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546A - 양어 및 작물재배하우스 - Google Patents

양어 및 작물재배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546A
KR20150134546A KR1020140061349A KR20140061349A KR20150134546A KR 20150134546 A KR20150134546 A KR 20150134546A KR 1020140061349 A KR1020140061349 A KR 1020140061349A KR 20140061349 A KR20140061349 A KR 20140061349A KR 20150134546 A KR20150134546 A KR 20150134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sh
space
crop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기만
Original Assignee
황보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기만 filed Critical 황보기만
Priority to KR102014006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4546A/ko
Publication of KR2015013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방풍과 방한 및 채광이 가능한 비닐장막이 쳐 있고 앞쪽과 뒷쪽에 출입문이 형성된 비닐하우스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보온과 투광성 장막이 처진 복수의 내동(內棟)과, 상기 내동의 지면에는 급수관과 배수관 및 기폭노즐이 구비되고 직사각형의 측벽과 저면부로 된 양어조(養魚漕)와, 상기 양어조의 상부 측 공간에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가로대와 지주로 설치된 복수단의 프레임에 배치된 여러 개의 작물 재배상자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정된 공간에서 양어 및 작물재배를 함께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의 이용률이 보다 높고 동일 인력으로 영농의 수익성을 보다 증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어 및 작물 재배하우스{FISH AND CROPS FARMING HOUSE}
본 발명은 양어(養魚) 및 작물(作物) 재배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공간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내동(內棟)의 지면에는 수온조절 및 기폭기구가 구비된 양어조(養魚漕)가 구비되고 양어조의 상부 측 공간에는 실내의 온도조절 및 살수노즐이 구비된 복수단의 작물 프레임에 여러 개의 작물 재배상자가 배치되어, 양어 및 작물재배를 함께 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의 공간 이용률을 보다 높게 되며 동일 인력으로 단위 공간의 수익성을 보다 증대(增大)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은 나대지에서 재배하고 있으나 농지가 부족한 도심근처나 또는 노동력의 부족으로 관리가 가능한 하우스 공간으로 한정하여 각종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종래의 온실 하우스에 관한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공기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92448호(2006.08.23.공개)의 시설재배하우스 및 축양장의 냉난방 시스템은 냉매가스의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4방변과, 웅축기 및 증발기로 전환되는 실내용 열교환기와, 바닥용 라인으로 연결된 시설재배하우스 및 축양장의 지하에 매설된 바닥 열교환기와, 지하수 회수라인으로 연결된 수막용 노즐과, 폐열회수 및 폐열의 축열탱크로 구성되어 계절에 따라 실내용 열교환기 및 바닥용 열교환기의 응축작용 및 증발작용을 적절히 전환하여 냉난방으로 조절하고 하우스의 외부에 살수노즐을 설치하여 겨울철에 지하수를 살수하여 수막에 의하여 외부 냉기를 차단하고 살수된 물을 회수하여 축열탱크에 저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② 등록특허공보 제10-1001736호(2010.12.09.공고)의 지열 및 폐열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 자동절환 시스템은 온열을 저장하는 축열탱크와 냉열을 저장하는 축열탱크, 건물 옥상에 배치되는 팬코일유닛과, 건물의 하부에 배치되는 튜브레일, 상기 요소들 간에 연결되는 방향 절환밸브로 구성되어 건물의 온도조건에 따라 히트펌프가 작동하여 온열 및 냉열을 건물 내부에 공급하고 사용되고 남은 폐열을 회수하여 축열탱크에 저장한 다음 저장된 열을 이용하여 온실과 건물의 내부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냉난방 및 제습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 것이다.
③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제20-2013-0006709호(2013.11.22 공개)의 바닥축열에 의한 태양열 온실난방시스템은 온실의 바닥에는 바닥축열부를 설치하고 온실의 외부에는 태열열 수집부를 설치하여 낮 동안 태양열을 수집하여 지하의 바닥 축열부에 저장하고 밤에는 바닥축열부에 저장된 열을 이용하여 온실을 난방하게 된 것이다.
