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975B1 -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975B1
KR101252975B1 KR1020110064414A KR20110064414A KR101252975B1 KR 101252975 B1 KR101252975 B1 KR 101252975B1 KR 1020110064414 A KR1020110064414 A KR 1020110064414A KR 20110064414 A KR20110064414 A KR 20110064414A KR 101252975 B1 KR101252975 B1 KR 10125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external current
unit cell
fuel cell
voltage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234A (ko
Inventor
서준원
김잔디
권영선
권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975B1/ko
Priority to US13/340,527 priority patent/US9190672B2/en
Publication of KR2013000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2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Grouping of unit cells of tubular or cylindrica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tub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는 다음과 같은 단위 셀, 내부 집전체 및 외부 집전체를 포함한다.
단위 셀은 복수의 튜브형으로 구비되며, 중심축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제1전극층, 전해질층 및 제2전극층을 구비한다. 내부 집전체는 상기 단위 셀 각각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외부 집전체는 상기 단위 셀 각각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전기적 병렬 연결을 위하여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전압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집전체에서의 전자 전달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집전체 자체에 의한 전압강하량이 줄어들게 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집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전구조를 구비한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튜브형과 평판형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이들 중 튜브형은 평판형에 비하여 스택 자체의 전력밀도는 다소 떨어지나 시스템 전체의 전력밀도는 비슷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튜브형은 스택을 구성하는 단위 셀 들의 밀봉이 용이하고, 열 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동시에 스택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 많이 사용된다. 최근 이에 대한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튜브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공기극을 지지체로 사용하는 공기극 지지체식 연료전지와 연료극을 지지체로 사용하는 연료극 지지체식 연료전지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최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연료극 지지체식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 개발되고 있다. 집전체로는 은(Ag) 등으로 형성된 와이어로 공기극을 감아서 집전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단위 셀 전압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동시에 집전체 자체의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일부 집전체가 단선되는 경우에도 집전이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는 다음과 같은 단위 셀, 내부 집전체 및 외부 집전체를 포함한다.
단위 셀은 복수의 튜브형으로 구비되며,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제1전극층, 전해질층 및 제2전극층을 구비한다. 내부 집전체는 상기 단위 셀 각각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외부 집전체는 상기 단위 셀 각각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타 단위셀에 구비된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는 단일의 타 단위 셀에 둘 이상의 전기적 패스(path)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 집전체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집전체는 양 단부에 연결부가 형성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부 집전체는 니켈(Ni), 은(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집전체는 연결부 간의 거리가 20cm 내지 100c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집전체는 중앙부에 추가적인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부 집전체는 니켈(Ni)을 포함하는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외부 집전체가 구비되는 단위 셀의 길이는 20cm 내지 100cm일 수 있다.
상기의 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상기 내부 집전체의 양 단부에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전압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집전체에서의 전자 전달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집전체 자체에 의한 전압강하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전체 일부 구간이 단선된 경우라 할지라도 다른 경로를 통하여 전자가 전달될 수 있어 계속적인 집전이 가능하다.
