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802B1 - 농업용 복합 시설물 - Google Patents

농업용 복합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802B1
KR101257802B1 KR1020120094490A KR20120094490A KR101257802B1 KR 101257802 B1 KR101257802 B1 KR 101257802B1 KR 1020120094490 A KR1020120094490 A KR 1020120094490A KR 20120094490 A KR20120094490 A KR 20120094490A KR 101257802 B1 KR101257802 B1 KR 10125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livestock
dry matter
unit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
박덕풍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주)세미머티리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주)세미머티리얼즈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Priority to KR102012009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복합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제1 건조물, 상기 제1 건조물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건조물 및 상기 제1 건조물과 상기 제2 건조물 사이에 위치하며 농작물을 경작하는 경작 구역을 포함하는 농업용 복합시설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농업용 시설물 간의 연계성을 개선하여 에너지 효율 및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자동화 방식으로 시설물을 운영함으로써 농사 인력에게 요구되는 노동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복합 시설물{AN COMBINED FACILITY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복합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농산물 자급률을 개선하고 고령층 인구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농업용 복합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베이비부머(baby boomer) 세대의 은퇴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증가하는 고령층 인구의 노후 보장 및 고령층 일거리 창출의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연친화적인 삶이 크게 조명을 받기 시작하면서 도시 거주자들의 귀농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은퇴한 일부 고령층의 인구 또한 도시를 떠나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설계를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농업분야는 현재까지도 개인에 의한 소규모 영농의 비중이 높으며, 다른 산업에 비해 농업의 현대화가 더디게 진행되어 노동력에 기반하여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어 노동 생산성 및 토지 생산성이 매우 낮은 현실이다.
최근 들어, 인구 고령화 및 농산물 자급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규모 영농 단지를 조성하여 도시 인구의 귀농을 유도하는 정책들이 제안되고 있고, 이러한 정책들을 현실화하기 위한 다양한 농업 시설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현대식 영농을 위한 현대식 축사, 현대식 작물 재배 하우스 등의 새로운 형태의 시설물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한국 공개특허 제2012-0036475호에서도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시설물은 각각 독립된 시설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고, 고령층 인구의 노후 생활을 보장할 수 있을 만큼의 생산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64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설물간의 연계성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켜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시설물의 운영을 자동화시킴으로서 고령화 인구층을 위한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농업용 복합 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건조물, 상기 제1 건조물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건조물 및 상기 제1 건조물과 상기 제2 건조물 사이에 위치하며 농작물을 경작하는 경작 구역을 포함하는 농업용 복합시설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지붕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건조물은 가축이 사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축사 시설물이고, 상기 제2 건조물은 과수(果樹)를 재배하는 과수 시설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작 구역의 상측에는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 모듈은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분사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경작 구역의 상측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루프 모듈은 상기 분사 모듈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측벽을 따라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제1 건조물과 상기 제2 건조물의 조명 시설 및 환풍 시설, 그리고 상기 경작 구역의 분사 모듈 및 루프 모듈을 구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건조물의 일측에는 상기 사육되는 가축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퇴비를 가공하는 분뇨 처리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건조물 내부에는 상기 제2 건조물 내부에서 방목되는 가축들이 수용되는 축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농업용 시설물 간의 연계성을 개선하여 에너지 효율 및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자동화 방식으로 시설물을 운영함으로써 노동 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가축을 사육하고 과수 및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지리적 위치 및 기후 특성 등의 외부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축 및 작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성장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국토의 어느 지역에서도 원하는 시기에 우수한 품질의 가축 및 작물을 생산할 수 있어 농가의 소득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복합 시설물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
도 2는 도 1에서 농업용 복합 시설물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분사 모듈 및 루프 모듈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분사 모듈의 일측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루프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도 2의 제1 건조물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이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개구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2의 제2 건조물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복합 시설물의 에너지 공급 방식을 도시한 블록도잉고,
도 11은 도 2의 복합 시설물의 운전 제어 방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형 복합 시설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 또는 생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복합 시설물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복수의 건조물과 건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경작 구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물(10)은 건축 구조물로서 장방형의 구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건조물(10)은 10m~30m 범위의 너비를 갖고, 100m~200m 범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건조물은 너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건조물(10)은 지역적 특성 및 용도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 돼지 또는 가금류를 사육하는 축사 건조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채소 및 농작물을 재배하는 작물 재배 건조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과수 등의 수목을 재배하는 과수 건조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조물(10)은 일 예로서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건조물 및 과수를 재배하는 과수 건조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축사 건조물 및 과수 건조물은 각각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서 건조물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각의 건조물(10) 사이에는 보리, 밀, 채소 등의 작물을 경작하기 위한 경작 구역(20)이 형성된다. 각각의 건조물들은 용도에 따라 통풍, 배기, 방열 또는 일조량을 고려하여 인접한 건조물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각각의 건조물 사이에 잔여 공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복합 시설물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경작 구역을 활용함으로써, 대규모 영농 단지 조성시 토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각 시설간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작 구역(20)은 7m~50m의 너비를 갖고, 100m~200m 범위의 길이, 즉 건조물(1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하나의 복합 시설물에 6개의 건조물과 6개의 경작 구역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이 건조물 및 경작 구역의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물과 경작 구역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조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복합 시설물은 다수개의 건조물(10) 및 경작 구역(20) 이외에도 별도의 분뇨 처리실(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합 시설물이 다수개의 축사 건조물을 포함하는 경우, 축사 건조물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분뇨들은 축산(畜産)의 측면에서는 폐기물에 해당하나, 농작물이나 과수를 재배하는 입장에서는 유용한 퇴비의 재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분뇨 처리실을 별도로 구비하여, 인접한 축사 건조물들에서 수거된 분뇨를 처리하여 퇴비로 가공할 수 있다.
