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199B1 -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199B1
KR101251199B1 KR1020110044438A KR20110044438A KR101251199B1 KR 101251199 B1 KR101251199 B1 KR 101251199B1 KR 1020110044438 A KR1020110044438 A KR 1020110044438A KR 20110044438 A KR20110044438 A KR 20110044438A KR 101251199 B1 KR101251199 B1 KR 101251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inner container
mounting plate
fixing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556A (ko
Inventor
김현순
Original Assignee
김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순 filed Critical 김현순
Priority to KR102011004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19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포장용지가 필요 없으며 다양한 상품들을 손잡이가 부착된 포장용 상자로 운반 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대가 포장용 상자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품이 수용된 내부용기의 이탈을 방지하여 포장된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손잡이부가 부착되며 상품이 수용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유입된 상기 내부 용기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감싸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전면에 연결되는 일측단과 상기 외부 용기의 후면에 연결되는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 용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내부 용기의 손잡이부와 상기 내부 용기의 상면이 형성하는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의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띠 모양의 이탈 방지대;를 포함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Handle for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포장용지가 필요 없으며 다양한 상품들을 손잡이가 부착된 포장용 상자로 운반 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대가 포장용 상자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품이 수용된 내부용기의 이탈을 방지하여 포장된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물품을 수납한 후 상기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상자이다.
현재 유통산업의 구조의 발달로 인해 대부분의 상품들은 유통망을 거쳐 백화점, 재래시장, 대형마트, 편의점 등으로 납품되고 있다. 이러한 상품들을 포장하는 일반적인 포장 상자는 대략적으로 캔류, 과일, 케이크, 주류 및 다른 가공식품 등과 같은 식품류와 비누, 치약, 샴푸 등 인체의 세정용품류 및 전기전자용품 또는 의복류를 포장하는 포장용 상자로 나누어지며 그 재질은 제작과 운반에 편리한 종이로 제작되어 진다. 이러한 포장용 상자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물품의 형태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거나 상자의 외관에 미적인 요소를 부각하는 등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는 내부에 상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용기와 내부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하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덮어 하부케이스와 내부용기에 수용된 상품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밀폐시킬 수 있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에 제조 회사들에 의해 생산된 제품들을 포장하여 대형 할인 마트, 백화점 및 명절에 선물용으로 판매를 하게 된다.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대 위에 포장용 상자의 상부케이스를 개방한 다음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의 하단에 끼워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전시를 한다.
이때, 소비자가 전시된 상품을 보고 구매를 결정하면 간편하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쇼핑백이나, 종이가방에 넣어 소비자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포장용 상자의 상부에 손잡이를 결합한 후 손잡이를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사용하여 소비자가 운반시 불편함이 없도록 포장용 상자를 담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를 운반할 때는 별도의 쇼핑백이나 종이가방 등에 포장용 상자를 담아 운반된다. 이때 물품의 하중으로 인해 쇼핑백이 파손되어 포장용 상자가 이탈되거나 이동시 발생하는 흔들림 및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해 포장용 상자가 쇼핑백에서 쉽게 이탈되어 물품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이 재질의 쇼핑백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습기에 대한 피해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며 별도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포장용 상자를 제작하여 소비자가 이동시 발생되는 흔들림 및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포장용 상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쇼핑백 및 종이가방을 이용하여 포장용 상자를 재포장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포장용 상자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만으로도 소비자가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제작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는 상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손잡이부(120)가 부착되며 상품이 수용되는 내부 용기(110); 상기 내부 용기(110)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유입된 상기 내부 용기(110)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감싸는 외부 용기(130); 상기 외부 용기(130)의 전면에 연결되는 일측단과 상기 외부 용기(130)의 후면에 연결되는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 용기(1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내부 용기(110)의 손잡이부(120)와 상기 내부 용기(110)의 상면이 형성하는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 용기(110)가 상기 외부 용기(130)의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띠 모양의 이탈 방지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130)의 전면에 부착되고 전면에 고정홈(162-1)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제1 고정대(162)를 구비하는 제1 고정대 부착판(161); 및 상기 제1 고정대 부착판(16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홈(162-1)에 끼워지는 봉형상의 고정 돌기(174)를 구비하는 제2 고정대 부착판(171); 을 포함하되 상기 이탈 방지대(140)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1 고정대(162)에 외삽 되는 끼움공(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174)의 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대 부착판(17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탈방지대(140)의 일측단을 상기 제1 고정대 부착판(161)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판(17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이 상기 제1 고정대 부착판(16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탈부착 손잡이(175); 상기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내주면 둘레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걸림턱(176); 상기 탈부착 손잡이(175)가 상기 걸림턱(176) 내측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걸림턱(176)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턱(176)과 대향되어 상기 탈부착 손잡이(175)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1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는 물품을 수납하는 내부용기의 상단에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하였다. 