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183B1 - 시스템 댐퍼 - Google Patents

시스템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183B1
KR101252183B1 KR1020110045492A KR20110045492A KR101252183B1 KR 101252183 B1 KR101252183 B1 KR 101252183B1 KR 1020110045492 A KR1020110045492 A KR 1020110045492A KR 20110045492 A KR20110045492 A KR 20110045492A KR 101252183 B1 KR101252183 B1 KR 10125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driving
system damp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784A (ko
Inventor
전홍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5126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5218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Priority to KR102011004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18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 및 주방용 배기 덕트 또는 화장실용 배기덕트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 댐퍼를 구동시켜 배기 덕트를 오픈시키기 위한 칩(chip)과 시스템 댐퍼를 구동시켜 배기 덕트를 밀폐시키기 위한 칩(chip)을 별도로 구비시켜 시스템 댐퍼의 효율(throughput)이 향상되도록 하는 시스템 댐퍼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정회전되어 배기 덕트의 배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개를 구동시켜 시스템 댐퍼가 개방되도록 하고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면 역회전되어 상기 마개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시스템 댐퍼가 밀폐되도록 구동하는 정역 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댐퍼 작동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다운시켜 시스템 댐퍼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동 전원 공급부;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의 구동 전원을 전파 정류시키는 정류회로부; 상기 정류회로부에서 전환된 전파정류를 평활시키고 그 일부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충전회로부; 상기 정류회로부 및 상기 충전회로부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류를 제 1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 상기 정류회로부 및 상기 충전회로부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류를 제 2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 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의 전류로 구동되는 릴레이 회로부; 상기 릴레이 회로부의 구동에 따라 전체 회로가 닫히면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를 통해 공급되는 제 2 정전압을 상기 정역모터의 정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고정 리미트 스위치; 상기 릴레이 회로부의 구동에 따라 전체 회로가 열리는 경우 온되어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의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제 2 충전회로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 2 충전회로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정역 모터의 역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가변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댐퍼{System damper}
본 발명은 시스템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실 및 주방용 배기 덕트 또는 화장실용 배기덕트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 댐퍼를 구동시켜 배기 덕트를 오픈시키기 위한 칩(chip)과 시스템 댐퍼를 구동시켜 배기 덕트를 밀폐시키기 위한 칩(chip)을 별도로 구비시켜 시스템 댐퍼의 효율(throughput)이 향상되도록 하는 시스템 댐퍼에 관한 것이다.
도1 및 도2는 이러한 종래 댐퍼를 보이는 개략적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로써, 이는, 배기덕트(1) 내에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스(2)와, 상단이 케이스(2) 내부에 위치되고 하부가 배기덕트를 관통하여 배기덕트(1)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축(3)이 구비된다.
배기덕트(1) 내부의 회전축(3) 상에는 원판형 마개(4)가 설치되어 있어 회전축(3)의 회전시 배기덕트(1)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축(3) 상단에는 피니언(5)이 결합되어 있다.
이 피니언(5)에는 래크(6)가 치합되며, 래크(6) 일단에는 전자석(7)이 연결되고, 래크(6) 타단에는 스프링(8)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석(7)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 래크(6)가 스프링(8)측으로 당겨진 상태에 있게 되어 마개(4)가 배기덕트(1)를 밀폐시키게 되며, 전자석(7)에 전원이 인가되면 래크(6)가 스프링(8) 반대측으로 당겨지면서 마개(4)를 오픈시키므로 배기덕트(1)가 열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댐퍼는, 주방이나 화장실의 배기팬을 온시키면 전자석(7)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래크(6)를 화살표(A)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8)이 당겨지면서 피니언(5)이 회전되고 회전축(3)이 회전되므로 이에 결합된 마개(4)가 회전되어 배기덕트(1)를 오픈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기장치에 전원이 오프되면 전자석(7)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면서 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 래크(6)가 화살표(A) 반대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5), 회전축(3)이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마개(4)가 배기덕트(1)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댐퍼는 전자석(7)에 전원이 인가될시 래크(6)가 순간적으로 당겨진 후 정지되면서 부품들 간의 기계적 충격음인 '탁'하는 소음이 발생되고, 전자석(7)에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 래크(6)가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순간적으로 당겨진 후 정지되면서 다시 '탁'하는 소음이 발생되므로 초기 작동 및 복원시 심한 소음이 발생되었다.
