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390B1 -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연상 단어망 서버 - Google Patents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연상 단어망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390B1
KR101251390B1 KR1020080083551A KR20080083551A KR101251390B1 KR 101251390 B1 KR101251390 B1 KR 101251390B1 KR 1020080083551 A KR1020080083551 A KR 1020080083551A KR 20080083551 A KR20080083551 A KR 20080083551A KR 101251390 B1 KR101251390 B1 KR 10125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associative
association
network server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822A (ko
Inventor
김상범
이언희
이승현
편종인
김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3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상 단어망 서버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해 특정 대표어에 대한 연상어들이 입력되거나 공감 업/다운이 선택되면 이를 토대로 단어와 단어 사이의 연관성 및 특정 단어에 대한 연상 단어의 집합을 구축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이며, 사용자들의 관심사가 충분히 반영된 검색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검색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검색인터페이스를 지능화할 수 있다.
웹 2.0, 사용자 참여, 연상 단어망, 연상어, 대표어, 가상 칠판, 공감 업/다운, 게임

Description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연상 단어망 서버{Method for servicing and constructing associable word network, system thereof, associable word network service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참여형 웹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상 단어망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단어에 대해 연상되는 단어들을 입력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에서 이를 가공하여 단어와 단어 사이의 연관성 및 특정 단어에 대한 연상 단어의 집합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사가 반영된 검색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고 검색시스템의 고도화 및 검색인터페이스의 지능화를 구현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웹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웹(Web)이다. 사용자들은 웹을 통하여 정보를 얻고 물건을 주문하거나 대화를 하는 등 웹 환경에서 다양하게 인터넷을 이용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의 웹은 점점 변화해 가고 있으며, 이 변화의 화두에는 ‘웹 2.0’ 이 있다.
기존의 인터넷이 사이버 공간을 통해 세계를 하나로 묶어주는 웹 1.0 환경이 었다면, 인터넷망의 광대역화와 디지털 기기의 발달에 따라 한 차원 업그레이드된 환경이 바로 웹 2.0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웹 1.0이 정보를 모아 보여주기만 하는 일방적인 정보 제공의 형태였다면, 웹 2.0은 사용자들이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받는데 그치지 않고 ‘참여’와 ‘개방성’을 통해 누구나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형태이다. 결국, 웹 2.0이란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뜻하는 개념이다.
웹 2.0은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다룰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정보를 더 쉽게 공유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블로그(Blog), 위키피디아(Wikipedia) 등이 이에 속하며, 2006년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로 ‘유(You)’가 뽑히면서 세계적인 트렌드로 인정받은 UCC(User Created Content)가 웹 2.0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웹 2.0 시대에 맞는 새로운 사용자 참여형 웹 서비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사한 관심사를 갖고 있는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커뮤니티 형성과 컨텐츠 양산을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의 관심사가 충분히 반영된 검색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검색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검색인터페이스를 지능화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상 단어망 서버, 이를 이용한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과 방법 및 연상어 게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상 단어망 서버는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단어인 대표어와 상기 대표어에 대한 다수의 연상어들로 이루어지는 연상 단어망을 구축하기 위한 가상 칠판을 하나 이상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가상 칠판을 생성한 사용자와 상기 가상 칠판에 상기 연상어들을 등록한 사용자들 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대표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칠판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연상어들을 수신하여 상기 가상 칠판에 반영하고, 상기 가상 칠판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연상 단어망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대표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상기 대표어를 가진 가상 칠판이 없으면 상기 가상 칠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가상 칠판들 중 제1 가상 칠판의 연상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상기 연상어가 대표어인 다른 제2 가상 칠판이 있으면 상기 제1 가상 칠판의 대표어를 상기 제2 가상 칠판에 연상어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 선택들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공감 업/다운 선택들을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연상어들 중 가장 많은 공감 업 횟수를 획득한 연상어를 입력한 사용자를 추출하거나, 획득한 공감 업 횟수에 따라 상기 연상어들을 순위별로 배치하거나, 상기 연상어들 중 일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연상어들을 최신 연상어로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은 위와 같은 연상 단어망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칠판을 수신하고,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로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연상어를 전송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은, 연상 단어망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특정 단어인 대표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대표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대표어가 없으면,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대표어의 연상 단어망을 구축하기 위한 가상 칠판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가상 칠판을 수신하여 상기 대표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연상어를 입력하면,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연상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가상 칠판에 상기 연상어가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은,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연상어가 대표어인 다른 가상 칠판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상기 연상어가 대표어인 다른 가상 칠판이 있으면,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다른 가상 칠판을 관련 가상 칠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은, 연상 단어망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특정 단어인 제1 대표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1 대표어의 연상 단어망을 구축하기 위한 제1 가상 칠판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대표어에 대한 제1 연상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1 연상어를 상기 제1 가상 칠판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은 제3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대표어에 대한 제2 연상어 또는 상기 제1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2 연상어 또는 상기 제1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 선택을 상기 제1 가상 칠판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1 연상어 또는 상기 제2 연상어가 상기 제1 가상 칠판과 다른 제2 가상 칠판의 대표어인 경우,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2 가상 칠판에 상기 제1 대표어를 연상어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은, 연상 단어망 서버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특정 단어에 대한 다수의 연상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연상어 각각에 대한 공감 업/다운 선택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어들 중 가장 많은 공감 업 횟수를 획득한 연상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기를 추출하는 과정, 획득한 공감 업 횟수에 따라 상기 연상어들을 순위별로 배치하는 과정, 상기 연상어들 중 일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연상어들을 최신 연상어로서 설정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상어 게임 서비스 방법은, 특정 단어인 대표어와 상기 대표어에 대한 다수의 연상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연상어들 중 하나를 제시어로 표시하는 제시어 표시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시어에 대하여 입력한 단어를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수신하는 입력 단어 수신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입력 단어와 상기 대표어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입력 단어와 상기 대표어의 동일여부에 따라 정답 또는 오답으로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웹 2.0 시대에 맞는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로서, 사용자들이 흥미를 느끼면서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유사한 관심사를 갖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커뮤니티 형성과 컨텐츠 양산을 도모하여 사용자들의 관심사가 충분히 반영된 검색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검색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검색인터페이스를 지능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 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은 연상 단어망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통신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접속한다. 