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754B1 -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 - Google Patents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754B1
KR101254754B1 KR1020110005406A KR20110005406A KR101254754B1 KR 101254754 B1 KR101254754 B1 KR 101254754B1 KR 1020110005406 A KR1020110005406 A KR 1020110005406A KR 20110005406 A KR20110005406 A KR 20110005406A KR 101254754 B1 KR101254754 B1 KR 10125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rooting
tigers
cuttings
m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086A (ko
Inventor
한심희
장경환
김두현
이재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0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7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랑버들(Salix caprea L.)에서 삽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취된 삽수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발근촉진제가 처리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증식방법은 무성번식 방법인 삽목을 이용하기 때문에 호랑버들에 있어서 유전적으로 동일한 모수의 형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유용 물질 생산 및 바이오 에너지 생산림 조성을 통한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유도할 수 있어 유성증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묘목의 생산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호랑버들 관련 산업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Vegetative propagation method of Salix caprea L. using cutting}
본 발명은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에 관한 기술에 속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호랑버들(Salix caprea L.)에서 삽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취된 삽수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발근촉진제가 처리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호랑버들은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서 한국이 원산지이며, 일본, 시베리아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표고 100-2,300m 사이에서 자라는 광역 분포종이며, 높이 6m, 지름 15cm까지 자란다. 잎은 긴 타원형 내지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3-14cm, 폭 2-7cm로서 첨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잎 뒷면에 끝까지 백색 융모가 밀생한다. 엽병은 길이 5-30mm로서 털이 있으며, 탁엽은 반원형이고 톱니가 있다. 열매는 삭과이며 긴 난형으로 견모가 있고, 5월에 성숙하며, 꽃은 유이화서로서 4월에 잎보다 먼저 전년지에 액생하여 피고 자웅이주이다. 어린 가지에는 견모가 있고 동아는 난형이며, 적색으로서 뚜렷한 광채가 있다. 줄기가 자라면서 가지가 굵게 발달하여 수피는 회흑색이 난다.
대부분 버드나무류의 특징은 굉장히 넓은 생태적 범위를 가지고 손쉽게 영양 번식이 가능하며 선구식물로서 척박한 토양에서도 가지 및 뿌리의 생장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버드나무류는 예로부터 하안의 침식 방지, 사면의 원활한 배수 및 사면지지 또는 재해 복구 등에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 호랑버들은 경관 개발과 훼손지 생태계의 안정,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단벌기 순환림의 식재 재료 또는 목재성분의 의학적 이용 재료로서 부각되고 있다.
비록 대부분의 버드나무속들이 자연적으로 영양번식이 가능하지만, 호랑버들과 그들의 잡종들은 전통적인 삽목 증식 기술에 의한 발근이 매우 어렵다.
호랑버들의 증식에 관한 연구는 호랑버들 1 클론을 포함한 5개의 버드나무 클론의 증식에 대한 생장조절제 BA의 영향에 관한 연구(Bergman et al. 1985)와 조직배양 능력에 대한 호랑버들 9 클론의 분석 결과(Neuner and Beiderbeck, 1993)가 있다. 위의 두 연구 결과에서 호랑버들의 경우 무성 증식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 결론이며,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호랑버들의 삽목 증식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호랑버들의 삽목 시 삽수의 채취시기, 삽목 시기, 삽수에 처리하는 발근처리제의 농도 및 처리시간의 규명을 통해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둘째, 상기 무성증식방법에 의해 얻은 호랑버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호랑버들(Salix caprea L.)에서 삽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취된 삽수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발근촉진제가 처리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기 삽수의 채취시기는 3월28일~4월14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근촉진제는 IBA(indole-3-butyr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BA의 처리농도는 90~110mgL- 1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BA의 처리방법은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0.5~1.5cm를 발근촉진제에 침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BA의 처리시간은 50~7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수는 길이가 9.8±2.1cm이며, 잎눈이 