또한, 전자석(7)에 전원이 차단되는 즉시 마개(4)가 닫히게 되므로 배기팬이 오프되어도 배기팬의 회전력에 의해 배기팬이 더 회전되어 배기덕트(1) 내에 공기압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배기팬에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편, 종래 댐퍼는 마개(4)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자석()에 연결된 스위치(미도시)를 오프(off)시키기 전까지 전자석(7)에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구동되어야 하는 문제로 전력소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전자석(7)의 한계로 인해 큰힘을 낼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마개(4) 주변에 이물이 붙으면 개방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거실 및 주방용 배기 덕트 또는 화장실용 배기덕트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 댐퍼를 구동시켜 배기 덕트를 오픈시키기 위한 칩(chip)과 시스템 댐퍼를 구동시켜 배기 덕트를 밀폐시키기 위한 칩(chip)을 별도로 구비시켜 시스템 댐퍼의 효율(throughput)이 향상되도록 하는 시스템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정회전되어 배기 덕트의 배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개를 구동시켜 시스템 댐퍼가 개방되도록 하고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면 역회전되어 상기 마개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시스템 댐퍼가 밀폐되도록 구동하는 정역 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댐퍼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다운시켜 시스템 댐퍼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동 전원 공급부;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의 구동 전원을 전파 정류시키는 정류회로부; 상기 정류회로부에서 전환된 전파정류를 평활시키고 그 일부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충전회로부; 상기 정류회로부 및 상기 충전회로부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류를 제 1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 상기 정류회로부 및 상기 충전회로부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류를 제 2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 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의 전류로 구동되는 릴레이 회로부; 상기 릴레이 회로부의 구동에 따라 전체 회로가 닫히면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를 통해 공급되는 제 2 정전압을 상기 정역모터의 정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고정 리미트 스위치; 상기 릴레이 회로부의 구동에 따라 전체 회로가 열리는 경우 온되어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의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제 2 충전회로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 2 충전회로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정역 모터의 역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가변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에 의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 출력레벨이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에 의해 공급되는 제 2 정전압 출력레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는, 상기 제 1 충전회로부에 의해 충전된 전압을 정역모터의 정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역 모터는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후 제 1 충전회로부에 의해 충전된 전압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정회전한 후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에 의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에 의해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거실 및 주방용 배기 덕트 또는 화장실용 배기덕트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 댐퍼를 구동시켜 배기 덕트를 오픈시키기 위한 칩(chip)과 시스템 댐퍼를 구동시켜 배기 덕트를 밀폐시키기 위한 칩(chip)을 별도로 구비시켜 시스템 댐퍼의 효율(throughput)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댐퍼를 보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4는 감속기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패킹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을 보이는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패킹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시스템 댐퍼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4는 감속기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 및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정회전되어 배기 덕트의 배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개를 구동시켜 시스템 댐퍼가 개방되도록 하고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면 역회전되어 상기 마개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시스템 댐퍼가 밀폐되도록 구동하는 정역 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댐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다운시켜 시스템 댐퍼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동 전원 공급부(31);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31)의 구동 전원을 전파 정류시키는 정류회로부(32); 상기 정류회로부(32)에서 전환된 전파정류를 평활시키고 그 일부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충전회로부(33); 상기 정류회로부(32) 및 상기 충전회로부(33)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류를 제 1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 상기 정류회로부(32) 및 상기 충전회로부(33)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류를 제 2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 회로부(50)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의 전류로 구동되는 릴레이 회로부(35); 상기 릴레이 회로부(35)의 구동에 따라 전체 회로가 닫히면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를 통해 공급되는 제 2 정전압을 상기 정역모터(14)의 정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고정 리미트 스위치(38); 상기 릴레이 회로부(35)의 구동에 따라 전체 회로가 열리는 경우 온되어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36); 상기 스위치(36)를 통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의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제 2 충전회로부(37); 및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 2 충전회로부937)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정역 모터의 역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가변 리미트 스위치(39)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에 의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 출력레벨이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에 의해 공급되는 제 2 정전압 출력레벨보다 낮다. 즉,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9V이고,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12V이다.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는, 상기 제 1 충전회로부(33)에 의해 충전된 전압을 정역모터(14)의 정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한다.
