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418B1 -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건조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2418B1 KR101252418B1 KR1020120096888A KR20120096888A KR101252418B1 KR 101252418 B1 KR101252418 B1 KR 101252418B1 KR 1020120096888 A KR1020120096888 A KR 1020120096888A KR 20120096888 A KR20120096888 A KR 20120096888A KR 101252418 B1 KR101252418 B1 KR 1012524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supporting
- support
- support frames
- laund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 양측으로부터 상하 다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호 마주보는 지지 프레임 각각을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피벗(pivot) 유닛이 회동시키고, 상기 상호 마주보는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거치봉 각각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거치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복수로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빨래를 파지하는 집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봉은 상기 집게 유닛의 회전을 방지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한 구조로부터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빨래를 효율적으로 거치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빨래를 효율적으로 거치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철식 빨래 건조대는 펼쳐진 상태에서 빨래를 걸이대에 널어 건조시키고 사용 후에는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로서, 고층건물의 베란다나 다용도실 등과 같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많은 양의 빨래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고자 할 경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빨래건조대는 그 형태에 따라 Y형 프레임파이프와 다수의 걸이파이프로 이루어지는 Y형의 것이라든지 T형 프레임파이프와 다수의 걸이파이프로 이루어지는 T형의 것 등이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Y형 빨래건조대이건 T형 빨래건조대이건 사용할 때는 프레임파이프 및 걸이파이프를 펼쳐서 많은 양의 빨래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프레임파이프 및 걸이파이프를 작은 부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빨래건조대는 단순히 걸이대가 절첩되도록 하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시킨 후 빨래를 널기 힘들 뿐 아니라, 바지나 원피스 등과 같이 상하로 길이가 긴 빨래의 경우는 제대로 펼쳐서 널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기존의 빨래건조대는 걸이대에 널려진 빨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일일이 세탁집게를 물려서 고정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바, 빨래의 건조가 완료되면, 이를 일일이 거둬들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빨래를 효율적으로 거치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대; 상기 지지대 양측으로부터 상하 다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호 마주보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각각을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피벗(pivot) 유닛; 상기 상호 마주보는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거치봉; 및 상기 거치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이동 몸체에 제1, 2 파지편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2 파지편 각각의 단부와 경사지게 결합되는 고정편에 일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형상 변형되면서 상기 제1, 2 파지편이 상호 접촉되어 빨래를 파지하는 집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봉은 상기 집게 유닛의 회전을 방지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벗 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각각 연장되는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접촉하며 회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각각 연장되는 외측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내, 외측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조절 어셈블리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내, 외측 플레이트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고, 상호 신축 가능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치봉은 다각 기둥 형상 또는 반원, 또는 타원, 또는 그 들의 여러 조합으로 된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 어셈블리는,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의 접촉면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의 접촉홈과,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접촉면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의 접촉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어셈블리는, 상기 내, 외측 플레이트가 상호 접촉하는 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톱니를 포함하며, 상기 톱니는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편의 일단부는 상기 제1, 2 파지편 각각의 단부와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의 타단부는 상호 연결되어 절곡된 교차부를 형성하며, 상기 교차부에 상기 이동 몸체측을 향하여 힘이 가해지면 형상 변형하면서 상기 제1, 2 파지편을 상호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높낮이 조절 가능한 승강 몸체와, 상기 승강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이편과, 상기 걸이편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 이탈 방지편을 포함하는 건조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피벗 어셈블리가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지지대에 대하여 회동시키되, 사용자가 목적하는 특정한 각도만큼 회동시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빨래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봉에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작된 거치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집게 유닛을 구비한 구조로부터 빨래를 파지하여 널 때에도 집게 유닛이 거치봉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으므로, 빨래의 정확한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거치 방법에 따라 인접한 빨래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빨래 각각의 원활한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지지대와 지지 프레임에 별도의 집게 또는 걸이구 등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길이를 가진 빨래를 한정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거치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남녀노소 누구라도 숙련도에 관계없이 직관적으로 작동 방법을 파악하여 사용하기 쉬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 유닛, 특히 원터치 방식으로 형상 변형 및 복원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빨래를 클램핑하는 구조로부터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빨래 건조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C 부분 확대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C 부분 확대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도 1의 B 부분 확대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빨래 건조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C 부분 확대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C 부분 확대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도 1의 B 부분 확대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빨래 건조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 100)와, 지지대(100, 100)에 상하 다단으로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과, 피벗(pivot) 유닛(300)과, 거치봉(400), 그리고 집게 유닛(5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지대(100, 100)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부재로 후술할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 및 피벗 유닛(30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 프레임은 지지대(100, 100) 양측으로부터 상하 다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호 마주보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이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
제1 지지 프레임(210, 210)은 한 쌍의 지지대(100, 100) 각각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마주보는 것으로, 후술할 거치봉(400)의 배치 공간을 제공한다.