상기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포장용 상자를 운반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으로 인하여 내부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이탈방지구조를 외부케이스에 부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내부용기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용 상자의 외부용기를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내습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여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의 손상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소비자가 포장용 상자 운반할 때 사용하는 쇼핑백이나 종이가방을 이용하지 않고 포장용 상자만으로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는 별도의 포장지를 제작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 되며 불필요한 자원낭비는 물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품이 수용된 내부용기의 이탈을 방지하여 포장된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며, 소비자가 불편함 없이 휴대를 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보면 내부에 상품이 수용되는 내부용기(110)가 형성된다. 내부용기(110)의 상면에는 손잡이부(120)가 부착이 되는데, 손잡이부(120)는 내부용기(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부착이 된다. 이때, 내부용기(110)의 상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부(110)의 양 끝단에는 손잡이부(110)의 끝단과 직각을 이루는 판형상의 부재가 형성된다. 관통홀에는 손잡이부(110)의 끝단에 형성된 판형상의 부재가 끼워지고, 판형상의 부재는 손잡이부(110)가 관통홀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수단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보면 내부 용기(110)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감싸는 외부 용기(130)가 형성된다. 외부 용기(130)의 상면은 내부 용기(110)가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외부 용기(130)의 하면은 개방이 될 수도 있고 내부 용기(110)를 감싸도록 막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내부 용기(110)의 전면에는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띠 형상을 갖는 이탈방지대(140)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대(140)의 일측단은 외부 용기(130)의 전면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내부 용기(110)의 손잡이부(120)와 내부 용기(110)의 상면이 형성하는 공간을 통과한다. 그리고 타측단은 외부 용기(130)의 후면에 부착 및 고정되어 내부 용기(110)가 외부 용기(130)의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대(140)의 일측단은 외부 용기(130)의 전면이나 후면에 부착이 되는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 용기(130)의 전면이나 후면에 고정되고 이탈방지대(140)의 타측단은 외부용기(130)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탈부착이 가능한 이탈방지대(140)의 양측단에는 벨크로나, 스냅단추등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이면 어떠한 것을 써도 무방하다.
도 1 을 참조하여 보면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은 외부 용기(140)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된다.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은 외부 용기(140)에 양면테잎이나 본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전면에는 제1 고정대(16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중앙에 위치한다. 제1 고정대(16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고정대(162) 끝단면에는 내부로 함입되는 고정홈(162-1)이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보면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하단에는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이 제1 고정대 부착판(16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 고정대 부착판(171)과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은 제1 고정대 부착판(161)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제2 고정대 부착판(171)에 형성된 체결공이 상호 끼워져 회동이 가능하다. 제2 고정대 부착판(171)에는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162-1)에 끼워지는 고정 돌기(174)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 돌기(174)의 형상은 봉형상으로 형성되나 고정홈(162-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기(174)는 고정홈(162-1)과 상호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제2 고정대 부착판(171)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보면 이탈 방지대(140)의 일측단에는 끼움공(141)이 이탈방지대(14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끼움공(141)은 이탈방지대(140)의 양측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끼움공(141)은 제1 고정대(162)에 외삽 되도록 제1 고정대(162)의 지름과 적어도 동일하거나 넓게 관통형성 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보면 제2 고정대 부착판(171)에는 압박판(172)이 형성된다. 압박판(172)은 고정 돌기(174)가 고정홈(162-1)에 끼워지는 반대방향쪽 단부에 제2 고정대 부착판(171)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압박판(172)의 지름은 이탈방지대(140)에 형성된 끼움공(14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여 보면 압박판(172)은 이탈방지대(140)의 끼움공(141)이 제1 고정대(162)에 끼워질 때 이탈방지대(140)의 일측단을 제1 고정대 부착판(161)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의 양측단에는 탈부착 손잡이(175)가 제2 고정대 부착판(171)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탈부착 손잡이(175)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탈부착 손잡이(175)는 탈부착 손잡이(175)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탈부착 손잡이(175)는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되는 형상이다.
또한 탈부착 손잡이(175)의 끝단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돌기(173)가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보면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76)이 형성된다. 걸림턱(176)은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내주면의 둘레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걸림턱(176)은 제1 고정대 부착판(161)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탈부착 손잡이(175)의 측면에는 걸림돌기(177)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177)는 걸림턱(176)과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이 제1 고정대 부착판(161) 방향으로 회동되어지면 탈부착 손잡이(175)에 형성된 걸림돌기(177)와 걸림턱(176)이 교차된다. 이때, 제1 고정대 부착판(161)에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이 고정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고하여 체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부 용기(110)를 외부 용기(120)에 인입 시킨 뒤,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은 외부 용기(1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시킨다. 이탈방지대(140)에 일측단에 형성된 끼움공(141)은 후면에 부착된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제1 고정대(162)에 끼운다. 이때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이 회동되면서 제2 고정대 부착판(171)에 형성된 압박판(172)이 이탈방지대(140)의 일측단을 압박함과 동시에 고정 돌기(171)가 고정홈(162-1)에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77)와 걸림턱(176)이 상호 맞물려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대 부착판(161)에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이 결합되고 이탈방지대(140)의 일측단은 고정된다.
