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835B1 -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835B1
KR101255835B1 KR1020100125318A KR20100125318A KR101255835B1 KR 101255835 B1 KR101255835 B1 KR 101255835B1 KR 1020100125318 A KR1020100125318 A KR 1020100125318A KR 20100125318 A KR20100125318 A KR 20100125318A KR 101255835 B1 KR101255835 B1 KR 101255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de
unit
bus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200A (ko
Inventor
김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12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8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 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은 기둥 또는 벽체와, 상기 기둥 또는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과, 상기 기둥 또는 벽체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지역정보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큐알 코드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bus station hav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quick response code}
본 발명은 버스 승강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버스 승강장에 설치되는 지역의 정보 또는 관광정보를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을 조명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모듈과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역의 지역정보, 관광정보, 그 지역의 회사, 식당, 숙박시설들의 정보 또는 지역의 특산품 등을 정보를 여행자나 구매자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광고지, 간판, 광고판, 대중 매체 등이 이용된다. 특히, 사람들의 이동이 많은 버스 승강장의 경우, 광고를 위한 공략 대상 영역의 하나이다.
특히, 한적한 시골길이나 외진 곳에 설치되는 버스 승강장의 경우 전원의 공급이 어려우므로 야간에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나 버스로부터 내리는 승객의 불편이 심하다. 한적한 시골길이나 낮선 지역의 버스 승강장에 내린 여행자가 지역의 정보를 숙지하지 못한 경우, 행동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 버스 승강장의 경우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발전하고, 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을 밝히거나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조명과 광고를 수행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10-002425호에는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모듈 및 버스 승강장 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079723호에는 태양광을 이용한 버스 승강장 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는 구성된 장치는 단순히 태양광을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을 조명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한적한 승강장의 야간에 조명하여 우발적인 범죄를 예방할 수는 있으나, 그 지역의 정보를 습득할 수는 없다.
그리고 버스 승강장의 한정된 공간과 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버스 승강장의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광고 패널로부터는 한정된 정보를 습득 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발전모듈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을 조명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역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 인식을 위한 큐알 코드의 촬영 시 광의 산란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이미지의 촬영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코드 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은 기둥 또는 벽체와, 상기 기둥 또는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과, 상기 기둥 또는 벽체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지역정보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큐알 코드 유닛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을 조명하기 위한 제1조명유닛과, 상기 큐알 코드를 조명하기 위한 제 2조명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은 승객이 보유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큐알 코드 유닛으로부터 지역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므로 승객 또는 여행자들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모듈을 이용하여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을 조명할 수 있으므로 가로등이 없는 시골길에서의 우발적인 범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버스 운전자로 하여금 승객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 승강장은 이에 설치된 큐알 코드의 촬영 시 광의 반사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강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 이정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큐알 코드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큐알 코드 유닛을 조명하기 위한 제 2조명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제 2조명유닛을 달리 적용한 큐알 코드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 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은 태양광 발전모듈을 이용하여 발전한 전기를 이용하여 조명할 수 있으며, 촬영수단을 가진 이동단말기,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습득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버스 승강장(10)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승객들이 대기하거나 버스들이 정차하여 승객을 승차시키거나 하차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둥(11) 또는 벽체들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12)을 구비한다. 상기 지붕, 벽체 또는 기둥과 인접되는 측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유닛(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 승강장의 전면에는 승강장의 위치되는 지역이름 또는 행선지를 알리기 위한 이정표(30)가 설치되고, 상기 버스 승강장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유닛(2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1조명유닛(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 승강장의 내부공간의 내면 또는 전면에는 통신수단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 이동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지역정보를 확보 할 수 있는 큐알 코드 유닛(40)이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큐알 코드 유닛(40)의 큐알 마크 시트(41)를 조명하기 위한 제 2조명유닛(5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버스 승강장을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버스 승강장(10)은 골격을 이루는 지붕(12)과 이를 지지하는 벽체 또는 기둥(11)이 지역적인 특성, 주위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붕(12)을 지지하는 기둥(11)들의 사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창이 설치되어 상기 조명유닛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광 발전유닛(20)은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시골길, 산간오지 등에 위치되는 버스 승강장에 설치되어 발전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모듈(21)들과, 이 태양광 발전모듈(21)들을 지지하는 프레임(22)을 구비하는데, 상기 프레임(22)에는 태양광 발전모듈(21)들을 태양을 따라 추적할 수 있는 트래킹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래킹부는 단축 또는 2축 트래킹 수단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2축 트래킹 수단은 태양광 발전모듈을 동서 방향과 남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실린더, 전동모터를 가지는 스크류잭 등을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 발전유닛(20)은 발전된 전기를 충전 및 방전시키기 위한 이차전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정표(30)는 태양광 발전유닛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발광되어 방향 정보를 승객에게 알려주고, 버스 승강장의 전면을 조명할 수 있는 것으로, 버스 승강장의 지붕(12)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광판(31)과, 상기 도광판(31)의 배면에 설치되어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학렌즈 모듈(32)과, 상기 광학 렌즈 모듈(32)의 하면에 설치되는 발광램프 모듈(33)들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램프 모듈은 회로기판(33a)에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3b)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거나 CCL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광판(31)은 전면과 배면에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산란패턴(31b)이 설치된다. 상기 산란패턴(31b)은 전면과 배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요철의 패턴은 다각형 형상, 스크롤 형상,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도광판(31)의 패턴은 상하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램프(33)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산란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란패턴(31b)과 대응되는 측에는 상기 램프(33)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 또는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렌즈 모듈(32)은 상기 산란패턴(31b)으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발산렌즈(32a)와 이 발산렌즈(32a)의 입사측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분할 집속렌즈(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광판(31)의 표면에는 지역의 안내, 광고 등의 분구가 기재된 광 투과성 시트(34)가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정표(30)의 전면에는 버스 승강장의 전면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전면광조사부(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전면광조사부(35)는 상기 도광판(31)을 관통하는 관통공(35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5a)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35b)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측의 하면에는 램프(35c)가 설치된다.