분뇨 처리실은 축사 시설물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종류 및 가공하고자 하는 퇴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뇨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분뇨 처리실은 분뇨를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 등의 발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분뇨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시설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지푸라기, 겨 등의 다른 퇴비 재료와 혼합하기 위한 믹싱 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축사 시설물에서 수거된 분뇨들을 분뇨 처리실에서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퇴비로 가공하고, 복합 시설물 내 퇴비가 필요한 다른 시설물에 퇴비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분뇨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각종 농작물 및 과수를 재배함에 있어 퇴비를 자급함으로서 복합 시설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건조물 간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분뇨 처리실이 각각의 건조물과 독립된 시설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분뇨 처리실을 퇴비가 사용되는 건조물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농작물을 재배하는 작물 재배 건조물 또는 과수를 재배하는 과수 건조물의 내부에 간이 분뇨 처리실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닭과 같은 가금류의 분뇨는 별도의 건조 절차 없이 단순한 처리 과정을 거쳐 퇴비로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분뇨 처리실을 구비하지 않고, 작물 재배 건조물 및 과수 건조물의 입구 부분에 별도의 간이 분뇨 처리실을 구비하여, 일부의 축사 건조물로부터 수거된 분뇨를 이용하여 해당 건조물에서 사용할 퇴비를 내부에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복합 시설물은 복수개의 건조물 및 복수개의 경작 구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접한 복합 시설물들의 사이에는 도로(20)가 형성되어 차량 및 농업용 장비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면적에서 토지 사용의 효율성 을 높임과 동시에 작업 및 이동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농업용 복합 시설물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물(1000), 상기 제1 건조물(1000)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건조물(2000) 그리고, 제1 건조물(1000)과 제2 건조물(2000) 사이에 배치되는 경작 구역(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건조물(1000)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건조물이고, 제2 건조물(2000)은 과수를 재배하는 과수 건조물일 수 있다. 제1 건조물(1000)은 기상 환경으로부터 최적의 가축 사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차광성이 우수한 불투명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건조물(2000)은 과수 재배에 필요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투광성이 우수한 투명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건조물 및 제2 건조물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물(1000) 및 제2 건조물(2000) 사이에는 경작 구역(30)이 형성된다. 경작 구역에서는 보리, 밀, 채소 등 다양한 종류의 밭작물이 재배될 수 있다. 이러한 밭작물은 기후 및 수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작 구역(30)은 상측에는 제1 건조물(1000) 및 상기 제2 건조물(2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 모듈(3100)이 구비될 수 있다. 분사 모듈(3100)은 일상적인 급수를 위해 물을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며, 병충해 방지를 위한 약액을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가뭄 또는 병충해 등 자연적인 장애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작 구역(30)의 상측에는 별도의 루프 모듈(3200)이 구비될 수 있다. 루프 모듈(3200)은 전술한 분사 모듈(3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경작 구역(3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루프 모듈(3200)은 장마철 또는 집중 호우시 경작 구역(30)의 작물을 강우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맑은 날에는 온실 효과를 유도할 수 있어 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생장 조건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경작구역의 분사 모듈 및 루프 모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분사 모듈 및 루프 모듈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분사 모듈의 일측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모듈(3100)은 경작 구역(30)에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부(3110), 상기 분사부(3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분사부(311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3120),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3120)를 따라 분사부(31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부(3110)는 제1 건조물(1000) 및 제2 건조물(200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3110)는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아치 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사부(3110)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분사 노즐(3111)이 형성되어 급수되는 물 또는 약액을 하측으로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110)는 아치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바 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분사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분사부를 구성할 수 있다.