2~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양토는 모래(sand) : 피트모스(peat moss) :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 펄라이트(pearlite)가 1 :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합토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증식된 호랑버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계적으로 훼손지 생태계의 정화 및 복원 재료로서 널리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호랑버들의 증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무성번식방법 중 삽목을 이용하여 호랑버들의 증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에 있어서 호랑버들의 삽수 채취시기, 삽목 시기 및 삽목 시 삽수에 발근처리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대조구)에 비해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촉진되는 발근촉진제의 농도 및 처리 시간을 규명하여 최적의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증식방법은 무성번식 방법인 삽목을 이용하기 때문에 호랑버들에 있어서 유전적으로 동일한 모수의 형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유용물질 생산 및 바이오에너지 생산림 조성을 통한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유도할 수 있어 유성증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묘목의 생산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호랑버들 관련 산업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삽수를 채취한 호랑버들 성숙목, 잎, 겨울 눈, 수꽃 및 암꽃 전경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2009년 3월 28일 채취한 삽수를 이용해 실시한 호랑버들 삽목 후 60일 경과한 날에 측면, 발근 및 유묘 전경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2010년 3월 30일에 실시한 호랑버들의 삽목 시 IBA 100mg L-1 1시간 처리된 호랑버들 삽목묘의 발달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2010년 3월 30일에 호랑버들 삽수에 IBA 100mgL-1 1분, 1시간, 6시간 처리 후 삽목 60일 후 호랑버들 삽목의 발근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랑버들(Salix caprea L.)에서 삽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취된 삽수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발근촉진제가 처리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기 삽수의 채취시기는 3월28일~4월14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근촉진제는 IBA(indole-3-butyr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BA의 처리농도는 90~110mgL-1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BA의 처리방법은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0.5~1.5cm를 발근촉진제에 침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BA의 처리시간은 50~7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수는 길이가 9.8±2.1cm이며, 잎눈이 2~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양토는 모래(sand) : 피트모스(peat moss) :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 펄라이트(pearlite)가 1 :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합토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증식된 호랑버들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험예>
1. 재료 및 방법
호랑버들 삽수는 2009년 3월 6일, 3월 28일, 4월 14일 및 5월 8일에 각각 채취하였다(도 1 참조). 상기 2009년 3월 6일, 3월 28일, 4월 14일, 및 5월 8일에 채취한 삽수는 그 당일에 유리 온실에서 삽목을 실시하였다.
상기에서 삽수는 잎눈이 2개~4개인 1년 생지가 포함되도록 10±3.9㎝ 길이로 하여 각 시기별로 15개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삽목이 실시된 후, 유리 온실내의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하여 차광망을 설치하였으며, 삽목기간(60일) 동안 자동 분무 장치를 이용하여 1시간 간격으로 미세 분무를 실시하였으며, 온실내의 온도와 습도 환경은 각각 평균 24.4±5.3℃와 72.3±11.2%로 유지하였다.
호랑버들 삽수는 2010년 3월 30일에 채취하였다. 2010년 3월 30일에 채취한 삽수 그 당일에 유리 온실에서 삽목을 실시하였다.
상기에서 삽수는 잎눈이 2개~4개인 1년 생지가 포함되도록 6.3±0.9㎝ 길이로 하였다.
상기에서 2010년 3월 30일 각각 삽목 전에 삽수는 발근촉진제(IBA)는 0㎎L-1[무처리(대조구)], 100㎎L-1, 250㎎L-1, 500㎎L-1, 1000㎎L-1, 2000㎎L-1, 3000㎎L-1 농도별로 각각 처리하였으며, 처리 시간은 각 농도별로 1분, 1시간, 6시간 처리한 후 15개씩 3반복으로 상토에 삽목하였다.
삽목이 실시된 후, 유리 온실내의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하여 차광망을 설치하였으며, 삽목기간(60일) 동안 자동 분무 장치를 이용하여 1시간 간격으로 미세 분무를 실시하였으며, 온실내의 온도와 습도 환경은 각각 평균 24.2±6.6℃와 71.5±12.1%로 유지하였다.
상기에서 2009년 3월 6일, 3월 28일, 4월 14일, 5월 8일 및 2010년 3월 30일 각각 삽목 시 사용한 상토는 모래 : 피트모스 : 버미큘라이트 : 펄라이트를 각각 1 :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배합토를 사용하였다.
성적조사는 삽목 60일 경과 후 생존율과 뿌리의 길이가 5㎜ 이상 되는 것을 발근된 것으로 보고 각 처리구별로 발근율, 발근 수, 뿌리의 길이 및 생체 중량 특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치의 엄밀한 분석을 위하여 발근율 및 생장 특성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SAS, 1996).