도 2 를 참조하여 보면 손잡이부(120)와 내부 용기(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이탈방지대(140)의 타측단이 통과된다. 이탈방지대(140)의 타측단에 형성된 끼움공(141)은 전면에 부착된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제1 고정대(162)에 삽입되며, 상기와 동일한 순서로 이탈방지대(140)의 타측단은 고정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 용기(110)의 전면에 노출된 수용공간(S)이 외부 용기(130)의 전면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수용공간(S)에 수용된 상품이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파지한 경우 내부 용기(110)가 이탈방지대(14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를 사용자가 운반시 이동 중에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내부용기(1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외부 용기(130)에서 이탈방지대(140)를 탈착하고 손잡이부(120)를 파지하여 당기게 되면 내부 용기(110)가 쉽게 밖으로 인출되어 수용공간(S)에 수용된 상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공간(S)에 수용된 상품이 습기나 충격으로 인해 변형 및 파손됨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용기(130)의 재질은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내습성을 갖는 재질의 종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내부 용기 120 : 손잡이부
130 : 외부 용기 140 : 이탈방지대
141 : 끼움공 161 : 제1 고정대 부착판
162 : 제1 고정대 162-1 : 고정홈
171 : 제2 고정대 부착판 172 : 압박판
173 : 미끄럼 방지 돌기 174 : 고정 돌기
175 : 탈부착 손잡이 176 : 걸림턱
177 : 걸림돌기 S : 수용공간

Claims (4)

  1. 상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손잡이부(120)가 부착되며 상품이 수용되는 내부 용기(110);
    상기 내부 용기(110)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유입된 상기 내부 용기(110)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감싸는 외부 용기(130);
    상기 외부 용기(130)의 전면에 연결되는 일측단과 상기 외부 용기(130)의 후면에 연결되는 타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 용기(1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내부 용기(110)의 손잡이부(120)와 상기 내부 용기(110)의 상면이 형성하는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 용기(110)가 상기 외부 용기(130)의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띠 모양의 이탈 방지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130)의 전면에 부착되고 전면에 고정홈(162-1)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제1 고정대(162)를 구비하는 제1 고정대 부착판(161); 및
    상기 제1 고정대 부착판(16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홈(162-1)에 끼워지는 봉형상의 고정 돌기(174)를 구비하는 제2 고정대 부착판(171); 을 포함하되,
    상기 이탈 방지대(140)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1 고정대(162)에 외삽 되는 끼움공(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174)의 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대 부착판(17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탈방지대(140)의 일측단을 상기 제1 고정대 부착판(161)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판(17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이 상기 제1 고정대 부착판(16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고정대 부착판(171)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탈부착 손잡이(175);
    상기 제1 고정대 부착판(161)의 내주면 둘레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걸림턱(176);
    상기 탈부착 손잡이(175)가 상기 걸림턱(176) 내측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걸림턱(176)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턱(176)과 대향되어 상기 탈부착 손잡이(175)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17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KR1020110044438A 2011-05-12 2011-05-12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KR10125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438A KR101251199B1 (ko) 2011-05-12 2011-05-12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438A KR101251199B1 (ko) 2011-05-12 2011-05-12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556A KR20120126556A (ko) 2012-11-21
KR101251199B1 true KR101251199B1 (ko) 2013-04-08

Family

ID=4751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438A KR101251199B1 (ko) 2011-05-12 2011-05-12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847B1 (ko) * 2013-05-03 2014-01-09 남동문 음료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526B1 (ko) 2004-10-07 2007-07-18 김봉희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KR20090003633U (ko) * 2007-10-15 2009-04-20 박희령 소형 포장박스의 손잡이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526B1 (ko) 2004-10-07 2007-07-18 김봉희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KR20090003633U (ko) * 2007-10-15 2009-04-20 박희령 소형 포장박스의 손잡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556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8715A1 (en) Box with mirror and handle
KR200445296Y1 (ko) 서랍형 포장박스
KR101251199B1 (ko)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용 상자
JP3144015U (ja) プラスチックス製極薄透明な蓋体
US20160347502A1 (en) Reusable collapsible basket with a packing wrap strap
KR101283268B1 (ko) 포장용 상자
KR101673794B1 (ko) 택배 포장용 다용도 가방
CN212606634U (zh) 一种绿色印刷包装盒
KR101529775B1 (ko) 포장백
KR200459355Y1 (ko) 폭 조절이 되는 쇼핑백
US20050161349A1 (en) Packaging container recyclable for use as suit hanger
KR200422800Y1 (ko) 포장상자용 손잡이
JP2009012830A (ja) 多用途風呂敷
KR101016482B1 (ko) 치약 포장용 박스
US11407551B2 (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KR200447529Y1 (ko) 레져용 포장박스
KR200310459Y1 (ko) 포장상자
KR101037623B1 (ko) 상품 포장 및 운반용 꾸러미
KR101055244B1 (ko) 쇼핑용 보조바구니
KR20090028888A (ko) 포장용 상자
KR200433652Y1 (ko) 포장용 상자
KR200235814Y1 (ko) 쇼핑 포장된 비닐봉지 운반용 휴대 손잡이
KR101687078B1 (ko) 다용도 가방
KR200447526Y1 (ko) 물품 포장박스
JP2007044102A (ja) 運搬補助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