이 과정에서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200)가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접속 요청을 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인증정보 요청을 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연상 단어망 서버(100)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웹 페이지의 링크를 통하여 연상 단어망 서버(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연상 단어망과 연상어 게임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는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가상 칠판 리스트를 이용할 수 있고, 검색창을 이용하여 특정 대표어 입력을 통한 연상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많은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특정 대표어에 대한 다양한 연상어 의견을 입력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이를 취합하여 연상어들을 정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연상 단어망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들은 새로운 연상어의 생성, 기존 연상어의 추천, 연상어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톱과 같은 컴퓨터, PDA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정보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용하는 연상 단어망 및 연상어 게임은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상 단어망 서버(100)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연상 단어망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입력하는 대표어, 연상어에 대한 추천, 게임 진행에 필요한 입력 신호 등을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전송한다. 이후,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력을 적용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 및 연상 단어망 서버(10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통신망(30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데스크톱 장치인 경우, 인터넷 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0)은 상술한 네트워크 장치들의 복합적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통신망(3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전송한다. 그 리고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서비스 이용에 따라 요청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입력하는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웹 페이지에 적용한 후, 적용된 웹 페이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대표어 검색창, 가상 칠판 리스트, 연상어 게임, 사용자 랭킹 정보 등과 관련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대표어는 사용자가 검색창에 입력한 단어를 통하여 검색된 용어, 가상 칠판 리스트에서 사용자 단말기(200)가 선택한 단어 등이 될 수 있다. 즉, 대표어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입력이나 선택을 통하여 지정된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연상어는 대표어에 연상되는 단어로서,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200)가 대표어를 통하여 연상되는 단어들을 입력한 경우, 이 단어가 연상어가 될 수 있다. 각 연상어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공감 업 또는 공감 다운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특정 대표어에 대하여 일정 순위로 연상되는 연상어들의 랭킹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가상 칠판은 특정 대표어와 이에 대한 연상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의미한다. 웹 페이지는 가상 칠판에 표시된 연상어를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연상어를 대표어로 하는 가상 칠판을 출력하고, 해당 대표어에 링크된 연상어들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연상어 게임은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연상어 게임은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대표어가 가지는 일정 순위 내에 포함된 연상어들을 제시어로 제공하고, 제시어를 기반으로 대표어를 유추하여 맞추도록 하는 게임이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대표어에 대하여 연상어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을 선택하면 이 자료들을 수집하여 연상 단어망을 구축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사용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연상 단어망의 구축이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사용자들의 관심사나 선호도, 최근의 트렌드나 쟁점, 화제 등의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구축된 연상 단어망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거나 검색쿼리를 구성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검색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검색인터페이스를 지능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무선주파수부(210), 입력부(220), 오디오 처리부(230), 표시부(240), 단말 저장부(250), 단말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주파수부(210)는 단말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하여 통신망(300)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주파수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210)는 연상 단어망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 제어부(260)에 전송하고, 입력부(220) 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사용자 설정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단말 제어부(26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220)는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입력신호, 웹 브라우저 운영에 따라 연상 단어망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웹 페이지에 포함된 각종 링크 정보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검색창에 대표어 입력을 위한 입력신호, 특정 대표어 선택과, 대표어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가상 칠판에 리스트 되는 연상어들에 대한 공감 업/다운 입력신호, 특정 대표어에 대한 연상어 입력신호, 연상어 게임 수행시 단어 입력신호 등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신호를 단말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무선주파수부(21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이용하여 재생하거나, 사용자가 별도로 설치한 마이크(MIC)가 존재하는 경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여 단말 제어부(26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230)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들에 링크된 오디오 파일 또는 클릭 동작에 링크된 오디오 신호 및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다양한 오디오 파일 등을 활성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240)는 사용자 단말기(2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전원 공급에 따른 부팅 화면, 부팅 완료 후 초기 화면, 다양한 아이콘 선택에 따른 아이콘 활성화 화면, 연상 단어망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화면, 웹 페이지에 포함된 링크 선택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 연상어 게임 수행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형태인 경우 표시부(24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웹 페이지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단말 저장부(25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연상 단어망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MacOS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는 컴퓨터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며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Netscape Navigator 등이 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2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들, 예를 들어 연상 단어망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한 텍스트,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부(220)를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연상 단어망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60)는 상술한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각 구성이 사용자 단말기(200)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단말 제어부(260)는 입력부(220)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웹 브라우저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미리 설정된 인터넷 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연상 단어망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또한, 단말 제어부(260)는 연상 단어망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여 표시부(2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대표어 검색, 가상 칠판 리스트, 사용자 랭킹 정보, 연상어 게임을 각각 선택할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60)는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부(220)로부터 수신하면, 입력신호를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전송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출력 중인 웹 페이지에 반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 단어망 서버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서버 통신모듈(110), 서버 제어부(160), 서버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서버 관리를 위하여 서버 입력부(120)와 서버 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이를 통하여 연상 단어망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관리할 수 있다.
