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956B1 -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 Google Patents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956B1
KR101251956B1 KR1020100114011A KR20100114011A KR101251956B1 KR 101251956 B1 KR101251956 B1 KR 101251956B1 KR 1020100114011 A KR1020100114011 A KR 1020100114011A KR 20100114011 A KR20100114011 A KR 20100114011A KR 101251956 B1 KR101251956 B1 KR 10125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fiber
refractive index
polymer
organic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726A (ko
Inventor
함완규
김민선
전현애
신승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4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9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은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 또는 방사시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따라 유기섬유의 굴절률을 정밀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제어된 유기섬유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시킨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는 종래 고가의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을 일치시키는 방법이 아닌,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될 유기섬유의 굴절률(n)을 제어하므로, 보다 용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에 의해 제공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의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될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이 정밀히 제어되어 복합화됨으로써, 고품질의 편광특성과 고 투광성이 구현되므로 반사형 편광필름을 비롯한 전자재료 및 산업용 복합소재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MEHTOD FOR CONTROLLING REFRACTIVE INDEX OF ORGANIC FIBER, ORGANIC FIBER MANUFACTURED THEREBY AND POLYER-ORGANIC FIBER COMPOSITE FOR HIGH TRANSPARENCY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 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 또는 방사시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따른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정밀 제어된 유기섬유 및 그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시켜 고품질의 편광특성과 고 투광성이 구현된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섬유간의 굴절률 제어기술 또는 편광 설계기술을 이용하여 섬유의 광학특성을 발현시키는 소재개발분야는 편광소자(Polarizer)를 포함하는 반사형 편광소재를 비롯하여 차세대 반도체 기판, PCB(printed circuit board), 패키징(packaging), OTFT(Organic Thin Film Transistor),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flexible display substrate)등의 전기, 전자, 반도체, 광학 및 디스플레이 소재 및 투광성을 요하는 산업용, 운송용, 인테리어용 고분자 섬유 복합재 분야로 그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도 1에서 편광자의 기능을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자연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즉 편광) 되도록 한다. 특히, LCD는 액정의 복굴절을 이용하므로 액정 분자에 입사되는 빛의 진동 방향을 조절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도 2에 도시된 편광필름의 구성을 살펴보면, PVA(Poly Vinyl Alcohol)에 요오드나 염료를 염착시켜 편광특성을 제어하는 편광자(100')와 이를 보호하는 등방성필름(Isotrophic Film)인 TAC(Triacetyl cellulose)소재의 필름(120, 130)이 편광자 양쪽에 위치해 있고, 패널의 상판과 하판에 부착하기 위해 점착제(Adhesive, 150)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를 보호하는 이형필름(Release Film, 160)과 편광필름의 표면을 보호하는 PET보호필름(140)이 부착되어 편광필름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상업화되고 있는 광흡수형 편광소자(dichroic type polarizer)로서 PVA계 소자의 경우, 99.9% 이상의 높은 편광성이 알려져 있지만, 낮은 광투과율(실제품 기준 41.6∼44.0%, 이론 광투과율= 46%) 및 입사된 광 에너지 50% 이상이 열로서 손실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제품 수율 측면이 약 60% 수준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개선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기술적 한계에 도달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광흡수형이 아닌 반사형 편광소자를 이용할 경우 이론적으로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는 완벽한 편광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는 보고이래 반사형 편광소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형 편광필름은 입사광 성분 중, 한쪽 성분은 통과하고, 나머지 한쪽 성분은 반사시켜 하부의 시트 등에서 반사가 일어나 재입사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는 리사이클링(polarizing recycling) 원리에 따라, 편광기능 및 투과광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리에 따라 반사형 편광필름의 경우, 편광기술을 응용해 특정 빛은 내보내고, 특정 빛은 연속적으로 반사시켜, 이론적으로 빛의 손실 없이 입사광을 100% 리사이클링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형 편광필름보다 우수한 광효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반사형 편광필름 역시 상업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는 아직까지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반사형 편광필름의 물성향상을 위한 복합소재로서, 광학특성을 발현하는 섬유와의 복합화하는 기술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섬유소재로서 무기소재에서 유기섬유 소재개발로 전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섬유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유기 섬유 고분자는 길이 방향과 단면 방향간의 굴절률차가 대단히 큰 특성을 가지며, 그로 인해 배향된 섬유들을 굴절률이 일정한 고분자 수지 내에 일정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열한 후 함침시킨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의 경우는 에너지 손실이 없는 고유한 반사형 편광필름에서 보이는 광학적 특징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고분자-유기 섬유복합체는 편광특성과 함께 높은 투광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일반 유기섬유를 사 용한 섬유 복합체는 섬유의 굵기, 매트릭스와의 굴절률 차이 등의 문제로 높은 투광성 확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용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고분자-유기 섬유복합체 시스템에서 투광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체 중의 무기재료, 섬유 등의 필러 크기, 굴절률, 필러 함량, 필름두께 및 파장 등에 의존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74859121-pat00001