분사부(3110)의 양측에는 레일 형태의 가이드부(3120)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분사부(3110)는 가이드부(3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이드부(3120)를 따라 제1 건조물(1000) 및 제2 건조물(2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작 구역에 고르게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3120)는 제1 건조물(1000) 및 제2 건조물(2000)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프레임 없이도 가이드부(3120)를 일정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함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별도의 지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가이드부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구동부(3130)는 분사부(3110)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3130)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에 정역 회전 모터(3131) 및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부재(3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132)는 외면이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3120)의 상면에는 회전부재(3132)의 톱니 형상과 치합이 이루어지는 톱니 구조(31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모터(3131)의 구동에 따라 회전 부재(3132)가 회전하면 회전 부재(3132)와 가이드부의 톱니(3121)가 맞물리게 되면서, 분사부(3110)가 가이드부(3120)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구동부의 구성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의 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사부가 가이드부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하거나, 구동부가 외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또는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분사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외부에는 분사부로 공급되는 물 또는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3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 탱크(3140)는 내부의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급수관(3141)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물 또는 약액을 분사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저장 탱크(3140)와 연결되는 급수관(3141)은 분사부(3110)의 이동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은 별도의 레일(31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부재(3143)에 거치된다. 여기서, 분사부(3110)가 이동하면 급수관(3141)이 분사부(3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링크부재(3143)가 레일(3142)을 따라 분사부(3110)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분사부(3110)가 다시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분사부(3110)의 이동에 따라 급수관(3141)은 각각의 링크 부재(3143)를 따라 접히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분사부(3110)가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급수관(3141)이 꼬임 등이 발생하지 않고 급수관(3141)의 연장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 모듈(3100)은 작업자의 제어 또는 센서(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 등)에서 감지된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저장 탱크(3140)에 저장된 물 또는 약액을 급수관(3141)을 통해 분사부(3110)로 공급한다. 이때, 분사부(3110) 또한 상기 구동 신호에 의해 가이드부(312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됨으로서, 경작 구역(30)에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 모듈에 의해 급수 및 방역에 필요한 인적 노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가뭄 또는 병충해 등의 환경적인 장애요소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2에서 루프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모듈(3200)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210) 및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3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부재(3220)는 프레임(3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작 구역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프레임(3210)은 골격을 형성하며, 커버 부재(322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건조물 및 제2 건조물의 측벽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210)은 아치형 구조로 형성되며, 이 이외에도 중심부가 높고 양측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은 제1 건조물(1000) 및 제2 건조물(2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아치형 프레임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아치형 프레임을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경작 구역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3220)는 경작 구역(30)의 상측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3221),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3222), 그리고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커버를 펼치거나 롤링(rolling)하는 커버 롤러(32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3222)는 동력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프레임(3210)에 각각 하나의 이동부(3222)가 형성되어,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단부까지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3222)의 구성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일 예로서, 이동부의 하부에는 프레임이 끼움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은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부의 내부에는 삽입홈으로 노출되는 다수개의 바퀴가 모터와 같은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면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분사 모듈의 구동부와 가이드부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이동부의 바퀴부재 및 프레임의 접촉면에 각각 톱니 형상의 치합 구조가 형성되어 톱니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이동부가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프레임(32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부(3222)는 경작 구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의 링크바(322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이동부(3222)는 각각의 프레임(3210) 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나란히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3220)의 커버(3221)는 비닐과 같이 자연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강우시에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고, 일조량이 우수한 날에는 태양광을 투과시키면서 온실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3221)는 일단이 이동부(3222)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커버 롤러(3223)에 설치된다. 여기서, 커버 롤러(3223)는 외주면을 따라 커버(3221)가 감기도록 형성되어, 이동부(3222)가 커버롤러(32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커버(3221)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부(3222)가 커버롤러(3223)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커버가 롤링되도록 회전한다. 여기서, 커버 롤러(3223)는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정역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용수철 등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커버를 롤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커버 부재(3220)는 이동부(3222)의 이동에 따라 커버롤러(3223)가 회전하면서 커버롤러(3223)에 감겨있던 커버가 풀어지면서 경작 구역(30)의 상측을 차폐한다. 그리고, 이동부(3222)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커버롤러(3223)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버가 커버롤러에 감기게 되면서 경작 구역의 상측을 개방시킨다.
