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170B1 -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170B1
KR101257170B1 KR1020110039830A KR20110039830A KR101257170B1 KR 101257170 B1 KR101257170 B1 KR 101257170B1 KR 1020110039830 A KR1020110039830 A KR 1020110039830A KR 20110039830 A KR20110039830 A KR 20110039830A KR 101257170 B1 KR101257170 B1 KR 10125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coil
hot rolled
unit
roller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801A (ko
Inventor
육완
문준오
박철봉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17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6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metal rods, tubes, or profiles, e.g. crankshafts, by specially adapted methods 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권취 보관된 열연코일의 자중에 의해 유발 가능한 짱구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고 교정해주는 열연코일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는, 열연코일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베드부와, 베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향 안착되는 열연코일의 외주면 하부를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형성되며, 회동 시 열연코일을 마찰구동하여 등속 회전시키는 마찰구동롤러부를 포함하는 열연코일 받침대 및 열연코일의 외주면 양측에 면접하여 가압한 상태에서 수직축 회전함에 따라 열연코일의 하향 처짐 변형을 교정하는 교정롤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DEFORMATION OF HOT ROLLED COIL}
본 발명은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연코일의 보관 중 자체 하중에 의해 유발되는 짱구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고 교정해주는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연코일은 권취 과정을 거쳐 냉각장(cooling yard)에서 자연 냉각되도록 적치 보관된다. 그리고 보관 중의 열연코일은 자체 하중으로 인해 원형 단면이 좌우로 찌그러진 타원 형상으로 변형되는데, 이 같이 변형된 열연코일을 짱구코일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변형은 열연코일의 후처리 공정인 정정이나 산세 작업 시 조업 조건에 악영향을 끼쳐, 작업 속도 저하 및 제품 품질 저하 등의 원인으로 작용된다. 심지어 그 변형의 정도가 극심할 경우에는 열연코일의 스크랩 처리가 요구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연코일 상에 짱구 형태의 변형이 발생된 경우라도, 손쉽게 원형으로 복원 교정 가능한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열연코일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향 안착되는 열연코일의 외주면 하부를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형성되며, 회동 시 열연코일을 마찰구동하여 등속 회전시키는 마찰구동롤러부를 포함하는 열연코일 받침대; 및 열연코일의 외주면 양측에 면접하여 가압한 상태에서 수직축 회전함에 따라, 열연코일의 하향 처짐 변형을 교정하는 교정롤러부;를 포함하는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교정롤러부는, 열연코일의 외주면 상하 중심을 기준으로 열연코일 쪽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며, 열연코일의 외주면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수직축 회전하는 한 쌍의 교정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교정롤러 각각의 수직축 회전 및 수평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교정롤러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교정롤러부는, 열연코일의 직경을 계측하는 직경계측부; 및
상기 직경계측부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기준 직경 데이터와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오차범위만큼 상기 한 쌍의 교정롤러가 열연코일의 외주면 양측을 가압하여 수직축 회전하도록 상기 교정롤러동력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교정롤러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롤러제어부는, 상기 직경계측부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기준 직경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형오차를 연산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서 산출된 변형오차만큼 상기 한 쌍의 교정롤러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수직축 회전하도록 상기 교정롤러동력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연코일의 권취 후 이송 및 적치 과정 중에 발생 가능한 짱구 형태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심지어 변형된 짱구 형태를 원형으로 복원 교정할 수 있어 양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열연코일에서 유발되는 짱구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교정함으로써, 열연코일의 후처리 공정(예: 정정 또는 산세)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연코일의 짱구 변형 불량 현상을 야금학적 접근법을 통해 해결하지 않으며 후 교정이 가능한 기구적 설비를 통해 해결해 줌으로써, 강종개발이 제한되지 않으며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열연코일 받침대의 세부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정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정롤러부 사이로 열연코일이 물려 형상 교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정롤러부의 작용에 따라 열연코일의 짱구 형태 변형이 교정되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되는 부분만을 분명하게 명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200)는 열연코일(C)의 보관 중 자중에 의한 하향 처짐 변형(즉, 짱구 변형)을 방지하는 열연코일 받침대(100)와, 발생된 변형을 교정해주는 교정롤러부(230)를 포함한다.
