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914B1 - 접합 시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접합 시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914B1
KR101253914B1 KR1020110066329A KR20110066329A KR101253914B1 KR 101253914 B1 KR101253914 B1 KR 101253914B1 KR 1020110066329 A KR1020110066329 A KR 1020110066329A KR 20110066329 A KR20110066329 A KR 20110066329A KR 101253914 B1 KR101253914 B1 KR 10125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bonded
frame
separation
specim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026A (ko
Inventor
박원모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9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01N33/0078
    • G01N33/0096

Abstract

소재(시편)의 접합성 평가를 위한 접합시편의 분리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접합시편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접합시편 처리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접합시편이 안착 지지토록 제공된 시편 안착수단; 및, 상기 시편 안착수단의 상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상기 접합 시편을 분리 가능토록 제공된 시편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접합된 (실험) 시편(소재)의 강제 분리를 수작업 없이 일정한 조건하에서 신속하게 구현토록 하여, 시편의 분리 처리를 용이하게 하면서, 기존 수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시편 파손 등이 방지되는 한편, 특히 일정한 조건으로 접합 시편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분리된 시편의 접합면 형상 측정을 통한 용접 특성의 평가 품질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접합 시편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elded specimen}
본 발명은 소재(시편)의 접합성 평가를 위한 접합시편의 분리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접합시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용접 접합된 (실험) 시편(소재)의 강제 분리를 수작업 없이 일정한 조건하에서 신속하게 구현토록 하여, 시편의 분리 처리를 용이하게 하면서, 기존 수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시편 파손 등이 방지되는 한편, 특히 일정한 조건으로 접합 시편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분리된 시편의 접합면 형상 측정을 통한 용접 특성의 평가 품질을 향상시키는 접합시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재들을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하나의 구조체를 구현하는 경우, 그 구조체의 내구성은 상기 소재의 접합부위의 물리적 특성 즉, 접합강도인 인장력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이와 같은 접합 강도가 구조체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의 (프레임) 소재로 사용되고 로봇 조업으로 점 용접되는 자동차용 강판들의 접합 강도가 자동차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동차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소재에 대한 점 용접부위의 접합강도나 파단강도의 우수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강판의 점 용접과 같은 소재의 접합강도는 사전에 실제 제품과 같은 조건으로 강판을 용접하고, 이들 용접부위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시험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용접된 강판을 강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면서 그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용접부위의 강도특성을 미리 시험하거나, 용접 접합된 시편을 강제로 분리시키면 시편의 접합면 형상을 분석하면 용접 특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즉, 많은 부품 들의 접합방식에 이용되고 있는 점 용접에 관한 적정 용접 조건을 평가하기 위하여, 알려진 방법은 용접부를 단순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강제로 분리시키고, 용접부의 너깃 사이즈를 측정하여 시편의 접합(용접)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때,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용접을 통해 접합된 시편의 분리작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기구 또는 장비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알려진 대부분의 시편 분리 처리를 위한 기구 또는 장비의 경우 대부분 수 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하거나 수 작업이 상당부분 병행되는 것이어서, 접합 시편의 분리를 통한 접합면 형상 측정이 항상 동일한 조건이나 환경이 아닌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나 여건에 따라 시편 분리 조건이 다르게 되는 재연의 일관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당부분을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많은 량의 시편 분리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재연성은 더 저하되고, 실제 접합 시편의 분리를 위한 기구나 장비 장착은 물론, 실제 접합 시편의 분리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구 등을 이용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용접 접합된 (실험)시편의 강제 분리를 수작업 없이 일정한 조건하에서 신속하게 구현토록 하여, 시편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면서, 기존 수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시편 파손 등이 방지되는 한편, 특히 일정한 조건으로 접합 시편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분리된 시편의 접합면 형상 측정을 통한 용접 특성의 평가 품질도 향상시키는 접합시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접합시편이 안착 지지토록 제공된 시편 안착수단; 및, 상기 시편 안착수단의 상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상기 접합 시편을 분리 가능토록 제공된 시편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시편 안착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비된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접합시편이 사이에 탄력적으로 안착 지지되는 시편 안착블록들을 포함하되, 상기 시편 안착블록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탄성체가 체결되는 탈,장착 가능한 가이드봉이 연결되어 시편의 탄력 지지를 가능토록 구성된 접합 시편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상기 시편 안착수단이 내측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자력을 매개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이다.