제2 지지 프레임(220, 220)은 제1 지지 프레임(210, 210)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지지대(100, 1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높낮이 조절 가능하며, 한 쌍의 지지대(100, 100) 각각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마주보는 것으로, 후술할 거치봉(400)의 배치 공간을 제공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100, 100)가 한 쌍씩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은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의 상하 2단으로 배치된 구조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단부에 고정된 제1 지지 프레임(210, 210)에 대하여 제2 지지 프레임(220, 220)만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지지 프레임(210, 210) 또한 지지대(100, 1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지대(100, 100)는 거치되는 빨래의 분량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대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 면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복수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 또한 빨래의 분량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대가 설치되는 공간의 상하 크기에 따라 지지대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복수, 예를 들면 세 개 이상의 다단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피벗 유닛(300)은 지지대(100, 100)에 장착되고,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지지대(100, 100)에 대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회동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경사도를 조절한 후 경사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거치봉(400)은 상호 마주보는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부재로, 빨래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집게 유닛(500)은 거치봉(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복수로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빨래를 파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거치봉(400)은 집게 유닛(500)의 회전을 방지하는 단면 형상, 예를 들면 사각 기둥이나 삼각 기둥 등과 같은 다각 기둥 형상이나 반원 기둥 ,또는 타원형이나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된 형상과 같은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게 유닛(500)은 거치봉(400)에 결합되어도 거치봉(400)의 외면에 대하여 헛도는 일이 없으며, 거치봉(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절히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폭을 지닌 빨래들을 확실하게 고정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은 지지대(100, 100)에 대하여 피벗 유닛(300)에 의하여 도 1과 같이 실선으로 표시된 제1 지지 프레임(210, 210)과 제2 지지 프레임(220, 220)의 상측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 이해의 편의상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동작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은 실선으로 표시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각각 X축으로 하였을 때, 상, 하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도 있으며, 회전한 각도를 후술할 피벗 유닛(300)에 의하여 유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은 지지대(100, 100)를 Y축으로 하였을 때, 도 1의 좌측에 배치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20)에 대하여 도 1의 우측에 배치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20)이 지지대(100, 100)를 넘어서 도 1의 좌측에 배치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20)측까지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도 1의 우측에 배치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20)이 지지대(100, 100)를 넘어서 도 1의 좌측에 배치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20)측으로 회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지지대(100, 100)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측으로 왔다 갔다 왕복하면서 일일이 많은 빨래를 널고 고정하는 번거로움을 덜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지지대(100, 100)를 기준으로 도 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서서 도 1의 좌측 또는 우측의 제1, 2 지지 프레임(210, 220)을 한 쪽으로 전부 회전시킨 다음 빨래를 널어 원위치시키면 편리하게 빨래들의 거치 및 건조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피벗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지지대(100, 100)에 대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회동시키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내, 외측 플레이트(310, 320) 사이에 조절 어셈블리(330)와 실린더(340) 및 스프링(350)이 장착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제1 지지 프레임(210, 210)의 상호 연결 부위에 장착된 피벗 유닛(300)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지지 프레임(210, 210)의 하부측에 배치된 제2 지지 프레임(220, 220)의 상호 연결 부위에 장착된 피벗 유닛(300) 또한 동일한 구조임을 참고하면 될 것이며, 후술할 도 5 및 도 6의 구조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키로 한다.