서버 통신모듈(110)은 통신망(3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며, 통신망(30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300)이 인터넷 망인 경우, 서버 통신모듈(110)은 인터넷 망에 접속 가능한 이더넷 통신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버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서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 통신모듈(110)은 일정 통신 방식, 예를 들어, TCP/IP 기반의 데이터 패킷을 서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 웹 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지원을 위한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DB), 사용자들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DB), 연상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가상 칠판 DB에 저장된 각 가상 칠판들은 사용자 DB에 저장된 사용자들과 상호 연동되어, 어떠한 사용자가 어떠한 가상 칠판들을 생성하였는지, 어떠한 가상 칠판에 등록한 연상어가 가장 높은 공감 업을 획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상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즉, 연상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연상어 게임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에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게임이 될 수 있다. 연상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동작하는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사용자 단말기(200)가 접속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여 해당 연상어 게임이 동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서 연상어 게임이 실행되는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100)는 웹 페이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시어와 타이머에 따른 카운트 값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입력하는 단어와 상기 제시어로부터 연상되는 대표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점수 부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서버 통신모듈(110)을 제어하는 한편, 기 설정된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버 통신모듈(110)을 거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160)는 서버 저장부(150)에 저장된 웹 페이지를 기반으로, 대표어 검색 및 생성, 가상 칠판 사용, 연상어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연상 단어망 서버(100)가 지원하는 웹 페이지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웹 페이지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 다양한 템플릿 배치, 아이콘의 변경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된 웹 페이지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웹 페이지는 기본적으로 대표어 검색 및 생성, 가상 칠판 사용, 연상어 게임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기타 필요한 항목들은 필요에 따라 더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는 사용자 정보 표시 영역, 추천 가상 칠판 영역, 사용자 랭킹 정보 영역, 대표어 검색창 영역, 업데이트 가상 칠판 영역 및 연상어 게임 선택을 위한 항목을 표시하는 링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웹 페이지는 화면 일측에 현재까지 생성된 가상 칠판 개수를 나타내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좌측 상단에 배치된 사용자 정보 표시 영역은 현재 연상 단어망 서버(1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 관한 것으로, 닉네임 예를 들면 “새벽안개2”로 표시될 수 있고, 웹 페이지 이용에 따른 포인트 누적점수와, 포인트 누적점수에 따른 레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포인트 누적점수는 사용자 활동에 따라 누적된 점수를 의미하며, 레벨은 사용자 단말기의 이용 빈도와 활동에 따라 누적되는 포인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추천 가상 칠판 영역은 연상 단어망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들이 주로 검색하는 대표어 또는 연상어들에 대한 검색 횟수 및 연상어들에 대한 클릭 횟수 등에 따라 일정 순위별로 정렬한 후, 일정 순위권 내에 진입하는 대표어들에 대응하는 가상 칠판명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영역이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들이 가장 많이 검색하거나 클릭한 대표어들 중 일정 순위 내에 있는 대표어들을 나열한 영역이다. 사용자 단말기들은 이러한 추천 가상 칠판 영역 을 통하여 현재 어떠한 대표어가 가장 많이 검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대표어 클릭 및 의견 기재를 통하여 자신의 의견을 가상 칠판에 포함된 연상어에 반영시킬 수 있다.