④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2p10-0448850호(2004.09.06 공고)의 온실용 중앙귄취식 보온터널 및 보온커튼의 개폐장치는 아치형 프레임, 비닐권취용 파이프, 상기 비닐권취용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 롤러가 부착된 비닐개폐용 홀더를 비닐하우스의 중도리 틀에 고정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하 이동볼트로 구성되어 비닐권취용 파이프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작물이 자라는 초소한의 공간을 보온커튼으로 장막을 치어 보온하거나, 보온커튼을 걷어내어 온실의 난방을 조절하게 된 것이다.
⑤ 공기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21724호(2012.03.09.공개)의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고효율 무동력 자연 순환 난방시스템은 비닐하우스의 외부에 고체연료 보일러를 설치하고 원예시설 내부의 바닥 부분에 수평형 히트파이프를 설치하며 원예시설의 측벽에는 팬코일유닛의 히트파이프를 설치하여 무동력으로 보일러에서 발생된 고체열료의 열을 히트파이프에 의해 열전달하여 자연 순환으로 난방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인용문헌의 발명은 주로 비닐하우스의 작물재배에 필요한 냉난방장치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고 비닐하우스의 공간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수단에 대하여는 거의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내부공간에 막대한 비용으로 냉난방 시스템을 설치하고도 농작물만을 재배하기 때문에 토지의 이용률이 높지 못하여, 냉난방 비용에 비하여 농작물에 의한 수익성이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공간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내동(內棟)의 지면에는 급,배수도관 및 기폭(氣爆)노즐이 구비된 양어조(養魚漕)와, 상기 양어조의 상부 측 공간에 살수노즐이 구비되고 가로대와 지주로 된 복수단의 작물 프레임의 각 단(段)에 배치된 여러 개의 작물 재배상자가 결합되어 양어 및 작물재배를 함께 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의 공간 이용률을 보다 높이어 동일 인력으로 단위 공간의 영농의 수익성을 보다 증대(增大)할 수 있는 양어 및 작물 재배하우스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난방 수단이 구비된 비닐하우스의 일정한 공간에서 양어 및 작물 재배가 함께 이뤄질 수 있는, 양어 및 작물 재배하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공간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내동(內棟)의 지면에 양어조(養魚漕)가 구비되고 양어조의 상부 측 공간에 구비된 복수단의 작물 프레임의 각 단(段)에 여러 개의 작물 재배상자가 배치되어, 양어 및 작물재배를 함께 할 수 있는, 양어 및 작물 재배하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일정한 공간에서 양어 및 작물재비가 가능하여 그만큼 공간 이용률이 높고 동일 인력으로 단위 공간의 영농 수익성이 보다 증대(增大)되는 양어 및 작물 재배하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비닐하우스의 내부 공간에 보다 작은 복수의 내동(內棟)이 구비되어 있고 비닐하우스와 내동은 모두 방풍(防風)과 방한(防寒) 및 채광이 가능한 장막이 처 있고 앞 뒤쪽에 출입문이 구비된 것으로 외관적으로는 일반적인 작물 재배하우스와 차이가 없다.
각 장막은 내부 온도에 따라 걷어 올릴 수도 있고 내리어 칠 수도 있다.
상기 내동 공간의 지면(地面)에는 일정한 넓이의 직사각형의 양어조가 지하로 일부 매입(埋
Figure pat00004
)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양어조의 상부 측 공간에 다단으로 설치된 프레임의 각 단에 직사각형의 재배상자가 배치되어 있다.
양어조에는 수위감지기가 구비된 급수도관과, 펌프에 의해 배수로로 배수 가능한 배수도관이 구비되고 급수원으로부터 물이 일정수이를 유지하도록 자동 공급하게 되고 또한 넘치거나 배수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배수도관을 통하여 배수로에 양어조의 물을 배수하게 되어 있다.
또 양어조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여러 개의 폭기노즐과 살수노즐이 도관으로 배치되어 폭기노즐에는 펌프에 의해 외부 공기를 불어넣어 폭기하고 살수노즐은 펌프에 의해 양어조의 물을 살수 하게 되어 있다.