열연코일 받침대(100)는 권취 된 열연코일을 적치 보관하는 받침용 수단이다. 중공 롤 형상으로 권취 보관된 열연코일은 자체 하중에 의해 하향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데, 권취 초기에 원형이었던 것이 횡방향으로 찌그러져 타원형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을 통칭 '짱구 변형'이라 하며, 이렇게 변형된 열연코일을 '짱구 코일'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받침대(100)는 권취 된 열연코일을 받쳐주는 받침 기능에서 나아가, 열연코일의 하향 처짐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연코일 받침대(100)는 열연코일(C)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베드부(110)와, 이의 상부에서 열연코일(C)을 마찰구동하여 등속 회전시키는 마찰구동롤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베드부(110)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하부에서 열연코일(C)을 떠 받쳐주는 부재로서, 이러한 베드부(1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시된 특정 형태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즉,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실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베드부(110)의 상측에 마찰구동롤러부(110)가 구비된다.
마찰구동롤러부(110)는, 상기 베드부(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향 안착되는 열연코일(C)의 외주면 하부를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마찰구동롤러부(110)의 회동은, 하향 안착되는 열연코일(C)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마찰구동시키도록 하는 회전 전동 구동을 의미한다.
그 결과, 열연코일(C)은 등속(즉, 등각속도)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되는 열연코일(C) 상의 자중 방향이 일정속도로 계속 변화함에 따라, 한 방향에서만 하향 처짐 변형이 유발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그 결과 짱구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마찰구동롤러부(130)는, 베드부(110) 상부에 구비되어, 회동하는 구동롤러(131)와, 상기 구동롤러(1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동력부(1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받침대(100)의 형상, 구조 및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받침대의 세부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마찰구동롤러부(130)가 베드부(110)의 상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구동부(130)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131)를 포함한다.
한 쌍의 구동롤러(131)는 상측으로 열연코일(C)의 외주면 하부 양측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회전 구동한다. 이때 한 쌍의 구동롤러(131) 각각은 등속으로 회전 구동되어야 하는데, 열연코일(C)은 한 쌍의 구동롤러(131)에 의해 마찰구동되어 등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열연코일(C)의 회전속도는 너무 빠를 필요가 없으며, 열연코일(C)의 회전이 중단되지 않도록 느리게 등속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한 쌍의 구동롤러(131) 각각의 외주면 외곽 상에는 외피부재(132)가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구동롤러(131) 각각이 열연코일(C)과 접촉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마찰 회전함에 따라, 표면이 훼손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함이다.
특히, 여기서의 외피부재(132)는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인 것이 좋으며, 아울러 열연코일(C)을 마찰구동시킬 때 상호 간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외피부재(132)의 외주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것이 좋은데, 그 결과 한 쌍의 구동롤러(131)와 마찰구동하는 열연코일(C)의 표면 품질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찰구동부(130)는 구동롤러동력부(133)를 포함한다.
구동롤러동력부(133)는 상기 한 쌍의 구동롤러(131) 각각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이다. 이러한 구동롤러동력부(133)로 이용 가능한 구체적인 형태로는, 전기모터가 이용될 수 있는데, 회전수 및 토크 제어가 가능한 AC 또는 DC 모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 가능하다. 다만, 열연코일(C)의 큰 자체 중량을 고려할 때, 비교적 큰 토크를 발휘할 수 있는 AC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상기 마찰구동부(130)는 무게검출부(135) 및 구동롤러제어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게검출부(135)는, 한 쌍의 구동롤러(131)에 지탱된 열연코일(C)의 자중을 검출하는 센싱 수단으로서, 무게 계측이 가능한 센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이용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드부(110) 내측에 형성되어 감지단자가 열연코일(C)의 하부면까지 연결되는 로드 셀이 무게검출부(135)로 이용된다.
