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883B1 -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 Google Patents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883B1
KR101260883B1 KR1020120041275A KR20120041275A KR101260883B1 KR 101260883 B1 KR101260883 B1 KR 101260883B1 KR 1020120041275 A KR1020120041275 A KR 1020120041275A KR 20120041275 A KR20120041275 A KR 20120041275A KR 101260883 B1 KR101260883 B1 KR 101260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unit
voltage
mot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비엠
Priority to KR102012004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32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e.g. setting individual current limits for different drive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DC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댐퍼용 교류식 DC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동작 회로 중 전압을 변환하기 위한 트랜스 소자를 생략 또는 제거하도록 하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별도의 평활회로를 회상 상에 구비하여 댐퍼용 모터 제작시 회로 소자(트랜스)의 생략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이에 제품 생산성이 개선됨은 물론 충전부의 입구 회로 상에 과충전 방지용 제노다이오드와 과부하 방지용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콘덴서의 용량보다 낮은 저전압이 일정하게 충전되도록 하되, 충전 가동은 댐퍼의 개폐용 원형판이 완전히 열린 후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과충전과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 내구성과 정밀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DC motor for damper with smoothing circuit}
본 발명은 댐퍼용 교류식 DC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동작 회로 중 전압을 변환하기 위한 트랜스 소자를 생략 또는 제거하도록 하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별도의 평활회로를 회상 상에 구비하여 댐퍼용 모터 제작시 회로 소자(트랜스)의 생략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이에 제품 생산성이 개선됨은 물론 충전부의 입구 회로 상에 과충전 방지용 제노다이오드와 과부하 방지용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콘덴서의 용량보다 낮은 저전압이 일정하게 충전되도록 하되, 충전 가동은 댐퍼의 개폐용 원형판이 완전히 열린 후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과충전과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 내구성과 정밀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DC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랜지후드에 연결 설치된 배기덕트와 화장실의 배기덕트에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어 배기팬이 구동되지 않을 시에는 배기덕트를 밀폐시키고 있다가 배기팬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와 함께 작동되어 배기덕트를 오픈시키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357345호는 종래의 시스템 댐퍼에 관한 것으로, 회로기판(10) 상의 상기 정역모터(14)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원 스위치(16)가 온되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다운시키는 트랜스(31)와; 상기 트랜스(31)에서 다운된 교류전류를 전파정류로 전환시키는 브리지다이오드(32)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2)에서 전환된 전파정류를 평활시키고 그 일부가 충전되는 전해콘덴서(33)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2)와 상기 전해콘덴서(33)에 의해 전환된 전파정류가 일정한 정전압으로 흐르도록 하는 정전압IC(34)와; 상기 정전압IC(34)에서 공급된 정전압의 전류로 구동되는 릴레이(35)와; 상기 릴레이(35)의 구동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정역모터(14)를 정회전 시키는 고정 리미트 스위치(38)와; 상기 정역모터(14)의 정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SCR(36)과; 상기 SCR(36)이 작동되어 정전압IC로 부터 보내지는 전류가 충전되는 슈퍼콘덴서(37)와; 회로기판(10) 저면에 고정되어 전원 스위치(16)의 오프시 상기 슈퍼콘덴서(37)에 충전된 전류가 전달되고 상기 정역모터(14)를 역회전 시키는 고정 리미트 스위치(38)와; 상기 마개(12)의 열리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각도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축(13) 상단에 결합되고 일측에 돌기(41a)가 형성된 카플링(41)과; 상기 회전축(13) 상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13) 상에서 좌우 회동되는 각도조절레버(40)와; 상기 각도조절레버(4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레버(40)의 조절시 이와 함께 이동되는 가변 리미트 스위치(39)와; 상기 회로기판(10)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카플링(41)의 일측에 위치되는 고정 리미트 