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979B1 -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 Google Patents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979B1
KR101591979B1 KR1020140034984A KR20140034984A KR101591979B1 KR 101591979 B1 KR101591979 B1 KR 101591979B1 KR 1020140034984 A KR1020140034984 A KR 1020140034984A KR 20140034984 A KR20140034984 A KR 20140034984A KR 101591979 B1 KR101591979 B1 KR 10159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opening
closing plat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560A (ko
Inventor
정명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to KR102014003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7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외를 환기시키는 배기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교류의 상용전원을 직류로 만든 후에 다시 안정적인 교류로 만들어 모터에 공급하여 개폐판를 회동시키는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는 건물의 실내외를 연통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덕트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을 회동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변압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의 변압전원을 직류화하는 직류부와, 상기 직류부의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원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교류부와, 상기 교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Ventilation damper drived by AC motor}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외를 환기시키는 배기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교류의 상용전원을 직류로 만든 후에 다시 안정적인 교류로 만들어 모터에 공급하여 개폐판를 회동시키는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에는 옥상으로 연통되는 공동구가 설치되고, 이 공동구에는 건물의 각 실내로 연통되는 환기덕트가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분기된 환기덕트에는 어느 실내의 공기가 다른 실내로 유입되어 영향을 주지 않도록 댐퍼가 설치된다.
이러한 댐퍼에 의하면, 예컨데,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할 경우에는 욕실이나 안방의 환기덕트에 설치된 댐퍼는 폐쇄되고 해당 환기덕트의 댐퍼는 개방되어, 요리시 발생되는 연기가 욕실이나 안방으로 유입되지 않고 건물의 공동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각 환기덕트의 댐퍼는 필요한 실내의 환기를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외부의 화재시, 내부의 화재시에도 유독가스가 공동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막기에 필수적인 구조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댐퍼는 공기의 유통 경로를 제공하는 파이프 형태의 덕트와,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덕트의 내면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판과, 덕트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기댐퍼는 욕실의 조명장치나 주방의 랜지후드장치 등을 가동시키는 스위치나 배기댐퍼를 단독으로 구동시키는 스위치가 온되면, 외부전원(통상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어 모터가 정회전(또는 역회전)하여 개폐판을 회전시켜 덕트를 개방시키고, 스위치가 오프되어 외부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구동모터가 정회전(또는 역회전)하여 개폐판을 회전시켜 덕트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이때 외부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원은 외부전원의 차단 전에 외부전원으로 충전되는 충전소자가 방전하는 전원을 사용한다.
배기댐퍼의 모터는 컨트롤러가 공급하는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으로 구동되는데, 본 발명과 관련하여 모터가 교류전원으로 구동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기댐퍼는 교류전원인 상용전원을 트랜스로 강압하여 모터에 구동전원으로 공급한다.
그런데 상용전원은 다소 불안정한 전원으로 서지 등의 외부요인으로 전압의 세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수시로 변한다.
그래서 상용전원을 강압하여 모터의 구동전원으로 사용하면 불안정한 전원으로 모터가 손상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불안정한 상용전원을 전압강하하여 그대로 모터에 공급할 것이 아니라, 전압강화된 상용전원을 안정화시켜 일정한 세기의 교류전원으로 만들어서 모터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배기댐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665265호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구조", 등록특허 제10-1270450호 "자동 배기댐퍼", 등록특허 제10-1139293호 "전동 댐퍼" 등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모터가 교류전원으로 구동되는 배기댐퍼에서 종래기술이 교류전원인 상용전원을 전압강하 한 후에 그대로 모터에 공급하고 있어서, 모터에 불안정한 교류전원이 공급되어 모터가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압강하된 상용전원을 직류화하여 안정화시킨 후에 다시 스위칭하여 교류전원으로 만들어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는
건물의 실내외를 연통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덕트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을 회동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변압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의 변압전원을 직류화하는 직류부와,
상기 직류부의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원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교류부와,
상기 교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직류부의 직류전원으로 충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방전되어 상기 교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트랜스에 PWM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PWM부와,
상기 트랜스의 출력전원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상기 PWM부로 전송하는 포토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트랜스의 1차측에 권선되어서 유기되는 전원을 상기 PWM부에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제1보조권선과,
상기 트랜스의 2차측에 권선되는 제2보조권선과,
상기 제2보조권선에 유기되는 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정전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는 트랜스를 통해 전압강화된 상용전원을 직류화하여 안정시킨 후에 다시 스위칭하여 그 세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정적인 교류전원으로 만들어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에서 컨트롤러의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에서 덕트와 개폐판 등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는 덕트(21), 개폐판(30), 모터(40), 컨트롤러(1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우선,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10)는 정류부(11), 트랜스(T1), 직류부(12), 교류부(15), 제어부(U3), 충전부(14), PWM부(U1), 감지부(13), 포토커플러(PC1), 정전압부(1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류부(11)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화된 정류전원을 만든다.