여기서, 루프 모듈(3200)의 양단에는 강우시 커버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 유로(3230)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 유로(3230)는 프레임의 양단의 하측에 위치하여, 제1 건조물 및 제2 건조물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배수 유로는 외부의 배수 시설(미도시)과 각각 연결되어, 우천시 내부에 수용된 빗물이 경작 구역으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경작 구역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배수유로(3230)의 내부에 커버롤러(3223)가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커버롤러(3223)를 보호하는 케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커버 롤러의 케이스를 배수 유로와 별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루프 모듈은 작업자의 제어 또는 센서(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 등)에서 감지된 환경정보에 근거하여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이동부(3222)가 프레임(3210)을 따라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부(3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3221)가 경작구역의 상측을 차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커버롤러(3223)가 커버를 롤링하거나 펼치도록 구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경작 구역(30)을 루프 모듈의 구동에 의해 비닐하우스와 같은 온실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강우시에도 경작구역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물에 따른 적합한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루프 모듈은 일 예로서 이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레임 상에 두 개의 이동부를 구비하고, 두 개의 커버가 하나의 이동부와 일측 측벽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커버 롤러가 이동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버의 타단은 건조물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커버롤러를 이용하지 않고 커버부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경작 구역(30)은 경작 구역의 통풍을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3240)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팬은 경작 구역의 길이 방향으로 통풍을 유도할 수 있도록 경작 구역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3240)은 제1 건조물(1000)과 제2 건조물(2000)에 의해 양측이 막혀있는 경작 구역으로 통풍을 유도함으로써, 경작 구역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팬의 구동은 경작 구역 내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복합 시설물은 두 건조물 사이의 공간을 경작 구역으로 이용하면서, 각 건조물의 측벽을 이용하여 분사 모듈, 루프 모듈 그리고 통풍을 유도하는 팬을 구비하여 기상 및 작물 종류에 따른 적합한 재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분사 모듈, 루프 모듈 및 팬은 작업자의 제어 신호 또는 센서에서 감지된 환경 정보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작물을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인적 노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는 도 2의 제1 건조물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제1 건조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건조물(1000)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건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일 예로서, 닭을 사육하기 위한 계사(鷄舍)로 구성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1 건조물은 닭 이외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건조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축사 시설물 이외에도 과수용 건조물, 채소 재배용 건조물 등 다양한 용도로 건조물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물은 벽체 구조물(1010) 및 지붕 구조물(1020)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가축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벽체 구조물(1010)은 제1 건조물(1000)의 4면 측벽을 형성하면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벽체 구조물의 전방에는 관리자 및 가축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10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벽체 구조물(1010)의 양 측벽에는 수용 공간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개구부(150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의 외측에는 태양광이 개구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지붕 구조물(1020)은 벽체 구조물(1010)의 상측에서 제1 건조물(1000)의 상부구조를 형성한다. 지붕 구조물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030)이 설치된다. 태양광 패널(103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제1 건조물(1000)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접한 건조물 또는 경작 구역과 같이 복합 시설물 내의 다른 시설에서 사용하거나, 또는 외부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030)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1040) 상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도 2 및 도 6 참조). 이러한 태양광 패널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설치되므로 잦은 유지 보수가 요구되나, 종래의 경우 태양광 패널이 지붕 경사면에 대형 구조물로 밀착 설치되어 특정 구역을 유지보수 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광 패널(1030)이 복수개의 열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열 사이를 통해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지지 프레임(1040)이 작업자의 보행 통로로 기능을 수행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작업자가 지지 프레임 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 프레임(1040) 상에 레일 등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작업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1030) 및 지지 프레임(1040)은 복수개의 패널 지지부(1041)에 의해 지붕 구조물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1041)은 지붕 구조물과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부재(1041a) 및 지지 프레임(1040)과 태양광 패널(1030)을 연결하는 제2 부재(1041b)를 포함한다.
제1 부재(1041a)의 상단은 지지 프레임(1040)이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은 플렌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부가 지붕 구조물(1020)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1041b)의 상단은 태양광 패널(103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은 지지 프레임(104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 패널(1030)은 지지 프레임(1040) 및 패널 지지부(1041)에 의해 지붕 프레임(1021)과 일체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프레임(1021) 상측에는 태양광 패널(1030)의 하측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팬(1050)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은 경로가 좁아지는 부분에서 유속이 증가하므로, 상대적으로 공기가 빠르게 진행하는 지붕 구조물(1020)과 태양광 패널(1030) 사이에 팬을 설치함으로써,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프레임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광 조사부(1100)가 설치될 수 있다. 광 조사부(1100)는 가축이 사육되는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여, 외부의 기상 환경과 무관하게 수용 공간 내부의 조도를 조절하여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나아가, 광 조사부(1100)는 가시광 대역의 광 뿐만 아니라 자 외선 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도의 조절 뿐 아니라 수용 공간 내부의 살균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광 조사부(1100)는 지붕 프레임(1021)과 연결되는 와이어(1110)가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광 조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붕 프레임(1021)의 하측에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료 공급부(1200)가 구비된다. 사료 공급부(1200)는 사료 공급관(1210) 및 사료 트레이(1220)로 구성될 수 있다. 사료 공급관(1210)은 바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며, 외부의 사료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사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사료 트레이(1220)는 사료 공급관(1210)에 다수개로 설치되며, 사료 공급관(1210)을 통해 공급되는 사료를 가축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 공급부는 사료 공급관에 연결되는 와이어(1201)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지붕 프레임(1021)의 하측에는 수용 공간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1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이동부재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이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이동 부재의 구조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지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광 조사부 및 사료 공급부 등의 다른 구성요소는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는 이동 프레임(1310), 가이드부(1320), 구동부(1330) 및 이송부(1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1310)은 제1 건조물(10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본 실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하향 경사진 '∧'자 구조를 갖는 이동 프레임(1310)을 이용한다. 