(상기 식에서, I。: 입사광의 세기, I: 투과광의 세기, nm: 고분자 수지의 굴절률, np: 필러의 굴절률, r: 필러의 직경, x: 필름두께, Φ: 첨가제의 양이다.)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듯이 고분자-유기 섬유복합체의 고유한 편광특성을 발현시키면서 높은 투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매트릭스인 고분자 수지와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단면 방향)의 굴절률(n) 차이를 0.002이하로 최소화하는 정밀한 제어가 요구되나, 현실적으로 0.002 수준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고분자 수지 및 유기섬유 선정이 어렵고, 굴절률 제어작업이 복잡하기에 상용화에 한계가 있어 왔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을 섬유 굴절률(n)에 일치시키려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는 바, 섬유에 맞는 특정 굴절률을 갖는 고가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선정하고 대량 확보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범용의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에, 복합화될 섬유의 굴절률(n)을 제어하여 정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면, 향후 고품질의 편광특성과 고 투광성을 갖춘 고분자-유기 섬유복합체를 보다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에 따른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따른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제어되는 유기섬유 및 상기 유기섬유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화합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에 따른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은 상기 방사 후, 연신비 1.1 이상의 연신 공정이 더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따라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유기섬유에 사용되는 원료인 유기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페닐설파이드(PPS)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액정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융방사시, 단성분 방사 또는 이성분 이상의 유기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복합방사에 의해 유기섬유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경우, 유기섬유는 원형단면; 또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형, Y형, +형, #형 및 *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이형단면;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굴절률의 제어방법에 의해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이 제어된 유기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섬유는 섬유직경이 500㎛ 이하의 섬유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유기섬유는 제어된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ㅗ) 값으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복굴절률이 산출되는데,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복굴절률(Δn×103)을 가진다.
수학식 2
Δn = n// - n
(상기에서, n// 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이고, n는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방향의 굴절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제어되는 유기섬유가 직물, 편물, 부직포,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층섬유(unidirection multilayer) 및 쇼트 컷(short cut)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어,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시트, 필름 또는 용융체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된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의 복합화 방법은 유기섬유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온도조건에서 가압처리하여 유기섬유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되는 것이다.
또 다른 복합화방법으로는 유기섬유가 고분자 매트릭스로서, 광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 함유용액에 함침처리되어 복합화되는 것이다.
이때, 고분자 매트릭스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설파이드(PPS)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액정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에 따라 유기섬유의 굴절률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의해 유기섬유의 굴절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섬유 제조시 방사속도 조건 및 연신 조건에 따라, 유기섬유의 굴절률이 선형적인 변화거동을 보임으로써, 유기섬유의 굴절률 특히,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선형적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제어된 유기섬유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될 유기섬유의 굴절률(n)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보다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될 유기섬유간의 굴절률차가 정밀히 제어되어 복합화됨으로써, 고품질의 편광특성과 고 투광성이 구현되므로 반사형 편광필름을 비롯한 전자재료 및 산업용 복합소재로 유용하다.
