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131B1 - 빗방울 감지영역을 넓힌 격자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빗방울 감지영역을 넓힌 격자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131B1
KR101254131B1 KR1020080036853A KR20080036853A KR101254131B1 KR 101254131 B1 KR101254131 B1 KR 101254131B1 KR 1020080036853 A KR1020080036853 A KR 1020080036853A KR 20080036853 A KR20080036853 A KR 20080036853A KR 101254131 B1 KR101254131 B1 KR 10125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aindrop
receiving element
light source
raindrop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211A (ko
Inventor
한시연
Original Assignee
한시연
(주)에프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시연, (주)에프에스씨 filed Critical 한시연
Priority to KR102008003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131B1/ko
Priority to US12/988,428 priority patent/US8471513B2/en
Priority to CN2009801139150A priority patent/CN102015384B/zh
Priority to EP09734320A priority patent/EP2277751A2/en
Priority to JP2011506181A priority patent/JP5600313B2/ja
Priority to PCT/KR2009/001739 priority patent/WO2009131316A2/ko
Publication of KR2009011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5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 형태로 배열된 빗방울 감지 센서를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여 빗방울이 센서가 부착된 유리창에 떨어질 때 빗방울에서 광원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량을 수신하여 빗방울 량을 인식하는 빗방울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격자형태의 배열 방식 빗방울 센서는, 개별 단위구역에서는 1개의 수광소자를 4개의 광원이 둘러싸는 구조이나 전체적으로는 수광소자와 광원이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넓은 면적의 빗방울 낙하지점을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 감지할 수 있고, 수광소자와 광원이 부착된 판을 비스듬히 부착하여 전면유리창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센서 내 광원을 특정주파수로 변조하여 주변광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떨어지는 빗방울 양에 비례하여 전면 유리창 브러쉬 동작빈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빗방울센서, 광센서, 자동차 유리창 센서

Description

빗방울 감지영역을 넓힌 격자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센서{Rain sensor in grid structure with improved area dete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격자 형태로 배열된 빗방울 감지 센서를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여 빗방울이 센서가 부착된 유리창에 떨어질 때 빗방울에서 광원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량을 수신하여 빗방울 량을 인식하는 빗방울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빗방울 감지 센서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신호 광을 주입하여 유리창에 빗방울이 떨어지면 유리창 내부를 따라 도파되던 광이 외부로 빠져나가 반대쪽에 설치된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량이 줄어들어 빗방울 낙하 정도를 판별하는 방식이나, 신호 광을 유리창에 비스듬히 입사시켜 유리창에 빗방울이 떨어지면 반사율에 변화가 일어나 반대쪽에 설치된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량이 변화되어 빗방울 낙하 정도를 판별하는 방식이나, 일렬로 배열된 빗방울 감지 센서를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여 빗방울이 센서가 부착된 유리창에 떨어질 때 빗방울에서 광원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량을 수신하여 빗방울 량을 인식하는 방식을 사용하였 다. 이러한 방식 중 첫 번째 방식은 센서로 사용되는 신호 광을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 내부로 도파되도록 입사시킬 때 광결합기를 자동차 전면 유리창과 완전히 밀착시키고 정확한 입사각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어서 광학계가 복잡해지고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두 번째 방식은 센서로 사용되는 광원의 반대쪽에 수광소자를 설치하므로 빗방울에 의한 반사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도 수광소자에 입사되어 신호대 잡음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세 번째 방식은 센서로 사용되는 광원과 수광소자 쌍을 일렬로 배치하므로 넓은 면적에 떨어지는 빗방울을 감지하기 위하여는 많은 수의 광원과 수광소자 쌍이 필요하여 광원 및 수광소자 쌍당 감지 면적이 협소한 단점이 있었다.
