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835B1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8835B1 KR101258835B1 KR1020120132196A KR20120132196A KR101258835B1 KR 101258835 B1 KR101258835 B1 KR 101258835B1 KR 1020120132196 A KR1020120132196 A KR 1020120132196A KR 20120132196 A KR20120132196 A KR 20120132196A KR 101258835 B1 KR101258835 B1 KR 101258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mbrella
- insertion space
- space
- fabric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6—Removable covering devices, e.g. pliable or flex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the open air; in pans or tables in rooms; Drying stacks of loose material on floors which may be covered, e.g. by a roof
- F26B9/10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the open air; in pans or tables in rooms; Drying stacks of loose material on floors which may be covered, e.g. by a roof using fixed or removable drying air channels placed in the stack, e.g. horizontally or vertically
- F26B9/1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the open air; in pans or tables in rooms; Drying stacks of loose material on floors which may be covered, e.g. by a roof using fixed or removable drying air channels placed in the stack, e.g. horizontally or vertically the channels to be inserted into the stack, e.g. after its form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대에 연결된 우산살과 우산살에 연결된 우산원단이 구비된 우산에서,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설치공간이 마련된 형상을 가진 본체하우징; 본체하우징의 설치공간의 중앙부분에 우산대가 삽입되는 우산대삽입공간이 마련되고, 우산대삽입공간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우산원단삽입공간이 마련되도록, 설치공간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의 구획지지부재가 구비된 구획지지부; 및 구획지지부를 감싸게 설치되어, 우산이 우산대삽입공간과 우산원단삽입공간으로 삽입될 경우에 우산원단과 접촉되면서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토록 제공된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산의 빗물을 흡착하는 흡수부재가 내장되어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특1999-10000001호에는 우산비닐주머니 장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장마나 태풍으로 연일 내리는 비 때문에 우산 마를 일이 없는 철에 가게마다 입구를 지키는 물건이 있다. 바로 '우산 비닐포장기'. 젖은 우산으로 말미암은 미끄럼 사고나 불쾌함을 방지하고, 깨끗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우산 포장은 필수다.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로 말미암아 생기는 뒤처리 비용과 비교한다면 장당 15원에서 22원 사이의 일회용 포장비닐은 저렴한 편일지도 모른다. 일반 상점, 학교, 관공서 등 사람이 많이 오가는 곳에선 어지간하면 비닐 포장기를 비치하고 있다. 2009년부터는 서울 지하철에도 포장기를 배치해 연간 2만 장의 우산 포장비닐을 소비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특1999-10000001호에 개시된 우산비닐주머니 장착장치는 우천시 비닐을 우산에 씌워 건물 내부에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고, 포장 비닐에 저장된 빗물이 건물내부에 떨어져 청소 등 유지관리가 불편하다.
일반적으로, 우산비닐주머지 장착장치에 설치되는 포장비닐은 말 그대로 '일회용'이다. 건물 입구에서 우산을 포장하고, 나갈 때는 우산을 펴기 위해 포장 비닐을 버린다. 다른 건물에 들어갈 때는 또다시 포장하고, 나가면서 다시 버리는 일이 반복된다.