스위치(3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일측단부가 타측보다 얇게 형성된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배기덕트(11) 내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의 단부 둘레에 부착구비되는 플랙시블한 고무재의 패킹(15)과; 상기 브리지다이오드(32)에서 전환된 직류전류가 일부 충전되고, 전원스위치(16)의 오프시 상기 마개(12)가 3.5 ~ 4초 지연된 후 닫히도록 충전된 전류를 상기 릴레이(35)에 3.5 ~ 4초간 전달시키는 전해콘덴서(33)와; 불길이 배기덕트(11)를 따라 실내로 유입될시 그 불길의 고온에 의해 끊어지면서 상기 정역모터(14)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시키는 퓨즈(4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의 특징은 첫째, 정역모터(14)의 회전력이 감속기(20)에 의해 감속되어 배기덕트(11) 내의 마개(12)에 전달되므로 마개(12)가 배기덕트(11)를 천천히 여닫게 되어 배기덕트(11)의 오픈시와 밀폐시 '탁탁'하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둘째, 화재시나 건물의 정전시, 전원스위치(16)의 오프시 등의 전원의 차단시 슈퍼콘덴서(37)에 충전된 전류로 정역모터(14)가 역회전되도록 구동되고 마개(12)가 닫히도록 하여 배기덕트(11)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배기덕트(11)가 밀폐시 전류가 충전된 전해콘덴서(33)로 부터 릴레이(35)에 약 3.5 ~ 4초간 전류가 공급되어 정역모터(14)가 3.5 ~ 4초 지연된 후 역회전되어 배기덕트(11)가 묀폐되므로 배기팬을 오프시켜도 일정시간 배기팬이 더 회전됨에 따라 배기덕트(11) 내에 공기압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가되는 공기압에 의해 팬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일측 단부가 얇게 형성되고 배기덕트(11) 내주면에 묀착되도록 마개(12)의 단부에 부착구비되는 패킹(15)이 더구비되므로 배기덕트(11)의 묀폐시 배기덕트(11) 내부에 어느 정도의 공기압이 발생되면 패킹(15)의 얇게 형성된 단부가 벌어지면서 배기덕트(11) 내주면의 대응부에 더 밀착되어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화재가 발생되어 불길이 배기덕트(11)를 통해 실내로 유입시 불길의 고온에 의해 퓨즈(42)가 끊어지면서 정역모터(14)의 전원이 차단되며, 이에 따라 마개(12)가 닫히면서 배기덕트(11)를 밀폐시키게 되므로 불길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은 종전 릴레이에 의해 배기덕트의 마개를 개폐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 방식으로써, 장기간 사용에 따른 돌기 노화로 인해 접촉불량 및 내구성이 저하되어 유지보수율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이에, 상술한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출원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는 특허등록 제936164호(1차 개선 발명이라 함)의 기술내용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구동방식 대신 동판을 이용한 컨텍트 플레이트를 구현함으로써, 종전 릴레이에 의해 배기덕트의 마개를 개폐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 방식으로부터 발생되었던 접촉불량 및 돌기의 내구성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릴레이와 정역모터에 의해 회전하되 판형 스위치를 갖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과 대응되는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는 반원호 형태의 동판 패턴 즉, 접지판이 서로 면접촉하며 회전되는 컨텍트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전원공급 유무에 따른 마개의 개폐시 전기적인 안정성과 동작 신뢰성이 확보됨은 물론 시스템 댐퍼 자체의 내구성이 개선되며 향후 유지보수율이 낮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1차 개선 발명은 동판 패턴 즉, 접지판에 이물질이 끼거나 계절적 영향 또는 환경적(화장실 등) 영향에 의해 동판이 산화되어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정확한 개폐 성능을 구현하지 못하여 제품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발명 및 1차 개선 발명은 충전을 위한 수퍼콘덴서(또는 콘덴서)에 지속적인 과충전이 발생되어 장치의 수명이 짧고 기타 부품 소자의 훼손을 야기하는 등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댐퍼용 교류식 DC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동작 회로 중 전압을 변환하기 위한 트랜스 소자를 생략 또는 제거하도록 하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별도의 평활회로를 회상 상에 구비하여 댐퍼용 모터 제작시 회로 소자(트랜스)의 생략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이에 제품 생산성이 개선됨은 물론 충전부의 입구 회로 상에 과충전 방지용 제노다이오드와 과부하 방지용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콘덴서의 용량보다 낮은 저전압이 일정하게 충전되도록 하되, 충전 가동은 댐퍼의 개폐용 원형판이 완전히 열린 후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과충전과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 내구성과 정밀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DC모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댐퍼 내부의 개폐용 원판을 열림 또는 닫힘시키도록 하는 댐퍼용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전원(CON1,CON2)이 입력되는 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인가된 입력전압 220V를 47Ω/5w의 저항(R1)에 통과시켜 전압을 감압시키고, 감압된 전압은 저항(R4), 