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153B1 -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153B1
KR101255153B1 KR1020110045195A KR20110045195A KR101255153B1 KR 101255153 B1 KR101255153 B1 KR 101255153B1 KR 1020110045195 A KR1020110045195 A KR 1020110045195A KR 20110045195 A KR20110045195 A KR 20110045195A KR 101255153 B1 KR101255153 B1 KR 10125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type ferrite
permeability
ferrite
k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006A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안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10045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15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18Mixed oxides or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18Mixed oxides or hydroxides
    • C01G49/0063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18Mixed oxides or hydroxides
    • C01G49/0072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2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ferrites
    • C04B35/2608Compositions containing one or more ferrites of the group comprising manganese, zinc, nickel, copper or cobalt and one or more ferrites of the group comprising rare earth metals,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lead
    • C04B35/2633Compositions containing one or more ferrites of the group comprising manganese, zinc, nickel, copper or cobalt and one or more ferrites of the group comprising rare earth metals,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lead containing barium, strontium or calc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 Ceramic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Ba, Fe 및 Co의 일부가 최적의 몰비로 각각 Sr, Ca 및 Zn으로 치환되어 화학식 1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낮은 투자손실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용 주파수 대역이 1 ㎓까지 확장되어 1㎓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이동 통신 또는 방송용 전자 부품의 재료로 적용되고, 1㎓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노이즈 제거용 전자 부품의 재료로 적용되기 적합한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5567305-pat00004

(식 중, 2.0 ≤ l ≤ 2.5이고, 0.05 ≤ m < 0.5이며, 0.08 ≤ n ≤ 0.4임).

Description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Z-TYPE FERRITE AND ELECTRONIC PAR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낮은 투자손실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용 주파수 대역이 1㎓까지 확장된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페라이트(ferrite)는 자성 재료로서 통상 구조에 따라 스피넬(spinel) 타입, 헥사(hexagonal) 타입 및 가넷(garnet) 타입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스피넬 타입은 전자파 흡수체, ㎒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노이즈 차폐용 재료로 사용되고, 헥사 타입은 자기기록매체의 원료로 사용되며, 가넷 타입은 고주파용 써큘레이터(circulator)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페라이트는 수백 ㎒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투자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어, 고주파용 전자 부품 중 투자손실이 커도 적용에 어려움이 없는 전자 부품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휴대 전화, 무선 랜,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 등에 적용되는 신호의 고주파화에 따라 이들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부품 자체도 수백 ㎒ 내지 수 ㎓의 고주파 대역에서 적용 가능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현재 국내에서는 700㎒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 이동 통신용과 방송용으로 주파수가 다수 분배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1㎓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도 적용 가능한 소재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종래 주로 사용되어 온 스피넬 페라이트는 특정 주파수 대역까지는 일정한 투자율을 가지나 수백 ㎒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 스뇌크(Snoek)의 한계에 의해 투자율이 급속하게 저하되는 주파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육방 결정 구조를 갖는 헥사 페라이트가 고주파 대역에서 주파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재료로서 연구되고 있다. 특히, 헥사 페라이트 중에서도 Co를 포함하는 Z형 페라이트가 비교적 높은 투자율을 가지며 우수한 고주파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주로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Z형 페라이트도 수백 ㎒ 이상의 고주파 대역, 예컨대 700㎒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는 투자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1㎓의 주파수 대역까지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Z형 페라이트를 구성하는 금속 성분의 일부를 다른 금속으로 치환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치환되는 금속 성분의 종류와 몰비가 최적화되지 않으면 Z형 단일 결정상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가용 주파수 대역이 확장되어 수백 ㎒ 내지 수 ㎓의 고주파 대역에서 높은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낮은 투자손실을 확보할 수 있어 각종 전자 부품에 적용 가능한, Z형 단일 결정상의 페라이트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낮은 투자손실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용 주파수 대역이 1㎓까지 확장된 Z형 페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이동 통신 또는 방송용 전자 부품의 재료로 적용되고, 1㎓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노이즈 제거용 전자 부품의 재료로 적용될 수 있는 Z형 페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Z형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Z형 페라이트:
Figure 112011035567305-pat00001
(식 중, 2.0 ≤ l ≤ 2.5이고, 0.05 ≤ m < 0.5이며, 0.08 ≤ n ≤ 0.4임).