결국,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 전면 유리창 내부 도파현상을 이용한 빗방울 감지 방식은 광학계가 복잡해지고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광원과 수광소자를 서로 반대쪽에 위치시켜 빗방울에 의한 반사광을 측정하는 방식은 유리창 표면에서의 반사로 인하여 신호대 잡음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고, 광원과 수광소자를 일렬로 배치하는 반사형 방식은 빗방울 감지면적이 협소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반사형 빗방울 감지방식에서 적은 수의 광원 및 수광소자를 사용하여 보다 더 넓은 면적에 걸쳐 효율적으로 빗방울을 감지하면서, 동시에 광학계를 간단히 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자동차 전면 유리창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변조된 신호 광을 사용하여 주변광의 영향을 최소화 시키고 빗방울 감지면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빗방울 감지방식을 구현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구체적으로, 우천시에 내리는 빗물을 감지하는 빗방울 감지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11)에서 생성된 신호에 따라 신호광을 송출하는 광원(5)과, 단위 감지 구역에서 상기 광원(5)에서 조사된 광이 물방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방향으로 4개의 광원(5)에 둘러싸여 배치되어 수신하는 수광소자(6)와, 빗방울 감지 센서 케이스(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인 슬릿에 장착되는 적외선 필터(3)와, 자동차 전면 유리창(2) 표면에서의 반사에 의한 잡음요소를 배제하면서도 신호광에 포함된 변조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여 유리창 표면의 빗방울 존재량을 판단하므로 빗방울에 의한 반사성분이 아닌 외부 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켜 빗방울 감지 확률을 높여주는 수신기(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광원(5)에서 조사된 광이 물방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방향으로 4개의 광원(5)에 둘러싸여 배치되어 수신하는 수광소자(6)로 구성된 단위 감지구역의 좌우 또는 상하로 격자 형태로 2개의 광원(5)과 1개의 수광소자(6)를 각각 추가 배치하여 감지구역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광원(5)은 수광소자(6)와 격자 형태로 배치되며, 적외선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빗방울 감지 센서 케이스(1)의 내부에 빛을 흡수하는 검은 색과 난반사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송신기(11)는 10kHz ~ 100kHz 대의 구형파를 발진하는 발진기(13)와 발진신호에 따라 적외선 LED 광원(5)을 광 변조시키는 변조기(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기(9)는 수광소자(6)에서 광전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5)와, 상시 발진기(13)의 발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성분만을 걸러내는 대역통과필터(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광소자(6) 전면에 장착된 적외선 필터(3)는 신호 광 이외의 가시광선 대역의 외부 광이 수신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기(9)는 신호 광의 크기에 따라 정보를 마이컴(10)에 전달하고, 마이컴(10)은 미리 입력된 대조표(Look-up Table)에 따라 적합한 자동차 유리창 브러시의 작동빈도를 결정하고 빗방울 감지 신호(12)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광 영향을 줄인 격자 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빗방울 감지 센서에서 감지오차를 줄이기기 위하여 빗방울이 떨어지는 면적을 보다 더 넓게 감지하여 광원과 수광소자를 격자 형태로 배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또한 자동차 전면 유리창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광원과 수광소자가 격자 형태로 부착된 감지판을 전면 유리창에 비스듬히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때 광원에서 발사되는 특정주파수로 변조된 신호광이 빗방울에서 반사되어 격자 내에 위치한 수광소자에 입사되고 이렇게 수신된 광신호는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변조할 때 사용된 특정주파수 성분만이 걸러져서 주변광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렇게 복원된 신호는 마이컴에서 미리 입력된 대조표와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한 유리창 브러쉬 작동신호를 발생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빗방울 감지 방식은 자동차의 유리창을 광도파로로 사용하는 감지 방식이나, 신호 광을 송출하는 광원과 수신하는 수광소자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방식이나, 광원과 수신하는 수광소자를 일렬로 같은 방향에 배치하는 방식과는 달리, 신호 광을 송출하는 광원들이 수신하는 수광소자를 둘러싸는 구조로 배치하여 자동차 유리창 표면에 떨어지는 빗방울을 보다 더 넓은 면적에 걸쳐 감지할 수 있어 빗방울 감지 확률을 높여주어 빗방울 감지 센서가 오동작 될 확률을 줄이는데 적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격자 형태로 배열된 빗방울 감지 센서를 이용한 빗방울 감시 방식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빗방울 감지 센서의 개념도와 전면 유리창 표면에 광원과 수광소자가 격자 형태로 부착된 감지판을 전면 유리창에 비스듬히 부착하는 방식의 개념도 이고, 도 2는 센서 내 주변광 영향 감소방식의 개념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은 본 발명에 의한 빗방울 감지센서 외함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2는 자동차 전면 유리창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3은 적외선 통과 필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4는 광원과 수광소자를 격자 모양으로 배열시켜 부착시키는 격자판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5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6은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기 위한 수광소자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7은 격자판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8은 유리창 표면에 떨어진 빗방울을 나타낸다.