도 1은 외부 집전체에 단일 연결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튜브형 단위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단방향 연료극형 단위 셀과 양방향 연료극형 단위 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외부 집전체의 연결부 수가 1인 경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외부 집전체의 연결부 수가 2인 경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외부 집전체의 연결부 수가 3인 경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30cm 길이 단위 셀의 내부 집전체와 외부 집전체의 연결부 수에 따른 전압강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는 단방향 연료극형 단위 셀의 길이와 Ag 성분의 외부 집전체의 연결부 수에 따른 전압강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단방향 연료극형 단위 셀의 길이와 Ag 성분의 외부 집전체의 연결부 수에 따른 전압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는 단방향 연료극형 단위 셀의 길이와 Ni 성분의 외부 집전체의 연결부 수에 따른 전압강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는 단방향 연료극형 단위 셀의 길이와 Ni 성분의 외부 집전체의 연결부 수에 따른 전압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이하에서 '튜브형 단위 셀'이라 함은 횡단면의 모양과 관련 없이 중공의 파이프형으로 형성된 단위 셀을 의미한다. 즉 튜브형 단위 셀은 중심축에 대한 수직방향의 단면적 모양이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연료전지는 연료를 개질하여 공급하는 연료변환기(개질기 및 반응기)와 연료전지 모듈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료전지 모듈은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한 어셈블리(Assembly)를 말한다. 즉 연료전지 모듈은 연료전지 스택, 배관 시스템, 배선 등을 포함한다. 스택은 단위 셀의 집합으로서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부분을 의미한다. 배관 시스템은 연료, 산화물, 냉각수, 배출물 등이 이동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배선은 스택에 의해 생산된 전기가 이동하는 전기적인 이동 통로를 의미한다. 이외에도 연료전지 모듈은 스택의 제어 혹은 모니터링을 위한 부분과 스택의 이상(Abnormal) 상태 발생시 조치를 위한 부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3가지의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이하 각 비교실험에 대하여 각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 중에서도 단위 셀에서 산화반응에 의하여 발생한 전자를 외부도선과 연결하여 전달하는 부분인 집전체와 단위 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비교 실험 1>
비교 실험 1은 양방향(bidirectional) 내부 집전체가 구비된 연료극(anode) 지지체식 단위 셀에 관한 실험이다. 이하에서 본 실험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비교예 1의 단위 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하나의 연결부(221)가 형성된 비교예 1에 대한 것이고, 도 2는 튜브형 단위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비교예 1은 단위 셀(100), 제1 외부집전체(210), 제2 외부집전체(220) 및 연결부(221)로 구성되어 있다.
단위 셀(100)은 연료변환기(미도시)로부터 개질된 연료를 공급받아 산화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구성이다. 단위 셀(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튜브형 연료전지는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료극(130), 전해질층(120) 및 공기극(110)이 적층되어 있다. 단위 셀(100)은 목적에 따라 연료극 지지체식이나 공기극 지지체식으로 형성된다. 본 비교예 1에서는 연료극 지지체식, 내부에 연료극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다만 이는 설명 및 실험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연료극 지지체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기극은 LaMnO3계나 LaCoO3계와 같이 높은 이온전도도와 전자 전도도를 갖고 산화분위기에서 안정적이며 후술하는 전해질층과의 화학반응이 없는 순수 전자전도체나 혼합전도체로 제작된다. 전해질층은 공기극 측에서 발생된 산소이온 및 후술하는 연료극 측에서 발생된 수소이온의 이동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해질층은 기체가 투과하지 못할 정도의 치밀도를 갖는 세라믹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료극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YSZ와 같은 세라믹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가격이 저렴하고 고온의 환원분위기에서 안정적인 NiO-8YSZ 나 Ni-8YSZ와 같은 금속세라믹 복합체(cermet)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집전체(1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극(130)의 내부에 구비된다. 내부집전체(142)는 연료극(130) 내부에서 집전한다. 한편, 내부집전체(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의 수에 따라 단방향 연료극(unidirectional anode) 및 양방향 연료극(bidirectional anode)으로 구분된다. 단방향 연료극은 단위 셀(100)의 연료극(130)의 일단에만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양방향 연료극은 연료극(130)의 양단에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연료극(130)과 내부집전체(142) 사이에 펠트층(14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펠트층(141)은 다공성 부재로 형성되어 연료를 통과 시키고 집전체로서 기능하여 집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공성 금속 펠트층(141)은 집전 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니켈(Ni)을 다량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집전체(142) 내측에는 필요에 따라 지지관(14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관(143)은 SUS 강 등으로 형성되어 단위 셀(100)의 전체 구조를 지지하고, 개질 연료의 유로를 형성하며, 내부집전체(142)를 상술한 연료극(130)이나 펠트층(141)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를 참조하여 외부집전체(210, 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집전체(210, 220)는 단위 셀(1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집전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집전체(210, 22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집전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비교예 1에서는 제1 외부집전체(210)와 제2 외부집전체(220) 두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된다. 다만 본 비교예 1은 설명 및 실험의 편의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집전체의 형상 및 개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외부집전체(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셀(10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제2 외부집전체(220)에는 인접하는 단위 셀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21)가 형성된다. 비교예 1에서는 일단에 두 개의 연결부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두 단위 셀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외부집전체(210)는 제2 외부집전체(220)의 외부를 감싸며 단위 셀(100)의 외주면을 따라 감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내부집전체(142; 도 2참조)와 외부집전체(210, 220)는 니켈(Ni) 또는 은(Ag) 성분의 와이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비교예 1의 단위 셀간 연결방식을 설명한다. 비교예 1의 경우 인접하는 두 단위 셀(100)은 하나의 연결부(221)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렇게 복수의 단위 셀이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집전체에 의한 전압 강하량(voltage drop)을 측정하였다.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 1-a를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1-a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1-a은 제2 외부집전체(220a)에 두 개의 연결부(221a)가 형성된다는 면에서 상술한 비교예 1과 차이가 있다. 연결부(221a)는 단위 셀(100)의 양단에 형성된다.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a과 비교예 1 모두 공통된다.