도 1은 종래 편광자의 기능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편광자를 이용한 편광필름의 기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섬유의 제조공정에서 방사 및 인라인 연신 공정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섬유 제조시 방사속도 및 연신조건에 따른 유기섬유의 길이방향 (n//)의 굴절률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섬유 제조시 방사속도 및 연신조건에 따른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고,
도 6 본 발명의 유기섬유 제조시 방사속도 및 연신조건에 따라 제조된 유기섬유의 복굴절률 변화거동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 조건에 따라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은 상기 방사속도에 따른 방사공정 이후, 연신비 1.1 이상의 연신 공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연신 공정은 오프라인 연신 또는 인라인 연신공정에서 선택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신 공정의 일례로 인라인 연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미연신 섬유 제조 이후 통상의 오프라인 연신도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섬유의 제조공정에서 방사공정 및 연신공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기 고분자 수지가 용융 후 방사노즐(10)을 통해 방사되고, 제1고뎃롤러(11) 및 제2고뎃롤러(12)에 연속적으로 거친 후 권취롤(13)에 감기는 공정으로 유기섬유를 제조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사공정의 특징은 제1고뎃롤러의 속도가 500 m/min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km/min이내로 수행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 내지 5 km/min로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방사 공정에서 방사속도가 500 m/min 미만으로 수행되면, 낮은 방사장력으로 섬유배향이 충분하지 않다. 다만, 방사속도를 10 km/min 이하로 수행하되, 10 km/min를 초과하면, 섬유 내외의 냉각 속도차에 의해 불균일한 섬유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고뎃롤러 속도를 고분자 토출속도에 대비하여 실시한다.
또한, 상기 방사공정 이후, 연신 공정이 더 수행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하면, 제1고뎃롤러 속도 대비 제2롤 속도를 연신비로 정의하여 실시한다. 이때, 연신 공정은 연신비 1.1 이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섬유 제조시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따른 유기섬유의 길이방향(n//)의 굴절률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유기섬유 제조시 동일한 유기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방사시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의 조합을 통하여,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이 1.59 에서 1.70범위로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을 통해, 방사시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따라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섬유 방사시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따라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의 굴절률 변화를 측정한 결과로서, 동일한 유기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이 1.57 내지 1.52 범위로 제어된다.
이에, 본 발명의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즉 방사시 방사속도 및/ 또는 연신공정 조건에 따라, 제어된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ㅗ) 값으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복굴절률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Δn = n// - n
(상기에서, n// 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이고, n는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방향의 굴절률이다.)
이에, 도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사시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의 조합을 통하여, 굴절률이 제어된 유기섬유가 20 이상의 범위의 복굴절률(Δn×103)을 가진다. 이때,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에 따라 민감하게 달라질 수 있으나, 20 이상, 최대 250의 복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유기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페닐설파이드(PPS)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액정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단성분 또는 이성분 이상의 복합방사에 의한 유기섬유가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성분 이상의 유기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복합방사의 경우, 제조된 유기섬유는 원형단면; 또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형, Y형, +형, #형 및 *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이형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이 제어된 유기섬유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제어되는 유기섬유는 마이크로 섬유에서부터 나노섬유까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유기섬유는 섬유직경이 500㎛ 이하의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섬유는 제어된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ㅗ) 값으로부터 산출된 복굴절률(Δn×103)이 20 내지 250 범위로 제어된다.
이에, 복굴절률을 가진 유기섬유는 편광특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복굴절률을 제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굴절률이 제어되는 유기섬유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굴절률이 제어되는 유기섬유는 직물, 편물, 부직포,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층섬유(unidirection multilayer), 쇼트 컷(short cut) 등에서 선택된 형태로 제공되며,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시트, 필름 또는 용융체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된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복합화 방법은 유기섬유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높은 온도에서 프레스 또는 롤로 가압하여 유기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를 상호 접합시켜 복합화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열에 녹아 유동성을 보이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설파이드(PPS),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민(MF), 불포화폴리에스테르(UP) 및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및 또는 액정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구성하는 유기섬유는 상기에서 굴절률이 제어된 유기섬유와 동일한 기술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복합화 방법은 굴절률이 제어되는 유기섬유를 광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 함유용액에 함침처리함으로써, 상호 접합시켜 복합화한다.
