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867B1 -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867B1
KR101257867B1 KR1020070139535A KR20070139535A KR101257867B1 KR 101257867 B1 KR101257867 B1 KR 101257867B1 KR 1020070139535 A KR1020070139535 A KR 1020070139535A KR 20070139535 A KR20070139535 A KR 20070139535A KR 101257867 B1 KR101257867 B1 KR 10125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dryer
pipe
air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293A (ko
Inventor
윤형태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8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기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결되어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변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변부 사이에 구비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건조기, 배기관, 드럼, 캐비닛, 배기팬

Description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DRYER HAVING VARIABLE EXHAUST PIP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기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유로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피건조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2)와, 케이스(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드럼(12)과,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8)와, 히터(18)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드럼(12)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흡기 덕트(20)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혼탁해진 공기를 케이스(2)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수단(22)과, 배기 수단(22)에 설치된 송풍팬(미도시)과, 드럼(12)과 송풍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 됨) 및 벨트(40)를 포함한다.
드럼(12)의 내주면에는 피건조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키는 리프터(11)가 배치된다.
배기 수단(22)은 드럼(1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필터(24)가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 덕트(25)와, 린트 덕트(25)와 연통되고 송풍팬(30)을 에워싸는 팬 하우징(26)과, 팬 하우징(26)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케이스(2)의 외부에 배치된 배기 덕트(2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12)의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한 후, 도어를 닫고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드럼(12) 및 송풍팬이 회전하게 되고, 히터(18)도 작동하게 된다.
이때, 드럼(12)이 회전됨에 따라 드럼(12) 내의 피건조물은 리프터(11)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가 낙하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는 송풍팬의 회전 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히터(18)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고온 저습 공기로 가열되고, 이후 흡기 덕트(20)를 통해 드럼(12)의 내부로 토출된다.
드럼(12)의 내부로 공급된 고온 저습의 공기는 낙하되는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되면서 피건조물의 건조작용을 하고 저온 고습의 공기로 변하면서 드럼(12)의 선단측으로 이동된 후, 배기 덕트(27)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배기관이 캐비닛의 배면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배기 방향이 가변될 수 없기 때문에 건조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한 배기 방향을 결정할 수 없고, 배기 방향을 변환하기 위해 별도의 배기관이 요구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배기관을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기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결되어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변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변부 사이에 구비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확관부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변부와 비교하여 지름이 소정량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 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단부와 상기 가변부의 단부는 어느 한 쪽의 단부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단부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는 배기관에 확관부가 구비됨으로써, 배기 방향을 변환할 때에는 확관부를 절개하여 배기관을 이음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는 확관부에 의해 배기의 속도가 증가되어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가스히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배기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순환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토출구(54)가 형성된 캐비닛(50)과, 개구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과, 드럼(60) 내벽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다수 개의 리프터(60a)와,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드럼(60)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흡기관(70)과, 흡기관(70)에 설치되는 히터(100)와, 드럼(60)과 토출구(54) 사이에 구비되는 배기팬(82 : 도 8 참조)과, 배기팬(82)과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된 배기관(80)과, 배기팬(82)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모터(90 : 도 8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배기팬(82)이 회전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캐비닛(5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100)를 통과하면서 더운 공기로 변환되어 흡기관(70)을 따라 드럼(60) 내부로 공급되고, 드럼(60) 내부에서 세탁물과 접촉되면서 세탁물의 건조작동 또는 살균작동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배기팬(8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관(80)을 따라 캐비닛(50)의 토출구(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드럼(60)은 전면 및 배면이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캐비닛(50)의 개구부에 대응되고, 관통홀부(62a)가 형성된 지지패널(62)에 배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패널(62)은 캐비닛(50)의 배면에 설치되어 드럼(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관통홀부(62a)에 흡기관(70)이 설치된다.
또한, 드럼(60)의 전방측 단부와 캐비닛(50)의 개구부 사이에 전면패널(64)이 설치되고, 전면패널(64)의 하측 단부에 배출구(64a)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64a)에는 배기팬(82) 측으로 향하는 연장관(84)이 설치되고, 연장관(84)과 배기관(80) 사이에 배기팬(82)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미도시)이 설치된다.
여기서, 배기관(80)은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고정부(87)와, 고정부(87)로부터 연결되어 캐비닛(50)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변부(88)와, 고정부(87)와 가변부(88) 사이에 구비되는 확관부(89)를 포함한다.