즉, 종래의 우산비닐주머지 장착장치는 비닐봉투가 소진되기 전에 비닐봉투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하고, 관리자가 수시로 비닐봉투의 소진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사용한 비닐봉투는 1회용으로서 배출에 따른 쓰레기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비닐봉투를 지속적으로 구매하여야 하므로 해마다 천문학적인 유지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매장에 잠깐 들어왔다 나가더라도 비닐우산 포장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닐 쓰레기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우산 포장 비닐의 성분은 '고밀도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닐봉지, 농업용 비닐과 같은 재질이다. 요즘은 비닐도 높은 재활용률을 보이고 있지만 소각하거나 묻을 때에는 대기, 토양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농업용 비닐의 처리 문제로도 골머리를 앓는 상황에서, 늘어가는 우산 포장비닐 사용량을 가볍게 보아 넘길 일은 아니다. 이에, 우산에 씌워졌던 비닐은 사용후에는 쓰레기에 불과하여 자원적, 환경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우산이 비닐에 둘러싸인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사용 후에도 우산에 여전히 물방울이 남아 있는 점, 우산 비닐을 사용해도 가방에 넣거나 하긴 힘들어서 실내에 들어와서도 여전히 손에 들고다녀야 한다는 점이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우산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하여, 포장비닐이 없는 상태에서도 우산의 실내반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대에 연결된 우산살과 우산살에 연결된 우산원단이 구비된 우산에서,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설치공간이 마련된 형상을 가진 본체하우징; 본체하우징의 설치공간의 중앙부분에 우산대가 삽입되는 우산대삽입공간이 마련되고, 우산대삽입공간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우산원단삽입공간이 마련되도록, 설치공간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의 구획지지부재가 구비된 구획지지부; 및 구획지지부를 감싸게 설치되어, 우산이 우산대삽입공간과 우산원단삽입공간으로 삽입될 경우에 우산원단과 접촉되면서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토록 제공된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획지지부재는 일단이 우산대삽입공간에 위치되는 기준플레이트; 일단이 기준플레이트의 타단에 조립되어, Y자형 횡단면을 가지도록 기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 1 홈과 제 2 홈이 마련된 한쌍의 측면플레이트;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타단에 설치되어, 한쌍의 측면플레이트를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 삼각 단면을 가지며, 기준플레이트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상단을 덮도록 설치되고,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된 상부커버; 및 삼각 단면을 가지며, 기준플레이트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하단을 덮도록 설치된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구획지지부는 복수의 구획지지부재의 기준플레이트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면서 우산대삽입공간을 형성하고, 복수의 구획지지부재의 어느 일 구획지지부재와 이에 인접한 다른 구획지지부재 사이에 우산원단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하우징의 내부는 본체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 공간인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기준플레이트는 본체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수부는 PVA((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알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서 제 1 홈과 제 2 홈을 메우도록 복수 개가 적층되어 설치된 제 1 흡수부재; 및 구획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흡수부재의 외면을 둘러싸고, 상단이 상부커버의 일부분을 덮고 하단이 하부커버의 일부분을 덮도록 고정된 제 2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획지지부재의 하부커버들을 둘러싸도록 연결되어, 우산이 우산대삽입공간으로 삽입된 경우에 흡수부가 우산에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제공된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우산이 우산대삽입공간으로의 삽입을 감지하는 물체인식감지센서; 및 설치공간과 연결되도록 본체하우징에 설치되고, 물체인식감 지센서에 연결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는 우산이 우산대삽입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물체인식감지센서가 온(ON) 상태가 되면, 우산대삽입공간과 우산원단삽입공간에 삽입된 우산에 존재하는 물이 흡수부로 이동되도록, 우산대삽입공간과 우산원단삽입공간의 공기가 흡수부로 이동되도록 공기를 흡입하고, 우산이 상기우산대삽입공간에서 이탈됨에 따라 물체인식감지센서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작동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체인식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우산의 우산대삽입공간으로의 삽입유무 및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 및 설치공간과 연결되도록 본체하우징에 설치되고, 작동스위치에 연결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는 작동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면, 우산대삽입공간과 우산원단삽입공간에 삽입된 우산에 존재하는 물이 흡수부로 이동되도록, 우산대삽입공간과 우산원단삽입공간의 공기가 흡수부로 이동되도록 공기를 흡입하고, 작동스위치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우산대삽입공간과 우산원단삽입공간 내의 공기를 흡수부로 흡입하는 작동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흡수부재를 통해 우산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포장비닐에 우산을 씌운 상태에서 우산이 반입되는 경우에도 실내바닥에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우산에 잔존하는 빗물을 대부분 제거함으로써 우산을 별도로 펼친 상태에서 우산을 건조할 필요가 없어 우산의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포장비닐을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포장비닐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포장비닐에 의한 쓰레기 발생 및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생성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포장비닐에 젖은 우산을 넣었을 때, 포장비닐의 하부에 발생하는 빗물로 인한 미관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우산이 설치된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진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본체하우징에 설치되기 전의 구획지지부와 이에 설치된 흡수부에 대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B-B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지지부재에 