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427B1 -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427B1
KR101258427B1 KR1020130019679A KR20130019679A KR101258427B1 KR 101258427 B1 KR101258427 B1 KR 101258427B1 KR 1020130019679 A KR1020130019679 A KR 1020130019679A KR 20130019679 A KR20130019679 A KR 20130019679A KR 101258427 B1 KR101258427 B1 KR 101258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browser
screen
multimedia content
playback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김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3001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될 예정이었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크기로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표시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기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load)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MULTIMEDIA CONTENTS CONTROL BASED BROWSER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웹 브라우저에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단말 기기가 출시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운영체제가 등장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웹 브라우저도 등장하고 있다.
기존에는 단말의 종류가 최근과 같이 다양하지 않고, 운영체제 또한 다양하지 못한 점이 있어서, 소수의 웹 브라우저만이 사용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그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호환성 문제가 크게 대두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웹 브라우저가 출시됨에 따라, 웹 브라우저 별로 서로 다른 브라우저 엔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웹 사이트에 대한 호환성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웹 브라우저를 통해 동영상이나 음악과 같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되는 경우, 웹 브라우저의 브라우저 엔진에 따라 어떤 웹 브라우저에서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5 규격이 발표됨에 따라, HTML5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일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에서는 이러한 HTML5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원하지 못하는 웹 브라우저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될 예정이었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크기로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표시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기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load)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웹 브라우저 상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될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원 판단부,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의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연관된 렌더링 위치와 렌더링 크기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렌더링 크기에 대응되는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렌더링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오버레이(overlay)시키는 재생창 구성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load)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콘텐츠 재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은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웹 브라우저 상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될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의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연관된 렌더링 위치와 렌더링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렌더링 크기에 대응되는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렌더링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오버레이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될 예정이었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크기로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시켜 표시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기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load)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110)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1), 지원 판단부(112), 위치 확인부(113), 재생창 구성부(114),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15) 및 콘텐츠 재생부(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110)는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태블릿 PC 등 웹 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장치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1)에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1)에는 동영상 재생을 지원하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이나, 음악 재생을 지원하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지원 판단부(112)는 웹 브라우저 상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될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원 판단부(112)는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링크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지정된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웹 브라우저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서 사용되는 웹 브라우저이고, 상기 웹 브라우저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5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웹 브라우저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한 결과,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ML5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된 경우, 지원 판단부(112)는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링크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지정된 HTML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HTML5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것으로 확인한 후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웹 브라우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 확인부(113)는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의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연관된 렌더링 위치와 렌더링 크기를 확인한다.
보통, 웹 브라우저 상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되는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의 HTML 태그를 통해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될 위치와 크기가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확인부(113)는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의 HTML 태그를 분석한 후 상기 HTML 태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될 지점이었던 위치와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될 예정이었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연관된 렌더링 위치와 렌더링 크기의 확인이 완료되면, 재생창 구성부(114)는 상기 확인된 렌더링 크기에 대응되는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렌더링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오버레이(overlay)시킨다.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15)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콘텐츠 재생부(116)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load)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관련하여,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110)를 통해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치 확인부(113)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태그를 분석하여 웹 브라우저의 화면(210) 상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될 지점이었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재생창 구성부(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인된 크기에 대응되는 재생창(220)을 구성하여 웹 브라우저의 화면(210) 상의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해 재생창(220)을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확인부(115)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고, 콘텐츠 재생부(116)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여 재생창(220)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110)는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될 예정이었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크기로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 위에 겹쳐서 표시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기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110)는 웹 브라우저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오버레이된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더라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재생창은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오버레이되어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스크롤(scroll)하거나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등과 같이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과 상기 재생창의 화면은 서로 어긋나게 되거나 부정합(mismatch)이 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이 변경되더라도,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재생창이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원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명령어 라이브러리부(117), 브라우저 화면 제어부(118), 결과 정보 생성부(119) 및 재생창 제어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명령어 라이브러리부(117)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과 연관된 복수의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다.