2. 위 1에 있어서, 2.0 ≤ l ≤ 2.3이고, 0.1 ≤ m ≤ 0.3인 Z형 페라이트.
3. 위 2에 있어서, 0.1 ≤ n ≤ 0.25인 Z형 페라이트.
4. 위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Z형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5. 위 4에 있어서, 1㎓ 이하의 가용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또는 방송용인 전자 부품.
6. 위 4에 있어서, 1㎓ 이상의 가용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노이즈 제거용인 전자 부품.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이 1㎓ 이상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도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투자손실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단일상에 가까운 결정 구조를 갖는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Z형 페라이트는 6 내지 7.5의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0.15 이하의 투자손실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용 주파수 대역을 1㎓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Z형 페라이트는 700㎒ 내지 1㎓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이동 통신 또는 방송용 전자 부품의 재료로 적용되고, 1㎓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증가하는 투자손실을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용 전자 부품의 재료로 적용되기 적합하다.
도 1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3에서 제조된 Z형 XRD 스펙트럼(a)과 통상의 Z형 페라이트의 XRD 스펙트럼(b)이다.
본 발명은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낮은 투자손실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용 주파수 대역이 1㎓까지 확장된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페라이트는, 통상 Ba3Co2Fe24O41로 표시되는 Z형 페라이트를 구성하는 Ba의 일부가 최적의 몰비로 Sr로 치환되고, Fe의 일부가 최적의 몰비로 Ca로 치환되며, 이와 동시에 Co의 일부가 최적의 몰비로 Zn으로 치환되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Z형 페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5567305-pat00002
(식 중, 2.0 ≤ l ≤ 2.5이고, 0.05 ≤ m < 0.5이며, 0.08 ≤ n ≤ 0.4임).
Sr은 5주기 2족에 속하는 금속으로서, 헥사 페라이트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기본 성분이며 6주기 2족에 속하는 Ba의 일부를 치환하여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키고 소결 온도를 낮게 조절할 수 있는 금속 성분이다.
l은 Sr의 몰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0이 아닌 양수이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이 몰비의 값이 최적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Sr의 몰비는 2.0 ≤ l ≤ 2.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l ≤ 2.3, 가장 바람직하게는 l = 2.1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Fe의 일부를 치환하는 Ca 및 Co의 일부를 치환하는 Zn과 함께 주파수 대역을 1㎓의 고주파 대역까지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투자손실의 값을 낮게, 예컨대 0.5 이하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l < 2.0인 경우 1㎓까지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키기 어렵고, l > 2.5인 경우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킬 수는 있으나 투자율의 저하를 억제하기 어렵다.
Ca는 5주기 2족에 속하는 금속으로서, Fe의 일부를 치환하여 소결 시 소결 밀도를 증가시켜 주파수 대역이 1㎓의 고주파 대역까지 확장되는 경우 투자손실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금속 성분이다.
m은 Ca의 몰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0이 아닌 양수이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이 몰비의 값이 최적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Ca의 몰비는 0.005 ≤ m < 0.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m ≤ 0.3, 가장 바람직하게는 m = 0.2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단일상에 가까운 Z형 페라이트 결정상을 얻을 수 있고 소결 밀도가 좋아져 주파수 대역이 1㎓의 고주파 대역까지 확장되는 경우에도 투자손실을 0.5 이하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m < 0.05인 경우 1㎓의 고주파 대역에서 투자손실 저하를 충분히 억제하기 어렵고, m ≥ 0.5인 경우 단일 결정상을 확보하기 어렵다.
Zn은 5주기 2족에 속하는 금속으로서, Co의 일부를 치환하여 상기 Ca의 치환으로 인해 다소 저하된 투자율을 높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결 시 Ca와 함께 소결 밀도를 더욱 증가시켜 주파수 대역이 1㎓의 고주파 대역까지 확장되는 경우 투자손실의 저하도 더욱 억제할 수 있는 성분이다.