흡수부가 설치된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조립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조립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본체하우징에 설치되기 전의 구획지지부와 이에 설치된 흡수부에 대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B-B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지지부재에 흡수부가 설치된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조립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조립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일반적으로, 우산(10)은 우산대, 우산대에 연결된 우산살, 우산살을 덮으며 방수와 발수 기능이 구비된 우산원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우천시,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본체하우징(110), 구획지지부(120), 흡수부(130)와 탄성링(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하우징(110)에는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설치공간(111)이 마련된다. 본체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에는 구획지지부(120)가 설치된다. 이때, 설치공간(111)은 본체하우징(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 형상을 가진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본체하우징(11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지지부(120)는 본체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에 설치되어, 흡수부(130)가 설치되는 부재임과 동시에 본체하우징(110)으로 우산(10)이 삽입된 경우 우산(10)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지지부(120)는 복수의 구획지지부재(121)가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이때, 복수의 구획지지부재(121)는 본체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의 중앙부분에 우산대가 삽입되는 우산대삽입공간(115)이 마련되고, 우산대삽입공간(115)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우산원단삽입공간(116)이 마련되도록 상호 간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구획지지부재(121)에는 흡수부(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우산대삽입공간(115)은 후술할 복수의 구획지지부재(121)가 방사형으로 배치됨에 따라 기준플레이트(122)의 일단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고, 우산원단삽입공간(116)은 복수의 구획지지부재(121)의 어느 일 구획지지부재(121)의 상부커버(125)와 이에 인접한 다른 구획지지부재의 상부커버(125)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지지부재(121)는 기준플레이트(122),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 고정플레이트(127), 상부커버(125)와 하부커버(12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준플레이트(122)는 일단이 우산대삽입공간(115)에 위치되고 타단이 본체하우징(110)의 내주면을 향해 위치되도록 본체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에 설치되어, 흡수부(13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플레이트(122)는 기준플레이트(122)의 타단이 기준플레이트(122)의 일단에 대해 본체하우징(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플레이트(122)의 타단에는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가, 기준플레이트(122)에 대해 Y자형 횡단면을 가지도록 연결된다. 이때,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는 우산(10)이 접혀진 상태에서 우산(10)에 마련된 복수의 우산살이 연결된 각도에 부합되도록 기준플레이트(122)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준플레이트(122)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 사이에는 제 1 흡수부재(131)가 설치되는 제 1 홈(121a)과 제 2 홈(121b)이 마련된다.
그리고,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의 타단에는 고정플레이트(127)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플레이트(127)는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본체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준플레이트(122)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의 상단에는 상부커버(125)가 설치되고, 기준플레이트(122)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의 하단에는 하부커버(126)가 설치된다.
상부커버(125)는 기준플레이트(122)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의 상부를 덮는 부재로서, 삼각 단면을 가진 형상이다. 복수의 구획지지부재(121)에 연결된 각각의 상부커버(125)는 상부고정링(128)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커버(126)는 상기 상부커버(125)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진 삼각 단면을 가진 형상이고, 기준플레이트(122)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의 하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구획지지부재(121)의 하부커버(126)에는 탄성링(140)이 설치된다.
탄성링(140)은 원형 고리형상을 가지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탄성링(140)은 복수의 구획지지부재(121)의 하부커버(126)들을 둘러싸도록 연결되어, 복수의 구획지지부재(121)들이 본체하우징(110)의 중심부분을 향해 조여주는 역할을 하여, 우산(10)이 우산대삽입공간(115)으로 삽입된 경우에 구획지지부재(121)에 설치된 흡수부(130)가 우산(10)에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우산꼭지가 하부커버(126)에 설치된 제 2 흡수부재(132)를 통과할 때, 우산꼭지에 존재하는 빗물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지지부재(121)는 우산(10)이 우산대삽입공간(1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116)으로 삽입될 경우에 우산원단과 접촉되면서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토록 제공된 부재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부(130)는 상기 구획지지부재(121)의 기준플레이트(122)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를 둘러싸게 상기 구획지지부재(12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수부(130)는 제 1 흡수부재(131)와 제 2 흡수부재(1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흡수부재(131)는 친수성 재질을 가지며 수분흡수량이 우수한 PVA(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알콜)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25)와 하부커버(126) 사이에서, 제 1 홈(121a)과 제 2 홈(121b)을 메우도록 기준플레이트(122)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에 설치된다.