상기 정류부(11)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전파정류하는 브릿지다이오드(BD1)와, 브릿지다이오드(BD1)에서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는 캐패시터(C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다이도(BD1) 앞에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과전류와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퓨즈(F1)와 써멀저항(RT1) 등이 연결된다.
상기 트랜스(T1)는 상기 정류부(11)가 출력하는 정류전원을 변압하여 강압시킨다.
상기 트랜스(T1)의 1차측에는 제1보조권선(t1)이 권선되고, 상기 제1보조권선(t1)에 유기되는 전원은 다이오드(D2)를 통해 PWM부(U1)로 입력되어 구동전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에는 제2보조권선(t2)이 권선되고, 상기 제2보조권선(t2)에 유기되는 전원은 정전압부(16)로 공급된다.
상기 정전압부(16)는 상기 제2보조권선(t2)이 공급하는 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제어부(U3)에 구동전원으로 공급한다.
상기 정전압부(16)는 상기 제2보조권선(t2)이 공급하는 전원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5)와,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는 캐패시터(C4)와, 정전이 사용자의 조작 등의 이유로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이를 제어부(U3)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저항(R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직류부(12)는 상기 트랜스(T1)가 출력하는 변압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만든다.
상기 직류부(12)는 상기 트랜스의 2차측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반파정류하는 다이오드(D3, D4)와, 상기 다이오드(D3, D4)에서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하는 캐패시터(C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PWM부(U1)는 상기 트랜스(T1)의 1차측을 스위칭하여서 상기 정류부(11)가 출력하는 정류전원이 교류형태로 트랜스(T1)의 1차측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PWM부(U1)는 IC칩으로 이루어지고, IC칩 내부에 스위칭 동작하는 FET가 내장된다.
상기 PWM부(U1)와 상기 정류부(11)의 출력라인은 다이오드(D1)와 TVS다이오드(TVS1)로 연결되어서, 순간적인 서지 과전압이 인가되는 때에 서지 과전압이 PWM부(U1)로 입력되지 않고 정류부(11)측으로 흐르도록 하여 PWM부(U1), 특히 내장된 FET를 보호한다.
상기 감지부(13)는 상기 트랜스(T1)의 출력전원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포토커플러(PC1)를 통해 상기 PWM부(U1)로 전송하여, 상기 PWM부(U1)가 스위칭하는 듀티비(펄스폭)를 조절하여 트랜스(T1)가 일정한 크기의 변압전압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13)는 상기 트랜스(T1)의 출력전원을 전압분배하여 감지하는 두 저항(R6, R7)과, 상기 두 저항(R6, R7)에 분배된 전압에 따라 상기 포토커플러(PC1)의 포토다이오드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는 저항(R5), 캐패시터(C5), 제너다이오드(U2)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14)는 상기 직류부(12)가 출력하는 직류전원으로 충전되며, 상기 제어부(U3)의 제어에 의해 방전되어서 상기 교류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충전부(14)는 전원이 충전되는 복수의 캐패시터(C7, C8, C9)와, 상기 제어부(U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캐패시터(C7, C8, C9)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도록 하는 SCR(U4, U5, U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정전이나 사용자의 조작 등의 원인으로 외부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상기 SCR(U4, U5, U6)을 턴온시켜 상기 캐패시터(C7, C8, C9)의 전원이 방전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부(14)와 상기 직류부(12) 사이에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저항(RT2)과, 다이오드(D7)가 구비된다.