n은 Zn의 몰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0이 아닌 양수이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이 몰비의 값이 최적이 범위가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Zn의 몰비는 0.08 ≤ n ≤ 0.4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n ≤ 0.25, 가장 바람직하게는 n = 0.2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불순물의 생성을 억제화하여 이종 결정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일상의 Z형 페라이트 결정상을 얻을 수 있으며 투자손실의 저하도 최소화할 수 있다. n < 0.08인 경우 1㎓의 고주파 대역에서 투자손실 저하를 충분히 억제하기 어렵고, n > 0.4인 경우 불순물이 다량 생성되어 이종 결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Z형 페라이트는 l = 2.1이고 m = 0.2이면서 0.1 ≤ n ≤ 0.25인 것이 6.5 이상, 바람직하게 6.5 내지 10의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0.5, 바람직하게 0.15 이하의 투자손실을 갖는 가용 주파수 대역을 1㎓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l = 2.1, m = 0.2, n = 0.2인 것이 1㎓까지 확장된 가용 주파수 대역에서 0.1 이하로 더 낮은 투자손실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다.
본 발명의 Z형 페라이트는 적정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투자손실의 저하가 최소화된 가용 주파수 대역이 1㎓까지 확장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1㎓ 이하, 바람직하게 100㎒ 내지 1㎓, 보다 바람직하게 700㎒ 내지 1㎓의 주파수 대역에서 6.5 이상, 바람직하게 6.5 내지 10의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0.5 이하, 바람직하게 0.15, 보다 바람직하게 0.1 이하의 투자손실을 가진다.
본 발명의 Z형 페라이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Ba 화합물, Sr 화합물, Co 화합물, Ca 화합물, Zn 화합물 및 Fe 화합물을 소정의 몰비로 혼합하여 원료를 준비한다. 예컨대, BaCO3, SrCO3, Co3O4, CaCO3, ZnO 및 Fe2O3를 각각 0.5-1 : 2-2.5 : 2/3 : 0.05-0.5 : 0.08-0.3 : 11.975-11.751의 몰비로 혼합하여 원료를 준비한다. 이러한 몰비로 혼합된 원료는 Ba의 일부를 최적의 몰비로 Sr로 치환하고, Fe의 일부를 최적의 몰비로 Ca로 치환하는 동시에 Co의 일부를 최적의 몰비로 Zn으로 치환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준비된 원료를 볼밀(ball mill)을 이용하여 45 내지 50시간, 바람직하게 48시간 동안 혼합한다. 이때, 혼합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온교환필터로 정수한 물(이온교환수) 등을 첨가하여 슬러리 형태로 습식 혼합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준비된 원료를 볼밀(ball mill)을 이용하여 45 내지 50시간, 바람직하게 48시간 동안 혼합한다. 이때, 혼합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온교환필터로 정수한 물(이온교환수) 등을 첨가하여 슬러리 형태로 습식 혼합할 수도 있다.
그 다음, 혼합물을 90 내지 160℃, 바람직하게 100 내지 150℃에서 12시간 이상, 바람직하게 12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 후 해쇄시킨다. 해쇄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 해쇄된 분말을 800 내지 1100℃, 바람직하게 100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한다.
그 다음, 1차 열처리된 분말을 6시간 이상, 예컨대 6 내지 8시간 동안 분쇄시킨 후 1100 내지 1350℃, 바람직하게 1200℃에서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 3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한다. 분쇄방법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분쇄 시 분말의 입경 크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0.1 내지 10㎛일 수 있다.
그 다음, 2차 열처리된 분말을 에컨대 볼밀 등을 이용하여 12시간 이상, 예컨대 12 내지 15시간 동안 분쇄시킨 후 위 2차 열처리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3차 열처리한다.