상기 제1조명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태양광 발전모듈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조명할 수 있는 램프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조명유닛은 도광판,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광판을 이용하여 제 1조명유닛을 구현하는 경우, 도광판에 지역을 나타내는 글씨 또는 도안들을 통하여 광이 투과되어 이들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 또는 페인트에 의한 코팅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명유닛의 램프 또는 이정표의 램프는 태양의 일몰 이후 일출 전까지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타이머가 설치될 수 있으며, 주위의 광량을 감지하여 전원을 공급을 단속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로의 전원의 공급은 버스 승강장 내의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버스 승강장의 내부에 승객 유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큐알 코드 유닛(40)은 버스 승강장에 설치되어 지역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큐알 코드(41)들이 인쇄된 시트(42)와, 상기 시트(42)의 배면에 설치되어 큐알 코드(41)을 조명하기 위한 제 2조명유닛(50)을 구비한다.
상기 큐알 코드(quick response code;QR code)는 흑백 격자 무늬의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이 큐알 코드는 종래의 바코드의 용량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큐알 코드의 패턴은 농담의 판별이 가능한 색조라면 색이 들어가도 무방하다.
상기 제 2조명유닛(50)은 태양광 발전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전기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51)들이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52)들과, 상기 발광다이오드(51)들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면 즉, 큐알 코드가 인쇄된 시트 측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도광판(53)을 구비한다. 상기 도광판(53)에는 시트(42)에 형성된 큐 알 코드가 보다 선명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상기 큐알 코드와 대응되는 부위의 도광판(53)에 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광산란 시트(54)가 부착될 수 있다. 큐알 시트로의 광산란은 도광판(53)에 음각 또는 양각된 요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큐알 코드(41)가 형성된 시트의 표면에는 외광이 전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외광반사 코팅막(41a)이 형성된다.
도 5에는 제2 조명유닛(50)을 달리 적용한 큐알 코드 유닛(4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큐알 코드 유닛(40)은 큐알 코드(41)가 인쇄된 투명한 시트(42)와, 상기 시트(42)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시트(4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2조명유닛(5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평활판(55)과, 상기 평활판(55)의 배면에 설치되어 평활판(55)에 광을 조사하여 큐알 시트(42)가 발광되도록 하는 램프 모듈(56)을 구비한다. 상기 램프 모듈(56)은 회로기판(56a)과, 이 회로기판(56a)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56b)를 구비하는데, 상기 발광다이오드(56b)는 큐알 시트에 휘도 차이를 주기 위하여 회로기판(56a)에 각 부위에 배열분포가 다르게 설치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57)들의 배열분포 상기 큐알 코드(41)의 패턴과 대응되는 측에 설치되며, 이 설치된 배열패턴 내에서 배열분포가 다르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큐알 코드 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큐알 코드가 음각 또는 양각 된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널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지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야간에도 확인 가능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큐알 코드가 형성된 패널의 표면에는 촬영 시 빛의 난반사되어 선명하게 촬영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광반사 막이 형성된다. 상기 외광반사막은 패널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10)은 태양광 발전모듈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의 내부 또는 이정표를 발광시킬 수 있으며, 승객 또는 여행자들이 인터넷과 연결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에 설치된 큐알 코드 유닛(40)으로터 지역정보를 습득 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발광 특히, 이정표(30)의 발광은 상기 램프가 발광다이오드 모듈(33)의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됨에 따라 이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분할집속렌즈(32b)와 발산렌즈(32a)를 통하여 확산된 후 도광판(31)을 통하여 광투과성 시트(34)를 투과하여 조명된다.
