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027B1 - 분할핀 벤딩 툴 - Google Patents

분할핀 벤딩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027B1
KR101257027B1 KR1020120112583A KR20120112583A KR101257027B1 KR 101257027 B1 KR101257027 B1 KR 101257027B1 KR 1020120112583 A KR1020120112583 A KR 1020120112583A KR 20120112583 A KR20120112583 A KR 20120112583A KR 101257027 B1 KR101257027 B1 KR 10125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plit
punch
split pi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우영
Original Assignee
(주)우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우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1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등과 같은 부품의 몸체에 분할핀을 체결할 때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손쉽게 절곡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이어를 조작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예비 벤딩 후에 마무리 벤딩하여 완전히 체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분할핀 체결공구를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분할핀 체결작업과 관련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할핀 벤딩 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할핀 벤딩 툴{Split pin banding tool}
본 발명은 분할핀 벤딩 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 등과 같은 부품의 몸체에 분할핀을 체결할 때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손쉽게 절곡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할핀은 구멍이 뚫려 있는 볼트 또는 축 등과 같은 부품에 체결되어 부품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며, 보통 원형의 머리부분과 가운데가 갈라진 삽입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할핀은 볼트나 축 등의 부품에 가공되어 있는 구멍에 갈라진 부분을 끼운 후, 그 단부를 양측으로 구부려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즉, 분할핀의 머리부분이 부품의 구멍 입구에 걸리게 되면서 삽입부분은 구멍에 삽입되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된 갈라진 단부가 양측으로 절곡되므로서, 분할핀이 부품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체결되면서 결국 부품의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식 링크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요크(클레비스)와 로드(암)를 상호 결합할 때, 요크(100)와 로드(110)의 각 구멍에 일자형의 볼트형 고정핀(130)을 삽입하고, 고정핀(130)에 형성된 구멍(130a)에 분할핀(140)을 끼워 그 단부를 구부려 주는 형태로 고정핀(13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할핀 체결작업은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절곡하는 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분할핀 체결작업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있고, 작업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제시되어 있는 분할핀 관련 공구들은 한국공개특허 10-2005-0114493호, 한국공개특허 10-2010-0011072호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분할핀의 교체작업, 즉 체결되어 있는 분할핀을 분리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분할핀 체결작업시 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공구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라이어를 조작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예비 벤딩 후에 마무리 벤딩하여 완전히 체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분할핀 체결공구를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분할핀 체결작업과 관련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할핀 벤딩 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할핀 벤딩 툴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분할핀 벤딩 툴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선단부에 어퍼 암과 로워 암을 가지는 플라이어와, 상기 어퍼 암에 결합되어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구부려주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예비 펀치를 이용하여 1차 벤딩 후에 하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면을 이용하여 마무리 벤딩하는 벤딩 펀치와, 상기 로워 암에 결합되어 벤딩시 분할핀 및 부품을 받쳐주는 로워 홀더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분할핀 벤딩 툴은 예비 펀치와 벤딩 펀치를 이용하여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벌린 다음, 이 상태에서 그대로 눌러서 절곡하는 순차적인 작동을 이용하여 분할핀 체결작업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분할핀 벤딩 툴의 예비 펀치는 벤딩 펀치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 내에 후단의 스프링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하고, 선단의 쐐기부를 이용하여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 사이로 진입하면서 벤딩 펀치에 의한 마무리 벤딩이 이루어지기에 앞서 갈라진 단부를 1차적으로 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벤딩 펀치의 경우에는 어퍼 암에 체결되는 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하여, 분할핀 벤딩시 약간의 유동을 가지면서 분할핀을 원활하게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할핀 벤딩 툴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분할핀 체결작업시 플라이어의 암에 있는 예비 펀치와 벤딩 펀치의 조합을 이용하여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1차 벤딩 후에 마무리 벤딩하는 방식으로 분할핀을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어려움 없이 분할핀 체결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고, 체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등 분할핀 체결과 관련한 전반적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분할핀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핀 벤딩 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핀 벤딩 툴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핀 벤딩 툴을 사용하여 분할핀을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핀 벤딩 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핀 벤딩 툴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a 및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할핀 벤딩 툴은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 사이에 진입하여 1차 벤딩하는 예비 펀치와 1차 벤딩이 이루어진 갈라진 단부를 마무리 벤딩하는 벤딩 펀치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예비 펀치와 벤딩 펀치의 연계적인 작동을 통해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손쉽게 절곡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핀(23)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24)로 이루어진 플라이어(12)가 마련되고, 상기 플라이어(12)의 선단부, 즉 각 핸들(24)의 끝 부분에는 어퍼 암(10)과 로워 암(11)이 서로 위아래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손으로 플라이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꽉 쥐게 되면, 선단부의 어퍼 암(10)과 로워 암(11)이 서로 만나게 되고, 결국 후술하는 위아래의 벤딩 펀치(15)와 로워 홀더(16)에 의해 분할핀 절곡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 암(10)과 로워 암(11)에는 한쪽으로 단차진 벽면(27a,27b)을 가지는 자리면(28a,28b)이 형성되며, 이때의 자리면(28a,28b)을 통해 후술하는 벤딩 펀치(15)와 로워 홀더(16)가 각각 어퍼 암(10)측과 로워 암(11)측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절곡하는 수단으로 1차 벤딩을 위한 예비 펀치(13)와 마무리 벤딩을 위한 벤딩 펀치(15)가 마련된다.