우선, 내측 플레이트(310)는 한 쌍의 지지대(100, 100) 중 일측 지지대(100)에 결합되고, 제1 지지 프레임(210)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외측 플레이트(320)는 내측 플레이트(310)와 접촉하며 회전하고, 제1 지지 프레임(210)이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조절 어셈블리(330)는 내측 플레이트(310)와 외측 플레이트(320)가 접촉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내, 외측 플레이트(320)의 회전에 따라 제1 지지 프레임(210, 210) 상호 간의 경사각도 조절(도 1의 점선 및 화살표 방향 참고)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실린더(340)는 내측 플레이트(310)와 외측 플레이트(320)로부터 돌출되고, 내, 외측 플레이트(320)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고, 상호 신축 가능한 것으로, 내, 외측 플레이트(3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별도의 회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340)가 내, 외측 플레이트(320)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면, 후술할 스프링(350)이 꼬여서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린더(3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310)로부터 돌출되는 실린더 본체(341)에 대하여 외측 플레이트(320)로부터 돌출되어 실린더 본체(341)에 삽입되어 출입 가능한 로드(342)를 포함하되, 실린더 본체(341)와 로드(342)에는 각각 내, 외측 플레이트(310, 32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 플랜지(343, 34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린더 본체(341)의 플랜지(343)는 내측 플레이트(310)의 내측에 마련된 단턱부(313)에 가장자리가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고, 로드(342)의 플랜지(344)는 외측 플레이트(320)의 내측에 마련된 단턱부(324)에 가장자리가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341)와 로드(342)는 도시된 구조의 역, 즉 실린더 본체(341)를 외측 플레이트(320)에 구비토록 하고, 로드(342)를 내측 플레이트(310)에 구비토록 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스프링(350)은 실린더(340)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실린더(34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지지 프레임(210, 210) 상호간의 경사도를 변경코자 할 때 외측 플레이트(320)를 도 3의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절 어셈블리(33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므로, 제1 지지 프레임(210, 210) 상호간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에서 외측 플레이트(320)를 당긴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350)은 탄성 반발력으로 수축하면서 외측 플레이트(320)를 내측 플레이트(310)에 밀착시키게 되고, 실린더(340)는 스프링(350)의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내, 외측 플레이트(310, 320) 상호간의 어긋남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조절 어셈블리(330)는 반구 형상의 접촉홈(331)과 접촉 돌기(332)를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촉홈(331)은 외측 플레이트(320)와 접촉하는 내측 플레이트(310)의 접촉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함몰된 반구 형상의 것이며, 접촉 돌기(332)는 내측 플레이트(310)와 접촉하는 외측 플레이트(320)의 접촉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것이다.