또 겨울철에 양어조의 빙결로 인한 양어의 냉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히터가 수중에 내장되고 전기히터의 도선이 분전반에 접속되어 수온 김지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박스의 지시에 의해 양오조의 물을 적정수온으로 유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작물 재배상자가 배치되는 다단의 프레임은 가로대와 지주에 의해 교차되게 결합된 것으로 프레이의 각단에 작물재배상자를 입체적으로 배치하여 내동의 공간을 보다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작물재배 공간의 상부 측에는 작물에 급수를 위한 여러 개의 분사노즐이 도관에 의해 배치도고 펌프에 의해 양어조의 물을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분사하게 되어 있다. 작물에 필요한 물은 양어조의 물을 사용하면 어류의 배설물이 유기질 비료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별도로 급수원의 물을 공급하여 살수해도 된다.
재배실의 공간에는 냉난방용 파이프가 배관되어 있고 냉난방 파이프의 도관은 온냉기에 연관되어 온도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박스의 지시에 의해 냉난방파이프에 온수, 또는 냉수를 순환시키어 내동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상기 온냉기는 가열수단과 냉각수단이 결합된 냉난방기구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구비된 내동(內棟)에서 양어와 작물재배를 동시에 할 수 있다.
즉, 양어조 바닥에 어종에 따라 흙을 약간 채우고 수초가 자랄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한 다음 농촌에서 비교적 적은 노력(勞力)으로 양어가 가능하고 생명력이 강한 미끄라지, 장어 등의 민물어류, 또는 우렁과 같은 조패류 등을 양식한다.
수위감지기가 구비된 급수관을 통하여 양어조에는 항상 일정한 량의 깨끗한 물이 지하수, 또는 수돗물,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며 기폭노즐의 도관에 연관된 펌프에 의해 외부공기를 도관으로 공급하여 수중에서 공기를 폭기(爆氣)시키고 또한 살수노즐의 도관에 연관된 펌프에 의해 양어조의 물을 양수하여 수면 위에서 살수하여 양어조 물의 요동으로 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산소의 공급으로 어류의 생존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며, 적량의 사료를 지정시간에 뿌려준다.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은 경우가 있는데 역시 수온감지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박스의 지시에 의해 급수도관을 통하여 급수원의 지하수, 또는 수돗물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적정 수온으로 유지한다. 이때 펌프의 가동에 의해 도관을 통하여 양어조의 물을 배수로로 배수하여 수위를 조절한다. 또한 펌프의 가동에 이해 도관을 통하여 양어조의 물을 양수하여 분무노즐에서 분무하여 작물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겨울에 양어조의 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온감지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박스의 지시에 의해 분전반으로부터 전열히터에 전원이 공급되어 적정수온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작물재배 상자에는 습기가 필요한 각종 버섯, 또는 고급식재료용 작물을 재배한다. 분사노즐을 통하여 양어조의 물을 분사하여 영양분이 있는 물이 작물에 공급된다.
계절에 따라 작물재배실에 구비된 온도감지기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박스의 지시에 의해 온냉 파이프의 도관을 통하여 냉난방기로부터 온수, 또는 냉수를 순환시키어 작물재배실을 적정온도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서 양어조의 수온과 작물재배 공간의 온도는 양어하는 어류의 종류와 작물의 종류에 따라 민감하게 차이를 둘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양어조의 수온에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고 작물의 재배온도에서 양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양어와 작물재배를 별다른 어려움이 없이 함께 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공간에서 양어와 작물 재배를 함께 하기 때문에 종래 작물만 재배하거나, 양어만 하던 것에 비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동 공간의 이용률이 보다 높게 되고 동일한 인력으로 단위 공간의 영농의 수익성을 보다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내동(內棟)의 지면에 양어조(養魚漕)가 구비되고 양어조의 상부 공간에 다단으로 구비된 프레임에 여러 개의 재배상자를 입체적으로 배치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내동의 간간에서 양어 및 작물재배를 함께 할 수 있다.