실시예 1-a의 경우 인접하는 두 단위 셀(100) 간은 단위 셀(100) 양단에 구비된 두 연결부(221a)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렇게 복수의 단위 셀이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집전체에 의한 전압 강하량을 측정하였다.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 2-a를 설명한다. 도 6는 실시예 2-a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2-a은 제2 외부집전체(220b)에 세 개의 연결부(221b)가 형성된다는 면에서 비교예 1과 차이가 있다. 연결부(221b)는 단위 셀(100)의 양단과 중앙에 형성된다.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a와 비교예 1 모두 공통된다. 한편, 이 때 각 연결부(221b) 간의 거리는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연결부(221b) 간의 거리가 일정한 경우 실시예 2-a 또는 복수의 연결부가 구비된 단위 셀의 출력을 예측하기가 쉽고, 전체 스택의 출력을 설계하는 면에서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2-a의 경우 인접하는 두 단위 셀(100)은 단위 셀(100)의 양단 및 중앙에 구비된 세 연결부(221b)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렇게 복수의 단위 셀이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집전체에 의한 전압 강하량을 측정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위 셀(100)간의 연결부 수에 따라 비교예 1, 실시예 1-a 및 실시예 2-a로 구분하고 전압강하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표로 나타냈다. 표에 기재된 숫자의 단위는 마이크로 볼트(μV)이고, 비고란의 수는 비교예 1와 실시예 1-a와의 전압강하량의 차이를 의미한다. 한편 본 비교실험 1에서의 비교예 1, 실시예 1-a 및 실시예 2-a의 단위 셀 길이는 각각 30cm로 하였다.
도 7에 따르면 양방향 연료극식(Bidir.) 단위 셀의 경우 연결부의 수가 1인 비교예 1의 전압강하량이 3.821 μV, 연결부의 수가 2인 실시예 1-a의 전압강하량은 1.978 μV, 연결부의 수가 3인 실시예 2-a의 경우 전압강하량은 1.974 μV였다. 측정 결과 인접하는 단위 셀 간의 결선 수, 즉 연결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전압강하량이 줄어들었다.
특히 단위 셀 양단 쪽에 연결부가 형성된 실시예 1-a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급격한 전압강하량의 감소가 이루어 졌다. 비교예 1과 실시예 2-a와의 전압강하량 차이는 약 48%에 이르렀다. 이는 집전된 전자가 이동하는 최장 거리가 비교예 1이 제일 길기 때문에 전압 강하량이 가장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1-a과 실시에 2-a의 경우에는 집전된 전자가 이동하는 최장 거리가 각각 2분의 1과 4분의 1로 줄어들게 되어 그 만큼 저항이 감소함으로써 전압강하량이 줄어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 외부 집전체의 일부에서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실시예 1-a 또는 실시예 2-a 방식의 연료전지는 약간의 전압강하량만 증가할 뿐 집전 기능이 유지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a의 경우에는 어느 한 연결부에서 기계적 노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도 최소화된 전압강하량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비교실험 2>
다음으로 연료극의 일단에 연결부가 형성된 단방향 연료극식(unidirectional anode) 단위 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외의 구성은 비교실험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위 셀의 길이 또한 30cm로 비교실험 1과 동일하다. 실험은 비교실험 1과 같이 공기극에 형성된 결선 수, 즉 연결부의 수에 따라 비교예 2, 실시예 1-b 및 실시예 2-b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했다.. 한편, 비교실험 결과를 도 7에 비교실험 1의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였다.
도 7에 따르면 단방향 연료극식(Unidir.) 단위 셀의 경우 연결수가 1인 비교예 2의 전압강하량이 23.36 μV, 연결수가 2인 실시예 1-b의 전압강하량은 12.54 μV, 연결수가 3인 실시예 2-b의 경우 전압강하량은 12.53 μV였다. 측정 결과 비교실험 1과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단위 셀 간의 결선 수, 즉 연결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전압강하량이 줄어들었다. 비교예 2와 실시예 2-b간의 전압강하량 차이는 약 46%에 이르렀다.
