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257B1 -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257B1
KR101252257B1 KR1020110098406A KR20110098406A KR101252257B1 KR 101252257 B1 KR101252257 B1 KR 101252257B1 KR 1020110098406 A KR1020110098406 A KR 1020110098406A KR 20110098406 A KR20110098406 A KR 20110098406A KR 101252257 B1 KR101252257 B1 KR 10125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ircuit
circuit cable
actuator
dus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417A (ko
Inventor
김광식
이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2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발명의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는 전 후면에 터미널 삽입 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삽입 홀(213) 안에 다수의 접촉 터미널(220)이 삽입 결합하는 하우징(210); 더스트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더스트 쉘(240);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1)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2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1)의 도체 부(1a)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상기 더스트 쉘(2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더스트 쉘이 액츄에이터에 대해 슬립 하도록 구성하여 액츄에이터의 더스트 및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촉 불량, 쇼트 및 오 작동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Cable}
본 발명은 연성 회로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액츄에이터의 회전 동작과 연동하여 더스트 쉘이 슬립되면서 접촉 터미널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더스트(먼지) 및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 통신용 제품 등에서 설계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경질의 인쇄회로기판 대신 연질의 연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와 연성 평탄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등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종래 연성 회로케이블(FFC/FPC) 커넥터는 액츄에이터를 닫은 후 일부 구간에서 도체 부분, 예를 들어 접촉 터미널이 노출되어 있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노출된 도체 부분에 먼지 또는 기타 이물 등이 도체와 도체 사이에 놓일 경우, 전기적인 접속 상태(Short)가 이루어져 회로 상의 파손이나 이상 동작이 발생하여 별도의 더스트 커버(Dust Cover)와 같은 구조물을 제작하여 추가하거나 임시로 테이핑(Taping) 처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법은 추가 작업 공정이 소요되고 테이핑한 부분이 열에 의해 쉽게 떨어지는 등 내구성 면에서 안전하지 않은 임시 방편에 불과한 것이었다.
특허 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666111호에는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커버는 하우징에 결합하는 구조로서, 액츄에이터와 연동되지 않는 구조이며, 먼지커버를 하우징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동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장애를 줄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츄에이터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액츄에이터의 회전 동작과 연동(連動)하여 더스트 쉘(Dust shell)이 슬립(Slip) 또는 슬라이드 되면서 접촉 터미널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더스트 및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는 전면에 연성 회로케이블 삽입 슬롯이 형성되고, 전 후면에 터미널 삽입 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터미널 삽입 홀 안에 삽입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의 도체 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대해 슬립되는 더스트 쉘;을 구비한다.
상기 더스트 쉘은 상기 액츄에이터와 밀착되게 위치하여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쪽에 힌지 부가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될 때, 상기 더스트 쉘은 상기 힌지 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더스트 쉘이 상기 접촉 터미널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더스트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더스트 쉘의 상측에는 안내 레일이 형성된다.