사용자 랭킹 정보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사용자들 중에 보유하고 있는 가상 칠판의 개수와, 가상 칠판에 포함된 대표어에 연상되는 연상어들의 개수 및 연상어들이 획득한 공감 추천 횟수 등을 일정 점수로 환산하고, 환산된 점수를 통합하여 정렬하였을 때, 많은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들을 나열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사용자 랭킹 정보 영역은 일정 명칭 예를 들면 “공감왕”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연상 단어망 서버에 저장된 많은 사용자들 중 어제 하루 동안 누적 점수가 일정 순위권 내에 든 사용자들을 출력하는 “어제” 영역과, 지금까지 누적된 점수가 일정 순위권 내에 든 사용자들을 출력하는 “전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어 검색창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하고자 하는 대표어를 입력하는 검색창 영역이다. 이러한 검색창 영역은 검색창의 성격을 보다 확실하기 나타내기 위하여 대표어가 입력되는 빈칸 영역 외에 “~하면 연상되는 것은?”이라는 문구를 추가 기재할 수 있다. 대표어 검색창 영역에는 대표어 검색 후, 검색 시동을 위한 예를 들면 “GO”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대표어 검색창 영역에 대표어를 입력하면, 대표어와 일대일 매칭되는 단어를 가지는 가상 칠판을 우선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연상 단어망 서버는 대표어를 포함하는 단어를 가지는 가상 칠판을 검색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가상 칠판이 검 색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할 수 있도록 검색된 가상 칠판들을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업데이트 가상 칠판 영역은 최근 업데이트 된 가상 칠판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영역이다. 즉,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 대표어를 가지는 가상 칠판에 연상어를 입력하는 경우, 업데이트 가상 칠판 영역은 해당 대표어를 가지는 가상 칠판을 최근 업데이트 된 가상 칠판으로 판단하고, 이를 “최근 업데이트 가상 칠판” 리스트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데이트 가상 칠판 영역은 좌측부터 연상어가 업데이트된 순서를 할당하는 “순위” 영역과, 대표어에 해당하는 “가상 칠판명” 영역, 대표어에 대한 연상어들을 출력하는 “최신 연상어” 영역, 가상 칠판의 대표어가 가지는 연상어 중 가장 많은 공감 업을 획득한 사용자의 이름 또는 닉네임을 출력하는 “판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칠판명은 대표어와 동일한 단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최신 연상어” 영역은 대표어에 리스트된 연상어들을 일정 시간 단위로 순환하면서 출력할 수 있다.
연상어 게임 링크 영역은 우측 모서리 영역에 링크가 가능한 텍스트 문자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가 이 “게임”을 클릭하게 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연상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연상어 게임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칠판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대표어 검색창에 대표어를 입력하거나 추천 가상 칠판 영역에 리스트된 특정 대표어를 선택하면, 그와 관련된 가상 칠판이 웹 페이지 상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나기”를 입력하거나 “소나 기”를 클릭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그 신호를 수신한 후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된“소나기”가상 칠판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기존의 “소나기”가상 칠판이 검색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소나기” 가상 칠판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소나기”가상 칠판은 대표어 “소나기”가 중앙 상단 영역에 기재되고, 이 “소나기”가상 칠판에 대한 연상어를 기재한 사용자 중 가장 많은 공감 업을 획득한 사용자가 판짱으로 선정되어 그 닉네임, 예를 들면 “단발머리”로서 기재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대표어 “소나기”로부터 연상되는 연상어들(예를 들면 황순원, 우산, 장마, 장대비, 문학작품, 원두막, 파전, 기후 등)이 대표어 아래에 순위별로 리스트 된다. 이때, 순위는 각 연상어들에 대한 공감 업/다운에 의한 공감 획득 수를 기준으로 매겨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대표어 “소나기”에 대한 다른 연상어를 기재하고자 할 경우, 연상어들이 표시된 하단 영역에 배치된 연상어 입력창에 소나기에 대한 연상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입력된 연상어는 대표어 소나기에 연상되는 연상어로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소나기”에 대한 연상어로서 “장화”를 입력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소나기”의 연상어들 중에 “장화”가 연상어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장화” 연상어가 없는 경우, “소나기”의 최신 연상어로서 “장화”를 등록한다. 연상 단어망 서버는 “장화”가 연상어로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연상어의 공감 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장화”를 대표어로 하는 가상 칠판에 “소나기”가 연상어로 등록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미 “소나기”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화”가상 칠판에서 “소나기”의 공감 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는 입력되는 연상어에 대한 역입력회수를 적용하여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대표어가 기재된 영역 하단에는 최신 연상어를 표시하는 영역이 배치되고, 이 영역은 “소나기”에 연상되는 연상어 중에 최근(예를 들어 오늘 하루 또는 일주일 내)에 입력된 연상어들을 순환하면서 출력하도록 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연상 단어망 서버는 최신 연상어 영역은 특정 연상어가 공감을 획득한 경우, 최신 연상어로 판단하고, 최신 연상어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수행을 위하여 연상어가 기재된 블록 우측에 배치된 아이콘 중에 손모양의 업/다운 표시를 클릭함으로써, 특정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 다운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연상 단어망 서버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이미 공감 업/다운을 추천한 연상어에 대해서는 다시 공감 업/다운을 추천할 수 없도록 제어하여, 특정 연상어를 인위적으로 1위로 랭크시키는 부정방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연상 단어망 서버는 공감 획득 시간을 계산하여 시간이 오래된 공감에 대한 페널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는 특정 연상어가 일정 횟수의 공감 업을 획득하였다 하더라도, 일정 시간(예컨대 일주일) 동안 공감 업을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일정 페널티(예컨대 공감 점수의 10%)를 감산하여 적용하도록 하여 순위 재배열을 할 수 있다. 