또한 내동의 일정한 공간에서 양어 및 작물재배가가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공간 이용률이 높고 동일한 인력으로 단위 공간에 대한 영농의 수익성이 보다 증대(增大)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에 복수의 내동이 구비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내동의 측단면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내동의 종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비닐하우스(H)의 내부 공간에 보다 작은 복수의 내동(內棟)(h)이 설치되어 있다.
비닐하수(H) 및 내동(h)은 방풍과 방한 및 채광성의 장막(張幕)(C)(c)이 걷어 올리거나 내리어 칠 수 있게 각각 덮여 있고 앞과 뒤쪽에 출입문(D)(d)이 구비되어 있다.
도2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동(h)의 내부 지면(地面)에는 일정한 넓이의 직사각형의 측벽(1a)과 저면부(1b)로 형성된 양어조(1)가 지하로 일부 매입(埋
Figure pat00005
)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양어조(1)의 상부 측 공간에는 가로대(2a)와 지주(2b)에 의해 형성된 복수 단(S1)(S2)으로 설치된 프레임(2)의 각 단(S1)(S2)에 여러 개의 직사각형 재배상자(3)가 상하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양어조(1)의 일 측에는 수위감지기(s1)가 구비된 급수도관(d1)이 구비되어 급수원(W)으로부터 물을 일정한 수위로 공급 유지하게 되어 있고 상기 양어조(1)에 타 즉에는 필터(f)를 가진 배수도관(d2)이 펌프(p1)를 통하여 지면의 배수구(G)로 양어조의 물을 배수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양어조(1)의 저면에는 여러 개의 폭기노즐(n1)이 도관(d3)에 의해 배치되어 펌프(p2)에 의해 외부 공기를 수중에 불어 넣어 폭기하게 되어 있고 양어조(1)의 상부 측에는 여러 개의 살수노즐(n2)이 도관(d4)에 의해 가로로 배치되어 펌프(p3)에 의해 양어조의 물을 상부에서 살수하여 양어조(1)에 공기가 혼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겨울철에 양어조의 빙결(氷結)에 의한 냉해(冷害)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어조(1)의 바닥에 전열히터(Eh)가 배치되고 전열히터(Eh)의 도선(e)이 외부의 분전반(Ds)에 연결되어 수온감지기(s2)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박스(CB)의 지시에 의해 양어조(1)의 물을 가온하여 적정한 수온으로 유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작물 재배상자(3)가 배치된 상부 측에는 작물의 급수를 위한 여러 개의 분사노즐(n3)이 도관(d6)에 의해 배치되어 펌프(p5)에 의해 양어조(1)의 물을 양수하여 분사하게 되어 있다.
작물에 사용하는 물은 어류의 배설물이 함유된 양어조(1)의 물을 사용해도 되고 상기 급수도관(d1)을 통하여 급수원(W)의 지하수나 수돗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재배상자(3)가 배치된 작물재배 공간에는 냉난방 파이프(Hd)가 도관(d5)에 의해 냉난방기(CH)와 연관되게 배치되어 온도감지기(s3)의 감지신호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이 입력된 제어박스(CB)의 지시에 의해 자동으로 냉난방기(CH)로 부터 냉수, 또는 온수가 온냉 파이프(Hd)에 순환되어 작물재배 공간의 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조절하여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하우스(H) 내부의 내동(h)에 구비된 양어조(1)와 작물재배상자(3)에 의해 양어와 작물재배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즉, 양어조(1)에는 농촌에서 비교적 적은 노력(勞力)으로 양어가 가능하고 생명력이 강한 미끄라지, 장어, 가물치, 붕어, 매기 등의 민물어류, 또는 우렁과 같은 조패류 등을 양식할 수 있다.