삭제
이때, 상기 시편 안착블록에는, 시편이 안착 지지되는 시편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편 지지부는 접합시편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편 분리수단은, 상기 시편 안착수단 상에 제공된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의 하측에 연계되고, 상기 접합시편 사이에 진입되면서 단위 시편들을 서로 분리토록 제공된 시편 분리편;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원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에 수직 설치된 구동원 지지대에 내장되는 수직 작동 실린더로 제공되고, 상기 시편 분리편은 하나 이상이 시편 연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구동원과 연결 제공되되 하단은 시편 사이의 진입을 용이토록 나이프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편 연결수단은, 상기 구동원인 실린더의 로드에 수평 고정되는 레일블록; 및,
상기 레일블록에 삽입되되 하부에 상기 시편 분리편의 상단에 구비된 체결봉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블록;
을 포함하여 접합시편의 형태에 대응하여 시편 분리편의 탈,장착을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시편은, 판 형상 또는 십자형상으로 한쌍의 단위 시편이 용접되어 제공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는 시편 분리편의 하강시 인입되는 시편 분리편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편의 접합성 평가시 접합 시편의 장치 안착과 평가를 위한 시편의 (강제) 분리를 용이토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용접 접합된 (실험)시편의 강제 분리를 수작업 없이 일정한 조건하에서 신속하게 구현토록 하여, 시편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면서, 기존 수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시편 파손 등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정한 조건으로 접합 시편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분리된 시편의 접합면 형상 측정을 통한 용접 특성의 평가 품질도 향상시키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시편 접합 구조에 대응하여 부품 교체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시편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접합시편 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 장치를 통한 접합시편의 분리 처리를 단계별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장치에서 시편 분리수단의 여러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장치에서 시편 안착수단의 여러 형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시편 구조를 도시한 요부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시편 처리장치(1)의 전체 구성을 사시도 및 정면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 점용접(W)으로 서로 접합되는 단위 시편의 도면부호를 2a,2b로 설명하고, 이들이 접합된 접합시편의 도면부호를 2로 설명한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접합시편(2)은 유사한 크기의 단위 시편들이 점용접(w)으로 접합되는 판 형태 또는 직사각형 단위 시편들이 점용접된 십자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접합시편(2)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판형태의 접합시편(2)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합시편 처리장치(1)는 크게 장치 프레임(10)과, 상기 장치 프레임(10)에 접합시편(2)이 안착 지지토록 제공된 시편 안착수단(30) 및, 상기 시편 안착수단의 상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상기 접합 시편(2)을 분리 가능토록 제공된 시편 분리수단(50)을 포함하여 그 구성 일 예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접합시편 처리장치(1)는 접합시편을 장치의 시편 안착수단(30)에 탄력 지지시키고, 상기 시편 분리수단(50)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을 거의 배제시키는 상태로 단위 시편(2a)(2b)들을 강제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점용접(w)된 접합시편의 단위 시편들의 접합면 형상을 분석하여 시편과 동일 재질의 소재(예컨대 자동차 차체, 부품 등)의 접합성을 평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 장치는 접합시편의 강제 분리를 통하여 이와 같은 접합 특성 즉, 소재의 용접 특성 평가를 원활하게 하되 특히, 본 발명 장치는 기존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기구 등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수작업이 배제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단위 시편의 분리 환경을 유지하고, 이는 접합성 평가의 정밀성이나 평가의 균일성을 확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의 상기 장치 프레임(10)은, 더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원하는 장소에 제공되는 베이스 프레임(1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 상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상기 시편 안착수단(30)이 내측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4)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4)은 박스형태로서 그 내측에 상기 시편 안착수단(30)이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2)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안착되는 접합시편의 양측 즉,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제공되는 전자석 블록(16)(영구자석 블록도 가능)이 제공된다.