이때, 굴절률이 제어되는 유기섬유는 직물, 편물, 부직포,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층섬유(unidirection multilayer) 및 쇼트 컷(short cu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에서 광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는 광경화성 올리고머, 광경화성 모노머, 광개시제 및 필요에 따라 억제제, 레블링제, 소포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접착촉진제, 안료, 무기필러 등의 첨가제가 포함된 형태이다.
상기 제시된 광경화성 올리고머, 광경화성 모노머, 광개시제 및 첨가제 등은 이 기술분야에 공지된 종류에 특별한 한정 없이 선택 사용할 수 있으나,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광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의 일성분인 광경화성 올리고머의 바람직한 일례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류,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류, 아크릴 아크릴레이트류,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류,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류,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류 및 덴드라이트 아크릴레이트류(dendritic acrylate)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인 광경화성 모노머는 모노-, 디-, 트리- 또는 그 이상의 관능성(functional)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가지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테트라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헥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 에톡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트 페놀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형 트리에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이상의 혼합형태이다.
또한, 광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를 구성하는 또 다른 성분으로서 광개시제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틸-s-트라이진, 2-p-메톡시스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나프틸-6-트리아진,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부틸티오크산톤,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및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때, 광개시제의 첨가량은 광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0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첨가량이 3 중량% 미만이면, 경화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거나 경화 속도가 너무 느린 반면, 10 중량%을 초과하면, 경화도가 너무 높아 취성이 높아지거나, 반응 후에 미반응물의 존재로 인하여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에서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는 열경화성 수지, 경화제, 촉매, 필요에 따라 억제제, 레블링제, 소포제, 안정화제, 접착촉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무기필러 등의 첨가제를 포함한 형태로서, 상기 제시된 열경화성 수지, 경화제, 첨가제 역시 이 기술분야에 공지된 종류에 특별한 한정 없이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릴에스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벤즈옥사딘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알키드 수지, 푸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닐린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그 조합에 의한 혼합형태도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에폭시 수지의 일례로는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알킬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페놀류와 페놀성 히드록시기를 갖는 방향족 알데히드의 축합물의 에폭시화물,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지환식 에폭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그 조합에 의한 혼합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경화제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아민계 경화제, 페놀계 경화제, 무수산화물계 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아민계 경화제로는 지방족 아민, 지환족 아민, 방향족 아민, 기타 아민 및 변성폴리아민 등이 있으며, 2개 이상의 일차 아민기를 포함하는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아민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4,4'-디메틸아닐린(디아미노 디페닐 메톤)(DAM 또는 DDM), 디아미노 디페닐설폰(DDS), m-페닐렌 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향족 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디에틸렌테트라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ETA), m-자일렌 디아민(MXDA), 메탄 디아민(MDA), N,N'-디에틸에틸렌디아민(N,N'-DEDA),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PA)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지방족 아민, 이소포론 디아민(IPDI), N-아미노에틸 피레라진(AEP), 비스 (4-아미노 3-메틸시클로헬실)메탄(Larominc 