886640B2 (en) Rotational cutting machine
JP6771957B2 (ja) 引留クランプのジャンパー線接続部の切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送電線張替え又は撤去工法
CN111097958B (zh) 管制造工具、刀片防护系统和夹持系统
JP5840474B2 (ja) コンプレッサ解体装置及び解体方法
WO2017098979A1 (ja) 丸鋸刃の振れを抑えることができる丸鋸盤
CA2942415C (en) Retaining pin installation/removal tool and method
US9884429B2 (en) Band cutter
KR200409613Y1 (ko) 파이프의 절단부 가공장치
US10603762B2 (en) Machining guide assembli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JP5466275B1 (ja) フランジナット取外機
KR101547294B1 (ko) 선박건조용 철판 가공장치
CN215969195U (zh) 一种具有保护结构的圆盘锯
JP2019063922A (ja) プーリ抜取装置
JP2013031931A (ja) 携帯式作業機
EP3049317A1 (fr) Gabarit de retouche d'un element d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KR20100118025A (ko) 나사산 가공장치
KR200476444Y1 (ko)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용 클램프
CN205703350U (zh) 一种方便夹持多个小试样的锯床夹具
KR101341952B1 (ko) 다기능 면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