상기 저항(RT2)과 다이오드(D7)는 충전부(14) 측의 전압이 직류부(12) 측의 전압 보다 높으면 충전부(14)측에서 직류부(12) 측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충전부(14)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교류부(15)는 상기 제어부(U3)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하여 상기 직류부(12)가 출력하는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공급한다.
상기 교류부(15)는 모터의 공통선에 연결되는 한 쌍의 FET(Q3, Q9)와, 모터의 오픈선에 연결되는 한 쌍의 FET(Q2, Q8)과, 모터의 클로즈선에 연결되는 한 쌍의 FET(Q1, Q7)와, 상기 FET(Q1, Q2, Q3, Q7, Q8, Q9)들 각각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주변소자들(R10~R21, Q4, Q5, Q6)을 포함한다.
개폐판을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U3)는 모터의 공통선에 연결되는 한 쌍의 FET(Q3, Q9)와, 모터의 오픈선에 연결되는 한 쌍의 FET(Q2, Q8)를 구동시키고, 개폐판을 폐쇄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U3)는 모터의 공통선에 연결되는 한 쌍의 FET(Q3, Q9)와, 모터의 클로즈선에 연결되는 한 쌍의 FET(Q1, Q7)를 구동시킨다. 이때 각각의 한 쌍의 FET(Q3, Q9 / Q2, Q8 / Q1, Q7)는 서로 반대가 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상기 제어부(U3)는 상기 교류부(15)를 제어하여 개폐판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교류전원이 모터에 공급되도록 하고, 외부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부(14)가 방전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처리한다.
그리고 댐퍼의 앞에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팬(또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실내로 유입시키는 유입팬)이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U3)는 상기 배기팬(또는 흡기팬)의 구동도 제어하여서, 개폐판(30)이 개방된 경우에 배기팬이 구동되어 배기작용이 행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기 덕트(21)와 개폐판(30) 등을 설명한다.
상기 덕트(21)는 건물의 내외부를 연결하여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개폐판(30)은 외부의 물기와 먼지 등이 덕트(21)를 통해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상기 덕트(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덕트(21)를 개폐시킨다.
상기 개폐판(30)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4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덕트(21)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상기 개폐판(30)은 상기 덕트(21)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덕트(21)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차(틈새)가 있어서, 상기 개폐판(30)이 덕트(2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공차를 통해서 외부의 물기와 먼지 등이 내부로 침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개폐판(30)과 덕트(21) 내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물기와 먼지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개폐판(30)의 테두리에 연질의 밀폐패드(50)를 결합시켜서 틈새를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패드(50)의 직경(외경)은 상기 덕트(21)의 내경 보다 길어서 상기 밀폐패드(50)는 상기 덕트(21)의 내면에 면접촉식으로 접촉되어 밀착된다.
상기 밀폐패드(5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우수한 탄성력(복원력)을 가져서,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 없이 상기 덕트(21)의 내면에 면접촉 방식으로 밀착된다.
상기 개폐판(30)은 상기 컨트롤러(10)로 제어되는 상기 모터(40)에 의해 회전을 하고, 개폐판(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밀폐패드(50)는 덕트(21)의 내면에 밀착되거나 분리되어서 덕트(21)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덕트(21)의 개폐를 위한 개폐판(30)의 회전방식은 3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 한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계속해서 90도씩 회전하는 방식과, 둘째,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교대로 90도씩 회전하는 방식과, 셋째, 정방향으로 90도씩 두번 회전하고 다시 역방향으로 90도씩 두번 회전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밀폐패드(50)가 상기 개폐판(30)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상기 교체수단(60)은
상기 밀폐패드(50)의 내측에서 양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개폐판(30)의 테두리 양측면을 각각 덮는 분기부(61)와,
상기 분기부(61)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끼움링(63)과,
상기 개폐판(30)에 형성되어서 상기 끼움링(63)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65)과,
상기 안착홈(65)의 위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끼움링(63)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부(67)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부(61)와 끼움링(63)은 상기 밀폐패드(50)와 일체를 이루어, 다시 말해 한번의 사출성형으로 상기 밀폐패드(50)에 상기 분기부(61)와 끼움링(63)이 구비되도록 제조된다.