상기 벤딩 펀치(15)는 대략 사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벤딩 펀치(15)에는 블럭 상하 길이방향을 관통하는 홈부(17)가 형성되는 동시에 블럭 두께를 관통하는 핀 홀(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17)의 하단부위, 즉 후술하는 가압면(14)과 접하는 경계부위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며, 이때의 걸림턱(26)은 홈부(17) 내에 장착되는 예비 펀치(13)가 바깥쪽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벤딩 펀치(15)의 하단부에는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부품측으로 눌러서 완전히 벤딩시켜주는 수단으로 가압면(14)이 형성되며, 이때의 가압면(14)은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져, 예를 들면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역시 원형단면을 갖는 부품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눌러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벤딩 펀치(15)는 어퍼 암(10)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벤딩 펀치(15)는 어퍼 암(10)의 전면에 있는 자리면(28a)에 밀착 배치된 후, 암 뒷쪽에서 핀 홀(25)을 통해 끼워지는 힌지핀(20)에 의해 그 후면이 체결되므로서, 이때의 벤딩 펀치(15)는 핀 홀(25)에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힌지핀(2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벤딩 펀치(15)가 어퍼 암(10)의 자리면(28a) 내에 힌지핀(2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벤딩 펀치(15)의 한쪽 측면과 자리면(28a)의 벽면(27a) 사이에는 약 1∼2mm 정도의 갭이 조성되고, 이에 따라 벤딩 펀치(15)는 이때의 갭이 허용하는 여유만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특성은 벤딩 펀치(15)가 회전궤적을 그리면서 분할핀측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벤딩 펀치(15)와 분할핀 간의 보다 원활한 결착관계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예비 펀치(13)는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완전히 벤딩하기에 앞서 미리 약간 구부려주는 수단으로서, 그 선단부에는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 사이로 진입하여 갈라진 단부를 외측으로 벌려주는 쐐기부(19b)가 형성된다.
이러한 예비 펀치(13)는 몸체부(19a)와 쐐기부(19b)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벤딩 펀치(15)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17)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예비 펀치(13)의 쐐기부(19b)는 홈부(17)로부터 빠져나와 가압면(14)이 조성하고 있는 내측 공간까지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9a)는 홈부(17)의 내측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는 크기를 갖고, 쐐기부(19b)는 몸체부(19a)보다 작은 크기로 몸체부(19a)와 단차를 이루면서 끝으로 갈수록 뾰족한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때의 쐐기부(19b)의 첨단은 가압면(14)의 하단 위치보다 좀더 아래쪽으로 위치되어, 가압면(14)보다 먼저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 사이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벤딩 펀치(15)의 홈부(17)에는 예비 펀치(13)의 몸체부(19a) 뒷쪽으로 스프링(18)이 삽입 장착되고, 이에 따라 예비 펀치(13)는 스프링 힘에 의해 항상 아래쪽으로 탄력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18)은 홈부(17) 내에서 그 양단부가 후술하는 제2커버(30)와 예비 펀치(13)의 후단부 사이에 지지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따라서 상기 스프링(18)의 팽창력에 의해 예비 펀치(13)는 항상 아래쪽으로 눌려지는 힘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예비 펀치(13)는 쐐기부(19b)와 단차를 이루는 몸체부(19a)의 상면이 홈부(17)의 걸림턱(26)에 걸리기 때문에 예비 펀치(13)가 스프링(18)의 팽창력을 받더라도 홈부(17)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벤딩 펀치(15)의 홈부(17) 내에 예비 펀치(13)와 스프링(18)이 삽입된 상태에서 벤딩 펀치(15)의 전면부와 상단부는 제1커버(29)와 제2커버(30)에 의해 마감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예비 펀치(13)는 벤딩 펀치(15)의 홈부(17)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프링(18)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예비 펀치(13) 및 벤딩 펀치(15)에 의해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가 벤딩될 때 이와 짝을 이루면서 분할핀은 물론 이 분할핀이 끼워져 있는 부품을 받쳐주는 수단으로 로워 홀더(16)가 마련된다.