상기의 구성에서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5)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광은 적외선 통과 필터(3)와 자동차 전면 유리창(2)을 통과하여 유리창 표면에 부착된 빗방울(8)에서 일부가 반사되어 다시 자동차 전면 유리창(2)과 적외선 통과 필터(3)를 통과한 후 LED(5)와 같은 방향에 위치한 수광소자(6)에서 광전변환 된다. 이렇게 광전변환된 전기신호는 수신기에서 신호로 복원된 후 마이컴에 미리 입력된 대조표와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한 유리창 브러쉬 작동신호를 발생하게 된 다. 이때 1 단위감지구역에서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4 개의 LED(5)가 1 개의 수광소자(6)를 둘러싸는 구조이므로 1 개의 수광소자(6)로 4 개의 경로를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수광소자 개수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더욱이 인접 감지구역에서는 2 개의 LED(5)와 1 개의 수광소자(6)를 추가하여도 처음 감지구역에서와 같이 4개의 LED(5)를 사용하는 효과를 거두므로 감지면적은 넓히면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9는 수신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0은 마이컴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11은 송신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2는 유리창 브러쉬를 작동시키는 빗방울 감지신호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3은 광원을 변조시키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4는 변조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5는 수광소자에서 광전변환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6은 증폭기 출력에 포함된 신호중에서 당초 송신기에 사용된 변조주파수와 같은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는 대역통과필터를 나타낸다.
상기의 구성에서 발진기(13)는 10kHz ~ 100kHz 대의 정현파를 발진하고 이 발진신호에 따라 변조기(14)는 LED(5)를 광변조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신호광은 자동차 전면 유리창(2)에 떨어진 빗방울(8)에서 반사되어 자동차 전면 유리창에 부착된 적외선통과필터(3)를 통과한 후 수광소자(6)에 수신된다. 이때 적외선통과필터(3)는 신호광 이외의 가시광선 대역의 외부광이 수신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수광소자에서 광전변환된 전기신호는 증폭기(15)에서 증폭된 후 대역통과필터(16)에서 당초 발진기(13)의 발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성분만을 걸러내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신호광 이외의 외부광의 영향을 대부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신호광의 크기는 마이컴에서 미리 입력된 대조표(Look-up Table)에 따라 적합한 자동차 유리창 브러쉬의 작동빈도를 결정하고 이를 출력(12)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빗방울 감지 센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내 주변광 영향 감소방식의 개념도.

Claims (8)

  1. 우천시에 내리는 빗물을 감지하는 빗방울 감지장치에 있어서, 송신기(11)에서 생성된 신호에 따라 신호광을 송출하는 광원(5)과, 단위 감지 구역에서 상기 광원(5)에서 조사된 광이 물방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방향으로 4개의 광원(5)에 둘러싸여 배치되어 수신하는 수광소자(6)와, 빗방울 감지센서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인 슬릿에 장착되는 적외선 필터(3)와, 자동차 전면 유리창(2) 표면에서의 반사에 의한 잡음요소를 배제하면서도 신호광에 포함된 변조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여 유리창 표면의 빗방울 존재량을 판단하므로 빗방울에 의한 반사성분과 구별되는 외부 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켜 빗방울 감지 확률을 높여주는 수신기(9)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5)에서 조사된 광이 물방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방향으로 4개의 광원(5)에 둘러싸여 배치되어 수신하는 수광소자(6)로 구성된 단위 감지구역의 좌우 또는 상하로 격자 형태로 2개의 광원(5)과 1개의 수광소자(6)를 각각 추가 배치하여 감지구역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광 영향을 줄인 격자 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5)은 수광소자(6)와 격자 형태로 배치되며, 적외선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광 영향을 줄인 격자 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방울 감지 센서 케이스(1)의 내부에 빛을 흡수하는 검은 색과 난반사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광 영향을 줄인 격자 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11)는 10kHz ~ 100kHz 대의 구형파를 발진하는 발진기(13)와 발진신호에 따라 적외선 LED 광원(5)을 광 변조시키는 변조기(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광 영향을 줄인 격자 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9)는 수광소자(6)에서 광전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5)와, 상시 발진기(13)의 발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성분만을 걸러내는 대역통과필터(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광 영향을 줄인 격자 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6) 전면에 장착된 적외선 필터(3)는 신호 광 이외의 가시광선 대역의 외부 광이 수신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광 영향을 줄인 격자 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8. 