상기 안착홈(65)과 상기 가압부(67) 간의 최소 이격 거리는 상기 끼움링(63)의 직경 보다 작아서, 상기 끼움링(63)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안착홈(65)과 가압부(67) 사이를 통과하여 안착홈(65)에 안착되고, 그에 따라 우발적인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끼움링(63)이 안착홈(65)에서 분리되지 아니하고,
상기 가압부(67)는 상기 끼움링(63)을 가압하여 끼움링(63)이 안착홈(65)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간의 틈새를 통해 물기나 먼지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패드(50)와 분기부(61) 그리고 끼움링(63)은 탄성을 갖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져서, 작업자는 밀폐패드(50)의 내측을 잡아당겨서 분기부(61)가 개폐판(30)의 테두리를 덮도록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다음으로 끼움링(63)을 가압부(67)와 안착홈(65) 사이로 밀어넣어 억지끼움식으로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서,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밀폐패드(50)의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 탈착수단(70)은 상기 밀폐패드(50)의 교체를 위해서 상기 개폐판(30)이 상기 덕트(21)에서 분리되고 재결합되도록 한다. 즉, 탈착 가능하게 한다.
우선, 상기 개폐판(30)이 상기 모터(40)에 의해 덕트(21)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폐판(30)의 대향되는 위치의 양측에는 힌지핀(31)과 모터축핀(33)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31)은 상기 덕트(21)의 내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모터축핀(33)은 상기 덕트(21)의 내면을 관통하여 모터축에 축설되어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개폐판(30)을 회전시킨다.
상기 탈착수단(70)은
상기 덕트(21)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핀(31)의 내측 외주연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날개(71)와,
상기 힌지핀(31)이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판(30)에 구비되는 끼움홈(72)과,
상기 걸림날개(71)가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홈(72)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73)과,
상기 끼움홈(72)에 내장되어서 상기 힌지핀(31)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74)과,
상기 걸림날개(71)의 표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코(75)와,
상기 걸림홈(73)의 입구 내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코(75)가 걸리는 걸림턱(76)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날개(71)는 상기 걸림홈(73)에 걸려서 상기 개폐판(30)이 회전할 때 상기 힌지핀(31)이 함께 회전을 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코(75)는 상기 걸림턱(76)에 걸려서 상기 끼움홈(72)으로 삽입된 힌지핀(31)이 끼움홈(72)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림코(75)와 걸림턱(76)은 상기 걸림날개(71)가 걸림홈(73)으로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은 가능하지만 삽입된 후에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74)은 상기 힌지핀(31)을 내측에서 탄성지지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힌지핀(31)이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판(30)을 상기 덕트(21)에 결합시킬 때에는 작업자는 상기 힌지핀(31)을 눌러 힌지핀(31)을 개폐판(30) 내측으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개폐판(30)을 덕트(21) 내부로 밀어 넣고 개폐판(30)을 이동시켜 모터축핀(33)을 먼저 모터축에 축설시키고 다음으로 힌지핀(31)을 끼움홈(72)에 일치시키면 힌지핀(31)이 스프링(74)에 의해 인출되어 끼움홈(72)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개폐판(30)을 상기 덕트(21)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작업자는 상기 힌지핀(31)을 눌러 힌지핀(31)을 끼움홈(72)에서 분리시킨 후에 개폐판(30)을 잡아당겨 모터축핀(33)이 모터축에서 분리되도록 한 후에 개폐판(30)을 덕트(21)에서 분리시키거나, 작업자는 개폐판(30)을 잡아당겨 모터축핀(33)을 먼저 모터축에서 분리시킨 후에 힌지핀(31)을 눌러 힌지핀(31)을 끼움홈(72)에서 분리시킨 후에 개폐판(30)을 덕트(21)에서 분리시키면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31)이 위와 같은 탈착수단(70)을 통해 인출입되는 것처럼 상기 모터축핀(33)도 인출입도도록 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은 위와 같은 교체수단(60)과 탈착수단(70)을 구비하여서, 장기 사용에 의해 밀폐패드(50)가 마모되어 손상되거나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 밀폐패드(50)만을 간단히 교체하면 되어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그리고 회로도를 갖는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컨트롤러 21 : 덕트
30 : 개폐판 40 : 모터
50 : 밀폐패드 60 : 교체수단
70 : 탈착수단

Claims (4)

  1. 건물의 실내외를 연통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덕트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을 회동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변압하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의 변압전원을 직류화하는 직류부와,
    상기 직류부의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원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교류부와,
    상기 교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폐판의 테두리에 결합되어서 개폐판과 덕트의 내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물기와 먼지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패드;와,
    상기 밀폐패드가 상기 개폐판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교체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교체수단은
