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827B1 -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7827B1 KR101257827B1 KR1020120104674A KR20120104674A KR101257827B1 KR 101257827 B1 KR101257827 B1 KR 101257827B1 KR 1020120104674 A KR1020120104674 A KR 1020120104674A KR 20120104674 A KR20120104674 A KR 20120104674A KR 101257827 B1 KR101257827 B1 KR 101257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ser beam
- lens
- section
- cross
- form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GOKWXKJXAPGV-UHFFFAOYSA-N Fluorine Chemical compound FF PXGOKWXKJXAP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3 krypt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NNSSWSSYDEUBZ-UHFFFAOYSA-N krypton atom Chemical compound [Kr] DNNSSWSSYDEU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61—Polarization contro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에서 복수의 렌즈군과 각 단계에서의 레이저 빔의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 중 라인형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투명 전도막에 패턴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00: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110: 복수의 렌즈군
111: 제1 렌즈 112: 제2 렌즈
113: 제3 렌즈 114: 제4 렌즈
120: 애퍼처(Aperture)
Claims (5)
-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용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원시 레이저 빔의 단면을 확대시켜 제1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투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렌즈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단면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2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투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렌즈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단면 중 가장자리를 제거하여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제3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Aperture);
상기 제3 레이저 빔의 투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3 레이저 빔의 사각형 단면을 축소시켜 제4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레이저 빔의 투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렌즈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4 레이저 빔의 사각형 단면 중 긴 변의 길이를 늘리고 짧은 변의 길이는 줄여 가늘고 긴 형태의 라인형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제4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원형의 오목 렌즈를 사용하고,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는 원형의 볼록 렌즈를 사용하며, 상기 제4 렌즈는 평오목 원통 렌즈(Plano-concave cylindrical lens)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 삭제
- 기판(Substrate)에 투명 전도막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전도막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설치하는 단계;
복수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진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라인형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로부터 형성된 상기 라인형 레이저 빔을 이동시키며 상기 마스크에 조사하여 상기 투명 전도막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투명 전도막에 형성된 패턴에 연결되는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는,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용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원시 레이저 빔의 단면을 확대시켜 제1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투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렌즈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단면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2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투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렌즈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단면 중 가장자리를 제거하여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제3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Aperture);
상기 제3 레이저 빔의 투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3 레이저 빔의 사각형 단면을 축소시켜 제4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레이저 빔의 투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렌즈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4 레이저 빔의 사각형 단면 중 긴 변의 길이를 늘리고 짧은 변의 길이는 줄여 가늘고 긴 형태의 라인형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제4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674A KR101257827B1 (ko) | 2012-09-20 | 2012-09-20 |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674A KR101257827B1 (ko) | 2012-09-20 | 2012-09-20 |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7827B1 true KR101257827B1 (ko) | 2013-04-29 |
Family
ID=4844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46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7827B1 (ko) | 2012-09-20 | 2012-09-20 |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782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27350A2 (en) | 1996-09-02 | 1998-03-04 | Canon Kabushiki Kaisha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
KR100334103B1 (ko) * | 1999-08-30 | 2002-05-02 | 윤종용 |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
KR20100065326A (ko) * | 2007-09-17 | 2010-06-16 | 코히런트 게엠바하 | 선형 횡단면을 가진 레이저 빔의 생성 방법 및 장치 |
KR20100087006A (ko) * | 2007-11-29 | 2010-08-02 | 리모 파텐트페어발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빔 형성 장치 |
-
2012
- 2012-09-20 KR KR1020120104674A patent/KR10125782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27350A2 (en) | 1996-09-02 | 1998-03-04 | Canon Kabushiki Kaisha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
KR100334103B1 (ko) * | 1999-08-30 | 2002-05-02 | 윤종용 |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
KR20100065326A (ko) * | 2007-09-17 | 2010-06-16 | 코히런트 게엠바하 | 선형 횡단면을 가진 레이저 빔의 생성 방법 및 장치 |
KR20100087006A (ko) * | 2007-11-29 | 2010-08-02 | 리모 파텐트페어발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빔 형성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8410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 folded optical element waveguide for use with light based touch screens | |
US741211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lexible waveguide substrates for use with light based touch screens | |
US11402959B2 (en) | Touch structur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 |
KR102222652B1 (ko) | 터치 패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EP2058728B1 (en) | Optical waveguide for touch screen and touch screen using the same | |
US10338707B2 (en) | Integrated front light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 |
US20130241871A1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40025922A (ko) | 터치패널 | |
CN101872270B (zh) | 触控装置 | |
JP2017068830A (ja) | 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 | |
CN104054140A (zh) | 透明导电元件及其制造方法、输入装置、电子设备以及透明导电层的加工方法 | |
US9575595B2 (en) | Mutual capacitance touch panel | |
KR101257826B1 (ko) | 터치 패널 제조 방법 | |
CN108563364A (zh) | 一种触摸屏、其制作方法、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KR20140028468A (ko) | 터치패널 | |
KR20130037943A (ko) |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30117100A (ko) | 터치패널 | |
CN103002664A (zh) | 触控萤幕与导电线路的制作方法 | |
KR20140028459A (ko) | 터치패널 | |
KR102179033B1 (ko) | 광 배향용 광마스크 및 광 배향 방법 | |
KR101257827B1 (ko) | 라인형 레이저 빔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 제조 방법 | |
KR20140038819A (ko) | 터치패널 | |
KR101076326B1 (ko) | 다층막 구조체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 |
KR20140038818A (ko) | 터치패널 | |
KR101257825B1 (ko) | 터치 패널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9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