상기 로워 홀더(16) 역시 대략 사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며, 로워 암(11)의 전면에 있는 자리면(28b)에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 체결구조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 장착된다.
특히, 상기 로워 홀더(16)은 분할핀과 부품을 잡아주면서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수단으로 부품 안착홈(21)과 분할핀 수용홈(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로워 홀더(16)의 상단부에는 호(弧) 형상, 예를 들면 대략 반원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는 부품 안착홈(21)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부품 안착홈(21)의 바닥부 중앙 위치에서 좀더 깊게 파인 형태로 부품 안착부(21)와 그대로 통하는 분할핀 수용홈(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원형 단면의 부품은 부품 안착홈(21) 내에 그 둘레 일부가 안착 수용되면서 받쳐질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부품에 체결되어 있는 아래쪽의 분할핀의 머리부분은 분할핀 수용홈(22) 내에서 삽입된 상태로 받쳐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할핀 벤딩 툴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핀 벤딩 툴을 사용하여 분할핀을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분할핀 벤딩 툴의 플라이어(12)를 벌린 상태에서 분할핀(200)이 끼워져 있는 부품(300), 예를 들면 클레비스 볼트나 힌지핀 등과 같은 부품(300)을 로워 홀더(16)에 있는 부품 안착홈(21)과 분할핀 수용홈(22) 내에 올려 놓는다.
이렇게 올려진 부품(300)은 부품 안착홈(21) 내에 일부 수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이때의 분할핀(200) 또한 그 머리 부분이 분할핀 수용홈(22)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 작업자가 손으로 쥐고 있던 플라이어(12)를 누르게 되면, 어퍼 암(10)에 결합되어 있는 벤딩 펀치(15) 및 그 속의 예비 펀치(13)가 분할핀(200)과 부품(300)이 있는 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다음, 이렇게 내려오던 예비 펀치(13) 및 벤딩 펀치(15) 중에서 예비 펀치(13)의 쐐기부(19b)가 먼저 분할핀(200)의 갈라진 단부 사이로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할핀(200)의 갈라진 단부가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1차 벤딩된다.
계속해서, 상기 예비 펀치(13)의 쐐기부(19b)의 끝부분이 부품(300)측에 도달하게 되면, 예비 펀치(13)는 스프링(18)을 압축하면서 상대적으로 위로 올라가게 되고, 이때부터는 벤딩 펀치(15)의 가압면(14)이 1차 벤딩이 이루어진 분할핀(200)의 갈라진 단부, 즉 쐐기부(19b)의 진입에 의해 양측으로 벌려져 있는 갈라진 단부를 눌러주면서 압착하게 된다.
다음, 상기 벤딩 펀치(15)의 가압면(14)이 갈라진 단부를 부품(300)의 외주면에 밀착될 때까지 완전히 눌러주게 되면, 분할핀에 대한 벤딩작업이 완료된다.