2. 삽목 결과
호랑버들의 평균 발근율은 5월 8일에 채취한 삽수가 가장 낮은 3.4%를 기록했고, 3월 28일에 채취한 삽수가 가장 높은 59.5% 이었다. 즉, 호랑버들의 삽수 채취 시기는 3월 말에서 4월 초가 가장 좋다는 결론을 보였다(표 1). 생존율 전체 평균은 47.7%이었으며, 4월 14일 삽수가 26.4%로 가장 낮았고, 3월 6일 삽수가 71.1%로 가장 높았다(표 1 참조). 그러나 삽목 후 60일이상이 경과한 후에 잎만 살아있고 발근되지 않은 개체들은 모두 거의 고사하였다. 즉, 호랑버들의 발근율은 삽수 채취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통계적 유의성도 높게 나타나, 호랑버들의 삽목 증식 시 삽수 채취시기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발근율이나 생존율과 마찬가지로 뿌리의 발근수와 길이 모두 3월 28일에서 8.0개 8.7c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도 2 참조),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중량 또한 3월 28일에 가장 높아, 이 시기가 호랑버들 삽수 채취의 적기임을 알 수 있었다.
호랑버들 삽수 채취 적기인 3월 말에서 4월 초는 호랑버들의 수꽃과 암꽃이 떨어진 직후이며, 새로운 잎이 나기 전이다. 특히 주의 할 것은 호랑버들의 꽃이 피기 전에 일찍 채취한 삽수의 경우, 꽃눈과 잎눈이 구별되지 않으며, 꽃눈을 가진 삽수는 발근되지 않고 모두 고사한다. 따라서 꽃이 완전히 떨어진 후, 잎눈만을 이용해 삽목을 실시해야 한다.
호랑버들의 발근 촉진을 위해 사용된 IBA는 100mg L-1, 1시간 처리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IBA는 100mg L-1 1시간 처리된 호랑버들의 발근율은 70.8%로 무처리의 56.3%보다 25.8% 증가하였으며, 생존율은 91.7%에 달했다(표 3 참조). IBA 처리는 농도가 올라갈수록 발근율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250mg L-1 이상에서는 처리시간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발근율과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호랑버들 발근 촉진을 위한 IBA 처리는 100mg L-1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처리 시간을 늘리고, 100mg 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처리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IBA는 100mg L-1 1시간 처리가 최적 처리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뿌리의 발근수와 길이는 IBA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생체 중량은 IBA 100mg L-1 처리에서 지상부가 1.04g, 지하부가 0.31g으로 무처리 평균보다는 낮았으나, 다른 처리보다 높게 나타났다(도 3 참조, 도 4참조).
IBA 발근촉진제의 농도와 처리 시간이 발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IBA의 농도와 처리 시간 및 교호작용에서 각각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표 4 참조). 그러나 반복 간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각 삽수(cutting)간 삽목 발근율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에는 삽수 채취 시기 즉 삽목시기, 발근촉진제의 농도 및 처리기간 등 매우 중요한 인자들에 의해 좌우되는데, 특히, 삽수 채취시기가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삽수 채취는 숙지(hardwood)가 가장 적당하며, 호랑버들 꽃이 완전히 떨어지고, 새로운 잎이 나오기 전인 3월 말부터 4월 초가 적기이며, 꽃눈이 아닌 잎눈이 붙은 가지가 가장 적합한 재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캘러스 형성율을 높이고 발근을 촉진하기 위한 발근촉진제 처리는 농도와 처리 시간이 매우 중요하며, IBA의 경우, 비교적 저농도인 100㎎ L-1에서 1시간 처리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삽목을 실시할 경우, 차광 및 분무 장치를 이용한 관수 처리 시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통기성과 배수성을 고려한 배양토에서 무성 증식할 경우, 호랑버들의 대량 증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기 표 1은 호랑버들 삽수 채취시기별 발근 특성 및 생장량에 관한 것이다.
삽목일 발근율
(%)
생존율
(%)
뿌리 생체중
개수 길이(cm) 지상부(g) 지하부(g)
3월 6일 37.8±6.7* 71.1±7.7 5.2±1.6 7.0±2.2 1.53±0.80 0.09±0.06
3월 28일 59.5±9.7 66.4±9.0 8.0±1.6 8.7±2.2 2.76±0.80 0.39±0.06
4월 14일 21.8±2.6 26.4±3.8 2.8±2.2 8.4±0.9 2.67±2.38 0.18±0.13
5월 8일 3.4±3.0 27.0±12.6 2.7±2.3 7.1±7.2 0.92±0.86 0.32±0.31
하기 표 2는 호랑버들 삽수 채취시기에 따른 삽목 발근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에 관한 것이다.