상기 정역 모터(14)는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후 제 1 충전회로부(33)에 의해 충전된 전압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정회전한 후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에 의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에 의해 역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 댐퍼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과 같이 배기덕트(11) 상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10) 상의 일측에는 전원이 공급되면 정회전되며 전원이 오프되면 역회전되는 정역모터(14)가 설치된다.
이 정역모터(14)의 일측에는 정역모터(14)와 배기덕트(11) 내의 회전축(13)에 연결설치되어 정역모터(14)의 구동력을 회전축(13)에 천천히 전달하게 되는 감속기(20)가 설치되는바,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감속기(20)에는 도4와 같이 정역모터(14)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21)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21) 내부 일측에는 정역모터(14)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22)가 설치되며, 케이스(21) 타측에는 구동기어(22)의 동력이 전달되는 전동기어(30)가 설치된다.
구동기어(22)와 전동기어(30)에는 구동기어(22)의 회전력을 전동기어(30)에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군(23)이 설치되는 바, 이는 구동기어(22)에 치합되는 제1전동기어(24)와, 제1전동기어(24)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2전동기어(25)와, 제2전동기어(25)에 치함된 제3전동기어(26)와, 제3전동기어(26)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4전동기어(27)와, 제4전동기어(27)에 치합된 제5전동기어(28)와, 제5전동기어(28)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6전동기어(29)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어군(23) 중 제1전동기어(24)는 구동기어(22)에 치합되고 제6전동기어(29)는 전동기어(30)에 치합되며 제1전동기어(24)와 제6전동기어(29) 사이에는 제2,3,4,5전동기어(25)(26)(27)(28)가 순차적으로 구동기어(22)의 회전동력이 전동기어(3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감속기(20)의 전동기어(30)에는 회전축(13)이 결합되는바, 이는 상단이 전동기어(30)에 결합되고 하단은 배기덕트(11) 내부 하측에 결합되어 있어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가 이 회전축(13) 상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도5 및 도6과 같이 트랜스(31), 브리지다이오드(32), 제 1 정전압IC(34), 제 2 정전압IC(50), 릴레이(35), 고정리미트 스위치(38), 가변 리미트 스위치(39), SCR(silicon control rectifier)(36), 슈퍼콘덴서(37), 각도조절수단이 더 설치되는 바, 트랜스(31)는, 정역모터(14)의 일측에 위치되어 회로기판(10) 상에 설치되고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다운시킨다. 즉,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면 트랜스(31)로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상용전원은 트랜스(31)에 의해 다운되어 후단의 각 회로로 공급된다.
브리지다이오드(32)는 트랜스(31)에서 전압이 다운된 교류전류를 전파정류로 전환시키며, 전환된 전파정류는 후술할 제 2 정전압IC(50)와 릴레이(35) 측으로 흐르게 된다.
제 2 정전압IC(50)는 브리지다이오드(32)에서 전환된 전파정류가 후술할 릴레이(35) 측으로 일정한 정전압으로 전달되도록 회로기판(10) 상에서 브리지다이오드(32) 일측에 설치된다.
릴레이(35)는 제 2 정전압IC(50)에서 전달되는 정전압의 전류로 구동되며, 이는 온(ON)2개, 오프(OFF)2개의 단자로 구성되어 일측은 후술할 고정 리미트 스위치(38)와 접점되며, 타측은 후술할 가변 리미트 스위치(39)와 접점되는 것이다.
고정 리미트 스위치(38)는 릴레이(35)가 구동될시 릴레이(35) 일측의 접접과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며, 정역모터(14)와 연결되어 정역모터(14)를 정회전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면 트랜스(3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정역모터(14)로 공급되던 정회전 구동전원도 차단되어 정역모터(14)는 정회전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역 모터(14)가 정지하게 되면 SCR(36)은 그 정지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작동되며, SCR(36)이 작동됨에 따라 제 1 정전압IC(34)로부터 전달되는 정전압의 직류전류가 후술할 슈퍼콘덴서(37)에 충전된다.