따라서, 철 구조물의 상부 프레임(14)은 상기 전자석블록(16)의 전원 인가가 off되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위치 조정되고, 전자적 블록에 전원이 인가되어 on되면 상기 전자적 블록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매개로 상기 상부 프레임(14)은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전자석 블록을 이용한 상부 프레임의 위치 조정은 접합 시편(2)의 안착 위치가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시편 분리수단(50)을 이용한 접합된 단위 시편들의 분리를 일정하게 수행하고, 그 분리 조건을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부 프레임을 볼팅 체결 등으로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 조정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필요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시편 안착수단(30)은, 상기 장치 프레임(10)의 베이스 프레임상에 제공된 박스 형태인 앞에서 설명한 상부 프레임(14)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접합시편(2)이 사이에 탄력적으로 안착 지지되는 마주하는 한쌍의 시편 안착블록(32)들을 포함한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시편 안착블록(32)의 일측에는 상부 프레임(14)을 관통하면서 탄성체(34) 즉, 스프링이 체결되는 탈,장착 가능한 가이드봉(36)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시편 분리수단(50)의 시편 분리편(54)이 접합시편(2)의 단위 시편(2a)(2b)사이에 진입되어 하강하면 할수록 상기 시편 안착블록(32)들은 가이드봉(36)이 상부 프레임(14)을 관통하여 스프링인 탄성체(34)를 압축하면서 후진하게 된다.
반대로, 시편 분리시편(54)이 접합시편의 단위 시편(2a)(2b)사이에 진입되지 않는 경우와 초기 접합시편이 시편 안착수단(30)의 시편 안착블록(32)들 사이에 안착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체(34)의 스프링은 탄성력으로 접합시편이 시편 안착블록 사이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압박 지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5a, 도 5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편 안착수단의 한쌍이 마주하는 시편 안착블록(32)의 서로 마주하는 시편 접촉면에는 블록 내측으로 오목한 시편 지지부(32a)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합시편(2)을 시편 안착블록(32)사이에서 위에서 끼우면 스프링의 탄성체를 압축시키면서 시편 안착블록들이 후진하여 그 사이에 접합시편이 삽입되면서 상기 시편 지지부에서 걸리어 지지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시편 안착블록 사이에 분리 처리되는 접합시편은 견고하게 유동없이 안착 지지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 장치는 이와 같은 접합시편의 장치 안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 또는 도 4b의 판형상 접합시편(2) 또는 십자형상의 접합시편(2)의 안착시 단위 시편(2a)(2b)들의 높이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시편 안착블록(32)은 연결봉(36)이 나사부(38)를 포함하여 분해 또는 조립되게 하면 접합시편의 형태에서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시편 안착블록을 교체하여 시편 분리 처리를 수행하면 된다.
다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시편 분리수단(50)은, 상기 시편 안착수단(30) 상에 제공된 구동원(52) 및, 상기 구동원의 하측에 연계되고, 상기 접합시편(2)의 단위 시편(2a)(2b) 사이에 진입되면서 단위 접합시편(2a)(2b)들을 서로 강제로 분리토록 제공되는 시편 분리편(54) 즉, 전면에서 볼때 역삼삭형태로 하단은 날카로운 나이프 형태의 시편 분리편(54)을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구동원(52)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56a)에 높이를 갖고 설치된 구동원 박스체(56)에 내장되는 수직 작동 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 작동 실린더의 구동원(52)은 도 1과 같이 장치 제어부(C)(실제 구체적으로는 장치 제어부(C)와 연계된 공압유닛(미도시))와 연계되어 그 작동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작동 실린더의 구동원(52)은 공압 실린더로 제공되면서 그 하강 작동을 조정하여 시편 분리편(54)의 하강속도와 하강 스트로크를 조정하여 접합시편(2)의 단위 시편(2a)(2b)들은 적정하게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시편 분리편(54)은 다음에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하나 이상이 연결수단(60)을 매개로 상기 구동원과 연결 제공되되 하단은 시편 사이의 진입을 용이토록 나이프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도 3a 내지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 접합시편이 앞에서 설명한 시편 안착수단(30)의 시편 안착블록(32)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박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시편 분리수단의 구동원인 수직 작동 실린더를 가동시키어 하강시키면, 시편 분리편(54)의 하단부의 나이프 부분이 접합시편의 단위 시편 사이에 점진적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시편 분리편의 두께에 의하여 접합시편(2)의 점용접(w)된 단위 시편(2a)(2b)들은 시편 안착블록을 밀면서 강제 분리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장치에서 접합시편의 형상에 따라 시편 분리편(54)의 설치수가 적정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한 시편 분리수단(50)의 구동원(52)과 연계되는 시편 분리편(54)을 연결수단(60)을 통하여 쉽게 교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접합시편이 판 형상이면 2개의 시편 분리편(54)을 구동원(52)과 연결수단(60)을 매개로 연결시키고, 도 4b와 같이 십자형상의 접합시편(2)인 경우에는 시편 분리편이 단위 시편들의 접촉면적에 대응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시편 분리편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60)은, 구동원인 수직 작동 실린더의 로드(52a)에 수평하게 레일블록(62)을 고정하고, 상기 레일블록(62)의 내측 레임홈부(미부호)에 시편 분리편(54)의 상단에 구비된 체결봉(54a)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블록(64)을 삽입시키어 조립하고, 스톱핑 볼트(66)로 이동블록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시편 분리편(54)의 설치수는 연결수단(60)의 레일블록과 이동블록의 조립 및 분해를 통하여 쉽게 조정할 수 있게 하고, 물론 시편 분리편(54)의 하단부의 마모로 인하여 시편 분리편의 교체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물론, 시편 분리편(54)의 체결봉(54a)이 조립되는 나사구멍을 레일블록의 하부에 적정한 패턴으로 형성시키면 사실상 이동블록 없이도 시편 분리편의 교체도 가능하다.