이때, 제 1 흡수부재(131)는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습하는 경우에, 기준플레이트(122)와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 1 흡수부재(131)의 외면에는 제 2 흡수부재(132)가 설치되는데, 이때, 제 2 흡수부재(132)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플레이트(122)의 일단과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를 둘러싸 전체적으로는 제 1 흡수부재(131)를 둘러싸도록 상기 구획지지부재(121)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 2 흡수부재(132)는 제 1 흡수부재(131)가 구획지지부재(121)의 제 1 홈(121a) 및 제 2 홈(121b)에 채워진 상태에서 기준플레이트(122)의 일단과 한쌍의 측면플레이트(123a, 123b)의 타단을 둘러싸는 구조로 구획지지부재(121)에 설치되어, 우산(10)이 우산대삽입공간(1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116)에 삽입될 때, 우산(10)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원단과 우산원단의 사이에 마련된 접힘부분이 상기 기준플레이트(122)의 일단을 감싼 제 2 흡수부재(132)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우산(10)의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흡수부재(132)는 우산(10)이 우산대삽입공간(115)에 삽입될 때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삽입공간(115)방향에서 상부커버(125)와 하부커버(126)를 둘러싸도록 구획지지부재(121)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흡수부재(132)는 땀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초기흡수가 우수한 스포츠 용품에 널리 이용되는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를 사용하여,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산(10)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10)의 꼭지를 우산대삽입공간(115)으로 밀어넣으면, 이때 우산(10)의 우산대 부분은 우산대삽입공간(115)으로 우산(10)의 우산원단은 우산원단삽입공간(116)에 위치된다.
이때, 우산원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지지부재(121)의 제 2 흡수부재(132)와 접촉되면서, 제 2 흡수부재(132)에 의해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이 일차적으로 흡수된 후, 이차적으로 제 1 흡수부재(131)에 의해 흡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우산(10)이 우산대삽입공간(115)에서 하부커버부분을 통과할 때 탄성링(140)에 의해 압박되어, 흡수부(130)가 보다 용이하게 우산원단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우산(10)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에 두번 내지 세번 정도 반복적으로 상하로 이동시켜 우산(10)이 흡수부(130)와의 접촉되게 하여,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이 흡수부(130)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흡수부(130)를 통해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포장비닐에 우산(10)을 씌운 상태에서 우산(10)을 반입할 필요도 없고, 이에 따라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이 실내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을 대부분 제거함으로써 우산(10)을 별도로 펼친 상태에서 우산(10)을 건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포장비닐을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포장비닐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포장비닐에 의한 쓰레기 발생 및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생성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포장비닐에 젖은 우산(10)을 넣었을 때, 포장비닐의 하부에 발생하는 빗물로 인한 미관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진 본체하우징(210), 복수의 구획지지부재(221)로 이루어진구획지지부(220), 흡수부(230)와 탄성링(24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작동스위치(260)와 구동부(2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스위치(260)는 본체하우징(210)의 외면에 설치된다. 이때, 작동스위치(260)는 구동부(250)에 연결되어, 구동부(250)의 작동을 조작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250)는 흡입호스(252)와 구동모터(25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251)는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고, 흡입호스(252)가 연결된다.
여기서, 흡입호스(252)는 일단이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타단이 구동모터(251)에 연결된다. 구동모터(251)의 작동시, 설치공간 내의 공기는 흡입호스(252)를 통해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경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스위치(260)가 온(ON) 상태가 되면 구동모터(251)가 작동되고, 구동모터(251)의 작동시 우산대삽입공간(2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216)의 공기는 흡입호스(252)로 흡입된다. 이때,
우산대삽입공간(2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216)에 삽입된 우산(10)에 존재하는 물은 구동모터(251)에 의해 흡입호스(252)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우산원단에서 흡수부(230)의 제 2 흡수부재(232)로 흡수되고, 제 2 흡수부재(232)로 흡수된 빗물은 제 1 흡수부재(231)로 스며들게 된다.