액츄에이터의 오픈 위치에서, 상기 더스트 쉘의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측면에 로킹 돌기가 형성되고, 로킹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더스트 쉘의 측면에 로킹 홀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는 전 후면에 터미널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삽입 홀 안에 다수의 접촉 터미널이 삽입 결합하는 하우징;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더스트 쉘;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의 도체 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상기 더스트 쉘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더스트 쉘은 회전축 봉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더스트 쉘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부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더스트 쉘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 봉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 봉의 양 끝단은 상기 하우징의 결합 홈 안에 탄력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를 오픈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더스트 쉘은 회전축 봉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슬립되어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의 도체 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더스트 쉘이 액츄에이터에 대해 슬립(또는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하여 액츄에이터의 더스트 및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쇼트(Short)로 인한 회로 상의 파손이나 이상 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것으로, 오픈 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것으로, 클로즈 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3의 평면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Z-Z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Y-Y선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액유에이터의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의 더스트 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100)는 전면에 연성 회로케이블 삽입 슬롯(111)이 형성되고, 전 후면에 터미널 삽입 홀(113)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터미널 삽입 홀(113) 안에 삽입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120); 회동 축(미 도시)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미 도시)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1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의 도체 부(회로패턴)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액츄에이터(130); 및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30)에 대해 슬립(Slip) 또는 슬라이드 되는 더스트 쉘(14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10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10)은 절연(絶緣)을 위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삽입 홀(111) 안에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120)이 삽입 결합하며, 상기 접촉 터미널(120)의 일단은 인쇄회로기판(미 도시)에 고정되고 상기 접촉 터미널(120)의 타단은 연성 회로케이블의 도체 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촉 터미널(120)은 통상 동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더스트 쉘(140)은 상기 액츄에이터(130)에 대해 슬립 가능하게 위치하여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쪽에 힌지 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3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1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의 도체 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30)를 오픈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상기 더스트 쉘(140)은 상기 힌지 부(14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30)에 대해 슬립 하도록 상기 더스트 쉘(140)의 상측에는 안내 레일(1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30)의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더스트 쉘(140)은 상기 접촉 터미널(120)을 커버링하여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먼지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쇼트및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연성 회로케이블은 연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와 연성 평탄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은 물론, 0.1㎜ 이하의 연성 회로케이블로 Display Driver IC가 탑재된 TCP(Tape Carrier Package)나 COF(Chip On Film)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오픈 위치란 상기 액츄에이터(130)가 수직으로 위치하고, 연성 회로케이블이 하우징(110) 안으로 삽입되기 전 상태를 말하며, 클로즈 위치란 연성 회로케이블이 하우징(110) 안으로 삽입된 후 상기 액츄에이터(130)가 수평으로 위치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1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1)의 도체 부(1a)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위치를 말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100)의 변형 예로서, 액츄에이터(130)의 오픈 위치에서, 상기 더스트 쉘(140)의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30)의 측면에 로킹 돌기(133)가 형성되고, 로킹 돌기(133)가 삽입되도록 상기 더스트 쉘(140)의 측면에 로킹 홀(14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10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츄에이터(130)를 오픈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상기 더스트 쉘(140)은 상기 힌지 부(14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이때 안내 레일(143)에 의해서 상기 액츄에이터(130)에 대해 슬립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30)의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더스트 쉘(140)은 상기 접촉 터미널(120)을 커버링하여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먼지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쇼트 및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30)는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1)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1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의 도체 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것으로, 오픈 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것으로, 클로즈 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3의 평면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Z-Z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Y-Y선 단면도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은 액츄에이터의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의 더스트 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200)는 전 후면에 터미널 삽입 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삽입 홀(213) 안에 다수의 접촉 터미널(220)이 삽입 결합하는 하우징(210); 회동 축(23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1)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2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1)의 도체 부(1a)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액츄에이터(230); 및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230)에 대해 슬립 되는 더스트 쉘(240);을 구비한다.
상기 더스트 쉘(240)은 회전축 봉(250)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 봉(250)의 양 끝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결합 홈(217) 안에 탄력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더스트 쉘(240)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부(241)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 쉘(240)의 하부에는 회전축 봉(250)이 결합되는 결합부(243)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241)에는 상기 더스트 쉘(240)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241a)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축(231)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액츄에이터(230)를 오픈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상기 더스트 쉘(240)도 회전축 봉(250)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30)는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1)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2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1)의 도체 부(1a)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며, 상기 더스트 쉘(240)은 상기 액츄에이터(230)에 대하여 슬립 되어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20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츄에이터(230)의 오픈 위치에서, 액츄에이터(230)와 더스트 쉘(240)은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도 11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액츄에이터(230)를 회동시켜 상기 액츄에이터(230)를 오픈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상기 더스트 쉘(240)도 회전축 봉(250)을 중심으로 회동한다(도 12 참조).