도2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위감지기(s1)가 구비된 급수도관(d1)을 통하여 양어조(1)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로 물이 공급되며 펌프(p2)의 가동에 의해 외부공기를 도관(d3)을 통하여 기폭노즐(n1)에 불어넣어 수중에서 폭기(爆氣)시키어 수중에 어류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또한 펌프(p3)의 가동에 의해 양어조(1)의 물을 도관(d4)을 통하여 살수노즐(n2)에 의해 수면에 물을 살수하여 물의 요동과 산소를 공급하여 물의 부패를 방지한다. 또한 적량의 사료를 지정시간에 뿌려준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여름철에 양어조(1)의 수온이 높게 되는 경우에는 급수도관(d1)을 통하여 냉각된 지하수를 공급하는 동시 더워진 양어조(1)의 물은 펌프(p1)의 가동에 의해 도관(d2)을 통하여 배수구(G)로 배출하거나. 펌프(p5)의 가동에 의해 도관(d6)을 통하여 분사노즐(n3)에서 분사하여 작물재배 상자(3)에 급수하여 양어조(1)의 수온을 적정온도로 유지한다.
또한 겨울에는 물이 얼지 않도록 수온감지기(s2)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박수(CB)의 지시에 의해 분전반(ds)으로부터 전원 도선(e)을 통하여 전열히터(Eh)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열히터(Eh)의 가온에 의해 수온을 적정ㅇ온도로 유지한다.
상기 작물재배상자(3)에는 습기가 필요한 각종 버섯, 또는 고급식재료용 작물을 재배한다. 이때 펌프(p5)의 가동에 의해 도관(d6)을 통하여 양어조(1)의 물이 분사노즐(n3)에 공급되어 분사노즐(n3)에서 분사하여 어류의 배설물이 포함된 영양분이 있는 물이 공급된다.
또 온도감지(s3)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박스(CB)의 지시에 의해 냉난방기(HC)로부터 온수나 냉각수를 온냉 파이프(Hd)에 순환시키어 작물재배에 유용한 실내 온도로 조절 유지한다.
본래 양어조의 수온과 작물재배 공간의 온도는 서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양어조의 수온에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고 작물의 재배온도에서 양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이 양어와 작물재배를 함께 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공간에서 양어와 작물 재배를 함께 하기 때문에 종래 작물만 재배하거나, 양어만 하던 것에 비하여 내동의 공간 이용률이 보다 높고 동일한 인력과 단위 공간에서 영농의 수익성을 보다 증대할 수 있다.
1 : 양어조 1a : 측벽 1b : 저면부 2 : 프레임 2a : 가로대 2b : 지주
3 : 재배상자 d1,d2,d3,d4.d5.d6 : 도관 n1 : 폭기노즐 n2 : 살수노즐
n3 : 분사노즐 e : 도선 s1 : 수위감지기 s2 : 수온감지기 s3 : 온도감지
H : 비닐하우스 C : 비닐장막 h : 내동 c : 장막 D,d : 출입문
Ds : 분전반 Eh : 전열히터 Hd : 온냉파이프 W : 급수원

Claims (3)

  1. 방풍과 방한 및 채광이 가능한 비닐장막이 쳐 있고 앞쪽과 뒷쪽에 출입문이 형성된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내동(內棟)과,
    상기 내동의 지면에 급수도관과 배수도관 및 기폭노즐이 도관에 의해 구비되고 직사각형의 측벽과 저면부로 형성된 양어조(養魚漕)와,
    상기 양어조의 상부 측 공간에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가로대와 지주로 설치된 복수단의 프레임에 입체적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작물 재배상자가 결합되어,
    한정된 공간에서 양어 및 작물재배를 함께 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및 작물 재배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양어조에는 전열히터의 도선이 분전반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양어조의 물을 가온하여 양어조의 빙결을 방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및 작물 재배하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자물 상자가 배치된 작물 재배실에는 온냉파이프가 냉난방기에 도관으로 연관되게 배치되어 온냉 파이프로 순환되는 온수, 또는 냉수에 의해 실내온도를 제어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 및 작물 재배하우스.