26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환족 아민, 디시안디아미드(DICY) 등과 같은 기타 아민, 폴리아미드계, 에폭사이드계 등의 변성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페놀계 경화제으로는 페놀노블락, o-크레졸 노볼락, 페놀 p-자일렌 수지, 페놀 4,4'-디메틸비페닐렌 수지, 페놀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경화제 형태인 무수산화물계 경화제는 도데세닐 숙신산 무수물(DDSA), 폴리 아젤라익 안하이드리드 등과 같은 지방족 무수산화물;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안하이드리드(HHPA),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안하이드리드(MeTHPA), 메틸나딕 안하이드리드(MNA) 등과 같은 지환족 무수산화물, 트리멜리트 안하이드리드(TMA), 피로멜리트산 디안하이드리드(PMDA),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디안하이드리드(BTDA) 등과 같은 방향족 무수산화물; 테트라브로모프탈릭 안하이드리드(TBPA), 클로렌딕 안하이드리드(HET)등과 같은 할로겐계 무수화합물; 등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열경화성 수지 바인더에서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의 반응작용기와 경화제의 반응작용기간의 반응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경화제의 함량은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선택된 열경화성 수지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에 사용되는 촉매는 디메틸 벤질 아르닌(BDMA),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DMP-30)등과 같은 3급 아민; 2-메틸이미다졸(2MZ),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 2-헵타데실이미다졸 (heptadecylimidazole, 2HDI)등과 같은 이미다졸; BF3-모노에틸 아민(BF3-MEA) 등과 같은 루이스산; 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복합화 방법에 의한 본 발명의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는 종래 고가의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을 일치시켜 복합화하는 방법이 아닌,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될 유기섬유의 굴절률(n)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제공됨으로써, 용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될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정밀히 제어함으로써, 고품질의 편광특성과 고 투광성이 구현된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유기섬유 1∼4 제조
고유점도 0.6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을 용융 방사하되, 이때 방사노즐(φ)의 규격(L/D)이 0.5 ∼1.25mm이고, 토출량 6g/min, 방사온도 290℃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이때 방사구금으로부터 방사되는 폴리머의 토출속도 대비 제1고뎃롤러간의 속도(드래프트)를 하기 표 1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수행하여 유기섬유 1∼4를 제조하였다. 도 3에 도시된 공정과 같이, 방사된 섬유가 제1고뎃롤러 및 제2고뎃롤러를 거치는 동안 동일한 속도로 수행됨으로써, 전(全) 공정에서의 연신비는 1.0으로 유지되었다.
Figure 112010074859121-pat00002
<실시예 5∼7> 유기섬유 5∼7 제조
고유점도 0.6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을 용융 방사하되, 이때 방사노즐(φ)의 규격(L/D)이 0.5 ∼1.25mm이고, 토출량 6g/min, 방사온도 290℃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이때 방사구금으로부터 방사되는 폴리머의 토출속도 대비 85℃로 유지된 제1고뎃롤러간의 속도(드래프트)를 하기 표 2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수행하고 이후, 135℃에서 5 km/min속도로 유지된 제2고뎃롤러를 거쳐 인라인 연신한 후 권취하여 유기섬유 5∼7를 제조하였다. 이때, 수행되는 연신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74859121-pat00003
<실시예 8> 유기섬유 8 제조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고유점도 0.6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단성분의 고분자 수지 대신에, 해성분으로 폴리프로필렌(PP) 50중량% 및 도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해도형 유기섬유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섬유 길이방향의 굴절률 (n // )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유기섬유에 대하여, 섬유 굴절률 (n//)을 칼자이즈(Carl-zeiss) 간섭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칼자이즈(Carl-zeiss) 간섭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된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유기섬유의 섬유 길이방향(n//)의 굴절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4의 제조방법에서 고속 방사하여 제조된 유기섬유에 대하여, 방사속도가 2 내지 5 km/min로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섬유 길이방향의 굴절률(n//) 값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화살표 A]. 이에, 본 발명에서 제조된 유기섬유는 방사시 방사속도를 고속화시킴에 따라, 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고속 방사와 인라인 연신 공정을 거쳐 제조된 실시예 5∼7의 유기섬유에 대하여, 제2고뎃롤러(권취속도)를 동일한 5 km/min로 고정하고, 제1고뎃롤러의 속도를 상기 고속의 권취속도보다 낮춤에 따라, 즉 드래프트 값이 낮아지고, 연신비가 높아질수록, 섬유 길이방향 굴절률 (n//) 값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화살표 B].