Variable df Mean square F-value Pr > F
Collecting time 3 1403.2 77.63 0.0001
Replication 2 13.7 0.71 0.5342
하기 표 3은 호랑버들 호르몬 처리 농도 및 시간에 따른 발근 특성 및 생장량에 관한 것이다.
호르몬 처리 발근율
(%)
생존율
(%)
뿌리 생체중(g)
IBA농도
(mg L-1)
처리시간 개수 길이(cm) 지상부 지하부
무처리 0 56.3±6.3* 85.4±7.2 19.7±3.8 10.5±0.9 1.47±0.32 0.56±0.25
100 1분 42.0±7.0 71.5±7.8 13.0±5.2 10.8±0.6 1.11±0.21 0.41±0.07
1시간 70.8±7.2 91.7±3.6 9.3±0.6 9.8±2.1 1.07±0.26 0.27±0.15
6시간 14.6±7.2 27.1±13.0 17.3±7.8 9.8±0.4 0.94±0.52 0.26±0.18
250 1분 60.4±13. 88.9±2.4 20.0±9.2 9.6±1.6 0.56±0.16 0.36±0.11
1시간 52.1±9.5 83.3±7.2 19.0±2.6 9.3±1.1 0.82±0.22 0.31±0.11
6시간 17.8±1.7 27.2±7.3 20.7±4.7 9.3±1.1 0.97±0.25 0.29±0.27
500 1분 44.6±1.4 59.0±16.8 16.0±3.0 10.5±1.3 0.98±0.26 0.37±0.12
1시간 25.0±12.5 70.8±13.0 9.7±1.2 8.8±0.7 0.92±0.19 0.33±0.13
6시간 6.3± 0.0 14.6±7.2 18.3±16.3 9.4±2.0 0.85±0.72 0.24±0.17
1000 1분 44.1±22.4 63.8±15.2 14.3±7.8 10.9±1.1 1.10±0.55 0.32±0.18
1시간 11.1±6.7 25.7±26.5 5.3±2.1 5.4±2.1 0.47±0.40 0.06±0.07
6시간 7.6±4.3 15.3±6.0 16.0±5.6 5.5±3.9 0.44±0.13 0.08±0.08
2000 1분 22.9±13.0 45.8±19.1 23.7±3.8 9.9±1.4 0.50±0.07 0.26±0.09
1시간 10.4±3.6 29.2±7.2 9.0±4.6 11.4±4.5 0.43±0.22 0.16±0.10
6시간 1.4±2.5 8.5±3.9 10.3±4.0 2.8±1.0 0.23±0.05 0.02±0.01
3000 1분 18.8±0.0 43.8±12.5 14.0±5.6 7.8±3.3 0.65±0.04 0.16±0.17
1시간 14.6±15.7 58.3±20.1 8.7±1.2 8.3±0.0 0.42±0.16 0.10±0.05
6시간 6.3±10.8 14.6±7.2 11.7±8.5 6.0±2.7 0.28±0.21 0.10±0.10
* 평균 ± 표준편차
하기 표 4는 호랑버들 호르몬 처리 농도 및 시간에 따른 발근율의 분산분석 결과에 관한 것이다.
Variable df Mean square F-value Pr > F
Concentration(A) 6 1887.8 21.40 0.0001
Time(B) 2 4269.6 48.40 0.0001
Replication 2 145.5 1.65 0.2064
A × B 10 483.4 5.48 0.0001
<실시예 1>
호랑버들은 경북 봉화군 연화광산의 폐석더미에서 자생하던 개체를 2006년 채취하여 이식하고 관리하던 것을 사용하였다.
2009년 3월 6일, 3월 28일, 4월 14일, 5월 8일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호랑버들에서 삽수를 채취하였다.
호랑버들 삽수는 채취 즉시 발근촉진제를 처리하지 않고 모래: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가 1: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양토에 삽목하여 증식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는 길이가 10±3.9cm이며, 잎눈이 2개~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 후 60일이 경과한 날에 발근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2010년 3월 30일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호랑버들에서 삽수를 채취하였다.