다만, 이동블록의 경우 미리 시편 분리편의 조립이 완성된 세트 부품으로 준비하고 있다가, 접합 시편의 형태에 따라 더 쉽게 레일블록에 조립하면 되기 때문에, 더 편리한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 프레임(10)의 베이스 프레임(12)의 중앙에는 시편 분리편 수용부(18)인 오목한 공간을 형성시키면, 도 3c와 같이, 시편 분리수단(50)의 시편 분리편(54)이 최대로 하강하여 접합시편의 단위 시편들을 강제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시편 분리편의 하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인입되도록 할 것이다.
다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합시편(2)의 단위 시편(2a) (2b)이 시편 안착블록에 안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상단부에는 시편 분리편(54)의 하단부 나이프부분(날카로운 부분)이 쉽게 안내되면서 진입(인입)되도록 하는 라운딩 면(2c)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이와 같은 도 6의 라운딩 면의 경우 시편 초기 제작시 간단한 그라인딩이나 타격 등을 통하여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접합시편 처리장치 2.... 접합시편
2a,2b.... 단위 시편 10.... 장치 프레임
12.... 베이스 프레임 14.... 상부 프레임
16....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블록 30.... 시편 안착수단
32.... 시편 안착블록 34.... 탄성체
36.... 가이드봉 50.... 시편 분리수단
52.... 구동원 54.... 시편 분리편
60.... 연결수단 62.... 레일블록
64.... 이동블록

Claims (9)

  1. 장치 프레임(10);과, 상기 장치 프레임(10)에 접합시편(2)이 안착 지지토록 제공된 시편 안착수단(30); 및, 상기 시편 안착수단의 상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상기 접합 시편(2)을 분리 가능토록 제공된 시편 분리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시편 안착수단(30)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비된 상부 프레임(14)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접합시편(2)이 사이에 탄력적으로 안착 지지되는 시편 안착블록(32)들을 포함하되, 상기 시편 안착블록(32)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4)을 관통하면서 탄성체(34)가 체결되는 탈,장착 가능한 가이드봉(36)이 연결되어 시편의 탄력 지지를 가능토록 구성된 접합 시편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10)은, 베이스 프레임(12);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2)상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상기 시편 안착수단(30)이 내측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시편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2)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블록(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자력을 매개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시편 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안착블록(32)에는, 시편이 안착 지지되는 시편 지지부(32a)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편 지지부는 접합시편(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시편 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분리수단(50)은, 상기 시편 안착수단 상에 제공된 구동원(52); 및,
    상기 구동원의 하측에 연계되고, 상기 접합시편(2) 사이에 진입되면서 단위 시편(2a)(2b)들을 서로 분리토록 제공된 시편 분리편(5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시편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52)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에 수직 설치된 구동원 박스체(56)에 내장되는 수직 작동 실린더로 제공되고,
    상기 시편 분리편(54)은 하나 이상이 연결수단(60)을 매개로 상기 구동원과 연결 제공되되 하단은 시편 사이의 진입을 용이토록 나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시편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0)은, 상기 구동원인 실린더의 로드(52a)에 수평 고정되는 레일블록(62); 및,
    상기 레일블록(62)에 삽입되되 하부에 상기 시편 분리편(54)의 상단에 구비된 체결봉(54a)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블록(64);
    을 포함하여 접합시편의 형태에 대응하여 시편 분리편의 탈,장착을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시편 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시편(2)은, 판 형상 또는 십자형상으로 한쌍의 단위 시편(2a)(2b)이 용접되어 제공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10)에는 시편 분리편의 하강시 인입되는 시편 분리편 수용부(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시편 처리장치.