추가로, 웹 페이지는 연상어 입력창 하단에 마 련된 일명“한줄 TALK”영역을 통하여 대표어 “소나기”에 대한 사용자의 생각 등을 기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칠판 생성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대표어가 추천 가상 칠판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대표어 검색창으로부터 입력된 대표어가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는 입력된 대표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가상 칠판 생성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대표어 검색창에 “게시물”을 입력하였을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는 “게시물”과 관련된 가상 칠판이 있는지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이때 연상 단어망 서버는 “게시물”과 관련된 가상 칠판이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경우, “게시물”을 대표어로 하는 새로운 가상 칠판 생성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는 대표어가 “게시물”인 가상 칠판 생성을 알리는 문구가 기재되는 영역, “게시물”로부터 연상되는 기본 연상어(예를 들면 “네티즌”과 같은 연상어) 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기재되는 영역, 가상 칠판 생성 확인, 수정 및 삭제를 위한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 관련 가상 칠판 영역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관련 가상 칠판은 “게시물”과 연관성이 있는 가상 칠판을 연상 단어망 서버가 추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게시물을 연상어로 가지고 있는 가상 칠판의 대표어가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연상 단어망 서버는 대표어가 “게시물”을 포함하는 가상 칠판을 관련 가상 칠판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상 칠판은 대표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이며, 연상어는 대표어에 대하여 연상되는 단어로서 생성된다. 즉, 연상어 중에는 다른 가상 칠판의 대표어가 되는 단어가 있을 수 있으며, 가상 칠판이 없는 단순한 연상어로서 존재하는 단어가 있을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락카페”를 대표어로 하는 가상 칠판에, “홍대” 및 “해드뱅”이라는 연상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홍대”는 “락카페”의 연상어이기도 하지만, “홍대”에 대한 가상 칠판이 존재하는 경우, “홍대” 가상 칠판의 대표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해드뱅”은 별도의 가상 칠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락카페”에 대한 연상어로서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연상어“홍대”를 클릭하게 되면, 대표어가 “홍대”인 가상 칠판으로 이동하게 되고, “홍대”가상 칠판이 포함하는 다른 연상어들의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가 연상어“해드뱅”을 클릭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해드뱅”을 대표어로 하는 가상 칠판 생성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해드뱅”에 대한 가상 칠판이 생성되면, 관련 가상 칠판 란에는 “락카페”가 기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어 게임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웹 페이지의 우측 상단에 기재된 텍스트 링크 “게임”을 클릭하면 연상어 게임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웹 페이지에서 연상어 게임 선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 그에 따라, 연상어 게임 진행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연상어 게임 화면 인터페이스는 일명 “연상 퀴즈”가 기재되는 영역, 퀴즈 설명을 위한 영역, 정답 유추를 위한 연상어 즉 “제시어”가 출력되는 영역, 사용자가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단어 입력창 영역, 문항수를 카운트 하는 영역, 시간을 카운트 하는 영역, 각 문항당 점수를 기재하는 영역, 총합 점수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출력되는 “제시어”를 기반으로 대표어를 유추하고, 유추된 대표어를 단어 입력창에 기입한다. 연상 단어망 서버는 단어 입력창에 입력된 단어가 정답에 해당하는 대표어와 동일한 경우, 해당 대표어를 출력하는 한편 정답 입력에 대응하는 기호 예를 들면 “0”을 출력한다. 여기서, 연상 단어망 서버는 시간 카운트 영역에 카운트되는 타이머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다음 제시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전체 제시어 설정된 시간 내에 제시되었음에도 정답에 해당하는 대표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해당 문제에 대한 오답판정 또는 패스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하는 단어가 정답에 해당하는 경우, 이미 제시된 제시어의 개수에 대하여 차등 점수를 부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는 제시어가 적게 제시된 상태에서 정답을 입력하는 경우에 부여되는 점수가 제시어가 많이 제시된 상태에서 정답을 입력하는 경우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연상 단어망 서버는 상술한 연상어 게임 진행 시, 설계자가 제작한 특정 게임 방식에 따른 것이 아니라,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을 기반으로 게임이 진 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들이 생성한 가상 칠판과, 가상 칠판에 포함된 연상어 리스트들 중, 일정 순위 예를 들면 5위 안에 드는 연상어들과, 해당 가상 칠판의 대표어를 기반으로 연상 퀴즈 게임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연상 단어망 서버는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가상 칠판들 중, 연상어를 다섯 개 이상 포함하는 가상 칠판들을 일정 개수 예를 들면 10개를 검출하되, 최신 업데이트 순서, 공감 다득 순서, 무작위 등의 방식으로 검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연상 게임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연상어로서 유추되는 대표어를 유추하는 상술한 연상 게임을 통하여, 두뇌 발달과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게임에 적용되는 대표어들이 최근 업데이트된 연상어나, 최근 공감 다득수, 최근 생성 가상 칠판 순으로 추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최근에 회자되고 있는 대표어와, 그 대표어에 대한 연상어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랭킹 정보 영역에 리스트된 사용자를 클릭하거나, 자신의 정보 영역 중 “My home”을 클릭하는 경우, 사용자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클릭 동작에 따라, 특정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화면 인터페이스는 개인 정보 영역과, 가상 칠판 히스토리 영역, 참여 가상 칠판 리스트 영역, 포인트 관리 영역, 레벨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신상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가 등록한 사진이나, 닉네임, 성별, 거주 지역 등 다양한 신상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개인 정보 영역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가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설정이 가능하며, 열람할 수 없도록 비공개 설정도 가능하다.