상기의 삽수를 IBA 100mg L-1의 발근촉진제로 처리한 다음 동일한 날에 모래: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가 1: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양토에 삽목하여 호랑버들을 증식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는 길이가 6.3±0.9cm이며, 잎눈이 2개~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발근촉진제로 처리하는 것은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1cm를 발근촉진제에 1분, 1시간, 6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 후 60일이 경과한 날에 발근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2009년 3월 30일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호랑버들에서 삽수를 채취하였다.
상기의 삽수를 IBA 250mg L-1의 발근촉진제로 처리한 다음 동일한 날에 모래: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가 1: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양토에 삽목하여 호랑버들을 증식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는 길이가 6.3±0.9cm이며, 잎눈이 2개~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발근촉진제로 처리하는 것은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1cm를 발근촉진제에 1분, 1시간, 6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 후 60일이 경과한 날에 발근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2009년 3월 30일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호랑버들에서 삽수를 채취하였다.
상기의 삽수를 IBA 500mg L-1의 발근촉진제로 처리한 다음 동일한 날에 모래: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가 1: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양토에 삽목하여 호랑버들을 증식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는 길이가 6.3±0.9cm이며, 잎눈이 2개~4개인 포함한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발근촉진제로 처리하는 것은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1cm를 발근촉진제에 1분, 1시간, 6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 후 60일이 경과한 날에 발근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5>
2009년 3월 30일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호랑버들에서 삽수를 채취하였다.
상기의 삽수를 IBA 1000mg L-1의 발근촉진제로 처리한 다음 동일한 날에 모래: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가 1: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양토에 삽목하여 호랑버들을 증식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는 길이가 6.3±0.9cm이며, 잎눈이 2개~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발근촉진제로 처리하는 것은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1cm를 발근촉진제에 1분, 1시간, 6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 후 60일이 경과한 날에 발근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6>
2009년 3월 30일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호랑버들에서 삽수를 채취하였다.
상기의 삽수를 IBA 2000mg L-1의 발근촉진제로 처리한 다음 동일한 날에 모래: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가 1: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양토에 삽목하여 호랑버들을 증식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는 길이가 6.3±0.9cm이며, 잎눈이 2개~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발근촉진제로 처리하는 것은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1cm를 발근촉진제에 1분, 1시간, 6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 후 60일이 경과한 날에 발근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7>
2009년 3월 30일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호랑버들에서 삽수를 채취하였다.
상기의 삽수를 IBA 3000mg L-1의 발근촉진제로 처리한 다음 동일한 날에 모래: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가 1:1:1: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양토에 삽목하여 호랑버들을 증식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는 길이가 6.3±0.9cm이며, 잎눈이 2개~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발근촉진제로 처리하는 것은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1cm를 발근촉진제에 1분, 1시간, 6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에서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 후 60일이 경과한 날에 발근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증식방법에 있어서 호랑버들의 삽수 채취시기, 삽목 시기를 명확히 정하며, 삽목 시 삽수에 발근처리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대조구)에 비해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촉진되는 발근촉진제의 농도 및 처리 시간을 규명하여 삽목을 이용한 최적의 호랑버들 증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증식방법은 무성번식 방법인 삽목을 이용하기 때문에 호랑버들에 있어서 유전적으로 동일한 모수의 형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유용 물질 생산 및 바이오 에너지 생산림 조성을 통한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유도할 수 있어 유성증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묘목의 생산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호랑버들 관련 산업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9)

  1. 호랑버들(Salix caprea L.)에서 길이가 9.8±2.1cm이며, 잎눈이 2∼4개인, 1년생의 호랑버들 생지(shoot)인 삽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호랑버들에서 채취한 삽수 기부 0.5∼1.5cm를 농도가 90∼110mgL-1인 IBA(indole-3-butyric acid)의 발근촉진제에 침지하여 50∼70분 처리하는 단계;
    상기 발근촉진제가 처리된 삽수를 배양토에 삽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수의 채취시기는 3월28일∼4월14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토는 모래(sand) : 피트모스(peat moss) :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 펄라이트(pearlite)가 1 : 1 : 1 : 1의 부피비로 혼합된 배합토임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 무성증식방법.
  9. 청구항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무성증식된 호랑버들.