슈퍼콘덴서(37)는 SCR(36)이 작동되면 제 1 정전압IC(34)로 부터 전류가 전달되어 그 전류가 충전되어 저장되고, 전원스위치(16)가 오프되어 전원이 차단되면 충전된 전류가 릴레이(35)의 일측 단자로 전달된다.
가변 리미트 스위치(39)는 회로기판(10) 저면에 고정되어 전원스위치(16)의 오프시 슈퍼콘덴서(37)에 저장된 전류가 릴레이(35)의 일측 단자로 전달됨에 따라 릴레이(35)의 단자와 접점되어 전류가 인가되어 작동되며, 정역모터(14)와 연결되어 정역모터(14)를 역회전시킨다.
각도조절수단은, 카플링(41), 각도조절레버(40), 고정 리미트 스위치(38), 가변 리미트 스위치(39)로 구성되는바, 카플링(41)의 회전축(13)의 상단에 결합되고 일측에 돌기(41a)가 형성된다.
각도조절레버(40)는 회전축(13) 상에 결합되고 카플링(41)의 하측에 위치되며 회전축(13) 상에서 좌우회전 된다.
가변 리미트 스위치(39)는 각도조절레버(4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도조절레버(40)의 좌우회동시 각도조절레버(40)와 함께 이동된다.
고정 리미트 스위치(38)는 회로기판(10)의 저면에 고정되고 카플링(41)의 일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각도조절수단은 마개(12)가 열리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각도조절레버(40)를 좌우회동시키면 각도조절레버(40) 상에 설치된 가변 리미트 스위치(39)가 카플링(41) 일측에 위치된 고정 리미트 스위치(38)와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게 하여 가변 리미트 스위치(39)와 고정 리미트 스위치(38)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주므로써 마개(12)가 열리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도의 범위를 30ㅀ, 60ㅀ, 90ㅀ 등으로 다양한 범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발명에 따라 브리지다이오드(32)와 정전압IC(34)의 사이에 전해콘덴서(33)가 더 설치되는바, 이는 브리지다이오드(32)에서 전달되는 전파정류를 평활시키며 그 일부가 충전되고, 전원스위치(16)가 오프되어 전원이 차단될시 마개(12)가 약 3.5 ~ 4초간 지연된 후 닫히도록 충전된 전류를 고정 리미트 스위치(38)와 접점되는 릴레이(35) 일측의 단자로 약 3.5 ~ 4초간 전달시켜서 전원이 차단되어도 릴레이(35)의 구동이 전달시간 만큼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축(13) 상에 설치되는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의 단부 둘레에는 도7과 같이 일측의 단부가 타측보다 얇게 형성되어 ㄷ자 형상을 가지는 플렉시블한 고무재의 패킹(15)이 더 구비된다.
이 고무패킹(15)은 전원이 오프되어서 정역모터(14)가 역회전되어 마개(12)가 배기덕트(11)를 밀폐시킬시 배기팬에 의해 배기덕트(11) 내부에 공기압이 증가되면 고무패킹(15) 일측의 얇게 형성된 단부가 벌어지면서 배기덕트(11)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배기덕트(11) 내에 퓨즈(42)가 더 구비되는바, 이 퓨즈(42)는 전원과 정역모터에 연결되어 있어 퓨즈(42)에 고열이 가해질시 끊어지면서 정역모터(14)와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는, 주방의 랜지후드를 작동시키거나 화상실의 배기팬을 작동시키면 즉, 전원스위치(16)를 온 시키면 220V의 전원이 공급되고, 이 220V의 교류전류는 회로기판(10) 상에 설치된 트랜스(31)를 통과하여 12V의 전압으로 다운된다.
트랜스(31)를 통과하여 다운된 12V의 교류전류는 회로기판(10) 상에서 트랜스(31) 일측에 구비된 브리지다이오드(32)를 통과하여 16V의 전파정류로 전환되고, 그 전파정류의 일부는 전해콘덴서(33)에 충전되고, 일부는 제 1 , 제 2 정전압IC(34)(50) 측으로 흐른다.
브리지다이오드(32)에서 일부 전달되는 전파정류는 제 2 정전압IC(50)를 통과하여 직류 12V의 일정한 정전압으로 전환되어 릴레이(35) 측으로 전달된다.