다만, 이 이외에도 아치형 구조로 이동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이동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부(1320)는 양측 벽체 구조물에 각각 설치되며, 이동 프레임(131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1310)의 양단에는 각각 구동부(1330)가 형성되어, 이동 프레임이 가이드부(1320)를 따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와 구동부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경작 구역에 설치되는 분사부의 가이드부 및 구동부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이동 프레임(1310)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동 프레임의 중심부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빔(1311)이 구비된다. 지지빔(1311)의 단부는 지붕 프레임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1021a)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빔(1311)의 단부는 양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하부에는 롤러 등의 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가이드 홈(10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빔(1311)은 이동 프레임(1310)이 이동하게 되면 지붕 프레임(1021)의 가이드 홈(102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이송부(1340)는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 프레임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1340)는 내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축사 시설물의 관리에 필요한 각종 용품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송부(1340)는 이동 프레임(1310)의 이동에 의해 각종 용품을 수용 공간의 전방으로부터 후방까지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용 공간 내에서의 작업시 작업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송부(1340)는 와이어(1341)에 연결되는 후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이송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송부를 탈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송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송부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부재는 이송부를 이용한 이송 작업의 용도 뿐 아니라 방역 모듈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분사 노즐(131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공급관(1313)이 이동 프레임에 연결되어 방역에 필요한 약액을 공급하고, 공급된 약액을 분사 노즐을 통해 가축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으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공급관의 설치 구조 및 이동 프레임과의 구체적인 연결 구조는, 앞서 설명한 경작 구역에 설치된 분사부와 급수관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부재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변경하여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방역 작업과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 부재를 구성하였으나, 방역 기능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분사 노즐 및 공급관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이동 프레임, 가이드부를 없이 지지빔에 의해 이송부가 바로 연결되는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6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건조물의 입구에는 전실(1400)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실을 클린룸(clrean room)으로 구성할 수 있다. 클린룸은 작업자가 출입하는 입구와 수용 공간의 사이에 배치되며, 독립된 공간을 형성한다. 클린룸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에어 샤워 유닛(air show unit)(1410)이 구비된다. 에어 샤워유닛은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 노즐로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 샤워 유닛은 가축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사람의 몸에 뭍은 먼지 및 병원균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인편에 의해 유해 물질이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등의 외부인 출입에 의한 감염을 통제하기 위해 에어 사워를 진행하는 클린룸을 형성하였으나, 사육되는 가축의 종류 및 예방하고자하는 내용에 따라 출입하는 외부인에게 방역 가스를 분사하여 살균을 진행하는 방역실을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클린룸과 수용공간 사이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인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1420)가 구비된다. 그리고 게이트의 상측 또는 측면에는 에어 커튼 유닛(air curtain unit)(미도시)이 구비된다. 에어 커튼 유닛은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 노즐로 구성된다. 따라서, 게이트가 개방되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클린룸의 공기가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에어 샤워 중 외부인의 몸에서 떨어진 유해물질이 클린룸으로부터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벽체 구조물(1010)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개구부(1500)가 형성되며, 개구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벽체 구조물(1010)의 후방에는 배기팬(1600)이 형성되어,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러한 배기팬(1600)의 강제 배기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개구부(15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8을 이용하여 개구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6의 개구부(15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부에는 메쉬 필터(mesh)(1510)가 설치된다. 그리고, 메쉬 필터(1510)의 상측에는 급수 노즐(1520)이 형성된다. 급수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은 메쉬 필터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메쉬 필터(1510)가 설치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물의 온도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부(1500)에 형성된 메쉬 필터를 따라 흘러내린 물은 배수 유로(1560)를 따라 저수조(153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수조(1530)에는 별도의 펌프(1550)가 연결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급수 유로(1570)로 공급하여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물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저수조(1530)의 내측에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열교환기 등의 온도조절부재(1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재(1540)는 냉매 순환 구조를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열전 소자와 같은 전기적 방식을 이용하여 온도 조절이 가능한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온도조절부재(1540)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온도의 물을 메쉬 필터에 제공함으로써, 개구부(15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온도조절부재 및 펌프의 구동은 작업자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수용 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용 공간의 온도를 가축 사육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서는 각각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각각의 유로가 하나의 저수조를 공유하여 순환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로서 각각의 개구부가 독립된 순환 유로를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6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지붕 구조물의 하측에는 유선형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된다. 유선형 가이드는 섬유 또는 합성 수지 등의 재질을 이용한 막 또는 패널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선형 가이드는 지붕 구조물과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지붕 구조물 하측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마찰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체 구조물의 일측 벽면에는 유량 제어팬(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유량 제어팬은 선택적으로 수용 공간 내부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양측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따라서, 기상 상황 또는 외부 환경으로 인해 양측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1500)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개구부와 인접 설치된 가이드(미도시) 및 유선형 가이드에 의해 상측 중심부로 이동한 후 하강하면서, 배기팬에 의해 벽체 구조물의 후방으로 배기된다.