이 과정에서, 이정표(30)에는 전면광조사부(3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광판(31)의 관통공(35a)에 설치된 렌즈(35b)를 통하여 램프(35c)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면으로 조사할 수 있으므로 버스 승강장의 전면을 밝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 승강장에는 큐알 코드 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이로부터 지역 정보를 확보 할 수 있다. 다동단말기를 이용하여 큐알 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큐알 코드(quick response code;QR code)의 흑백 격자 무늬의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큐알 코드 시트(41)에는 외광반사 방지막(4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에 의한 촬영시 외광반사에 의한 큐알 코드의 인식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큐알 코드 시트(42)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발광다이오드는 큐알 코드의 패턴가 대응되는 측에 배열되고, 이 배열된 영역 내에서 그 분포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큐알 코드의 발광휘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는 버스 승강장 뿐만아니라 여행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정표, 도로 표시장치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10; 버스 승강장
20; 태양광 발전 모듈
30; 이정표
40; 큐알 코드 유닛
50; 제 2조명수단

Claims (4)

  1. 기둥(11) 또는 벽체와, 상기 기둥(11) 또는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12)과, 상기 기둥(11) 또는 벽체에 설치되어 이동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지역정보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큐알 코드 유닛(40)을 구비하고,
    지붕(12)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모듈(21)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1)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을 조명하기 위한 제1조명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큐알 코드 유닛(40)은 큐알 코드(41)가 마련되고 표면에 외광반사막(41a)이 형성된 시트(42)와, 상기 큐알 코드를 조명하기 위한 제 2조명유닛(50)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 2조명유닛(50)은 상기 시트(42)의 배면에 설치되며 투광성을 가진 평활판(55)과, 상기 평활판(55)에 대응되는 측에 설치되는 램프 모듈(56)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모듈(56)은 회로기판(56a)과, 상기 회로기판(56a)에 설치되며 상기 큐알코드의 패턴의 투과 광량이 다르도록 배열분포가 다른 발광다이오드(56b)들을 구비하며,
    상기 지붕(12)의 전면에 설치되는 이정표(30)와, 상기 지붕(12)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광판(31)과, 상기 이정표(30)에 설치되어 승강장의 전면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전면광조사부(35)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광조사부(35)는 상기 도광판(31)을 관통하는 관통공(35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5a)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35b)가 설치되며, 상기 렌즈(35b)와 대응되는 측의 하면에는 램프(35c)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 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125318A 2010-12-09 2010-12-09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 KR10125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318A KR101255835B1 (ko) 2010-12-09 2010-12-09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318A KR101255835B1 (ko) 2010-12-09 2010-12-09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200A KR20120064200A (ko) 2012-06-19
KR101255835B1 true KR101255835B1 (ko) 2013-04-17

Family

ID=4668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318A KR101255835B1 (ko) 2010-12-09 2010-12-09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7231A (zh) * 2013-05-29 2013-08-14 崔华 一种新型环保led公交站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6810B1 (fr) * 2013-06-05 2015-06-05 Ponka Systeme de communication generateur d'electricite et mur solaire correspondant.
CN107386697B (zh) * 2016-12-16 2019-09-06 金英花 镜面公交站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126A (ko) * 2009-02-03 2010-08-12 장용인 엘이디 조명을 구비한 간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126A (ko) * 2009-02-03 2010-08-12 장용인 엘이디 조명을 구비한 간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7231A (zh) * 2013-05-29 2013-08-14 崔华 一种新型环保led公交站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200A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264B1 (ko) 솔라셀 광고장치
US20070209254A1 (en) Modular system for luminous signals, particularly for road signals
US20090021210A1 (en) Internally illuminated sign
WO2012169618A1 (ja) 集光型太陽光発電パネル、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及び集光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
GB2227871A (en) Character and numeral displaying device
KR20180015100A (ko) 주간 및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한 교통표지판.
KR101255835B1 (ko) 태양광 발전장치와 큐알 코드유닛을 가진 버스 승강장
KR20180134032A (ko) 조명장식이 설치된 창호
JP2009525505A (ja) 発光文字プラカード
US20060080874A1 (en) Dynamic message sign
JP5405385B2 (ja) 自発光式led交通標識
CN201868053U (zh) 节能看板结构
KR20150039914A (ko) 솔라셀 광고장치
KR20110038544A (ko) 가로명 사인시스템
US20060120068A1 (en) Solar-powered bus stop
KR20100099467A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버스정류장 구조물
JP2005031596A (ja) 表示器具
KR20170089527A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내판 겸용 볼라드
KR102539204B1 (ko) 정류장 표시 장치
KR20160129244A (ko)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광고판용 및 도로안내표지판용 광섬유 발광표시장치.
KR20070113341A (ko) 고휘도 발광 표지판
JP5821940B2 (ja) 集光型太陽光発電パネル、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及び集光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0447428Y1 (ko) 태양전등이 구비되는 버스승강장 표지판
KR20160125014A (ko)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도로용 조명장치
KR102475047B1 (ko) 네온 플렉스 led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