따라서 동일한 고분자(PET)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방사 시 방사속도 및 연신 공정 조건의 조합을 통해 섬유의 길이방향(n//) 굴절률 값을 1.59 내지 1.70까지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실험예 2>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방향의 굴절률 (n )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유기섬유에 대하여,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방향의 굴절률(n)을 칼자이즈(Carl-zeiss) 간섭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칼자이즈(Carl-zeiss) 간섭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된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유기섬유의 섬유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n)의 굴절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로부터 실시예 1∼4의 제조방법에서 고속 방사하여 제조된 유기섬유에 대하여, 방사속도가 2 내지 5 km/min로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 값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화살표 C].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조된 유기섬유는 방사시 방사속도를 고속화 시킴에 따라,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방사 시 고속 방사와 인라인 연신 공정을 거쳐 제조된 실시예 5∼7의 유기섬유에 대하여, 제2고뎃롤러(권취속도)를 동일한 5 km/min로 고정하고, 제1고뎃롤러의 속도를 상기 고속의 권취속도보다 낮춤에 따라, 즉 연신비가 증가할수록,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방향의 굴절률(n) 값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화살표 D].
따라서 동일한 고분자(PET)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방사 시 방사속도 및 연신 공정 조건의 조합을 통해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방향의 굴절률(n) 값은 1.57에서 1.52까지 연속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실험예 3> 섬유의 복굴절률 측정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유기섬유에 대하여,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 측정된 섬유의 길이방향(n//) 굴절률 값과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방향의 굴절률 (n)을 하기 수학식 2에 도입하여 복굴절률(Δn)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2
Δn = n// - n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4의 제조방법에서 방사속도를 2 내지 5 km/min로 증가하여 유기섬유를 제조할 경우, 복굴절률 값(Δn)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방사 시 고속 방사와 인라인 연신 공정을 거쳐 제조된 실시예 5∼7의 유기섬유의 경우, 제2고뎃롤러(권취속도)를 동일한 5 km/min로 고정하고, 제1고뎃롤러의 속도를 상기 고속의 권취속도보다 낮춤에 따라, 즉 드래프트 값이 낮아지고, 연신비가 높아질수록, 복굴절률 값(Δn)은 선형적으로 계속해서 증가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동일한 고분자(PET)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방사 시 방사속도와 및 연신공정 조건의 조합을 통해 섬유의 복굴절률 값(Δn×103)은 24 내지 172 범위까지의 다양한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에 따라 유기섬유의 굴절률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은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되 방사시 500 m/min 이상의 방사속도 및 연신공정 조건에 따라 유기섬유의 굴절률 특히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정밀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굴절률이 제어된 유기섬유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시킨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는 종래 고가의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을 일치시키는 방법이 아닌,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될 유기섬유의 굴절률(n)을 정밀하게 제어하므로, 용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될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정밀히 제어함으로써, 고품질의 편광특성과 고 투광성이 구현된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는 반사형 편광필름을 비롯한 전자재료 및 산업용 복합소재로 유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방사노즐
11: 제1고뎃롤러
12: 제2고뎃롤러
13: 권취롤
100: 편광자
101: 액정
102: TFT 어레이 기판
103: 컬러필터 기판
104: 투과선
105: 비투과선
100': 편광자(PVA 필름)
120, 130: PVA 보호용 필름
140: 보호필름
150: 점착제
160: 이형필름
110: 종래의 편광필름

Claims (13)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페닐설파이드(PPS)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액정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유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여 유기섬유를 제조하되, 방사 시 1 내지 5㎞/min의 범위 이내의 방사속도 조건에 따라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을 1.59 내지 1.70으로 제어하고, 그리고 방사 후, 연신비 1.0 내지 1000배의 범위 이내의 연신 공정의 수행에 따라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을 1.57 내지 1.52로 제어하는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이 오프라인 연신 또는 인라인 연신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방사가 단성분 방사 또는 이성분 이상의 유기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복합방사에 의해 유기섬유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유기섬유가 원형단면; 또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형, Y형, +형, #형 및 *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이형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7. 제1항의 제어방법에 의해 유기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 또는 유기섬유의 길이에 대한 수직 방향의 굴절률(n)이 제어된 섬유직경이 500㎛ 이하인 유기섬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섬유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는 20 이상의 복굴절률(Δn×103)을 가지는 유기섬유:
    수학식 2
    Δn = n// - n
    상기에서, n// 섬유의 길이방향의 굴절률이고, n는 섬유 길이에 대한 수직방향의 굴절률이다.