이는 배기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배기 방향을 가변시킬 때에는 확관부(89)의 중앙을 절개하여 가변부(88)를 떼어내고, 절개된 확관부(89)에 절곡된 모양의 관을 삽입하여 배기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확관부(89)는 고정부(87), 및 가변부(88)와 비교하여 지름이 소정량 크게 형성되므로 확관부(89)의 중앙을 절개하면 고정부(87)와 동일한 지름의 다른 관을 삽입하여 용이한 연결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기관(70)은 히터(100)로부터 관통홀부(62a)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이루어짐으로써, 캐비닛(50)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히터(100)를 지나면서 일정 온도 이상의 공기로 변환되어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구동모터(90)와 벨트(미도시)로 연결된 드럼(60)이 회전되면서 더운 공기와 세탁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므로 세탁물의 건조작동 또는 살균작동이 이루어진다.
히터(100)는 캐비닛(50) 일측에 설치되어 캐비닛(50)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130)과, 가스관(130)에 연결되어 가스 공급 여부와 정도를 조절하는 밸브(150)와, 밸브(150)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140)과, 노즐(140)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가스와 공기가 섞이도록 하는 혼합관(120)과, 혼합관(120) 외측 단부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불꽃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170)와, 혼합관(120) 외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가 일정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관(110)과, 혼합관(120)이 장착되어 캐비닛(50)에 설치되는 브래킷(160)과, 혼합관(120)에 설치되어 점화플러그(170)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억제토록 하는 화염홀더(180)를 포함한다.
이로써, 밸브(150)가 개방되어 가스관(130)을 따라 가스가 혼합관(120)에 공 급되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고, 이때 점화플러그(170)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화염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화염은 화염홀더(180)에 의해 화염의 크기 및 생성 위치가 조절되어 가이드관(110) 내측에 화염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관(110)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는 화염을 지나면서 고온의 열풍으로 온도가 변화되어 세탁물에 분사되므로 건조작업이 진행된다.
혼합관(120)은 일측에 혼합부(124)가 형성되어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혼합부(124)는 노즐(140)의 지름과 비교하여 넓은 개구부로 이루어지므로 노즐(140)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유입되는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섞여지게 된다.
혼합부(124)는 혼합관(120)의 단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데, 중공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노즐(140)에 대응되는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운전버튼(미도시)을 조작하면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배기팬(82) 및 드럼(60)이 회전되고, 배기팬(82)의 구동에 의해 캐비닛(5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캐비닛(50)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히터(100)의 밸브(150)가 개방되면서 가스관(130)을 따라 가스의 공급이 개시되므로 밸브(150)를 통과한 가스는 노즐(140)을 지나 혼합관(120) 내부로 분사되며, 노즐(1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1차 혼합이 이루어져 혼합기체를 이루게 된다.
또한, 혼합기체가 혼합관(120) 내부로 분사될 때에 혼합관(120)과 노즐(1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2차 혼합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혼합관(120)을 통해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분사되면 점화플러그(170)에 의해 화염이 발생되는데, 혼합관(120)으로부터 분사되는 혼합기체는 화염홀더(180)에 충돌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므로 화염홀더(180) 주변에서 측 방향으로 넓게 배치되는 화염이 형성된다.
이렇게 가이드관(110)을 따라 흡기관(7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화염과 접촉되면서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 건조 공기로 가열된다.
이후에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면서 세탁물과 접촉되어 건조작업을 행한다.
드럼(60)의 개구부와 캐비닛(50) 내벽 사이에 설치된 전면패널(64)에 배출구(64a)가 형성되며,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는 이 배출구(64a)를 따라 드럼(60) 외측으로 배출되고, 배출구(64a)에 연통되는 연결관(84)을 지나 배기팬(82)의 하우징(86)으로 유동되며, 하우징(86)에서 배기관(80)을 따라 이동되어 토출구(54)를 통해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관(80)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는 확관부(89)를 지나면서 속도가 감소되었다가 다시 가변부(88)를 지나면서 속도가 증가하여 최초의 속도와 비교하여 가속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공기의 배출이 가속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기의 설치작업을 행할 때에 배기 방향의 변환이 요구되면 확관부(89)를 절개하여 'ㄱ'모양으로 절곡된 관을 확관부(89)에 끼우면 손쉽게 배기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히터(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건조작동의 개시와 함께 밸브(150)가 개방되어 노즐(140)을 통해 혼합관(120)으로 가스가 분사되고, 노즐(1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1차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혼합관(120)의 혼합부(124)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기체가 섞이면서 2차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혼합기체는 혼합관(120) 외측으로 분사되는데, 혼합관(120)의 외측, 즉, 가이드관(110)의 내벽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70)에 의해 화염이 발생되어 흡기관(70)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 화염은 화염홀더(180)에 의해 가이드관(110)의 중앙부에 모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혼합관(120) 및 흡기관(7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가변형 배기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배기관(180)은,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수 개의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고정부(187)와, 고정부(18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캐비닛(50 : 도 3 참조)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변부(188)를 포함한다.
고정부(187)의 단부와 가변부(188)의 단부는 어느 한 쪽의 단부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단부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용이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부(187)의 내측 단부는 배기팬(82 : 도 8 참조) 측에 연결되도록 지름이 작아지는 제1연결부(187a)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가변부(188)가 연결되도록 지름이 소정량 증가되는 제1확관부(187b)가 형성된다.
또한, 가변부(188)는 확관부(187)에 대응되는 단부에 제2연결부(188a)가 형성되고, 외측 단부에 제2확관부(188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배기관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배기관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유로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가스히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배기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순환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가변형 배기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4 : 토출구
60 : 드럼 62 : 지지패널
62a : 관통홀부 64a : 배출구
70 : 흡기관 80 : 배기관
82 : 배기팬 84 : 연결관
86 : 하우징 90 : 구동모터
100 : 히터 110 : 가이드관
120 : 혼합관 124 : 혼합부
130 : 가스관 140 : 노즐
150 : 밸브 160 : 브래킷
170 : 점화플러그 180 : 화염홀더