한편, 작동스위치(260)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구동모터(251)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우산대삽입공간(2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216) 내의 공기가 흡입호스(252)로 흡입되는 과정이 중지되고, 이때,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은 제 1 흡수부재(231)와 제 2 흡수부재(232)의 재질에 의한 특성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 2 흡수부재(232)에 흡수된 후, 제 1 흡수부재(231)로 흡수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200)는 구동부(250)를 사용하여, 우산(10)이 우산대삽입공간(2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216)에 삽입되어 있을 때, 우산대삽입공간(2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216)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구동함으로써, 제 1 흡수부재(231)와 제 2 흡수부재(232)가 보다 용이하게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할 수 있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진 본체하우징(310), 복수의 구획지지부재(321)로 이루어진 구획지지부(320), 흡수부(330)와 탄성링(34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물체인식감지센서, 구동부(350)와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체인식감지센서(390)는 우산(10)이 우산대삽입공간(315)으로의 삽입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본체하우징(310)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하우징(310)의 외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380)이 설치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380)은 물체인식감지센서(390)에 연결되어 우산(10)의 우산대삽입공간(315)으로의 삽입유무를 표시하고, 구동부(350)의 작동시 구동부(35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350)는 흡입호스(352)와 구동모터(35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351)는 본체하우징(310)에 설치되고, 흡입호스(352)가 연결된다. 여기서, 흡입호스(352)는 일단이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타단이 구동모터(351)에 연결된다. 구동모터(351)의 작동시, 설치공간 내의 공기는 흡입호스(352)를 통해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경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우산(10)이 우산대삽입공간(315)으로 삽입됨에 따라 물체인식감지센서(390)가 온(ON) 상태가 되면 구동모터(351)가 작동되고, 구동모터(351)의 작동시 우산대삽입공간(3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316)의 공기는 흡입호스(352)로 흡입된다. 이때, 우산대삽입공간(3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316)에 삽입된 우산(10)에 존재하는 물은 구동모터(351)에 의해 흡입호스(352)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우산원단에서 흡수부(330)의 제 2 흡수부재(332)로 흡수되고, 제 2 흡수부재(332)로 흡수된 빗물은 제 1 흡수부재(331)로 스며들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351)는 우산(10)이 상기우산대삽입공간(315)에서 이탈됨에 따라 물체인식감지센서(390)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작동이 정지된다. 이때, 즉, 구동모터(351)의 작동 정지시, 우산대삽입공간(3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316) 내의 공기가 흡입호스(352)로 흡입되는 과정이 중지되고,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은 제 1 흡수부재(331)와 제 2 흡수부재(332)의 재질에 의한 특성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 2 흡수부재(332)에 흡수된 후, 제 1 흡수부재(331)로 흡수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300)는 우산(10)을 우산대삽입공간(315)과 우산원단삽입공간(316)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구동모터(351)가 작동되어, 구동모터(351)의 흡입력에 의해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물이 보다 용이하게 제 2 흡수부재(332)를 경유하여 제 1 흡수부재(331)로 흡수될 수 있고,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의 흡수정도가 디스플레이패널(380)에 표시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게 우산(10)에 잔존하는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우산 빗물 제거장치 110, 210, 310: 본체하우징
115: 우산대삽입공간 116: 우산원단삽입공간
120: 구획지지부 121: 구획지지부재
122: 기준플레이트 123a, 123b: 측면플레이트
125: 상부커버 126: 하부커버
130: 흡수부 131: 제 1 흡수부재
132: 제 2 흡수부재 140: 탄성링
115: 우산대삽입공간 116: 우산원단삽입공간
120: 구획지지부 121: 구획지지부재
122: 기준플레이트 123a, 123b: 측면플레이트
125: 상부커버 126: 하부커버
130: 흡수부 131: 제 1 흡수부재
132: 제 2 흡수부재 140: 탄성링
Claims (8)
- 삭제
- 우산대에 연결된 우산살과 상기 우산살에 연결된 우산원단이 구비된 우산에서,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하기 위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된 설치공간이 마련된 형상을 가진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설치공간의 중앙부분에 상기 우산대가 삽입되는 우산대삽입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우산대삽입공간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우산원단삽입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의 구획지지부재가 구비된 구획지지부; 및
상기 구획지지부를 감싸게 설치되어, 상기 우산이 상기 우산대삽입공간과 상기 우산원단삽입공간으로 삽입될 경우에 상기 우산원단과 접촉되면서 상기 우산원단에 잔존하는 빗물을 흡수토록 제공된 흡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획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우산대삽입공간에 위치되는 기준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기준플레이트의 타단에 조립되어, Y자형 횡단면을 가지도록 상기 기준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 1 홈과 제 2 홈이 마련된 한쌍의 측면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
삼각 단면을 가지며, 상기 기준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상단을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된 상부커버; 및
삼각 단면을 가지며, 상기 기준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측면플레이트의 하단을 덮도록 설치된 하부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구획지지부재의 기준플레이트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우산대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지지부재의 어느 일 구획지지부재와 이에 인접한 다른 구획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우산원단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형 공간인 상기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기준플레이트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PVA((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알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서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을 메우도록 복수 개가 적층되어 설치된 제 1 흡수부재; 및