KR1020140061349A 2014-05-22 2014-05-22 양어 및 작물재배하우스 KR20150134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349A KR20150134546A (ko) 2014-05-22 2014-05-22 양어 및 작물재배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349A KR20150134546A (ko) 2014-05-22 2014-05-22 양어 및 작물재배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546A true KR20150134546A (ko) 2015-12-02

Family

ID=5488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349A KR20150134546A (ko) 2014-05-22 2014-05-22 양어 및 작물재배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54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1078A (zh) * 2016-05-30 2016-09-28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园艺温室的多功能主支撑结构
CN106034849A (zh) * 2016-08-09 2016-10-26 无锡市永亿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能均匀浇水的花卉培养箱
CN106165665A (zh) * 2016-06-30 2016-11-30 淮南市农康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用于水产品养殖的绿色自然生态循环系统
CN108271695A (zh) * 2018-03-09 2018-07-13 浙江日福莱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一亩以下场地上生态循环式单层猪舍养猪系统
KR20180087181A (ko) * 2017-01-23 2018-08-01 (주)인더텍 재택 재배 및 사육 장치 및 시스템
CN111264238A (zh) * 2018-05-23 2020-06-12 田粒波 一种三七种植用第一年红籽育苗用种植架及种植方法
US20230012188A1 (en) * 2021-07-09 2023-01-12 Trent Anderson Aquaponic Greenhouse with Suspended Hydroponic Planter and Irrigation System Geothermal Heat Exchange System and Hydronic Radiant Flooring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1078A (zh) * 2016-05-30 2016-09-28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园艺温室的多功能主支撑结构
CN106165665A (zh) * 2016-06-30 2016-11-30 淮南市农康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用于水产品养殖的绿色自然生态循环系统
CN106034849A (zh) * 2016-08-09 2016-10-26 无锡市永亿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能均匀浇水的花卉培养箱
KR20180087181A (ko) * 2017-01-23 2018-08-01 (주)인더텍 재택 재배 및 사육 장치 및 시스템
CN108271695A (zh) * 2018-03-09 2018-07-13 浙江日福莱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一亩以下场地上生态循环式单层猪舍养猪系统
CN111264238A (zh) * 2018-05-23 2020-06-12 田粒波 一种三七种植用第一年红籽育苗用种植架及种植方法
US20230012188A1 (en) * 2021-07-09 2023-01-12 Trent Anderson Aquaponic Greenhouse with Suspended Hydroponic Planter and Irrigation System Geothermal Heat Exchange System and Hydronic Radiant Flo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4546A (ko) 양어 및 작물재배하우스
US4077158A (en) Agricultural greenhousing reconciling intensified urban methods
US101946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lar greenhouse aquaponics and black soldier fly composter and auto fish feeder
JP2011244705A (ja) 植物栽培方法
KR20150084103A (ko) 온실하우스의 하이브리드 냉난방시스템
CN103734025A (zh) 竹鼠饲养舍
CN208836748U (zh) 一种立体种养大棚
KR101590621B1 (ko) 복합 시설물
KR20220045659A (ko) 농작물 및 어류양식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스마트팜 시스템
CN204272909U (zh) 一种环保、卫生和节约型肉种鸭发酵床饲养舍
US202101610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solar containers with integrated aquaponics, greenhouse and mushroom cultivation
KR101900936B1 (ko) 냉풍을 이용하는 밀폐형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방법
JP2011244706A (ja) 植物栽培方法
JP4968832B2 (ja) ワサビのハウス促成栽培システム
CN202890079U (zh) 一种大棚供暖供水设备
CN102767305A (zh) 立体模式的农业生产方法及建筑
US202003900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solar houses, buildings and skyscrapers with integrated aquaponics, greenhouse and mushroom cultivation
CN107810922A (zh) 麻鸭生态养殖方法
CN206294603U (zh) 一种草莓越夏育苗大棚
CA31878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solar houses, buildings and skyscrapers with integrated aquaponics, greenhouse and mushroom cultivation
CN105994174A (zh) 一种室内的蚯蚓养殖系统
CN207201488U (zh) 种养循环一体棚
KR100834312B1 (ko) 순환식 축사
ES1064003U (es) Modulo para la produccion de forraje verde hidroponico.
US20190313587A1 (en) Urban Greenhouse Designed for High Crop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