제 2 정전압IC(50)를 통하여 전류가 릴레이(35)에 전달되어 릴레이(35)가 구동되면 고정 리미트 스위치(38) 측에 위치된 릴레이(35) 일측의 단자가 고정 리미트 스위치(38)와 접점되고, 이에 따라 고정 리미트 스위치(38)가 온되어 이에 연결된 정역모터(14)를 정회전 시킨다.
이와 같이 정역모터(14)가 정회전되면, 감속기(20)가 작동되는 바, 그 동력전달경로는 다음과 같다.
정역모터(14)에 의해 구동기어(22)에 전달된 회전동력은 순차적으로 제1전동기어(24), 제2전동기어(25), 제3전동기어(26), 제4전동기어(27), 제5전동기어(28), 제6전동기어(29)에 전달되어 전동기어(3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전동축, 회전축(13)이 회전되어 회전축(13) 상의 마개(12)가 회전되므로 배기덕트(11)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최초 전원이 공급되기전 각도조절수단의 각도조절레버(40)가 도8과 같이 우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90ㅀ의 각도로 설정하면, 마개(12)가 열릴시 회전축(13)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13) 상단의 카플링(41)이 회전축(13)과 함께 회전되면서 카플링(41) 일측에 형성된 돌기(41a)가 도9와 같이 가변 리미트 스위치(39)를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가변 리미트 스위치(39)가 작동되면 정역모터(14)의 전원이 차단되어 정역모터(14)의 구동이 정지됨에 따라 최초 설정되어진 각도로 마개(12)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마개(12)가 열리면서 정역모터(14)의 구동이 정지되면, 정역모터(14)의 정지신호가 릴레이(35) 일측의 SCR(36)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SCR(36)이 작동되면 제 1 정전압IC(34)로 부터 전달되는 전류가 SCR(36) 일측의 슈퍼콘덴서(37)에 충전된다.
한편 주방의 렌지후드나 화장실의 배기팬을 오프시키면 즉, 전원스위치(16)를 오프시키면 슈퍼콘덴서(37)에 충전된 전류가 가변 리미트 스위치(39) 측에 위치된 릴레이(35)의 단자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가변 리미트 스위치(39)가 릴레이(35) 일측의 대응단자와 접점되어서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되고, 가변 리미트 스위치(39)가 작동되면 이에 연결된 정역모터(14)가 역회전되면서 열려있던 마개(12)가 닫히게 되어 오픈상태의 배기덕트(11)를 밀폐시키게 된다.
여기서, 릴레이(35) 일측의 단자에 슈퍼콘덴서(37)로 부터 전류가 공급되기전, 브리지다이오드(32) 일측의 전해콘덴서(33)에 충전된 전류가 약 3.5 ~ 4초간 릴레이(35)에 전달되어서 고정 리미트 스위치(38) 측에 위치된 릴레이(35) 일측의 단자와 고정 리미트 스위치(38)와의 접점 상태가 약 3.5 ~ 4초간 유지됨에 따라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가 약3.5 ~ 4초간 지연된 후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가 닫히게 되면 전원이 오프된 후에도 회전력에 의해 일정 시간 돌게 되는 배기팬에 의해 배기덕트(11) 내부에 어느 정도의 공기압이 증가되고, 마개(12)의 단부 둘레에 부착구비된 ㄷ자 형상의 패킹(15)의 얇게 형성된 일측 단부가 공기압 증가에 따라 도10과 같이 배기덕트(11) 내주면의 대응부에 밀착되며, 이는 결국 패킹(15)이 ㄱ자 형상을 이루어 배기덕트(11) 내주면에 밀착되어 배기덕트(11) 내부를 확실히 밀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는 정역모터(14)의 회전력이 감속기(20)에 의해 감속되어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에 전달되므로 마개(12)가 배기덕트(11)를 천천히 여닫게 되어 배기덕트의 개폐시 '탁탁'하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각도조절수단의 각도조절레버(40)를 좌우회동시키고, 그 조절정도에 따라 가변 리미트 스위치(39)와 고정 리미트 스위치(38)간의 간격이 조절되어 마개(12)가 열리는 각도가 조절되므로 주방에서 발생되는 연기의 양이나 화장실의 냄새 정도에 따라 배기덕트(11)가 열리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주방의 렌지후드나 화장실의 배기팬을 오프시키면 정역모터(14)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역회전되어 배기덕트(11)가 밀폐될 시 전해콘덴서(33)로 부터 릴레이(35)에 약 3.5 ~ 4초간 전류가 공급되어 정역모터(14)가 3.5 ~ 4초 지연된 후 역회전되어 배기덕트(11)가 밀폐되므로 배기팬을 오프시켜도 배기팬이 작동되어 회전되었던 회전력에 의해 일정시간 배기팬이 회전됨에 따라 배기덕트(11) 내에 공기압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가되는 공기압에 의해 팬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기덕트(11) 내부를 밀폐시 배기팬에 의해 배기덕트(11) 내에 발생되는 어느 정도의 공기압에 의해 마개(12)의 둘레 단부에 부착구비된 ㄷ자 형상의 패킹(15)의 얇게 형성된 일측 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져서 배기덕트(11) 내주면의 대응부에 더 밀착되어 ㄱ자 형상으로 배기덕트(11) 내부를 밀폐시키므로 패킹(15)에 의해 밀폐력이 향상되어 배기덕트(11) 내부를 확실히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는 주방의 렌지후드나 화장실의 배기팬의 작동시 배기덕트(11)가 열린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될 시 트랜스(31)를 통과한 220V의 전원이 트랜스(31)를 통과하여 전환된 12V의 직류를 제 1 정전압IC(34)를 토해 슈퍼콘덴서(37)로 공급하여 충전되도록 하고, 슈퍼콘덴서(37)에 충전된 에너지로 정역모터(14)가 역회전되도록 하므로 화재시나 건물의 정전시, 전원스위치(16)의 오프시 등 어떤 경우의 동작 중단시에도 슈퍼콘덴서(37)의 충전된 전류로 정역모터(14)가 역회전되도록 구동시켜서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가 닫힐 수 있게 된다.