이때, 접촉홈(331)은 도시된 것과 역으로, 즉 외측 플레이트(320)의 접촉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접촉 돌기(332)는 내측 플레이트(310)의 접촉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정도의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접촉홈(331) 및 접촉 돌기(332)의 형상은 반구 형상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피벗 유닛(300)의 회전에 지장이 없을 정도라면 다양한 형상의 조합에 의한 변형 및 응용 설계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조절 어셈블리(33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래칫의 원리를 채용한 톱니(333, 333') 구조를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톱니(333, 333')는 내, 외측 플레이트(320)가 상호 접촉하는 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측 플레이트(320)를 도 5의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내측 플레이트(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절 어셈블리(33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므로, 제1 지지 프레임(210, 210) 상호간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에서 외측 플레이트(320)를 당긴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350)은 탄성 반발력으로 수축하면서 외측 플레이트(320)의 톱니(333')를 내측 플레이트(310)의 톱니(333)에 밀착시키게 되고, 실린더(340)는 스프링(350)의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내, 외측 플레이트(310, 320) 상호간의 어긋남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벗 유닛(30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은 실시예로부터 임의의 각도로 지지대(100, 100)를 기준으로 하여, 즉 지지대(100, 100)를 Y축으로 하여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이 각각 0 내지 180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 또는 회전 정지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피벗 유닛(300)은 실제 빨래를 거치하고 건조할 때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지지대(100, 100)에 대하여 특정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피벗 유닛(300)은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지지대(100, 100)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는 상태, 즉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유지토록 하거나,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 각각을 X축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 각각이 전술한 X축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70도 내지 80도까지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70도 내지 80도까지 회전후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전술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X축에 대하여 70도 내지 80도의 각도는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사용자 자신측으로 당겨서 빨래를 널고 다시 펼쳐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지지대(100, 100)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는 상태로 하여 건조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각도 범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피벗 유닛(300)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특정 각도 범위의 회전 및 회전 상태 유지를 위하여 피벗 유닛(300)을 구성하는 내측 플레이트(310) 및 외측 플레이트(320)를 상호 관통하여 탈착 고정될 수 있는 고정핀과 같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70 내지 80도의 각도에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도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핀과 같은 회전 제한 용도의 부재는 특정 각도 범위 이상으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이 회전하여 상승하는 것은 허용하되 특정 각도 범위 이상으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이 회전하여 쳐지는 것은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피벗 유닛(30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보 모터와 컨트롤러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빨래를 널기 위하여 피벗 유닛(300)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서보 모터가 가동되면서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회전하여 상승시키고, 빨래의 거치가 완료되면 제1, 2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을 지지대(100, 100)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도록 회전하여 하강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 또한 가능하다.
한편, 집게 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의하여 형상 변형을 허용하면서 빨래를 파지하는 것으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고정편(540)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이동 몸체(530)에 구비된 제1, 2 파지편(510, 520)이 상호 접촉되면서 빨래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집게 유닛(500)은 남녀노소 숙련도에 관계없이 직관적으로 작동 방식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원터치 방식으로 형상 변형 및 복원을 허용하도록 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동 몸체(530)는 거치봉(400)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며, 제1 파지편(510)은 이동 몸체(5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파지편(520)은 이동 몸체(5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편(540)은 일단부가 제1, 2 파지편(510, 520) 각각의 단부와 경사지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절곡된 교차부(542)를 형성하며, 교차부(542)에 이동 몸체(530)측을 향하여 도 7과 같이 힘(F)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도 8과 같이 제1, 2 파지편(510, 520)을 상호 접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빨래의 건조가 완료되면 집게 유닛(500)으로부터 빨래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교차부(542)에 이동 몸체(5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편(540)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제1, 2 파지편(510, 520)의 상호 파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2 파지편(510, 520)은 고정편(540)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면 교체할 수 있도록 이동 몸체(530)에 대하여 탈착 결합될 수 있는 구조, 즉 이동 몸체(530)에 형성된 체결홈(532)에 걸림 고정되도록, 제1, 2 파지편(510, 520)이 상호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515)로부터 연장되어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한 쌍의 후크편(543)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집게 유닛(500)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의 버튼처럼 일회 누름 동작을 수행하면 돌출되고 재차 누름 동작을 수행하면 수납되는 방식을 채택하여, 일회 누름 동작을 수행하면 빨래를 클램핑하고, 재차 누름 동작을 수행하면 빨래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버튼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집게 유닛(50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면서 타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 래칫휠과 래칫휠의 회전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래칫핀의 구조를 채택하여, 제1, 2 파지편(510, 520)의 클램핑 또는 해제를 래칫휠 및 래칫핀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초기에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2 파지편(510, 520) 사이로 빨래를 밀어넣어 래칫휠에 접촉 회전시키면 제1, 2 파지편(510, 520)이 빨래를 상호 클램핑하면서 빨래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빨래가 건조되면 래칫핀을 래칫휠과의 결합 상태로부터 해제하여 래칫휠을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2 파지편(510, 520)이 이격되게 함으로써 빨래를 집게 유닛(500)으로부터 분리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집게 유닛(500)은 다양한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대는 도 9와 같이 제1 지지 프레임(210, 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된 복수의 보조 집게(6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집게(600)는 바지(T) 등과 같이 상하 길이가 긴 빨래를 고정하여 건조시킬 때 유용할 것이다.