가상 칠판 히스토리 영역은 사용자가 기재한 연상어의 공감 획득수가 1위인 가상 칠판의 대표어가 포함되는 영역이다. 즉, 가상 칠판 히스토리 영역은 사용자가 어떠한 가상 칠판에 기재한 연상어를 다른 사람들의 공감을 많이 얻어 1위를 하는 경우, 해당 가상 칠판의 판짱으로서 대표어를 출력할 수 있다.
참여 가상 칠판 리스트 영역은 사용자가 공감 업/다운을 하였거나, 연상어를 기재한 가상 칠판의 대표어를 출력하는 영역이다.
포인트 관리 영역은 사용자의 이용 빈도나 양에 비례하여 획득되는 포인트를 보여주는 영역이다. 이러한 포인트 관리 영역은 크게 활동 포인트 영역과 게임 포인트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활동 포인트 영역은 가상 칠판을 생성하거나, 연상어를 기재하거나, 특정 연상어에 대한 공감을 업/다운하는 동작으로부터 획득되는 점수를 출력하는 영역이다. 게임 포인트 영역은 연상어 게임을 통하여 획득되는 점수를 출력하는 영역이다.
레벨 표시 영역은 사용자가 획득한 포인트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일 경우, 해당 점수에 대응하는 레벨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사용자 단말기들은 상술한 사용자 정보 확인을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의 연상어 참여실태, 현재 이용사례, 기호 와 취향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호가 유사한 다른 사용자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과 연상어 게임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연상 단어망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S101 단계에서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연상 단어망 서버에 접속 요청을 수행할 수 있고,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상 단어망 서버는 S103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대표어 클릭 또는 입력에 따른 대표어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는 연상 단어망 서버에게 대표어 전송을 위하여, 웹 페이지에 출력되고 있는 최신 업데이트 가상 칠판에서 특정 대표어를 선택하거나, 대표어 검색창에 대표어를 입력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대표어 수신이 없는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는 S101 단계로 리턴하거나,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 수정, 연상어 게임 등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 또는 입력한 대표어를 수신하면, S105 단계로 분기하여 대표어와 매칭되는 검색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상 단어망 서버는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며,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는 대표어를 기반으로 저장되는 다양한 가상 칠판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S107 단계에서 연상 단어망 서버 요청에 따라 해당 가상 칠판 및 가상 칠판과 링크된 연상어들을 웹 페이지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연상 단어망 서버는 S107 단계에서 출력된 대표어와, 대표어와 링크된 연상어들에 대한 공감 업/다운 작업을 S109 단계에서 수행하거나, S111 단계에서 연상어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S109 단계에서 대표어와 링크된 연상어들의 공감 업/다운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아이콘을 각 연상어별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클릭 동작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연상어의 공감 횟수를 증가시킨다. 이 과정에서, 연상 단어망 서버는 특정 연상어의 공감 횟수가 자신의 순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연상어에 비해 높은 공감 횟수를 가지는 경우, 공감 횟수에 따른 연상어의 순위를 재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연상 단어망 서버는 공감을 획득한 연상어의 공감 횟수가 전체 연상어 리스트에서 가장 많은 횟수인 경우, 해당 연상어를 최초로 제안한 사용자를 해당 가상 칠판의 판짱으로 정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갱신 정보는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전달되어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S11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특정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과는 독립적으로, 자신의 생각이 포함된 연상어를 연상어 입력창에 기입하여 등록할 수 있다. 그러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새로 입력한 연상어를 해당 가상 칠판의 새로운 연상어로서 등록하도록 하는 한편, “최신 연상어”영역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연상어가 최신 입력되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연상 단어망 서버는 “최신 연상어”영역에 출력되는 연상어들에 대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 입력된 연상어들을 교번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공감을 최근에 획득한 연상어도 “최신 연상어”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연상 단어망 서버는 S105 단계에서 대표어와 매칭되는 검색어가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S113 단계로 분기하여 새 가상 칠판 생성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는 특정 대표어에 대한 가상 칠판이 없는 경우, 새로운 가상 칠판 생성을 사용자 단말기에게 알리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대표어에 대한 일정 개수의 연상어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 가상 칠판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새 가상 칠판 정보는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의 가상 칠판 정보들을 갱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들이 직접적으로 특정 대표어에 대한 연상어를 입력하거나, 이미 등록된 연상어들에 대한 공감 업/다운을 추천함으로써, 대표어로부터 연상되는 연상어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들의 의견이 십분 투영된 연상 단어망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어 게임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상어 게임 제공 방법은 먼저, S2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웹 페이지에 특정 영역에 할당된 게임 링크 영역을 활성화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게임 시작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게임 링크 영역은 텍스트 링크 형태, 아이콘 링크 형태, 팝업창 링크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게임 시작을 위한 게임 화면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03 단계에서 제시어 개수를 카운트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특정 변수 “N”을 초기화한다. 다음으로,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05 단계에서 상기 변수 N을 1 증가 시킨 후, S207 단계에서 증가된 N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S207 단계는 증가된 N 값을 통하여 제시되어야 할 제시어의 개수를 관리하는 단계이다. 