마일러콘덴서(C1)와 브리지다이오드(BD1)를 통과하면서 정류되면 콘덴서(EC1)에 의해 평활하도록 하는 정류부(200)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평활된 전압은 저항(R2)과 직렬로 연결된 제노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정전압 제어부(300)와; 상기 정전압 제어부의 일측에 저항(R3)과 직렬로 연결된 제노다이오드(ZD2)가 형성되어 일정한 전압을 콘덴서에 충전하도록 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과충전 방지부(400)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은 저항(R5)과 TR(Q1)을 통해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500)와; 상기 정류부(200)로부터 연결된 릴레이(RL1)에 의해 복수의 스위치 중 열림용 스위치(SW1) 또는 닫힘용 스위치(SW2)가 인가되도록 하되, 상기 릴레이는 정역모터의 커플링(30)을 0°또는 90°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동부(6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기 충전부(500)는 TR(Q1) 일측에 LOW 전압 인가용 다이오드(D1)가 형성되어 댐퍼의 개폐용 원형판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Q1 베이스에 LOW 전압이 인기되면 이후 충전을 시작하도록 하여 과부하가 방지회로(5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댐퍼용 DC모터는 충전부의 회로 상 일측에 개폐용 원형판이 열림시 표시등(LED1)이 점등되고, 닫힘시 소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작 회로 중 전압을 변환하기 위한 트랜스 소자를 생략 또는 제거하도록 하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별도의 평활회로를 회상 상에 구비하여 댐퍼용 모터 제작시 회로 소자(트랜스)의 생략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이에 제품 생산성이 개선됨은 물론 충전부의 입구 회로 상에 과충전 방지용 제노다이오드와 과부하 방지용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콘덴서의 용량보다 낮은 저전압이 일정하게 충전되도록 하되, 충전 가동은 댐퍼의 개폐용 원형판이 완전히 열린 후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과충전과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 내구성과 정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대체형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DC모터의 회로를 나타낸 일 예시도,
도 2 내지 도 5는 종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1차 개선 발명을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C모터는 댐퍼 내부의 개폐용 원판을 열림 또는 닫힘시키도록 하는 댐퍼용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입력부, 정류부, 정전압 제어부, 과충전 방지부, 충전부 및 구동부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부(100)는 전원(CON1,CON2)이 입력되도록 하는 바, 상기 인입되는 전원은 220V 이다.
이에, 상기 정류부(200)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인가된 입력전압 220V를 47Ω/5w의 저항(R1)에 통과시켜 전압을 감압시키고, 감압된 전압은 저항(R4), 마일러콘덴서(C1)와 브리지다이오드(BD1)를 통과하면서 정류되면 콘덴서(EC1)에 의해 평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평활회로에 준하는 마일러콘덴서는 종전의 트랜스를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소자의 생략 또는 제거로 인해 댐퍼 제작시 원가절감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전압 제어부(300)는 상기 정류부로부터 평활된 전압은 저항(R2)과 직렬로 연결된 제노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노다이오드(ZD1)의 설정 값에 평활된 전압은 일정한 전압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노이즈 등과 같은 오작동, 회로 오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과충전 방지부(400)는 상기 정전압 제어부의 일측에 저항(R3)과 직렬로 연결된 제노다이오드(ZD2)가 형성되어 일정한 전압을 콘덴서(EC2,EC3)에 충전하도록 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노다이오드(ZD2)는 저항(R3)과 함께 일정한 전압을 분기시키도록 형성되어 콘덴서에 일정한 전압이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과충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충전부(500)는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은 저항(R5)과 TR(Q1)을 통해 충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기 충전부(500)는 TR(Q1) 일측에 LOW 전압 인가용 다이오드(D1)가 형성되어 댐퍼의 개폐용 원형판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Q1 베이스에 LOW 전압이 인기되면 이후 충전을 시작하도록 하여 과부하가 방지회로(5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600)는 상기 정류부(200)로부터 연결된 릴레이(RL1)에 의해 복수의 스위치 중 열림용 스위치(SW1) 또는 닫힘용 스위치(SW2)가 인가되도록 하되, 상기 릴레이는 정역모터의 커플링(30)을 0°또는 90°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댐퍼용 DC모터는 충전부의 회로 상 일측에 개폐용 원형판이 열림시 표시등(LED1)이 점등되고, 닫힘시 소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표시등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열림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 안전성을 배려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입력부 200 ... 정류부