또한, 보조 집게(60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집게 유닛(500)과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형상 변형 및 복원을 허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지(T) 등과 같이 긴 빨래의 고정 및 건조에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래건조대는 도 9와 같이 건조걸이(700)를 마련하여 양말(S) 등과 같이 부피가 작고 가벼운 빨래를 걸어서 건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건조걸이(700)는 지지대(100, 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높낮이 조절 가능한 승강 몸체(710)와, 승강 몸체(710)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이편(720)과, 걸이편(720)의 단부에 구 형상 등과 같이 걸려진 빨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이탈 방지편(73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이탈 방지편(730)의 형상은 구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편(730)에 걸리는 빨래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이탈 방지편(7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적 설계도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빨래를 효율적으로 거치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지지대 210...제1 지지 프레임
220...제2 지지 프레임 300...피벗 유닛
310...내측 플레이트 313...단턱부
320...외측 플레이트 324...단턱부
330...조절 어셈블리 331...접촉홈
332...접촉 돌기 333, 333'...톱니
340...실린더 341...본체
342...로드 343, 344...플랜지
350...스프링 400...거치봉
500...집게 유닛 510...제1 파지편
520...제2 파지편 530...이동 몸체
532...체결홈 540...고정편
542...교차부 543...후크편
600...보조 집게 700...건조걸이
710...승강 몸체 720...걸이편
730...이탈 방지편 S...양말
T...바지
220...제2 지지 프레임 300...피벗 유닛
310...내측 플레이트 313...단턱부
320...외측 플레이트 324...단턱부
330...조절 어셈블리 331...접촉홈
332...접촉 돌기 333, 333'...톱니
340...실린더 341...본체
342...로드 343, 344...플랜지
350...스프링 400...거치봉
500...집게 유닛 510...제1 파지편
520...제2 파지편 530...이동 몸체
532...체결홈 540...고정편
542...교차부 543...후크편
600...보조 집게 700...건조걸이
710...승강 몸체 720...걸이편
730...이탈 방지편 S...양말
T...바지
Claims (7)
- 지지대(100, 100);
상기 지지대(100, 100) 양측으로부터 상하 다단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호 마주보는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
상기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 각각을 상기 지지대(100, 100)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피벗(pivot) 유닛(300);
상기 상호 마주보는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거치봉(400); 및
상기 거치봉(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이동 몸체(530)에 제1, 2 파지편(510, 520)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2 파지편(510, 520) 각각의 단부와 경사지게 결합되는 고정편(540)에 일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형상 변형되면서 상기 제1, 2 파지편(510, 520)이 상호 접촉되어 빨래를 파지하는 집게 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봉(400)은 상기 집게 유닛(500)의 회전을 방지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벗 유닛(300)은,
상기 지지대(100, 100)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이 각각 연장되는 내측 플레이트(310)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310)와 접촉하며 회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이 각각 연장되는 외측 플레이트(320)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310)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320)가 접촉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내, 외측 플레이트(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210, 210, 220, 220)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조절 어셈블리(330)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310)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32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내, 외측 플레이트(320)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을 허용하고, 상호 신축 가능한 실린더(340)와,
상기 실린더(340)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34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 어셈블리(330)는,
상기 외측 플레이트(320)와 접촉하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310)의 접촉면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의 접촉홈(331)과,