상기 구획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흡수부재의 외면을 둘러싸고, 상단이 상기 상부커버의 일부분을 덮고 하단이 상기 하부커버의 일부분을 덮도록 고정된 제 2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지지부재의 하부커버들을 둘러싸도록 연결되어, 상기 우산이 상기 우산대삽입공간으로 삽입된 경우에 상기 흡수부가 상기 우산에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제공된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이 상기 우산대삽입공간으로의 삽입을 감지하는 물체인식감지센서; 및
상기 설치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물체인식감지센서에 연결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우산이 상기 우산대삽입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물체인식감지센서가 온(ON) 상태가 되면, 상기 우산대삽입공간과 상기 우산원단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우산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흡수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우산대삽입공간과 상기 우산원단삽입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수부로 이동되도록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우산이 상기우산대삽입공간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물체인식감지센서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인식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우산의 상기 우산대삽입공간으로의 삽입유무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 및
상기 설치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스위치에 연결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작동스위치가 온(ON) 상태가 되면, 상기 우산대삽입공간과 상기 우산원단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우산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흡수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우산대삽입공간과 상기 우산원단삽입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수부로 이동되도록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작동스위치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상기 우산대삽입공간과 상기 우산원단삽입공간 내의 공기를 상기 흡수부로 흡입하는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2196A KR101258835B1 (ko) | 2012-11-21 | 2012-11-21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2196A KR101258835B1 (ko) | 2012-11-21 | 2012-11-21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8835B1 true KR101258835B1 (ko) | 2013-05-06 |
Family
ID=4866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2196A KR101258835B1 (ko) | 2012-11-21 | 2012-11-21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883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0092B1 (ko) * | 2019-01-21 | 2019-10-08 | 주식회사 서광시스템 | 우산 탈수장치 |
KR102102747B1 (ko) * | 2019-04-16 | 2020-05-29 | 이재준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KR102343299B1 (ko) * | 2020-07-20 | 2021-12-28 |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 우산 빗물제거 기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63284A (ja) | 2007-08-09 | 2009-03-26 | Ots:Kk | 傘の滴取り器 |
JP2010078316A (ja) | 2008-04-21 | 2010-04-08 | Natori Kimiko | 雨傘除水機用弾性吸収体 |
JP2012052749A (ja) | 2010-09-02 | 2012-03-15 | Sho Akiyama | 傘のしずく取り装置 |
-
2012
- 2012-11-21 KR KR1020120132196A patent/KR1012588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63284A (ja) | 2007-08-09 | 2009-03-26 | Ots:Kk | 傘の滴取り器 |
JP2010078316A (ja) | 2008-04-21 | 2010-04-08 | Natori Kimiko | 雨傘除水機用弾性吸収体 |
JP2012052749A (ja) | 2010-09-02 | 2012-03-15 | Sho Akiyama | 傘のしずく取り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0092B1 (ko) * | 2019-01-21 | 2019-10-08 | 주식회사 서광시스템 | 우산 탈수장치 |
KR102102747B1 (ko) * | 2019-04-16 | 2020-05-29 | 이재준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KR102343299B1 (ko) * | 2020-07-20 | 2021-12-28 | 주식회사 하나시스템 | 우산 빗물제거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8835B1 (ko)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
KR20170140517A (ko)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
US9643777B2 (en) | Inflatable refuse containers and methods of use | |
US5822806A (en) | Wall mounted waste receptacle | |
KR20170067327A (ko) |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 |
JP4408140B2 (ja) | 雨傘除水機 | |
KR20180001838A (ko) | 우산 빗물제거 탈수장치 | |
US20130306639A1 (en) | Trash Receptacle With Vacuum Release Vents | |
KR20120096750A (ko) | 우산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 |
US7003908B2 (en) | Self-erecting device | |
CN109700145A (zh) | 一种可压缩的雨伞沥水套 | |
WO2004104302A1 (en) | Self erecting device | |
KR101355955B1 (ko) | 우산 물기 제거 장치 | |
US6938366B2 (en) | Self-erecting device with debris collecting feature | |
EP3300478A1 (en) | Vacuum cleaner envelope | |
KR200441409Y1 (ko) | 분리대가 구성된 실내화 주머니 | |
KR20030016633A (ko) | 휴대용 진공청소기 | |
KR20060099228A (ko) | 젖은 우산 수분 제거장치 | |
KR20150078370A (ko) | 우산건조장치 | |
KR20200049061A (ko) | 친환경 우산 빗물제거장치 | |
CN2631425Y (zh) | 多功能护鞋机 | |
CN105919512A (zh) | 一种电子垃圾桶 | |
CN206433865U (zh) | 一种可调节大小的鞋套 | |
KR20210067528A (ko) | 우산 빗물 제거 장치 | |
KR20200114539A (ko) | 이동식 우산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