상기 무게검출부(135)에서 검출된 열연코일(C)의 자중은, 구동롤러제어부(140)에 신호(C1) 형태로 전달된다.
구동롤러제어부(140)는 상기 무게검출부(135)로부터 검출된 자중에 대한 신호(C1)를 전달받고서, 구동롤러동력부(133)의 토크 출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그 결과, 열연코일(C)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이 한 쌍의 구동롤러(131)의 회동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동롤러제어부(140)는 열연코일(C)의 등속 회전에 필요한 회전수 역시 상기 구동롤러동력부(133)의 회전수 출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받침대(100)에는, 등속으로 회전하는 열연코일(C)을 하부에서 구조적으로 지탱해주는 피동롤러부(15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피동롤러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10)로부터 열연코일(C) 외주연 하부면으로 접촉 지지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소형의 롤러 부재이다. 이러한 피동롤러부(150)는 열연코일(C)의 하부면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열연코일(C)의 회전에 연동하여 피동 회전하며, 그 결과, 열연코일(C)의 회전 움직임이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피동롤러부(150)는 한 쌍의 구동롤러(131) 사이의 이격 공간상에서 베드부(110)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열연코일(C)의 외주면 하부에 골고루 접촉되도록 원호 궤적을 따라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열연코일 받침대(100)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열연코일(C)의 경우, 권취 된 상태에서 적치 보관될 때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자중에 의해 짱구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받침대(100)는 단순히 권취 된 열연코일을 안착 지지하는 기능에서 더 나아가, 열연코일(C)의 자중 방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주기 위하여 열연코일(C)을 등속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열연코일(C)의 무게를 감지하여, 해당 열연코일(C)마다의 필요한 토크 및 회전수가 적절히 제어된다. 그리고 제어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한 쌍의 구동롤러(131)가 회동된다. 한 쌍의 구동롤러(131)가 회동하면, 이와 접촉 마찰된 열연코일(C)이 마찰구동되어 등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열연코일(C) 상에 작용하는 자중은 계속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짱구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200)는 전술된 열연코일의 짱구 변형을 방지하며 보관하는 열연코일 받침대(100) 이외에, 기 발생된 짱구 변형을 교정해주는 교정롤러부(230)의 구성을 포함한다.
교정롤러부(230)는 열연코일(C)의 외주면 양측에 면접하여 가압한 상태에서 수직축 회전함에 따라, 열연코일(C)의 하향 처짐 변형을 교정하는 형상 교정 수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로는, 열연코일 받침대(100)를 통해 보관 중인 경우 열연코일(C)의 짱구 변형은 방지될 수 있으나, 이후 열연코일(C)이 반출 및 운반되는 경우 또 다시 짱구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를 교정롤러부(230)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교정롤러부(230)의 형상, 구조 및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중 교정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정롤러부(230)는, 진입되는 열연코일(C)의 외주면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수직축 회전하는 한 쌍의 교정롤러(231)와, 이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교정롤러동력부(233)를 포함한다.
자중으로 인한 하향 처짐 변형, 즉 짱구 변형이 발생된 열연코일(C)은 한 쌍의 교정롤러(231)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진입된다.
진입되는 열연코일(C)에 대해 상기 한 쌍의 교정롤러(231)는 열연코일(C)의 외주면 양측을 면접하여 가압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하 방향의 수직 축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교정롤러(231)는 열연코일(C)의 외주면 상하 중심을 기준으로 열연코일(C) 쪽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주행 궤적(W)을 따라 직선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쌍의 교정롤러(231)는 열연코일(C)의 외주면 양측을 면접한 상태로 가압할 수 있다.
특히, 변형된 열연코일(C)의 직경(d´)은 원형 상태의 직경(d)에 비해 확장되어 있으므로, 한 상의 교정롤러(231)가 열연코일에 맞닿아 측면을 가압해줌으로써 변형된 형상을 원형으로 교정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정롤러(231)의 작용 효과는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교정롤러(231) 각각의 외주면은 원형 상태의 열연코일(C)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교정롤러(231)는 수직축 회전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구동력은 교정롤러동력부(233)에서 제공한다.