상기 내측 플레이트(310)와 접촉하는 상기 외측 플레이트(320)의 접촉면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의 접촉 돌기(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 어셈블리(330)는,
상기 내, 외측 플레이트(320)가 상호 접촉하는 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톱니(333, 333')를 포함하며,
상기 톱니(333, 333')는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54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2 파지편(510, 520) 각각의 단부와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편(540)의 타단부는 상호 연결되어 절곡된 교차부(542)를 형성하며, 상기 교차부(542)에 상기 이동 몸체(530)측을 향하여 힘이 가해지면 형상 변형하면서 상기 제1, 2 파지편(510, 520)을 상호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 100)는,
상기 지지대(100, 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높낮이 조절 가능한 승강 몸체(710)와, 상기 승강 몸체(710)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이편(720)과, 상기 걸이편(72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 이탈 방지편(730)을 포함하는 건조걸이(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888A KR101252418B1 (ko) | 2012-09-03 | 2012-09-03 | 빨래건조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888A KR101252418B1 (ko) | 2012-09-03 | 2012-09-03 | 빨래건조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2418B1 true KR101252418B1 (ko) | 2013-04-08 |
Family
ID=4844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6888A KR101252418B1 (ko) | 2012-09-03 | 2012-09-03 | 빨래건조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241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40469A4 (en) * | 2013-08-29 | 2017-03-15 | Heung Jai Lee | Protruding-and-bent laundry hanger drying device and laundry drying rack including same |
KR20200004077A (ko) * | 2018-07-03 | 2020-01-13 | 주식회사 씨브이코어텍 | 구조물의 보강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힌지 구조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6593U (ja) * | 1993-03-02 | 1994-09-20 | 積水樹脂株式会社 | 物干しハンガー |
KR20090000074U (ko) * | 2007-06-29 | 2009-01-07 | 조태현 | 건조대 겸용 행거 구조 |
-
2012
- 2012-09-03 KR KR1020120096888A patent/KR1012524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6593U (ja) * | 1993-03-02 | 1994-09-20 | 積水樹脂株式会社 | 物干しハンガー |
KR20090000074U (ko) * | 2007-06-29 | 2009-01-07 | 조태현 | 건조대 겸용 행거 구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40469A4 (en) * | 2013-08-29 | 2017-03-15 | Heung Jai Lee | Protruding-and-bent laundry hanger drying device and laundry drying rack including same |
KR20200004077A (ko) * | 2018-07-03 | 2020-01-13 | 주식회사 씨브이코어텍 | 구조물의 보강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힌지 구조체 |
KR102133710B1 (ko) * | 2018-07-03 | 2020-07-14 | 주식회사 씨브이코어텍 | 구조물의 보강 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힌지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92025B1 (en) | Clothes hanging device | |
KR101344099B1 (ko) | 돌출 굴절 빨래걸이 건조장치를 구비한 빨래 건조대 | |
KR101252418B1 (ko) | 빨래건조대 | |
KR20110007533U (ko) | 다단 접이식 빨래 건조대 | |
KR102247771B1 (ko) | 세탁물건조대 | |
JP2005143556A (ja) | 物干し装置 | |
KR20110005856U (ko) | 세탁물 건조대의 걸이대 각도변환장치 | |
JP2009121100A5 (ko) | ||
CN206232993U (zh) | 可调节衣架 | |
JP6792362B2 (ja) | 物干し器 | |
JP2964330B1 (ja) | 平行物干し竿棚多段型物干し具 | |
CN211609083U (zh) | 折叠伸缩晾衣架 | |
KR100859421B1 (ko) | 빨래의 날림방지용 협지수단을 갖는 접철식 빨래 건조대 | |
JP2016087368A (ja) | タオル等物干し具 | |
KR101692536B1 (ko) | 접고 펼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 | |
CN210657632U (zh) | 一种可折叠连接结构及衣架 | |
KR101293821B1 (ko) | 세탁물 건조기구 | |
CN211533816U (zh) | 一种可收缩式衣架 | |
TWM507711U (zh) | 磁力式多功能防風衣架 | |
KR20170136204A (ko) |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빨래건조대 | |
CN210354237U (zh) | 一种可折叠连接结构及衣架 | |
CN210031225U (zh) | F型便捷阳台晾衣架 | |
KR20180138287A (ko) | 접이식 빨래 건조대 | |
KR200481593Y1 (ko) | 빨래 건조대 | |
JP4371330B2 (ja) | 物干し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