상기 액츄에이터(230)는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1)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2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1)의 도체 부(1a)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상기 더스트 쉘(240)은 상기 액츄에이터(230)에 대하여 슬립되어(도 12 참조), 상기 접촉 터미널(12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촉 불량 및 오 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할 때, 더스트 쉘이 액츄에이터에 대해 슬립 또는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하여 액츄에이터의 더스트 및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쇼트(Short)로 인한 회로 상의 파손이나 이상 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하우징
111: 연성 회로케이블 삽입 슬롯
113: 터미널 삽입 홀
120: 접촉 터미널
130: 액츄에이터
133: 로킹 돌기
140: 더스트 쉘
141: 힌지 부
143: 안내 레일
145: 로킹 홀
210: 하우징
211: 터미널 삽입 홀
215: 접촉 터미널
217: 결합 홈
230: 액츄에이터
240: 더스트 쉘
241: 슬라이드 부
243: 결합부
250: 회전축 봉

Claims (11)

  1. 전면에 연성 회로케이블 삽입 슬롯(111)이 형성되고, 전 후면에 터미널 삽입 홀(113)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터미널 삽입 홀(113) 안에 삽입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120);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1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의 도체 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액츄에이터(130); 및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되도록 힌지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30)에 대해 슬립되는 더스트 쉘(140);을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130)가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전환될 때, 상기 더스트 쉘(140)은 상기 힌지부(14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액츄에이터(130)는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더스트 쉘(140)이 상기 접촉 터미널(12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더스트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쉘(140)은 상기 액츄에이터(130)와 밀착되게 위치하여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양쪽에 상기 힌지 부(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30)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더스트 쉘(140)의 상측에는 안내 레일(1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30)의 오픈 위치에서, 상기 더스트 쉘(140)의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130)의 측면에 로킹 돌기(133)가 형성되고, 로킹 돌기(133)가 삽입되도록 상기 더스트 쉘(140)의 측면에 로킹 홀(1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전 후면에 터미널 삽입 홀(213)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삽입 홀(213) 안에 다수의 접촉 터미널(220)이 삽입 결합하는 하우징(210);
    더스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더스트 쉘(240);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1)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2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1)의 도체 부(1a)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상기 더스트 쉘(2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30);를 포함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쉘(240)은 회전축 봉(250)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쉘(240)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부(241)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쉘(24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 봉(250)이 결합되는 결합부(2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봉(250)의 양 끝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결합 홈(217) 안에 탄력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230)를 오픈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더스트 쉘(240)은 회전축 봉(25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액츄에이터(230)에 슬립되어 더스트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액츄에이터(230)는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10) 안으로 삽입된 연성 회로케이블(1)을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접촉 터미널(220)과 상기 연성 회로케이블(1)의 도체 부(1a)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1020110098406A 2011-09-28 2011-09-28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10125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06A KR101252257B1 (ko) 2011-09-28 2011-09-28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06A KR101252257B1 (ko) 2011-09-28 2011-09-28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17A KR20130034417A (ko) 2013-04-05
KR101252257B1 true KR101252257B1 (ko) 2013-04-08

Family

ID=4843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406A KR101252257B1 (ko) 2011-09-28 2011-09-28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2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646A (ko) * 2008-04-22 2009-10-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KR20100131849A (ko) * 2009-06-08 2010-1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646A (ko) * 2008-04-22 2009-10-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KR20100131849A (ko) * 2009-06-08 2010-1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17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9387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276358B1 (ko)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TWI455410B (zh) Connector device
JP5704319B2 (ja) コネクタ装置
JP4915879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192903B1 (ko) 커넥터 장치
TWI446647B (zh) 連接器裝置
JP2012138293A (ja) コネクタ装置
JP2010267427A (ja) コネクタ装置
US20090218120A1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US7165991B2 (en) Connector
JP4804009B2 (ja) コネクタ接続用端末構造を有するfpc
KR101120908B1 (ko) 연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TWI618313B (zh) 連接器
JP5076947B2 (ja) コネクタ装置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252682B1 (ko)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101252257B1 (ko)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101246698B1 (ko)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101242088B1 (ko)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및 그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의 더스트 유입방지 방법
JP2006134728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13045541A (ja) コネクタ装置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3890307B2 (ja) プリント基板実装装置及びプリント基板実装方法
JP5203526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