브라우저 화면 제어부(118)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과 연관된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제1 화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제1 화면 변경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1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을 제어한다.
결과 정보 생성부(119)는 상기 제1 이벤트 처리 명령어의 호출에 따른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 결과와 연관된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재생창 제어부(120)는 상기 생성된 결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변경한다.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 사례 중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스크롤할 때와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 크기를 변경할 때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이 변경되는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어 라이브러리부(117)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을 좌우로 스크롤하거나 상하로 스크롤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브라우저 화면 제어부(118)는 명령어 라이브러리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결과 정보 생성부(119)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스크롤 이동 정보를 생성하여 재생창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재생창 제어부(120)는 상기 스크롤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화면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웹 브라우저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1cm 스크롤된 경우, 결과 정보 생성부(119)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1cm 스크롤 이동과 연관된 스크롤 이동 정보를 생성하여 재생창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재생창 제어부(120)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1cm 스크롤 이동과 연관된 스크롤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오버레이되어 있는 상기 재생창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1cm 스크롤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어 라이브러리부(117)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과 연관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케일(scale) 이벤트 처리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과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브라우저 화면 제어부(118)는 명령어 라이브러리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결과 정보 생성부(119)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 결과에 대응되는 크기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재생창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재생창 제어부(120)는 상기 크기 변경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 크기가 사각형의 화면 꼭짓점을 기준으로 각 1cm씩 확대된 경우, 결과 정보 생성부(119)는 상기 웹 브라우저가 각 꼭짓점을 기준으로 1cm씩 확대된 것과 연관된 크기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재생창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재생창 제어부(120)는 각 꼭짓점을 기준으로 1cm씩 확대된 것과 연관된 크기 변경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오버레이되어 있는 상기 재생창의 크기를 각 꼭짓점을 기준으로 1cm씩 확대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110)는 웹 브라우저 상에 소정의 재생창을 오버레이시켜 상기 웹 브라우저가 재생하지 못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용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시키되,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화면 변경에 따른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오버레이되어 있는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 변경에 대응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310)에서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를 유지한다.
단계(S320)에서는 웹 브라우저 상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될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20)에서는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링크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지정된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단계(S330)에서 단계(S320)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 결과,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 과정은 종료된다.
하지만, 단계(S330)에서 단계(S320)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 결과,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S340)에서는 상기 웹 브라우저의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연관된 렌더링 위치와 렌더링 크기를 확인한다.
단계(S350)에서는 상기 확인된 렌더링 크기에 대응되는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렌더링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오버레이시킨다.
단계(S360)에서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단계(S370)에서는 상기 확인된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은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과 연관된 복수의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라이브러리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과 연관된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제1 화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제1 화면 변경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1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벤트 처리 명령어의 호출에 따른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 결과와 연관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결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 라이브러리부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스크롤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화면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명령어 라이브러리부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과 연관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케일 이벤트 처리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과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스케일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 결과에 대응되는 크기 변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크기 변경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은 도 1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111: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112: 지원 판단부
113: 위치 확인부 114: 재생창 구성부
115: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116: 콘텐츠 재생부
117: 명령어 라이브러리부 118: 브라우저 화면 제어부
119: 결과 정보 생성부 120: 재생창 제어부

Claims (11)

  1.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웹 브라우저 상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될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원 판단부;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의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연관된 렌더링 위치와 렌더링 크기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렌더링 크기에 대응되는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렌더링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오버레이(overlay)시키는 재생창 구성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load)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콘텐츠 재생부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판단부는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링크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지정된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과 연관된 복수의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라이브러리부;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과 연관된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제1 화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제1 화면 변경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1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브라우저 화면 제어부;