제 1항 및 제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9)는 신호 광의 크기에 따라 정보를 마이컴(10)에 전달하고, 마이컴(10)은 미리 입력된 대조표(Look-up Table)에 따라 자동차 유리창 브러시의 작동빈도를 결정하고 빗방울 감지 신호(12)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광 영향을 줄인 격자 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KR1020080036853A 2008-04-21 2008-04-21 빗방울 감지영역을 넓힌 격자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센서 KR10125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853A KR101254131B1 (ko) 2008-04-21 2008-04-21 빗방울 감지영역을 넓힌 격자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센서
US12/988,428 US8471513B2 (en) 2008-04-21 2009-04-03 Rain sensor
CN2009801139150A CN102015384B (zh) 2008-04-21 2009-04-03 雨水传感器
EP09734320A EP2277751A2 (en) 2008-04-21 2009-04-03 Raindrop sensor
JP2011506181A JP5600313B2 (ja) 2008-04-21 2009-04-03 雨滴感知センサー
PCT/KR2009/001739 WO2009131316A2 (ko) 2008-04-21 2009-04-03 빗방울 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853A KR101254131B1 (ko) 2008-04-21 2008-04-21 빗방울 감지영역을 넓힌 격자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211A KR20090111211A (ko) 2009-10-26
KR101254131B1 true KR101254131B1 (ko) 2013-05-03

Family

ID=4153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853A KR101254131B1 (ko) 2008-04-21 2008-04-21 빗방울 감지영역을 넓힌 격자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6044B2 (en) 2016-10-14 2019-02-05 Hyundai Motor Company Rain sensor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84866B1 (ko) 2018-03-19 2019-05-31 울산과학기술원 자가 동력원 이용 센서 및 그 센서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196B1 (ko) * 2008-07-23 2010-09-10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프리즘 매개형 레인센서
US8873062B2 (en) * 2012-08-09 2014-10-28 Jeffrey Scott Adler Reflective material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728A (ja) 2004-02-18 2005-09-02 Denso Corp 光センサ装置
KR100751427B1 (ko) * 2006-06-02 2007-08-23 한시연 주변 광 영향을 줄인 일렬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JP2007278711A (ja) 2006-04-03 2007-10-25 Tgk Co Ltd 雨滴セ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728A (ja) 2004-02-18 2005-09-02 Denso Corp 光センサ装置
JP2007278711A (ja) 2006-04-03 2007-10-25 Tgk Co Ltd 雨滴センサ
KR100751427B1 (ko) * 2006-06-02 2007-08-23 한시연 주변 광 영향을 줄인 일렬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6044B2 (en) 2016-10-14 2019-02-05 Hyundai Motor Company Rain sensor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84866B1 (ko) 2018-03-19 2019-05-31 울산과학기술원 자가 동력원 이용 센서 및 그 센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211A (ko) 200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0313B2 (ja) 雨滴感知センサー
JP2011530691A5 (ko)
EP3589940B1 (en) Optical soiling measurement device for photovoltaic arrays
KR100462418B1 (ko) 시계검출및비에젖은영역검출용센서
US20110128543A1 (en) Rain sensor using light scattering
KR101254131B1 (ko) 빗방울 감지영역을 넓힌 격자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센서
CN102192897A (zh) 微粒子检测装置
CN104950352A (zh) 光学雨量探测方法、探测装置及导光器
CN116046721B (zh) 一种对射式开路激光气体探测器及气体探测实时校准方法
KR100880248B1 (ko) 빗방울 감지센서
CN211347923U (zh) 基于tdlas技术的在线多组分气体浓度检测系统
KR101065601B1 (ko) 창유리 상의 습기를 검출하기 위한 레인 센서
KR100751427B1 (ko) 주변 광 영향을 줄인 일렬배열 방식 빗방울 감지 장치
RO132860B1 (ro) Dispozitiv pentru detectarea apei pe drum
KR20090011688A (ko) 표준 수광소자를 이용한 빗방울 감지 장치
JP2010223683A (ja) 非接触式温度センサ
CN112904318A (zh) 一种激光探空遥测系统窗口污染实时监测装置及方法
KR20130119726A (ko) 아크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아크 전달 소자
KR20220169079A (ko) 빗방울 감지 장치
CN215340408U (zh) 一种基于红外测量技术的车载雨量探测仪
ATE490132T1 (de) Optoelektronische sensoreinrichtung
JPH1096791A (ja) 雨滴検出装置
KR20080061260A (ko) 표준수광소자를 이용한 빗방울 감지 장치
KR101173676B1 (ko) 스패클 패턴을 이용한 레인 센서 및 스패클 패턴을 이용한 레인 센서에서 빗방울을 검출하는 방법
CN115728784A (zh) 光学反射式雨量传感器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