다만 양방향 연료극식에 비하여 절대적인 전압강하량이 6배정도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연료극식 단위 셀을 이용하는 것이 전압강하량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 3>
다음으로 단위 셀의 길이를 달리하여 비교실험 2의 테스트를 반복하였다. 즉, 단방향 연료극식 단위 셀의 길이를 15cm, 20cm, 30cm, 50cm, 100cm 및 120cm로 나누고 공기극에 구비된 연결부 수와 외부 집전체의 재질에 따라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Ag 와이어로 형성된 외부 집전체를 이용하여 진행한 실험군에서 연결부 수가 1인 경우를 비교예 2, 연결부 수가 2인 경우를 실시예 1-b, 연결부 수가 3인 경우를 실시예 2-b라 하였으며, Ni 와이어로 형성된 외부 집전체를 이용하여 진행한 실험군에서 연결부 수가 1인 경우를 비교예 3, 연결부 수가 2인 경우를 실시예 1-c, 연결부 수가 3인 경우를 실시예 2-c라 하였다. 각 테스트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이 때 외부 집전체는 Ag 와이어로 구성한 경우의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으며, 외부 집전체를 Ni 와이어로 구성한 경우의 결과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압강하를 나타내는 각 숫자의 단위는 마이크로 볼트(μV)이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압강하량의 단위를 생략한다. 한편, 비고란의 각 수는 각 조건에서 연결부 수가 1인 경우(비교예 2, 3)와 연결부 수가 2인 경우(실시예 1-b, 실시예 1-c) 간의 전압 강하량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외부 집전체가 Ag와 Ni 성분을 갖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살펴보면, Ag 와이어를 사용하고 연결부간의 거리가 20cm인 경우 비교예 2는 7.64, 실시예 1-b은 3.96, 실시예 2-b는 3.95의 전압 강하량을 보여 주었다. 즉, 실시예 1-b의 경우 비교예 2와 비교하면 전압강하량 면에서 약 48%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다른 길이의 단위 셀의 경우에도 거의 동일한 데이터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실시예 1-b에서 단위 셀의 길이가 20cm 이하인 경우와 15cm인 경우를 비교하여 보면 전압강하량 차이는 불과 1.59에 불과하다. 즉, 단위 셀의 길이가 20cm 이하인 경우 전자의 이동거리가 매우 짧아지므로 전압강하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복수의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게 된다. 한편, 연결부간의 거리가 100cm 이상인 경우에는 전압강하량이 큰 폭으로 커지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간의 거리가 120cm 인 경우 길이는 100cm인 경우에 비하여 길이는 20cm (20%)증가했으나 전압강하는 약 2배까지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b의 경우에는 실시예 1-b과 대동 소이한 결과 데이터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전기전도도가 큰 Ag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의 반발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중앙의 연결부를 통한 집전량이 미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전기전도도가 높은 Ag와이어의 경우에는 실시예 2-b의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Ni 와이어를 사용한 경우 실시예 1-c은 비교예 3에 비하여 전압강하량이 약 36% 내지 39% 정도 감소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 1-c의 구성을 갖는 경우에도 단위 셀의 길이가 20cm 이하인 경우에는 다른 길이의 단위 셀의 경우에 비하여 절대적인 전압강하량이 작다. 반대로 100cm 이상인 경우에는 절대적인 전압강하량이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단위 셀의 길이가 100cm 에서 120cm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Ni 와이어로 인하여 전압강하는 318.43에서 573.17로 전압 강하량이 큰 폭으로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Ni이 Ag에 비하여 약 14% 수준의 전기전도도를 갖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c의 경우에는 Ag 와이어를 사용한 경우와 달리 실시예 1-c과의 전압강하량 차이가 있었다. 비록 실시예 1-c과 비교예 3의 전압강하량 차이만큼은 아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선의 경우에도 단위 셀이 큰 성능의 하락 없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미있는 수치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a, 1-b 및 1-c의 경우 Ag 와이어나 Ni 와이어를 외부 집전체로 이용한 경우 모두 전압 강하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절대적인 전압 강하량의 면에서의 단위 셀의 길이는 20cm 내지 100cm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였다. 또한 Ag 와이어로 외부 집전체가 형성되고, 연결부 수가 3인 경우에 연결부 수가 2인 경우에 비하여 전압강하량의 감소가 크지 않았으나 단위 셀 운전 시 고온 분위기에서 단선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전압 강하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상태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Ni 와이어로 외부 집전체를 형성한 경우에는 연결부 수가 3인 경우 연결부 수가 1인 경우 뿐 아니라 연결부 수가 2인 경우에 비하여도 의미있는 전압 강하량의 감소가 있었으며, 단위 셀 운전시 단선 등의 경우에도 Ag와이어와 동일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연료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100: 단위 셀 210: 제1 외부집전체
220, 220a, 220b: 제2 외부집전체
221, 221a, 221b: 연결부

Claims (9)

  1.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제1전극층, 전해질층 및 제2전극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튜브형 단위 셀;
    상기 단위 셀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집전체; 및