한편, 배기덕트(11)가 열린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배기덕트(11)가 불길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배기덕트(11)가 열린 상태에 있게 되면 외부의 불길 이 배기덕트(11)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 일측에 퓨즈(42)가 더 구비되므로 배기덕트(11)가 열린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배기덕트(11)로 불길이 이동될시 불길의 고온에 의해 퓨즈(42)가 끊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정역모터(14)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마개(12)가 회전되어 배기덕트(11)가 닫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댐퍼는 렌지후드나 화장실의 배기팬이 작동되어 배기덕트(11)가 열린 상태에 있어도 화재가 발생되면 퓨즈(42)가 끊어지고, 열린 상태의 배기덕트(11)가 자동차단되어 외부의 불길이 배기덕트(11)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화재 방지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게 된다.
한편, 정해진 각도로 마개(12)가 열린 후 전원이 차단되어 정역모터(14)의 구동이 멈추어도 마개(12)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어 주방이나 화장실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기어군(23)의 감속비를 조절할 수 있어 큰 힘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마개(12)의 저항이 커도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회로기판 11 ; 배기덕트
12 ; 마개 13 ; 회전축
14 ; 정역모터 15 ; 패킹
20 ; 감속기
31 ; 트랜스
32 ; 브리지다이오드 33 ; 전해콘덴서
34 ; 제 1 정전압IC 35 ; 릴레이
36 ; SCR 37 ; 슈퍼콘덴서
38 ; 고정 리미트 스위치 39 ; 가변 리미트 스위치
50 : 제 2 정전압IC
40 ; 각도조절레버 41 ; 카플링
41a ; 돌기 42 ; 퓨즈

Claims (4)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정회전되어 배기 덕트의 배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개를 구동시켜 시스템 댐퍼가 개방되도록 하고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면 역회전되어 상기 마개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시스템 댐퍼가 밀폐되도록 구동하는 정역 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댐퍼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다운시켜 시스템 댐퍼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동 전원 공급부(31);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31)의 구동 전원을 전파 정류시키는 정류회로부(32);
    상기 정류회로부(32)에서 전환된 전파정류를 평활시키고 그 일부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충전회로부(33);
    상기 정류회로부(32) 및 상기 충전회로부(33)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류를 제 1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
    상기 정류회로부(32) 및 상기 충전회로부(33)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류를 제 2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 회로부(50)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의 전류로 구동되는 릴레이 회로부(35);
    상기 릴레이 회로부(35)의 구동에 따라 전체 회로가 닫히면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를 통해 공급되는 제 2 정전압을 상기 정역모터(14)의 정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고정 리미트 스위치(38);
    상기 릴레이 회로부(35)의 구동에 따라 전체 회로가 열리는 경우 온되어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치(36);
    상기 스위치(36)를 통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의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제 2 충전회로부(37); 및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 2 충전회로부937)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정역 모터의 역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가변 리미트 스위치(3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댐퍼 작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에 의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 출력레벨이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에 의해 공급되는 제 2 정전압 출력레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댐퍼 작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 2 정전압 공급회로부(50)는, 상기 제 1 충전회로부(33)에 의해 충전된 전압을 정역모터(14)의 정회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댐퍼 작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 모터(14)는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된 후 제 1 충전회로부(33)에 의해 충전된 전압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정회전한 후 제 1 정전압 공급회로부(34)에 의해 공급되는 제 1 정전압에 의해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댐퍼 작동장치.