KR1020110066329A 2011-07-05 2011-07-05 접합 시편 처리장치 KR10125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329A KR101253914B1 (ko) 2011-07-05 2011-07-05 접합 시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329A KR101253914B1 (ko) 2011-07-05 2011-07-05 접합 시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26A KR20130005026A (ko) 2013-01-15
KR101253914B1 true KR101253914B1 (ko) 2013-04-16

Family

ID=4783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329A KR101253914B1 (ko) 2011-07-05 2011-07-05 접합 시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420B1 (ko) * 2013-04-24 2015-02-24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 시편 회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72Y2 (ja) 1988-10-28 1994-05-11 科学技術庁金属材料技術研究所長 迅速被削性試験装置
KR19980040403U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스폿 용접 강도 평가용 지그
KR20080051473A (ko) * 2006-12-05 2008-06-11 주식회사 포스코 접합 소재의 고속 인장시험 장치
KR20110061742A (ko) * 2009-12-02 2011-06-10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72Y2 (ja) 1988-10-28 1994-05-11 科学技術庁金属材料技術研究所長 迅速被削性試験装置
KR19980040403U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스폿 용접 강도 평가용 지그
KR20080051473A (ko) * 2006-12-05 2008-06-11 주식회사 포스코 접합 소재의 고속 인장시험 장치
KR20110061742A (ko) * 2009-12-02 2011-06-10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26A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747B1 (ko) 항공부품의 측정용 용접시편을 정밀 길이 및 위치를 동시 제어하는 지그 장치
JP4812523B2 (ja) 動特性検査装置
KR101121885B1 (ko) 굽힘 강도 시험용 가압 기구
JP4622923B2 (ja) せん断測定機
KR100940654B1 (ko) 시험편의 용접특성 측정장치
CN106965056B (zh) 一种桌面级自动金相磨床
KR101777767B1 (ko) 차체 프레임 co2 용접 검사장치
KR102572027B1 (ko) 용접시편의 높낮이 조절 및 간격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지그장치
KR101857613B1 (ko)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용 프레임 제작 지그장치
KR101253914B1 (ko) 접합 시편 처리장치
CN111537347B (zh) 疲劳损伤检测装置
DE102011104226A1 (de) Ausrichtwerkzeug zum Ersetzen eines Ultraschallschweißhorns
KR100940700B1 (ko) 접합소재 시험용 그립장치
KR101277941B1 (ko) 시편 처리장치
CN210665017U (zh) 一种桥梁伸缩缝检测装置
KR20140044588A (ko) 고무재료의 피로 및 피로균열진전 시험장치
JP4219095B2 (ja) 圧縮・剪断試験方法及びその試験装置
KR100878650B1 (ko) 접합 소재의 고속 인장시험 장치
KR100722133B1 (ko) 용접접합도 평가를 위한 용접부 분리장치
CN113533049A (zh) 一种材料性能检测设备及使用方法及测试方法
KR20100008974A (ko)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CN109142039A (zh) 新型拉压力测试装置
KR20110100099A (ko)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20150084173A (ko) 용접 시험편 절단 및 굴곡 복합 장치
KR100940653B1 (ko) 시험편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