배기팬(1600)을 통과한 공기는 깃털 및 분진 등의 이물질을 다량 포함하므로, 배기팬의 후측에는 별도의 이물질 처리부(1700)가 형성된다. 이물질 처리부(1700)는 다양한 구조의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물질 처리부(1700)를 통과한 외기는 후측에 배치된 벽면과 부딪힌 후 배출구(1800)를 통해 배기된다. 이때, 일부 공기가 배기되지 않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기팬(1600)과 후방 벽면 사이에는 역류 방지 가이드(181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800)와 인접한 위치에는 풍력 발전 유닛(미도시)의 회전팬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팬(1820)은 배출구(1800)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형성된 배기 유로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팬(1820)은 배출구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뿐 아니라, 외부 자연풍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풍력 발전유닛은 전술한 지붕 구조물 상측의 팬 및 배출구의 회전팬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풍력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 에너지와 마찬가지로, 제1 건조물 또는 복합 시설물의 운영에 사용됨으로써 에너지의 자급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여 외부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2의 제2 건조물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제2 건조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제2 건조물의 구성 중 앞서 설명한 제1 건조물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건조물은 과수를 재배하는 과수 건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채소 재배용 건조물 또는 축사 건조물로 제2 건조물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건조물(2000)은 제1 건조물(1000)과 마찬가지로 벽체 구조물(2010) 및 지붕 구조물(20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벽체 구조물(2010) 및 지붕 구조물(202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과수를 재배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지붕 구조물(2020)은 제2 건조물(2000)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며, 지붕 프레임(2021) 및 지붕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패널 부재(2022)로 구성된다. 그리고, 벽체 구조물(2010)은 제2 건조물의 측벽 구조를 형성하며, 벽체 프레임 및 벽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패널 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붕 구조물(2020)의 상측에는 지붕 프레임(2021)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2040) 및 태양광 패널(203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붕 구조물과 태양광 패널의 사이에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팬(205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건조물 또한 제1 건조물과 마찬가지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태양광 패널의 설치 구조는 제1 건조물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지붕 프레임 및 벽체 프레임은 강성이 높은 철재 등의 바형 부재로 구성되며, 제2 건조물(2000)의 골격을 형성한다. 지붕 프레임 및 벽체 프레임은 이러한 바형 부재가 격자 형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붕 구조물(2020) 및 벽체 구조물(2010)을 형성하는 각각의 패널 부재는 태양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서 재배되는 과수의 종류에 따라 보온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 건조물은 지붕 및 벽체가 투명한 재질의 패널로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서 재배되는 과수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태양광이 제공되는 재배 환경을 조 성하면서도 온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지붕 구조물(2020)의 하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광 조사부(2100)가 구비될 수 있다. 광 조사부는 앞서 설명한 제1 건조물과 마찬가지로 지붕 프레임의 하측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 조사부(2100)는 일조량이 부족한 기상 환경에서 별도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적합한 재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광 조사부가 과수의 종류에 따라 성장을 유도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과수의 성장을 유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지붕 구조물의 하측에는 급수 부재(2200)가 설치될 수 있다. 과수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과수에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급수 부재는 하향으로 다수개의 분사 노즐이 형성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 또는 약액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연결되는 급수관이 이동 프레임에 연결되어,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 또는 약액을 공급한다.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는 지붕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빔이 형성되고, 이동 프레임의 하측에는 재배에 사용되는 용품 또는 수확된 과수들을 수납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 부재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건조물의 이동 부재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도 7 참조).
다만, 본 실시예의 급수 부재는 과수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향으로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급수 부재를 지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쿨러로 구성하여 과수의 하측으로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급수 부재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 또는 제2 건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건조물의 입구에는 전실(2300)이 형성되며, 전실 내부에는 클린룸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린룸은 과수가 재배되는 내부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에어 샤워 유닛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출입하는 작업자의 몸에 뭍은 먼지 및 병원균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실의 구조는 전술한 제1 건조물의 전실의 구조와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건조물의 전실을 제1 건조물과 마찬가지로 클린룸으로 구성하였으나, 이 이외에도 과수 재배에 사용되는 작업 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 등의 다른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건조물의 벽체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체 프레임 및 패널 부재로 구성되며, 복수의 패널 부재 중 전부 또는 일부는 벽체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 구조물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개폐부(2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400)는 일측 모서리가 벽체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 모서리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연결된 패널 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개폐부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통풍을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개폐부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의 상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개구부(250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전술한 개폐부 뿐 아니라 개구부를 통해서도 수용 공간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벽체 구조물의 후방에는 배기팬이 형성되어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러한 배기팬의 강제 배기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수용 공간 내부로 유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2500)는 개폐부(2400)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패널 부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구조이다. 다만, 이러한 개구부는 개폐부와 달리 공기가 통과하는 위치에 메쉬 필터가 설치되며, 메쉬 필터를 흐르는 물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는 제1 건조물(1000)의 개구부(150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이의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제1 건조물(1000)의 개구부(1500)를 언급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개구부(2500) 및 개폐부(2400)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유선형 가이드(미도시)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한 후, 하강하여 후방의 배기팬(2600)을 통해 배기된다. 