    상기 제1 이벤트 처리 명령어의 호출에 따른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 결과와 연관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결과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결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변경하는 재생창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라이브러리부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브라우저 화면 제어부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을 제어하고,
    상기 결과 정보 생성부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스크롤 이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창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재생창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화면 스크롤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라이브러리부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과 연관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케일(scale) 이벤트 처리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브라우저 화면 제어부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과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스케일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을 제어하고,
    상기 결과 정보 생성부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 결과에 대응되는 크기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창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재생창 제어부는
    상기 크기 변경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크기를 변경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6.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웹 브라우저 상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링크될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의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연관된 렌더링 위치와 렌더링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렌더링 크기에 대응되는 재생창을 구성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 상의 상기 확인된 렌더링 위치에 대해 상기 재생창을 오버레이(overlay)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로드(load)하여 상기 재생창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 상에 링크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지정된 태그를 분석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과 연관된 복수의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라이브러리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과 연관된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제1 화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제1 화면 변경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1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벤트 처리 명령어의 호출에 따른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 결과와 연관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결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라이브러리부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스크롤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을 제어하고,
    상기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스크롤과 연관된 스크롤 이동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이동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화면 스크롤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라이브러리부에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과 연관된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케일(scale) 이벤트 처리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과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벤트 처리 명령어들 중 상기 스케일 이벤트 처리 명령어를 호출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을 제어하고,
    상기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웹 브라우저에 대한 화면의 크기 변경 결과에 대응되는 크기 변경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재생창의 출력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크기 변경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창의 크기를 변경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30019679A 2013-02-25 2013-02-25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258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679A KR101258427B1 (ko) 2013-02-25 2013-02-25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679A KR101258427B1 (ko) 2013-02-25 2013-02-25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427B1 true KR101258427B1 (ko) 2013-04-26

Family

ID=4844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679A KR101258427B1 (ko) 2013-02-25 2013-02-25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4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151A (ja) 2000-03-02 2001-09-07 Nec Corp ブラウザ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60019862A (ko) * 2004-08-30 2006-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브라우저에서 지원되지 않는 이미지 및태그 처리를 위한 웹 문서 변환 방법
KR20110041802A (ko) *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87444A (ko) * 2010-01-26 2011-08-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페이지에서의 동영상 재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웹페이지에서의 동영상 재생 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3151A (ja) 2000-03-02 2001-09-07 Nec Corp ブラウザ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60019862A (ko) * 2004-08-30 2006-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브라우저에서 지원되지 않는 이미지 및태그 처리를 위한 웹 문서 변환 방법
KR20110041802A (ko) *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87444A (ko) * 2010-01-26 2011-08-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페이지에서의 동영상 재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웹페이지에서의 동영상 재생 지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4739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853548B (zh) 用于深度链接到应用情境中的方法和系统
JP5284509B2 (ja) ページ分割されたコンテンツを表示し、それと対話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AU2012231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items on clipboard of portable terminal
TW201703513A (zh) 彈幕顯示方法及裝置
US9621477B2 (en) System and method of offloading browser computations
KR20150032066A (ko)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소스 기기
US201300361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blishing template-based content
JP5872264B2 (ja) 携帯端末における電子書籍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CN104506964A (zh) 广告素材的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5054215B2 (ja) 映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602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ing a Rendering API Using a Runtime Environment
US9268875B2 (en) Extensible content focus mode
US20140033027A1 (en) E-Book Application with Multi-Document Display
US20130117708A1 (en) Scroll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device
US9092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items in a structured document
KR101258427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기반의 브라우저 구동 장치 및 방법
US91523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nic book function in a mobile device
JP6379816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02179B2 (en) Modification of file graphic appearance within a collection canvas
JP2011258197A (ja) 多種画面支援が可能なria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およびこのための記録媒体
US20110314370A1 (en) Tiered pageview generation for computing devices
US201901637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bile device application having a markup-language document
JP5482710B2 (ja) 表示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311861A1 (en) Effect Editing Methods, Systems, Application Products and Electronic Devices for Electronic Boo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