교정롤러동력부(233)는 상기 한 쌍의 교정롤러(231) 각각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이다. 그 구체적인 형태로서, 전기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수직 축 회전에 필요한 회전수 및 토크 제어는 물론, 수평 방향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교정롤러동력부(233)는 직경계측부(235) 및 교정롤러제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경계측부(235)는 짱구 변형이 발생된 열연코일(C)의 확장된 직경(d´)을 계측하는 센서 수단이다. 짱구 변형으로 인해 열연코일(C)의 확장된 직경(d´)을 계측함으로써, 한 쌍의 교정롤러(321)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이후 원형 상태의 열연코일(C)의 직경(d)으로 면접 가압하여 열연코일(C)의 변형된 형상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교정롤러제어부(240)는, 직경계측부(235)로부터 계측된 데이터(즉, d´)를 기준 직경 데이터(d)와 비교 연산한 후, 오차범위만큼 한 쌍의 교정롤러(231)가 수직축 회전하며 열연코일(C)의 외주면 양측을 가압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즉, 이러한 교정롤러제어부(240)는 비교 연산된 데이터 간의 오차(d~d´)만큼 한 쌍의 교정롤러(231)가 짱구 변형된 열연코일(C)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교정롤러동력부(233)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교정롤러제어부(240)는 데이터 입력부(241), 데이터 연산부(243) 및 데이터 처리부(245)의 세부 구성을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241)는 상기 직경계측부(235)로부터 계측된 데이터(d´)를 입력받는 수단이다. 그리고 데이터 입력부(241)로 입력된 데이터(d´)는 데이터 연산부(243)로 전달된다. 데이터 연산부(243)는 입력된 데이터(d´)를 전달받아 기준 직경 데이터(d)와 비교하여 변형오차를 연산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245)는 산출된 변형오차만큼 한 쌍의 교정롤러(231)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수직축 회전하도록 교정롤러동력부(233)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245)에서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교정롤러동력부(233)는 출력 제어가 가능해지며, 이러한 방식으로 한 쌍의 교정롤러(231)는 짱구 변형이 발생된 열연코일(C)의 형상을 효과적으로 교정하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중 교정롤러부의 작용에 따라 열연코일의 짱구 형태 변형이 교정되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동작도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수직 방향으로 자체 하중이 가해져 하향 처짐 변형, 즉 짱구 변형이 발생된 열연코일(C)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짱구 변형으로 인하여 열연코일(C)의 직경(d´)이 확장 변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짱구 변형된 열연코일(C)이 진입되면, 교정롤러부(230)는 열연코일(C)의 외주면 양측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면접 가압한다.
다음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앞서 도 5의 (a)를 통해 설명한 교정롤러부(230)의 작용에 따라 짱구 변형된 열연코일(C)이 원형으로 형상 복원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시된 열연코일(C)의 형상이 원형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확장 변형된 직경 역시 원형의 직경(d)으로 교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연코일의 권취 후 이송, 적치 과정 중에 발생 가능한 짱구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방지될 수 있다.