Claims (4)

  1.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결되어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변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변부 사이에 구비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변부와 비교하여 지름이 소정량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3.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부와 상기 가변부의 단부는 어느 한 쪽의 단부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단부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20070139535A 2007-12-27 2007-12-27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125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35A KR101257867B1 (ko) 2007-12-27 2007-12-27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35A KR101257867B1 (ko) 2007-12-27 2007-12-27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293A KR20090071293A (ko) 2009-07-01
KR101257867B1 true KR101257867B1 (ko) 2013-04-23

Family

ID=4132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535A KR101257867B1 (ko) 2007-12-27 2007-12-27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8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755A (ja) 2002-05-08 2003-11-19 Hitachi Ltd Nmr分析装置
KR20060085824A (ko) * 2005-01-25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식 건조기
KR100644842B1 (ko) 2005-05-11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755A (ja) 2002-05-08 2003-11-19 Hitachi Ltd Nmr分析装置
KR20060085824A (ko) * 2005-01-25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식 건조기
KR100644842B1 (ko) 2005-05-11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293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4511A1 (en) Clothes drying machine
KR101246377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17637B1 (ko) 건조기의 가스히터
KR101257867B1 (ko) 가변형 배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200309318Y1 (ko) 회전 드럼식 의류 건조기
KR101246379B1 (ko) 원형 흡기관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84713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11231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6037B1 (ko) 청소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69182B1 (ko) 건조기의 흡배기 순환장치
KR101308472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431444B1 (ko) 순환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8635B1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847049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62341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798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246376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431435B1 (ko) 건조기
KR100795416B1 (ko) 가스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8512B1 (ko) 필터청소시기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62331B1 (ko) 노즐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801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이 구비되는 건조기
KR20100027033A (ko) 혼합형 리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210119220A (ko) 순환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08470B1 (ko) 건조기의 가스히터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