KR1020110045492A 2011-05-16 2011-05-16 시스템 댐퍼 KR10125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492A KR101252183B1 (ko) 2011-05-16 2011-05-16 시스템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492A KR101252183B1 (ko) 2011-05-16 2011-05-16 시스템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784A KR20120127784A (ko) 2012-11-26
KR101252183B1 true KR101252183B1 (ko) 2013-04-09

Family

ID=4751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492A KR101252183B1 (ko) 2011-05-16 2011-05-16 시스템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30B1 (ko) * 2019-07-05 2020-08-28 한미순 주방용 후드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834B (zh) * 2018-02-11 2020-05-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扫风组件、调风装置以及空调器
KR102184304B1 (ko) * 2018-11-06 2020-12-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102459843B1 (ko) * 2021-05-20 2022-10-28 한국오토쉘 주식회사 작동 중 화재감지신호 연동 차단 기능을 갖는 구동회로부 및 이를 구비하는 방화댐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45Y1 (ko) 2004-05-07 2004-07-27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시스템 댐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45Y1 (ko) 2004-05-07 2004-07-27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시스템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30B1 (ko) * 2019-07-05 2020-08-28 한미순 주방용 후드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784A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183B1 (ko) 시스템 댐퍼
WO2012107474A3 (de) Elektromotorischer möbelantrieb mit einer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KR200357345Y1 (ko) 시스템 댐퍼
CN205607008U (zh) 可变透视节电冰箱
CN104482256B (zh) 一种智能电动止逆阀
CN204520360U (zh) 烹饪器具及其上盖
CN106715169A (zh) 用于不具有微控制器的风门致动器的系统和方法
KR200462274Y1 (ko) 전동댐퍼 조합형 환풍기
CN204386431U (zh) 一种可自动调光并可自动除尘的百叶窗
CN205639842U (zh) 一种新型家用智能天然气阀门
CN205871179U (zh) 电磁感应热熔管接系统
KR20100103066A (ko) 덕트용 댐퍼
KR101346129B1 (ko) 회전 마개판 닫힘 지연기능이 구비된 교류식 전동 댐퍼
CN204358181U (zh) 一种智能电动止逆阀
KR101260883B1 (ko)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KR20050099004A (ko) 밸브 구동기
CN103498957B (zh) 电动水阀执行器控制方法
KR101195060B1 (ko) 무접점 모터 제어회로를 갖는 댐퍼용 정역모터
CN205001613U (zh) 一种自来水自动控制装置
KR20150068161A (ko) 정전시 비상회로를 갖는 자동 가변식 볼륨 댐퍼
CN106808955A (zh) 一种智能房车空调外机防尘装置
KR200443840Y1 (ko) 댐퍼 제어장치
JP5460667B2 (ja) 換気装置及びその換気装置を備えた浴室乾燥機
CN209743715U (zh) 一种电学自动控制阀门结构
CN217842879U (zh) 一种应用于矿用防爆的电动执行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