300 ... 정전압 제어부 400 ... 과충전 방지회로
500 ... 충전부 600 ... 구동부

Claims (3)

  1. 댐퍼 내부의 개폐용 원판을 열림 또는 닫힘시키도록 하는 댐퍼용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전원(CON1,CON2)이 입력되는 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인가된 입력전압 220V를 47Ω/5w의 저항(R1)에 통과시켜 전압을 감압시키고, 감압된 전압은 저항(R4), 마일러콘덴서(C1)와 브리지다이오드(BD1)를 통과하면서 정류되면 콘덴서(EC1)에 의해 평활하도록 하는 정류부(200)와;
    상기 정류부로부터 평활된 전압은 저항(R2)과 직렬로 연결된 제노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정전압 제어부(300)와;
    상기 정전압 제어부의 일측에 저항(R3)과 직렬로 연결된 제노다이오드(ZD2)가 형성되어 일정한 전압을 콘덴서에 충전하도록 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과충전 방지부(400)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은 저항(R5)과 TR(Q1)을 통해 콘덴서(EC2,EC3)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500)와;
    상기 정류부(200)로부터 연결된 릴레이(RL1)에 의해 복수의 스위치 중 열림용 스위치(SW1) 또는 닫힘용 스위치(SW2)가 인가되도록 하되, 상기 릴레이는 정역모터의 커플링(30)을 0°또는 90°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동부(6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DC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500)는 TR(Q1) 일측에 LOW 전압 인가용 다이오드(D1)가 형성되어 댐퍼의 개폐용 원형판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Q1 베이스에 LOW 전압이 인기되면 이후 충전을 시작하도록 하여 과부하가 방지회로(5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DC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500)는 회로 상 일측에 개폐용 원형판이 열림시 표시등(LED1)이 점등되고, 닫힘시 소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DC모터.
KR1020120041275A 2012-04-20 2012-04-20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KR101260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75A KR101260883B1 (ko) 2012-04-20 2012-04-20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75A KR101260883B1 (ko) 2012-04-20 2012-04-20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883B1 true KR101260883B1 (ko) 2013-05-06

Family

ID=4866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275A KR101260883B1 (ko) 2012-04-20 2012-04-20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30B1 (ko) 2019-07-05 2020-08-28 한미순 주방용 후드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30B1 (ko) 2019-07-05 2020-08-28 한미순 주방용 후드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8703B2 (en) Portable chargers having power factor correction capability for use with electric vehicles
CN105864970A (zh) 一种用于调整空调的消耗功率的方法及装置
WO2012107474A3 (de) Elektromotorischer möbelantrieb mit einer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CN205319539U (zh) 一种便捷性高的多功能配电柜
WO2021243072A1 (en) A microgrid system controller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microgrid
KR101260883B1 (ko)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KR101270450B1 (ko) 자동 배기댐퍼
EA202090657A3 (ru) Лифт
KR101252183B1 (ko) 시스템 댐퍼
KR20160013628A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101778619B1 (ko)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853455A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电热毯电路
CN204614748U (zh) 一种保护开关
KR101195060B1 (ko) 무접점 모터 제어회로를 갖는 댐퍼용 정역모터
KR20100103066A (ko) 덕트용 댐퍼
KR101042905B1 (ko) 가동 정밀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고 과충전 방지 회로가 구비되는 댐퍼용 모터
KR100936164B1 (ko) 면접촉 스위칭식 컨텍트 플레이트를 갖는 시스템 댐퍼
KR20180066002A (ko) 전류를 제한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용 협력 및 출력 시스템
KR101346129B1 (ko) 회전 마개판 닫힘 지연기능이 구비된 교류식 전동 댐퍼
KR200443840Y1 (ko) 댐퍼 제어장치
KR102149230B1 (ko) 주방용 후드 제어장치
KR101591979B1 (ko)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CN201345765Y (zh) 多路触摸定时开关
CN201741001U (zh) 空调及照明节能管理设备
CN206542609U (zh) 一种用于电梯轿厢照明节能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