즉, 예비 펀치(13)에 의한 1차 벤딩 후, 플라이어(12)에 약 7kgf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예비 펀치(13)가 멈춘 상태에서 벤딩 펀치(15)가 1차 벤딩된 분할핀을 마무리 벤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크레비스 볼트나 힌지핀 등에 체결되어 있는 분할핀의 이탈방지를 위한 분할핀 구부림 작업을 하는데 있어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분할핀 체결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분할핀 체결공구를 구현함으로써, 분할핀 체결작업과 관련한 전체적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어퍼 암 11 : 로워 암
12 : 플라이어(Plier) 13 : 예비 펀치
14 : 가압면 15 : 벤딩 펀치
16 : 로워 홀더 17 : 홈부
18 : 스프링 19b : 쐐기부
20 : 힌지핀 21 : 부품 안착홈
22 : 분할핀 수용홈 23 : 핀
24 : 핸들 25 : 핀 홀
26 : 걸림턱 27a,27b : 벽면
28a,28b : 자리면 29 : 제1커버
30 : 제2커버

Claims (5)

  1.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선단부에 어퍼 암(10)과 로워 암(11)을 가지는 플라이어(12);
    상기 어퍼 암(10)에 결합되어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구부려주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예비 펀치(13)를 이용하여 1차 벤딩 후에 하단부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으로 오목한 가압면(14)을 이용하여 마무리 벤딩하는 벤딩 펀치(15); 및
    상기 로워 암(11)에 결합되어 벤딩시 분할핀 및 부품을 받쳐주는 로워 홀더(16); 를 포함하되,
    상기 벤딩 펀치(15)의 가압면(14)에는 벤딩 펀치(15)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부(17)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면(14)과 경계를 이루는 상기 홈부(17)의 내측 둘레에는 걸림턱(26)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예비 펀치(13)는 상기 홈부(17)의 내면과 접하는 크기를 갖는 몸체부(19a)와 상기 몸체부(19a)와 단차를 이루면서 끝으로 갈수록 뾰족한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부(19b)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예비 펀치(13)는 몸체부(19a)가 상기 홈부(17) 내에서 후단이 스프링(18)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쐐기부(19b)와 단차를 이루는 몸체부(19a)의 일면이 상기 홈부(17)의 걸림턱(26)에 걸리면서 상기 홈부(17)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장착구조로 상기 쐐기부(19b)를 이용하여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 사이로 진입하면서 갈라진 단부를 외측으로 벌려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핀 벤딩 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딩 펀치(15)는 어퍼 암(10)에 체결되는 힌지핀(20)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핀 벤딩 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딩 펀치(15)의 가압면(14)은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져 분할핀의 갈라진 단부를 부품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벤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핀 벤딩 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 홀더(16)의 상단부에는 호(弧) 형상의 부품 안착홈(21)과 이 부품 안착홈(21)과 통하면서 분할핀의 머리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분할핀 수용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핀 벤딩 툴.
KR1020120112583A 2012-10-10 2012-10-10 분할핀 벤딩 툴 KR10125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83A KR101257027B1 (ko) 2012-10-10 2012-10-10 분할핀 벤딩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83A KR101257027B1 (ko) 2012-10-10 2012-10-10 분할핀 벤딩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027B1 true KR101257027B1 (ko) 2013-04-23

Family

ID=4844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583A KR101257027B1 (ko) 2012-10-10 2012-10-10 분할핀 벤딩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0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4621B2 (en) * 2017-05-16 2020-12-15 Man Truck & Bus Ag Device for bending a split pin
CN112958720A (zh) * 2021-01-29 2021-06-15 神华神东煤炭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开口销压装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988A (ja) * 2005-05-18 2006-11-30 Aisin Seiki Co Ltd 割りピン取付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988A (ja) * 2005-05-18 2006-11-30 Aisin Seiki Co Ltd 割りピン取付工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4621B2 (en) * 2017-05-16 2020-12-15 Man Truck & Bus Ag Device for bending a split pin
CN112958720A (zh) * 2021-01-29 2021-06-15 神华神东煤炭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开口销压装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6954B2 (en) Locking pliers with one or two slide bars each secured to a stationary jaw carrier
US7237427B2 (en) Pressing tool for the pressing-together of workpieces
US8516872B2 (en) Crimping pliers
US6474130B2 (en) Pliers for crimping work pieces
US11597064B2 (en) Pressing tongs or crimping pliers
JP2020502397A (ja) スイッチギアキャビネットの筐体用のヒンジ、対応するスイッチギアキャビネットの筐体、および対応する取り付け方法
US6085422A (en) Multifunctional tool
CN104275655A (zh) 钳子装置
KR101257027B1 (ko) 분할핀 벤딩 툴
JP2021091086A (ja) ハンドプライヤ工具およびこれを組み立てる方法
EP1820608A3 (en) Link for crimping tool
JP2021504881A (ja) 圧着プライヤ
US20150352700A1 (en) Press Tool with Bistable Tension Mechanism
CN212486794U (zh) 一种多功能扬声器端子铆接钳
JP7047505B2 (ja) 圧縮ダイスおよび圧縮工具
KR200432500Y1 (ko) 압연롤러 베어링용 클램프 장치
JPH08141942A (ja) 油圧式多機能工具
JP5210400B2 (ja) 顎部材が交換可能なプライヤ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KR101956966B1 (ko) 개폐 작업공구
JP3948605B2 (ja) プレス金型の支持機構
CN211758307U (zh) 一种拉铆枪
JP2006102933A (ja) 圧着工具及び圧着工具の組立て方法
JP2024072271A (ja) プライヤ作動アセンブリグループ、プライヤ及び組立方法
JPH07116970A (ja) チューブ抜き工具
WO2008050458A1 (fr) Poinçon, poignée pour poinçon et poinçon équipé d'une poigné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