본 발명은 상기 Z형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Z형 페라이트는 예컨대, 막, 시트 또는 블록 등과 같은 형상의 성형체로서 각종 전자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Z형 페라이트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 예컨대 건식 가압 성형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Z형 페라이트, 바인더 및 물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과립화하고, 과립을 가압 성형하는 방법으로 페라이트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전자 부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가용 주파수 대역의 범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1㎓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이동 통신 또는 방송용 전자 부품에 적용될 수 있고, 1㎓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투자손실이 커도 적용에 어려움이 없는 노이즈 제거용 전자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Ba 0.9 Sr 2.1 Co 1.8 Zn 0.2 Ca 0.2 Fe 23.8 O 41
BaCO3, SrCO3, Co3O4, CaCO3, ZnO 및 Fe2O3을 0.9 : 2.1 : 1.8/3 : 0.2 : 0.2 : 11.9의 몰비로 혼합하여 원료를 준비한 후 볼밀을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습식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10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해쇄시켰다. 해쇄된 분말을 1000℃에서 3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분말을 볼밀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분쇄시킨 후 1200℃에서 3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하였다. 2차 열처리된 분말을 볼밀을 이용하여 12시간 동안 분쇄시킨 후 1200℃에서 3시간 동안 3차 열처리하여 Ba0.9Sr2.1Co1.8Zn0.2Ca0.2Fe23.8O41의 조성을 갖는 Z형 페라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비교예 1-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에서와 같은 성분 및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화학식 성분(몰비)
BaCO3 SrCO3 Co3O4 ZnO CaCO3 Fe2O3
실시예1 Ba0.9Sr2.1Co1.8Zn0.2Ca0.2Fe23.8O41 0.9 2.1 1.8/3 0.2 0.2 11.9
실시예2 Ba0.9Sr2.1Co1.9Zn0.1Ca0.2Fe23.8O41 0.9 2.1 1.9/3 0.1 0.2 11.9
실시예3 Ba0.9Sr2.1Co1.7Zn0.3Ca0.2Fe23.8O41 0.9 2.1 1.7/3 0.3 0.2 11.9
비교예1 Ba3Sr0Co2Zn0Ca0Fe24O41 3 0 2/3 0 0 12
비교예2 Ba0.9Sr2.1Co2Zn0Ca0.2Fe23.8O41 0.9 2.1 2/3 0 0.2 11.9
비교예3 Ba0.9Sr2.1Co1.95Zn0.05Ca0.2Fe23.8O41 0.9 2.1 1.95/3 0.05 0.2 11.9
비교예4 Ba0.9Sr2.1Co1.5Zn0.5Ca0.2Fe23.8O41 0.9 2.1 2/3 0.5 0.2 11.9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페라이트의 주파수에 따른 투자율(permeability)과 투자손실(magnetic loss) 특성을 임피던스 애널라이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X선 회절분석기(XRD)를 이용하여 불순물의 함량도 측정하였다.
1. Sr , Sr / Ca 치환에 따른 투자율과 투자손실 특성
기존의 Z형 페라이트를 구성하는 금속 성분이 전혀 치환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Ba의 일부가 Sr로 치환되고 Fe의 일부가 Ca로 치환된 비교예 2의 페라이트는 주파수 대역이 증가함에 따라 투자율은 감소하나 투자손실이 낮아져 1㎓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0.1 이하가 되는 반면 1㎓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도 5.5 내지 6.5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2. Zn 치환 몰비에 따른 투자율과 투자손실 특성
비교예 2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에서 Co의 일부가 Zn으로 치환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3의 페라이트는 비교예 2의 페라이트의 낮아진 투자율을 높게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Zn이 0.05몰로 치환된 비교예 3의 페라이트는 투자율은 높아지는 반면 투자손실이 오히려 더 커져 400㎒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0.1 이상의 값을 나타내고 1㎓에서 0.2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2에서와 같이 Zn이 0.25몰 이하로 치환되는 경우 6 내지 7.5의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0.15 이하의 낮은 투자손실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투자손실이 0.1 이하로 낮아 보다 바람직하였다.