심지어, 짱구 형태 변형 전의 열연코일에 대한 변형 방지 효과는 물론, 나아가 변형이 유발된 상태에서의 열연코일에 대해서도 손쉽게 원형으로 복원 교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를 이용할 경우, 열연코일의 형상을 원형으로 유지해줌으로써, 열연코일의 후처리 공정(예: 정정 또는 산세) 시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연코일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짱구 변형 불량 문제를 야금학적 접근법을 통해 해결하지 않고서도 기구적인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어, 강종 조성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자유로운 강종 개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열연 코일
100: 열연코일 받침대
110: 베드부
130: 구동롤러부
200: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230: 교정롤러부

Claims (4)

  1. 열연코일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향 안착되는 열연코일의 외주면 하부를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외피 부재의 외면에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형성되며, 회동 시 열연코일을 마찰구동하여 등속 회전시키는 마찰구동롤러부를 포함하는 열연코일 받침대; 및
    열연코일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열연코일의 외주면 양측에 면접하여 가압한 상태에서 수직축 회전함에 따라, 열연코일의 하향 처짐 변형을 교정하는 교정롤러부;를 포함하는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롤러부는,
    열연코일의 외주면 상하 중심을 기준으로 열연코일 쪽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며, 열연코일의 외주면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수직축 회전하는 한 쌍의 교정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교정롤러 각각의 수직축 회전 및 수평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교정롤러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롤러부는,
    열연코일의 직경을 계측하는 직경계측부; 및
    상기 직경계측부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기준 직경 데이터와 비교 연산한 후, 연산된 오차범위만큼 상기 한 쌍의 교정롤러가 열연코일의 외주면 양측을 가압하여 수직축 회전하도록 상기 교정롤러동력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교정롤러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롤러제어부는,
    상기 직경계측부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기준 직경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형오차를 연산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서 산출된 변형오차만큼 상기 한 쌍의 교정롤러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수직축 회전하도록 상기 교정롤러동력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KR1020110039830A 2011-04-27 2011-04-27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KR10125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830A KR101257170B1 (ko) 2011-04-27 2011-04-27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830A KR101257170B1 (ko) 2011-04-27 2011-04-27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801A KR20120121801A (ko) 2012-11-06
KR101257170B1 true KR101257170B1 (ko) 2013-04-22

Family

ID=4750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830A KR101257170B1 (ko) 2011-04-27 2011-04-27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3392A1 (en) 2018-04-04 2019-10-10 Arcelormittal Method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coil collapse on hot strip mill coi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427Y1 (ko) * 1997-10-25 2002-01-17 이구택 변형 핫 코일의 교정장치
KR100882105B1 (ko) * 2002-09-10 2009-02-06 주식회사 포스코 짱구 코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427Y1 (ko) * 1997-10-25 2002-01-17 이구택 변형 핫 코일의 교정장치
KR100882105B1 (ko) * 2002-09-10 2009-02-06 주식회사 포스코 짱구 코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801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711B1 (ko) 롤러 레벨러 및 금속판의 교정 방법
TW579308B (en) Rolling method for strip rolling mill and strip rolling equipment
US8365565B2 (en) System for leveling metal strip
JP5060432B2 (ja) 熱間圧延の張力制御装置および張力制御方法
JP6269608B2 (ja) H形鋼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CN104326237B (zh) 带式矿物运输机
CN101918155A (zh) 轧板机和轧板方法
WO2012114852A1 (ja) ローラレベラおよび金属板の矯正方法
KR101257170B1 (ko) 열연코일 형상 교정 장치
JP4894188B2 (ja) U型鋼矢板のローラー矯正方法および装置
JP4681686B2 (ja) 板圧延機および板圧延方法
CN104144754A (zh) 用于卷绕材料幅面的方法和装置
CN108750765A (zh) 一种带材卷绕用张力平衡装置及其控制系统
CN207375394U (zh) 具备松紧调节功能的布料退卷机
JP2021079411A (ja) 巻取制御装置、コイラー、巻取制御方法および熱間圧延金属帯の製造方法
KR101036318B1 (ko)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JP5853497B2 (ja) 巻取制御装置および巻取制御方法
JP5041006B2 (ja) ゼンジミアミルのロールポジション設定方法
JP2008184293A (ja) 材料搬送装置及び速度調整方法
CN113507990B (zh) 用于运输带材料、尤其是热轧带材的设备和方法
JP5088791B2 (ja) 塗布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塗布システム
JP5429700B2 (ja) テンションレベラー
CN208182275U (zh) 热连轧钢卷卷取装置
CN105396896A (zh) 一种开卷机压紧装置
CN218168255U (zh) 一种金属带双侧定位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