배기팬을 통해 배기된 공기는 제1 건조물과 마찬가지로 이물질 처리부(27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기가 이루어지며, 이때 배출구(2800)에 구비되는 회전팬(2820)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함으로써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와 함께 복합 시설물의 운영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과수 시설은 과수가 재배되는 지면에서 성장하는 잡초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잡초는 과수가 섭취할 양분 등을 지면으로부터 대신 섭취함으로써, 과수의 재배 상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제초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유기농 재배법이 각광을 받으면서 제초제의 사용이 감소하고 인적 노동을 통한 제초가 이루어지면서, 과수 재배의 작업 강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분뇨 처리시설로부터 가공된 퇴비를 이용하여 과수의 재배가 이루어질 경우 잡초의 성장이 더욱 활발하기 때문에, 인적 노동을 통한 제초 작업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과수의 재배 공간에 오리, 염소, 장닭과 같은 초식 동물 및 잡식 동물을 과수 재배 공간에 방목하기 위한 간이형 축사(2900) 시설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방목되는 동물들의 식생활을 통해 제초 작업이 자연스럽게 진행되므로, 인적 노동의 투입 없이 유기농 방식의 제초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밀집된 축사 시설이 아닌 넓은 과수 재배 시설에서 동물을 방목 형태로 사육함으로써, 새로운 이익을 창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간이형 축사(2900)는 동물들의 방목을 전제로 한 시설로서, 전술한 제1 건조물의 축사 시설물과는 전혀 상이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 시설 및 식수를 제공하는 식수 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물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방목이 이루어지는 동물의 종류에 따라 이러한 간이형 축사의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건조물은 다양한 품종의 과수에 대응되는 재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초식 동물 또는 잡식 동물의 방목을 통한 유기농 재배가 이루어지므로 우수한 품질의 과일을 생산하고 방목 사육한 가축을 판매할 수 있어, 농가의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복합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 건조물, 제2 건조물 및 경작 구역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1 건조물, 제2 건조물 및 경작구역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요소의 에너지 공급 방식 및 각종 구성요소의 제어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2의 복합 시설물의 에너지 공급 방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복합 시설물은 발전부 및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전부(100)는 제1 건조물(1000)의 태양광 패널과 풍력 발전 유닛, 그리고 제2 건조물(2000)의 태양광 패널과 풍력 발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건조물(1000) 및 제2 건조물(2000)의 지붕 구조물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1030, 203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풍력 발전 유닛은 지붕 구조물 상측을 통과하는 자연풍 및 배출구로 배기되는 내부 공기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전부(10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에너지 저장부(20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부(200)는 복합 시설물의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는 각종 구성요소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시설물은 외부 전력을 제공 받아 각종 구성요소로 전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일상적으로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복합 시설물을 운전하고,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 자체적으로 생산되어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태양 에너지 및 풍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자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여 가축 및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산간 도서에도 복합 시설물을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도 10에서는 제1 건조물 및 제2 건조물에서 생산된 에너지가 하나의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되고, 하나의 에너지 저장부에서 일괄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킨 것이며, 이 이외에도 건조물마다 각각의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거나, 복합 시설물의 에너지가 제공되는 경로를 복수개의 그룹으로 구획하여 해당 그룹 내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저장하고 소비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1은 도 2의 복합 시설물의 운전 제어 방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300)는 제1 건조물, 제2 건조물 및 경작 구역에 설치되어 내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건조물 및 제2 건조물은 내부에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풍량 센서 등을 구비하여, 건조물 내부 공간의 온도, 습도 및 풍량 등의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경작 구역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구비하여, 경작 구역의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각각의 환경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합 시설물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여기서, 복합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 건조물(1000), 제2 건조물(2000) 및 경작 구역(30)은 용도가 상이하므로, 제어부(400)는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건조물(1000)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시설물이므로, 제어부는 제1 건조물 내부의 환경이 사육되는 가축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건조물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건조물의 온도가 적정 범위 이상으로 상승한 것이 감지되면,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열교환기 및 펌프를 운전하고, 배기팬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습도가 높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개구부의 메쉬 필터로 제공되는 급수를 중지하고, 배기팬을 구동하여 습도를 낮추도록 운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제2 건조물(2000)은 과수를 재배하는 과수 재배 시설물이므로, 제어부는 제2 건조물 내부의 환경이 재배되는 과수의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할 수있도록 제2 건조물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건조물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것으로 감지되면, 제1 건조물의 제어와 마찬가지로 개구부 및 배기팬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의 습도가 낮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급수 부재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운전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경작 구역(30)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구역이므로, 제어부는 경작 구역이 농작물의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작구역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습도 센서로부터 비가 오는 것이 감지되면 루프 모듈을 운전하여 경작 구역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제어하고, 내부의 습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분사 모듈을 이용하여 재배되는 작물에 물을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가 높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루프 모듈을 구동하여 경작 구역의 상측을 개방하고, 팬을 구동하여 통풍을 유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제1 건조물, 제2 건조물 및 경작 구역을 포함하는 각각 구역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해당 구역별로 적정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종 구성요소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지리적 조건 및 계절적 조건 등의 자연적 장애 요소를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경우, 가축을 사육하거나 과수 및 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 지리적 위치 및 기후적인 특성으로 인해 사육할 수 있는 가축의 종류 및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의 종류가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계절에 따른 기후 변화가 큰 지리적 특성상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시기 또한 한정적일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가축이 사육되고 과수가 