증가된 N 값이 설정값 이상이 아닌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09 단계로 분기하여 N번째 제시어를 게임 화면 인터페이스의 제시어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용되는 제시어는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가상 칠판들이 포함하는 연상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상어 게임은 설계자가 임의로 정한 대표어와 대표어에 대응하는 연상어들을 토대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도 9에서 설명한 방법을 토대로 사용자 단말기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구축된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시어는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가상 칠판들이 포함하는 연상어 중 일정 순위권 예를 들면 5위권 내에 드는 연상어들에 해당할 수 있다. 제시어의 개수 즉, N의 개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상 단어망 서버는 사용자가 단어 입력창에 “입력어”를 제공하면, 상기 제시어들을 포함하는 가상 칠판의 대표어와 상기 입력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S211 단계에서 검사한다. S211 단계에서 대표어와 입력어가 동일하지 않으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13 단계에서 오답입력에 해당하는 정보를 게임 화면 인터페이스에 특정 영역에 출력하거나 또는 팝업창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15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제시된 제시어의 타이머가 설정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설정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은 경우, S211 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S211 단계에서 입력어가 대표어와 동일한 경우, 즉 정답인 경우, S219 단계로 분기하여 제시어의 개수를 파악하고, 제시어의 개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점수를 적용한다. 즉, 연상 단어망 서버는 제시어가 적게 제시된 상황에서 입력어가 정답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제시어가 많이 제시된 상황에서 입력어가 정답인 경우보다 높은 점수를 적용할 수 있다. 점수 적용이 완료되면,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21 단계로 분기하여 문제수가 기 설정된 수 예를 들면 10개의 문제가 모두 출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문제가 모두 출제된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23 단계로 분기하여 사용자 정보 즉, 아이디에 점수를 기재하고, 해당 점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23 단계에서, 연상어 게임으로 획득된 점수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과의 점수와 비교하여 랭킹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도 있다.
한편, S221 단계에서 연상 단어망 서버는 문제수가 설정된 수가 아닌 경우 즉, 아직 문제가 모두 출제되지 않은 경우, S225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문제를 게임 화면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S203 단계로 리턴할 수 있다.
또 한편, S215 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05 단계로 분기하여 N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N 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S207 단계에서 확인한다. 이 S207 단계에서 증가된 N 값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즉, 제시해야 할 제시어를 모두 출력한 경우,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17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풀고 있는 문제를 오답처리 또는 패스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문제에 대한 점수를 획득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연상 단어망 서버는 S221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과정 및 이후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어 게임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들이 직접 입력하고 활용한 연상 단어망을 기반으로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게임 제작자의 개인적인 주관에서 게임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연상어들을 기반으로 게임이 진행된다. 이에 따라, 게임에 대한 공감도가 매우 높게 형성되며, 특정 대표어에 대한 개인적이며 부적절한 연상어 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웹 2.0 시대에 맞는 사용자 참여형 웹 서비스의 일종으로서, 컴퓨터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접속 가능한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 단어망 서버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칠판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칠판 생성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어 게임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 단어망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상어 게임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연상 단어망 서버 110: 서버 통신모듈
120: 서버 입력부 140: 서버 표시부
150: 서버 저장부 160: 서버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기 210: 무선주파수부
220: 입력부 230: 오디오 처리부
240: 표시부 250: 단말 저장부
260: 단말 제어부 300: 통신망

Claims (13)

  1. 특정 단어인 대표어와 상기 대표어에 대한 다수의 연상어들로 이루어지는 연상 단어망을 구축하기 위한 가상 칠판을 하나 이상 저장하는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
    상기 가상 칠판을 생성한 사용자와 상기 가상 칠판에 상기 연상어들을 등록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대표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칠판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연상어들을 수신하여 상기 가상 칠판에 반영하고, 상기 가상 칠판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대표어가 수신되면, 상기 대표어와 매칭되는 검색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대표어와 매칭되는 검색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연상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칠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대표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상기 대표어를 가진 가상 칠판이 없으면 상기 가상 칠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서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가상 칠판들 중 제1 가상 칠판의 연상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가상 칠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상기 연상어가 대표어인 다른 제2 가상 칠판이 있으면 상기 제1 가상 칠판의 대표어를 상기 제2 가상 칠판에 연상어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서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 선택들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공감 업/다운 선택들을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연상어들 중 가장 많은 공감 업 횟수를 획득한 연상어를 입력한 사용자를 추출하거나, 획득한 공감 업 횟수에 따라 상기 연상어들을 순위별로 배치하거나, 상기 연상어들 중 일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연상어들을 최신 연상어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서버.