KR1020110005406A 2011-01-19 2011-01-19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 KR10125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06A KR101254754B1 (ko) 2011-01-19 2011-01-19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06A KR101254754B1 (ko) 2011-01-19 2011-01-19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086A KR20120084086A (ko) 2012-07-27
KR101254754B1 true KR101254754B1 (ko) 2013-04-26

Family

ID=4671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406A KR101254754B1 (ko) 2011-01-19 2011-01-19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7410A (zh) * 2014-04-21 2014-07-30 北京绿源智林农业研究院 一种腺柳嫩枝快速扦插繁殖技术
KR101531793B1 (ko) * 2014-05-19 2015-06-25 김규석 조기 삽목 방법을 이용한 포플러 묘목의 번식방법
CN104285637B (zh) * 2014-09-24 2016-08-24 保定学院 竹柳轻基质营养杯扦插苗繁殖方法
CN104429441A (zh) * 2014-09-25 2015-03-25 阜南县永兴工艺品有限公司 一种杞柳的种植方法
CN106134945A (zh) * 2016-06-14 2016-11-23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研究所 一种蒿柳种子繁殖的方法
KR102182734B1 (ko) * 2018-11-13 2020-11-24 대한민국 사과나무의 접삽목 방법
CN112753393B (zh) * 2020-12-31 2022-04-22 华南农业大学 一种构树根繁方法
CN115589947A (zh) * 2022-10-21 2023-01-13 曲阜师范大学(Cn) 一种蒿柳组培快繁的方法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610B1 (ko) * 1999-09-28 2002-05-16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임업연구원장) 신품종 황금소사나무의 무성번식방법
KR100805889B1 (ko) * 2006-06-14 2008-02-2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죽절초의 조기 결실을 위한 번식방법
KR100883626B1 (ko) * 2007-04-18 2009-02-18 대한민국 신품종 노랑무늬 고광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KR20100105218A (ko) * 2009-03-20 2010-09-29 김명회 보라빛 미루나무 신품종 식물 '명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610B1 (ko) * 1999-09-28 2002-05-16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임업연구원장) 신품종 황금소사나무의 무성번식방법
KR100805889B1 (ko) * 2006-06-14 2008-02-2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죽절초의 조기 결실을 위한 번식방법
KR100883626B1 (ko) * 2007-04-18 2009-02-18 대한민국 신품종 노랑무늬 고광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KR20100105218A (ko) * 2009-03-20 2010-09-29 김명회 보라빛 미루나무 신품종 식물 '명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086A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754B1 (ko) 삽목을 이용한 호랑버들의 무성증식방법
Pires et al. Irrigation frequency and substrate volume effects in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 plant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CN113141964B (zh) 一种亚热带地区长效碳中和林的种植方法
JP6896252B2 (ja) カラマツ属植物の増殖方法
CN106106170B (zh) 一种滇重楼快速繁殖方法
CN102783353B (zh) 一种毛白杨嫩枝嫁接扦插快速繁殖的方法
KR101555985B1 (ko) 미세 삽목을 이용한 포플러류의 무성번식 방법
CN106305276A (zh) 一种青钱柳根扦插繁殖方法
CN113785706B (zh) 一种西伯利亚杏树的扦插育苗方法
CN106900503A (zh) 凹脉金花茶的容器扦插育苗方法
CN104686329A (zh) 一种杜仲组织培养方法
CN104126419B (zh) 银杏古树优良无性系种子园建立方法
CN109463144A (zh) 一种木通属植物扦插快速繁殖的方法
KR101813044B1 (ko) 삽목을 이용한 토종 다래의 무성증식 방법
CN109169226A (zh) 一种竹的水培方法
CN103843549B (zh) 一种自由人槭扦插育苗方法及其专用生根剂
KR101229873B1 (ko) 삽목을 이용한 눈향나무 증식방법
KR101270269B1 (ko) 숙지삽목을 이용한 천연기념물 먹넌출 증식방법
CN105284407B (zh) 一种喜树嫩枝扦插生根方法
CN108738770B (zh) 一种沙棘硬枝扦插育苗方法
CN110832997A (zh) 一种柘木硬枝扦插的繁育方法
CN103053312B (zh) 一种枝江枫杨繁育方法
JP6530584B2 (ja) カンゾウ属植物の苗の生産方法
CN104521703B (zh) 水松的扦插方法
CN103999680B (zh) 等离子体处理柳树枝条产生芽变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