  9. 제7항의 굴절률이 제어된 섬유직경 500㎛ 이하인 유기섬유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시트, 필름 또는 용융체에서 선택되는 형태의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섬유가 직물, 편물, 부직포,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층섬유(unidirection multilayer) 및 쇼트 컷(short cu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11. 제9항에 있어서, 유기섬유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온도조건에서 가압처리하여 유기섬유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복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12. 제9항에 있어서, 유기섬유가 광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바인더 함유용액에 함침처리되어 복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타이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페닐설파이드(PPS) 및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액정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KR1020100114011A 2010-11-16 2010-11-16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KR10125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011A KR101251956B1 (ko) 2010-11-16 2010-11-16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011A KR101251956B1 (ko) 2010-11-16 2010-11-16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726A KR20120052726A (ko) 2012-05-24
KR101251956B1 true KR101251956B1 (ko) 2013-04-08

Family

ID=4626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011A KR101251956B1 (ko) 2010-11-16 2010-11-16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067B1 (ko) * 2014-03-31 2021-08-11 주식회사 쿠라레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섬유
KR102106810B1 (ko) * 2016-02-25 2020-05-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확산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를 채용한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
CN108251916A (zh) * 2017-12-05 2018-07-06 宜宾天原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纺丝工艺的聚醚醚酮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2361A1 (en) * 1996-05-07 1997-11-1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Ultra-oriented crystalline fila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70106796A (ko) * 2005-02-28 2007-11-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합 중합체 섬유
WO2009123413A2 (en) * 2008-03-31 2009-10-08 Kolon Industries, Inc.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 pet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reof
KR100951700B1 (ko) * 2009-01-30 2010-04-0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광변조 물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2361A1 (en) * 1996-05-07 1997-11-1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Ultra-oriented crystalline fila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70106796A (ko) * 2005-02-28 2007-11-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합 중합체 섬유
WO2009123413A2 (en) * 2008-03-31 2009-10-08 Kolon Industries, Inc. Draw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 pet tire cord, and tire comprising thereof
KR100951700B1 (ko) * 2009-01-30 2010-04-0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광변조 물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726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26694A1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4103759A9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フィルム
KR101251956B1 (ko) 유기섬유의 굴절률 제어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유기섬유 및 그를 함유한 고 투광성 고분자-유기섬유 복합체
EP1217396A2 (en) Resin sheets,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s
KR20060100378A (ko) 광학용 수지 시트 및 그 광학용 수지 시트를 포함하는액정셀 기판, 액정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용 기판,화상 표시 장치
KR20160011199A (ko) 위상차 필름, 해당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원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01380B1 (ko) 투명 필름
KR20190124714A (ko) 광학 이방성 적층체, 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05942B1 (ko)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040056991A1 (en) 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10072963B (zh) 用于偏光板的粘着剂组成物、偏光板与光学显示器
JP2001091747A (ja) 液晶セル基板
KR101210433B1 (ko) 고분자-유기 나노섬유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반사형 편광소자
KR102028209B1 (ko) 탄소나노튜브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탄소나노튜브 편광필름
CN106715623A (zh) 偏光板和包括其的显示装置
CN109810637B (zh) 用于偏振板的粘着剂组成物、偏振板以及光学显示器
JP6918098B2 (ja) 光学フイルムおよび光学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101284246B1 (ko) 초고속 용융방사에 의한 해도형 섬유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해도형 섬유, 나노섬유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나노섬유 및 상기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재
KR102025336B1 (ko) 해도형 유기나노복합섬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해도형 유기나노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재료
JP2007091962A (ja) ガラスクロス複合化シリコーン系樹脂シート
KR101757025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광학 부재 및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2005297312A (ja) 透明複合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素子
US9477090B2 (en) Laminated body, polarization plate having thereof,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KR102126052B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JP2010012754A (ja) 透明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