  6.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연상 단어망 서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칠판을 수신하고,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로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연상어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7. 연상 단어망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특정 단어인 대표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대표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대표어가 없으면,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대표어의 연상 단어망을 구축하기 위한 가상 칠판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가상 칠판을 수신하여 상기 대표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연상어를 입력하면,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연상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가상 칠판에 상기 연상어가 반영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표어가 수신되면, 상기 대표어와 매칭되는 검색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대표어와 매칭되는 검색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연상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칠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연상어가 대표어인 다른 가상 칠판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상기 연상어가 대표어인 다른 가상 칠판이 있으면,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다른 가상 칠판을 관련 가상 칠판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9. 연상 단어망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특정 단어인 제1 대표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1 대표어의 연상 단어망을 구축하기 위한 제1 가상 칠판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대표어에 대한 제1 연상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1 연상어를 상기 제1 가상 칠판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칠판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표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대표어와 매칭되는 검색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대표어와 매칭되는 검색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연상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가상 칠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은 제3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대표어에 대한 제2 연상어 또는 상기 제1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2 연상어 또는 상기 제1 연상어에 대한 공감 업/다운 선택을 상기 제1 가상 칠판에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상어 또는 상기 제2 연상어가 상기 제1 가상 칠판과 다른 제2 가상 칠판의 대표어인 경우,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제2 가상 칠판에 상기 제1 대표어를 연상어로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특정 단어에 대한 다수의 연상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연상어 각각에 대한 공감 업/다운 선택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연상어들 중 가장 많은 공감 업 횟수를 획득한 연상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기를 추출하는 과정, 획득한 공감 업 횟수에 따라 상기 연상어들을 순위별로 배치하는 과정, 상기 연상어들 중 일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연상어들을 최신 연상어로서 설정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제7에 있어서,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특정 단어인 대표어와 상기 대표어에 대한 다수의 연상어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연상어들 중 하나를 제시어로 표시하는 제시어 표시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시어에 대한 단어를 수신하는 입력 단어 수신 단계;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입력 단어와 상기 대표어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연상 단어망 서버가 상기 입력 단어와 상기 대표어의 동일여부에 따라 정답 또는 오답으로 판단하는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KR1020080083551A 2008-08-26 2008-08-26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연상 단어망 서버 KR10125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51A KR101251390B1 (ko) 2008-08-26 2008-08-26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연상 단어망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51A KR101251390B1 (ko) 2008-08-26 2008-08-26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연상 단어망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22A KR20100024822A (ko) 2010-03-08
KR101251390B1 true KR101251390B1 (ko) 2013-04-05

Family

ID=4217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51A KR101251390B1 (ko) 2008-08-26 2008-08-26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연상 단어망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140B1 (ko) * 2012-05-10 2014-11-12 최진근 단어 연관성을 이용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정보 수집 방법
KR101627397B1 (ko) * 2013-10-28 2016-06-07 최진근 단어 연상 퀴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41331B1 (ko) * 2020-08-12 2024-02-27 봉래 박 Ai를 활용한 어휘 연상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게임 서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671A (ko) * 2001-05-19 2002-11-29 구교성 대표키워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정보검색방법
KR20030017282A (ko) * 2001-08-24 2003-03-03 박종원 트리구조를 갖는 전자사전시스템과 그 출력물
KR20030033497A (ko) * 2001-10-23 2003-05-01 주식회사 지식정보 단어연관도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070035915A (ko) * 2005-09-28 2007-04-02 최진근 데이터의 연관성 구조를 저장하는 번들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671A (ko) * 2001-05-19 2002-11-29 구교성 대표키워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정보검색방법
KR20030017282A (ko) * 2001-08-24 2003-03-03 박종원 트리구조를 갖는 전자사전시스템과 그 출력물
KR20030033497A (ko) * 2001-10-23 2003-05-01 주식회사 지식정보 단어연관도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070035915A (ko) * 2005-09-28 2007-04-02 최진근 데이터의 연관성 구조를 저장하는 번들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22A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239B2 (en) Suggesting search results to users before receiving any search query from the users
CN108268259B (zh) 动态生成定制应用入门教程
US10509792B2 (en) Context-based selection of calls-to-action associated with search results
CN103635903B (zh) 基于上下文的搜索结果的排名
AU2010253843B2 (en) Computer application data in search results
US9262882B2 (en) Social voting-based campaigns in search
CN103430176A (zh) 搜索辅助系统和方法
JP632068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KR101251390B1 (ko) 연상 단어망 구축 및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연상 단어망 서버
US20140057701A1 (en) Gaming incentives based on measured effect of user web activity
AU2016200666B2 (en) Suggesting search results to users before receiving any search query from the users
KR20090123579A (ko) 추천 요청과 답변을 기반으로 성장된 대중의 지혜를 통하여가치있는 정보를 집약적으로 제공하는 지식 공유 방법 및시스템
JP2020112663A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サーバ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7077325A (ja) ゲームランキング上位者情報取得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