    상기 밀폐패드의 내측에서 양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개폐판의 테두리 양측면을 각각 덮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의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끼움링과,
    상기 개폐판에 형성되어서 상기 끼움링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위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끼움링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직류부의 직류전원으로 충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방전되어 상기 교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폐패드의 교체를 위해서 상기 개폐판이 상기 덕트에서 분리되고 재결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덕트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핀의 내측 외주연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날개와,
    상기 힌지핀이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판에 구비되는 끼움홈과,
    상기 걸림날개가 인출입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홈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끼움홈에 내장되어서 상기 힌지핀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걸림날개의 표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코와,
    상기 걸림홈의 입구 내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코가 걸리는 걸림턱(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트랜스에 PWM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PWM부와,
    상기 트랜스의 출력전원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상기 PWM부로 전송하는 포토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트랜스의 1차측에 권선되어서 유기되는 전원을 상기 PWM부에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제1보조권선과,
    상기 트랜스의 2차측에 권선되는 제2보조권선과,
    상기 제2보조권선에 유기되는 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정전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KR1020140034984A 2014-03-26 2014-03-26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KR10159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84A KR101591979B1 (ko) 2014-03-26 2014-03-26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84A KR101591979B1 (ko) 2014-03-26 2014-03-26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560A KR20150111560A (ko) 2015-10-06
KR101591979B1 true KR101591979B1 (ko) 2016-02-26

Family

ID=5434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984A KR101591979B1 (ko) 2014-03-26 2014-03-26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218A (zh) * 2016-08-10 2016-11-09 深圳市霍尔新风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新风净化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45Y1 (ko) 2004-05-07 2004-07-27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시스템 댐퍼
KR101139293B1 (ko) 2011-11-15 2012-04-26 (주)태성이엠씨 전동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64B1 (ko) * 2008-03-31 2010-10-25 박희성 홈 네트웍 통신에 의한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환기유니트전동댐퍼용 액츄에이터
KR20100103066A (ko) * 2009-03-13 2010-09-27 (주)천일전기 덕트용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45Y1 (ko) 2004-05-07 2004-07-27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시스템 댐퍼
KR101139293B1 (ko) 2011-11-15 2012-04-26 (주)태성이엠씨 전동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560A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633B2 (en) Smart thermostat with active power stealing an processor isolation from switching elements
US20090117843A1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GB2439003A (en) A power supply
KR101591979B1 (ko) Ac모터로 구동되는 배기댐퍼
JP2010199762A (ja) トライアック制御・安定化電源回路を有する電子式スイッチ
KR101432799B1 (ko) 유무선 융합 기술을 이용한 자동제어 시스템
EP3517851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CN105929326A (zh) 开关载波隔离监测装置及应急电源
EP3288341A2 (en)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source module thereof
TWM564744U (zh) Power supply device with fan full speed operation switch
KR2011002630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1741001U (zh) 空调及照明节能管理设备
KR101366509B1 (ko) 회전 마개판 닫힘 지연기능이 구비된 교류식 전동 댐퍼
KR101260883B1 (ko) 평활회로가 구비된 댐퍼용 디씨모터
CA2669467A1 (en) Electrical timer system that automatically operates over different supply voltages
CN206442018U (zh) 一种配电箱
KR102149230B1 (ko) 주방용 후드 제어장치
KR200435310Y1 (ko) 비상 유도등
JP2011242068A (ja) 換気装置
KR20150068161A (ko) 정전시 비상회로를 갖는 자동 가변식 볼륨 댐퍼
KR101389358B1 (ko) 온습도 감시 기능을 갖는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용 제어 패널
KR102536962B1 (ko) 주제어 및 인버터 제어를 일체화한 창문형 에어컨의 제어 회로 장치
WO2022218266A1 (zh) 控制器、空调及高压保护电路
CN109442525B (zh) 一种抽油烟机补风通风器
US20240171094A1 (en) Regu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