    상기 단위 셀 각각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부 집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집전체에는 각 단위셀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각 단위셀 간에 둘 이상의 전기적 패스(path)를 형성하는 연료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집전체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연료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위 셀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연료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집전체는 니켈(Ni), 은(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연료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집전체는 연결부 간의 거리가 20cm 내지 100cm인 연료전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집전체는 중앙에 추가적인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집전체는 니켈(Ni)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연료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집전체가 구비되는 단위 셀의 길이는 20cm 내지 100cm인 연료전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집전체는 양 단부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연료전지.
KR1020110064414A 2011-06-30 2011-06-30 연료전지 KR10125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414A KR101252975B1 (ko) 2011-06-30 2011-06-30 연료전지
US13/340,527 US9190672B2 (en) 2011-06-30 2011-12-29 Tubular solid oxide fuel cell including external current collector with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414A KR101252975B1 (ko) 2011-06-30 2011-06-30 연료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34A KR20130003234A (ko) 2013-01-09
KR101252975B1 true KR101252975B1 (ko) 2013-04-15

Family

ID=4739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414A KR101252975B1 (ko) 2011-06-30 2011-06-30 연료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90672B2 (ko)
KR (1) KR101252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4352C1 (ru) 2020-12-30 2021-09-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ТОПАЗ" (ООО "НИЦ "ТОПАЗ") Трубчатый тотэ с катодным токовым коллектором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катодного топлив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0561A (ja) * 2006-11-30 2008-06-1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666B2 (ja) * 1989-07-28 1998-08-27 日本碍子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装置
US8343689B2 (en) * 2003-11-17 2013-01-01 Adaptive Materials, Inc. Solid oxide fuel cell with improved current collection
KR20060102667A (ko) 2005-03-24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EP1911116A1 (en) * 2005-04-15 2008-04-16 Acumentrics Corporation Current collection in anode supported tubular fuel cells
WO2007075366A2 (en) 2005-12-15 2007-07-05 Acumentrics Corporation Interconnection of bundled solid oxide fuel cells
KR20090010918A (ko) 2007-07-23 2009-01-30 (주)아이셀시스템즈코리아 복합적으로 상호연결된 축전지 및/또는 축전기 망
JP5196938B2 (ja) * 2007-09-28 2013-05-15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ルカリ蓄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0561A (ja) * 2006-11-30 2008-06-1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90672B2 (en) 2015-11-17
US20130004880A1 (en) 2013-01-03
KR20130003234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165B1 (ko) 연료전지 모듈
US8835072B2 (en) Solid oxide fuel cell stacks and fuel cell module having the same
KR101252975B1 (ko) 연료전지
KR20110030878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단위셀 및 스택
US2012005240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fuel cell utilizing a fuel cell sensor
US8697307B2 (en) Solid oxide fuel cell stack
JP2013140766A (ja) 円筒型固体酸化物燃料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15400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JP6973759B1 (ja) チューブタイプsofc
JP2007134180A (ja) 燃料電池
US8802322B2 (en) Interconnect-type solid oxide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having the same
KR20130052920A (ko) 연료전지
WO2007148679A1 (ja) チューブ型燃料電池
KR20130039513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15276A1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KR20130063301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
US8841044B2 (en) Solid oxide fuel cell
KR101301396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집전 방법
US20120237852A1 (en) Solid oxide fue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