재배되는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해당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자체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환경 조건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국토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원하는 종류의 가축을 사육하고 과수를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며, 계절적인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시기에 가축 또는 과수를 출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과수 및 과수의 성장 단계에 따른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축이나 과수 등의 작물들은 성장 단계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 조건이 상이하고, 각각의 성장 단계에 따른 최적의 환경 조건을 제공하였을 때 우수한 품질의 가축 및 작물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자연에 종속적인 형태로 가축을 사육하고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은, 이러한 성장 단계에 따른 세밀한 환경 제어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불규칙한 기상 환경으로 인해 가축 및 작물의 품질이 시기별로 크게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축이 사육되고 작물이 재배되는 공간의 환경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성장 단계별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상품성이 우수한 가축 및 작물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은 감지된 정보에 기반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시간에 따라 특정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방식(예를 들어, 광 조사부 및 사료 공급부의 제어), 또는 작업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운전을 제어하는 방식(예를 들어, 이동 부재의 제어)을 혼합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시설물은 하나의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체 구성요소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제어 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건조물 또는 경작 구역마다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여, 해당 건조물 또는 해당 구역의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중앙 제어 방식 및 개별 제어 방식이 둘 다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제1 건조물, 제2 건조물 및 제1 건조물과 제2 건조물 사이의 여분의 공간을 활용한 경작구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업용 복합 시설물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농업용 복합 시설물에 의할 경우, 가축의 사육, 과수의 재배, 농작물의 재배가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노동 강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건조물이 구획된 공간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건조물 사이의 여분의 공간을 경작 구역으로 활용함으로써 토지 이용성 및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축사 시설물에서 수거되는 분뇨를 퇴비로 활용하여, 인접 시설물의 작물 재배 및 과수 재배에 활용함으로써, 복합 시설물 자체의 전력 자급성을 높이고 복합 시설물을 구성하는 시설간 연계성을 높임으로써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제1 건조물;
    상기 제1 건조물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건조물;
    상기 제1 건조물과 상기 제2 건조물 사이에 위치하며, 농작물을 경작하는 경작 구역,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측벽에 상기 분사부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가 상기 경작 구역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분사 모듈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측벽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상기 경작 구역의 상측을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루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상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으로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이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1 건조물과 상기 제2 건조물의 조명 시설 및 환풍 시설, 그리고 상기 경작 구역의 분사 모듈 및 상기 루프 모듈을 구동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복합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지붕 구조물 상측에 체결되는 제1 부재에 의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복합 시설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물은 가축이 사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축사 건조물이고, 상기 제2 건조물은 과수(果樹)를 재배하는 과수 건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복합시설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물의 일측에는 상기 사육되는 가축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퇴비를 가공하는 분뇨 처리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복합 시설물.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물 내부에는 상기 제2 건조물 내부에서 방목되는 가축들이 수용되는 간이형 축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복합 시설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물 및 상기 제2 건조물의 지붕과 상기 태양광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의 하측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팬 및 상기 제1 건조물의 배기팬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회전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복합 시설물.
KR1020120094490A 2012-08-28 2012-08-28 농업용 복합 시설물 KR10125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490A KR101257802B1 (ko) 2012-08-28 2012-08-28 농업용 복합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490A KR101257802B1 (ko) 2012-08-28 2012-08-28 농업용 복합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802B1 true KR101257802B1 (ko) 2013-05-15

Family

ID=4866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490A KR101257802B1 (ko) 2012-08-28 2012-08-28 농업용 복합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8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8320A (zh) * 2016-04-27 2016-08-24 崇州市鸿宇家庭农场 一种生态养殖系统
WO2016199959A1 (ko) * 2015-06-11 2016-12-15 박유진 복합 시설물
KR101853683B1 (ko) * 2017-12-12 2018-06-11 주식회사 현진기업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복합 태양광 발전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호상,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계획공동체 마을의 공간구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9959A1 (ko) * 2015-06-11 2016-12-15 박유진 복합 시설물
CN105888320A (zh) * 2016-04-27 2016-08-24 崇州市鸿宇家庭农场 一种生态养殖系统
KR101853683B1 (ko) * 2017-12-12 2018-06-11 주식회사 현진기업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복합 태양광 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vgoustaki et al. How energy innovation in indoor vertical farming can improve food security, sustainability, and food safety?
KR101590621B1 (ko) 복합 시설물
US11596109B2 (en) High density plant growth systems and methods
JP2007166956A (ja) ベビーリーフの噴霧水耕栽培法
CN110402843A (zh) 一种移动格板畜牧自动养殖系统
KR20200009861A (ko) 수직형 농장 건물
KR101257802B1 (ko) 농업용 복합 시설물
KR20150134546A (ko) 양어 및 작물재배하우스
JPH10262479A (ja) 有機廃棄物を利用した複合農産施設
US20210185947A1 (en) Vertically Mounted Cropping And Irrigation System
Castilla et al. Greenhouse technology for sustainable production in mild winter climate areas: trends and needs
CN201682856U (zh) 水耕作业的基架装置
JP6985770B2 (ja) 農業用ロボット装置
JP2005034043A (ja) 土耕植物栽培プラント
KR101900936B1 (ko) 냉풍을 이용하는 밀폐형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방법
JP3227336U (ja) 生態養殖システム
CN208490518U (zh) 复合设施
JP2009055871A (ja) 噴霧水耕栽培法
CN109328765B (zh) 一种无药害农产品的生产方法及装置
KR20160015888A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JP2009261337A (ja) 栽培用ハウス
JP2009055829A (ja) 循環型植物栽培施設
Reddy et al. Greenhouse technology
JP2007061014A (ja) 除湿機能付温室装置
JP7453157B2 (ja) 保温システム及び保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