3. Zn 치환 몰비에 따른 불순물 함유량
도 1은 Zn의 치환 몰비에 따라 제조되는 Z형 페라이트에 함유된 불순물의 함량을 나타낸 XRD 스펙트럼(a)이다. 기준이 되는 통상의 Z형 페라이트의 XRD 스펙트럼(b)을 참고하면, 33° 피크(peak)와 비교하여 화살표로 표기한 피크의 크기가 작을수록 단일상에 가까운 Z형 페라이트가 제조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비교예 3의 페라이트는 화살표로 표기된 피크가 커 불순물이 다량 함유되어 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단일상을 형성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위 2에서와 같은 투자율 및 투자손실 특성을 얻게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페라이트의 주파수에 따른 투자율과 투자손실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투자율 투자손실
700㎒ 1㎓ 700㎒ 1㎓
실시예1 6.53 7.02 0.063 0.097
실시예2 6.54 6.86 0.093 0.135
실시예3 9.56 9.06 0.28 0.442
비교예1 12.90 10.64 0.267 0.764
비교예2 5.83 6.16 0.054 0.079
비교예3 7.07 7.18 0.153 0.22
비교예4 Z형 단결정상이 형성되지 않음
위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Ba의 일부가 Sr로 치환되고, Fe의 일부가 Ca로 치환되는 동시에 Co의 일부가 최적의 몰비로 Zn으로 치환된 실시예 1 내지 3의 Z형 페라이트는 단일 결정상으로 형성되었으며, 6.5 이상의 투자율을 유지하면서도 0.5 이하의 투자손실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용 주파수 대역이 1㎓까지 확장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에서와 같이 Ba0.9Sr2.1Co1.8Zn0.2Ca0.2Fe23.8O41의 조성을 갖는 페라이트의 경우 0.1 이하의 낮은 투자손실을 확보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였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Z형 페라이트:
    [화학식 1]
    Figure 112011035567305-pat00003

    (식 중, 2.0 ≤ l ≤ 2.5이고, 0.05 ≤ m < 0.5이며, 0.08 ≤ n ≤ 0.4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2.0 ≤ l ≤ 2.3이고, 0.1 ≤ m ≤ 0.3인 Z형 페라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0.1 ≤ n ≤ 0.25인 Z형 페라이트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Z형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Z형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1㎓ 이하의 가용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또는 방송용인 전자 부품.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Z형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1㎓ 이상의 가용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노이즈 제거용인 전자 부품.
KR1020110045195A 2011-05-13 2011-05-13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KR10125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95A KR101255153B1 (ko) 2011-05-13 2011-05-13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95A KR101255153B1 (ko) 2011-05-13 2011-05-13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006A KR20120127006A (ko) 2012-11-21
KR101255153B1 true KR101255153B1 (ko) 2013-04-22

Family

ID=4751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195A KR101255153B1 (ko) 2011-05-13 2011-05-13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7156A (ja) * 2003-08-07 2005-03-03 Koa Corp 磁性体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6430A (ja) * 2005-12-02 2011-03-31 Dowa Holdings Co Ltd 電波吸収体用磁性粉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7156A (ja) * 2003-08-07 2005-03-03 Koa Corp 磁性体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6430A (ja) * 2005-12-02 2011-03-31 Dowa Holdings Co Ltd 電波吸収体用磁性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006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4044B1 (en) Magnetoplumbite-type hexagonal ferrite
JP6668040B2 (ja) 追加的な酸化物を組込んで六方晶フェライトの磁気特性を上昇させるための方法、高められた六方晶フェライト、および高周波アンテナ
EP3473606B1 (en) Ferrite sintered magnet
KR20200142499A (ko) 텍스처링된 평면 m-형 육방정 페라이트 및 이의 사용방법
CN102531571B (zh) 一种高q值中介电常数的微波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
KR20160033037A (ko) 전파 흡수체용 페라이트 조성물 및 전파 흡수체
JP6379577B2 (ja) 六方晶フェライト焼結体、及びこれを用いた高周波磁性部品
KR20080037521A (ko) 육방정 제트형 페라이트 소결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3833351B (zh) 微波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
KR20170111537A (ko) 자성 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자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KR101714895B1 (ko) 전파 흡수체용 페라이트 조성물 및 전파 흡수체
KR101255154B1 (ko)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KR101255153B1 (ko) Z형 페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JP7196345B2 (ja) マグネトプランバイト型六方晶フェライト磁性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波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82194B1 (ko) Y형 페라이트 및 이로 제조된 페라이트 성형체
KR20120115809A (ko) NiZnCu 페라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46188B (zh) 微波介质陶瓷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微波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和应用、微波器件
RU245474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диопоглощающего магний-цинкового феррита
KR20050121045A (ko) 바륨-스트론튬계 페라이트 입자의 제조방법
RU265134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глощ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основе замещенного гексаферрита бария
JP6718144B2 (ja) 六方晶フェライト焼結体、及びこれを用いた高周波磁性部品
WO2022186060A1 (ja) マグネトプランバイト型六方晶フェライト磁性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波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541475B2 (ja) フェライト焼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部品
RU258745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икель-цинкового феррита с высокими диэлектрическими потерями
KR20160035514A (ko) 자성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